KR200361548Y1 - 천정구조용 크로스-바. - Google Patents

천정구조용 크로스-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548Y1
KR200361548Y1 KR20-2004-0018440U KR20040018440U KR200361548Y1 KR 200361548 Y1 KR200361548 Y1 KR 200361548Y1 KR 20040018440 U KR20040018440 U KR 20040018440U KR 200361548 Y1 KR200361548 Y1 KR 2003615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frame
bar
fabric
cross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84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일
Original Assignee
광성티앤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성티앤엠(주) filed Critical 광성티앤엠(주)
Priority to KR20-2004-00184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5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5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5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35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connection means at the 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8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grooves engaging with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정의 공간에 설치된 지지구조에 메인-바를 설치한 뒤 다수의 천정보드를 삽입하여 연속 체결하고 전/후로 인접한 상기 각 천정보드의 사이로 끼움 결합시켜 불연속 격자형태의 안정적인 천정체를 구성하는 크로스-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천정보드 사이를 연결하는 고정바를 형성함에 있어서, 천정보드의 하부 설치 틈새를 실링하는 고무패킹 고정수단을 가지고, 인접 설치되는 천정보드 각각에 형성된 끼움홈 하저면에 면접되는 제 1 수평프레임;
상기 제 1 수평프레임과 평행하게 제 1 수직프레임으로 연결설치되어 인접 설치되는 천정보드 각각에 형성된 끼움홈 상저면에 면접되는 제 2 수평프레임;
상기 제 2 수평프레임과 평행하게 제 2 수직프레임으로 연결설치되어 인접 설치되는 천정보드 각각의 상부 가장자리를 커버하여 설치 틈새를 차단하는 제 3수평프레임으로 일체 형성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고무패킹 고정수단은 제 1 수평프레임의 중앙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 저부 양측으로 걸림턱을 구비하여 그 내부로 패킹 삽입홈이 형성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천정구조용 크로스-바.{A cross-bar for ceiling structur.}
본 고안은 천정의 공간에 설치된 지지구조에 메인-바를 설치한 뒤 다수의 천정보드를 삽입하여 연속 체결하고 전/후로 인접한 상기 각 천정보드의 사이로 끼움 결합시켜 불연속 격자형태의 안정적인 천정체를 구성하는 크로스-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각 천정보드의 인접한 상부면 까지 크로스-바를 돌출하여 커버함으로써 천정마감재로써의 구조기능을 향상시키고 시공이 간편하고, 유지보수가 편리한 특징이 있는 천정구조용 크로스-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들의 천정마감 공사에는 천정의 콘크리트 구조물 하부로 설치되는 각ㅈㅇ 배관 및 배선 등의 설비를 가리기 위해 천정보드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기 천정보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2개의 서로 다른 형상의 바(Bar)가 설치된다.
이러한 바(Bar)는 크게 2개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천정에 고정된 클립을 통해 연결 고정되는 것이 메인-바이고, 상기 메인-바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크로스-바이다.
여기서 상기 크로스-바는 메인-바에 다수 삽입되어 불연속 구축되는 천정보드를 상호 지지시켜 안정적인 천정체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하에서는 종래의 천정구조용 크로스-바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종래의 크로스-바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b는 도 1에 따른 종래의 크로스-바 사용상태도이다.
도 1및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로스-바(9)는 메인-바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불연속 구축되는 천정보드의 고정강도를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종래의 크로스-바(9)의 구조는 연결프레임(3)을 통해 상호 이격되는 한쌍의 제1, 3 수평프레임(1,2)과, 상기 각 제1,3 수평프레임(1,2)의 상부 및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장홈(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긱 각 장홈(4)은 구축된 각 천정보드(400)의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것으로, 천정체 구조물을 구축한 뒤 최종적으로 고무무패킹(5)을 삽입하여 미관을 매끄럽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상기 고무패킹(5)은 미관과 더불어 외부충격을 흡수하고, 구조물의 안정적인 천정체 구조를 유지하게 하는 기능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고무패킹(5)은 수입에 의존하여 단가가 비쌀뿐 만 아니라 천정체 구조를 구축하는데 있어, 설치하기가 매우 까다로왔다.
특히,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제 1 수평프레임(1)의 하부 장홈(4)으로는 고무패킹(5)을 삽입하기가 쉽지만,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는 제 3 수평프레임(2)의 상부 장홈(4)으로는 사람이 진입하지 못하기 대문에 고무패킹(5)을 삽입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이렇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는 제 3 수평프레임(2)의 상부 장홈(4)으로는 고무패킹(5)을 삽입하지 않고 설치하기가 쉬운 별도의 또 다른 마감재나 보드를 덧대어 사용해 왔다.
따라서 설치하기가 쉬워 시공이 편리하고, 별도의 마감재가 필요치 않으며,이에 따라 유지보수가 편리한 크로스-바의 구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제 1목적은, 천정보드의 연결 구조적 강성에 유리하고, 시공이 간편하고, 유지보수가 편리한 구조의 천정구조용 크로스-바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 2목적은, 메인-바에 구축된 천정보드의 상부면까지 크로스-바를 돌출시킴으로써, 천정마감재로써의 기능을 겸하는 천정구조용 크로스-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 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천정보드 사이를 연결하는 고정바를 형성함에 있어서, 천정보드의 하부 설치 틈새를 실링하는 고무패킹 고정수단을 가지고, 인접 설치되는 천정보드 각각에 형성된 끼움홈 하저면에 면접되는 제 1 수평프레임;
상기 제 1 수평프레임과 평행하게 제 1 수직프레임으로 연결설치되어 인접 설치되는 천정보드 각각에 형성된 끼움홈 상저면에 면접되는 제 2 수평프레임;
상기 제 2 수평프레임과 평행하게 제 2 수직프레임으로 연결설치되어 인접 설치되는 천정보드 각각의 상부 가장자리를 커버하여 설치 틈새를 차단하는 제 3수평프레임으로 일체 형성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에서 제 1 수직프레임은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프레임 사이를 연결 일체화 하는 수직하게 연결된 적어도 2 이상의 프레임으로 일체화 된 것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고무패킹 고정수단은 제 1 수평프레임의 중앙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 저부 양측으로 걸림턱을 구비하여 그 내부로 패킹 삽입홈이 형성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도 1a는 종래의 크로스-바를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도 1에 따른 종래의 크로스-바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크로스-바를 도시한 사시도,
도 2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의 크로스-바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크로스-바가 천정보드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크로스-바가 메인바와 함께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따른 부호의 설명 >
100: 크로스-바 110: 제 1 수평프레임
111: 걸림턱 112: 삽입홈
120: 제 1 수직프레임 130: 제 2 수평프레임
140: 제 2 수직프레임 150: 제 3 수평프레임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천정구조용 크로스-바에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크로스-바를 도시한 실시 예들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메인-바(200)에 구축된 천정보드(400)의 고정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인접한 상기 각 천정보드(400)의 사이에 개재되는 천정구조용 크로스-바(100)에 관한 것이다.
상기 크로스-바(100)는 알루미늄합금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구조는 크게 4부분으로 구성된다. 이는 수평선상으로 상호 대향되게 연장 형성되는 제 1 수평프레임(110)과, 상기 제 1 수평프레임(110)의 하부 중앙에 형성되는 고무패킹 고정수단과, 상기 제 1 수평프레임(110)과 동일형상으로 상기 제 1 수평프레임(110)에 대해 상향 이격되어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 2 수평프레임(130)과, 상기 제 2 수평프레임(130)에 대해 상향 이격되어 수평하게 연결되는 제 3 수평프레임(15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수평프레임(130)은 제 1 수평프레임(110)의 상부 중앙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 1수직프레임(120)을 통해 연결되어 제 1 수평프레임(110)에 대해 상향 이격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제 3 수평프레임(150)은 상기 제 2 수평프레임(130)의 중앙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 2 수직프레임(140)을 통해 수평 연결되어 구성되는데, 이 때 상기 제 2 수직프레임(140)은 상기 제 3 수평프레임(150)이 구축된 천정보드(400)의 상부면까지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수직프레임(120) 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게 연장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결국, 상기 제1,2 수평프레임(110, 130)을 통해 인접한 상기 각 천정보드(400)를 상호 지지하여 고정하고, 제 3 수평프레임(150)을 통해 인접한 천정보드(400)의 상부면 사이를 차단 커버함으로써, 시공 및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천정마감재로써의 기능을 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고무패킹 고정수단은 제 1 수평프레임(110)의 중앙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 저부 양측으로 걸림턱(111)을 구비하여 그 내부로 패킹 삽입홈(112)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삽입홈(112)은 천정보드(400)의 미관을 매끄럽게 하기 위해 개재되는 고무패킹(111a)을 삽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고무패킹(111a)의 이탈과 삽입이 편리하도록 원형의 형상을 취하고 있고, 이는 걸림턱(111)에 의해 쉽게 탈락하지 못하도록 작용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크로스-바가 천정보드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크로스-바가 메인-바와 함께 천정보드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크로스-바(100)는 천정에 고정된 클립(300)에 클림핑된 메인-바(200)를 통해 다수의 천정보드(400)를 삽입하여 연속 체결하고 전/후로 인접한 상기 각 천정보드(400)의 사이로 끼움결합되어 개재된다.
먼저 본 고안의 크로스-바(100)를 설명하기에 앞서, 천정보드의 가장자리에는 결합용 빔(410)은 일정규격의 천정보드(400)가 동일 평면상에 연속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천정보드(400)의 각 측면 4개소에 대응 부설된다.
이러한 상기 결합용 빔 (410)은 중공형태를 갖는 알루미늄합금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축선방향을 따라 중앙에 끼움홈(411)이 형성된 구조이다.
본 고안의 크로스-바(100)는 이러한 구조의 상기 각 천정보드(400)의 끼움홈(411)에 삽입되는데, 여기서 상기 크로스-바(100)의 제 1, 2 수평프레임(110, 130)은 상기 끼움홈(411)의 상하저면에 면접되게 삽입되어 인접한 2개의 천정보드(400)를 지지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의 설명은 끼움홈(411)이 하나일 때의 예에 따른 실시 예 들이나, 상기 끼움홈이 1개 이상일 경우에는 그 끼움홈의 위치에 맞추어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1 및 제 2 수평프레임(110, 130)을 형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3프레임(150)은 상기 각 천정보드(400)의 인접부위 즉, 인접한 상기 각 천정보드(400)의 사이를 차단할 수 있도록 제 2 수직프레임(140)의 상부에 수평 연결된다.
아울러 상기 제 1 수평프레임(110)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고정수단은 상기 각 결합용 빔(410)의 안측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삽입홈(112)에 고무패킹(111a)을 삽입하여 구축된 상기 각 천정보드(400)의 하부면 사이를 밀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크로스-바(100)는 상기 제 1, 2 수평프레임(110, 130)이 상기 각 결합용 빔 (410)의 사이에 안정적으로 삽입됨으로써 지지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 3프레임(150)은 상기 각 천정보드(400)의 상부면 사이를 차단할 수 있어 안정적인 천정체 구조를 유지하고, 천정 마감재로써의 기능을 겸하며 그 시공이 편리한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천정구조용 크로스-바의 설치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건물의 천정에 메인-바(200)를 고정하는 클립(300)을 다수 설치한다.
설치된 클립(300)에 다수의 메인-바(200)를 고정한 후, 상기 메인-바(200)와 메인-바(200)의 사이로 천정보드(400)를 결합시킨다.
이 후 불연속 격자형태의 안정적인 천정체를 구성할 수 있도록 전/후로 인접한 상기 각 천정보드(400)의 사이로 크로스-바(100)를 끼움 결합한다.
이 때 본 고안에 따른 크로스-바(100)의 상기 제 3프레임(150)은 상기 각 천정보드(400)의 상부면 즉, 전/후로 인접한 상기 각 천정보드(400)의 상부면 사이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천정보드(400)의 상부면에 노출되게 끼움 결합한다.
마지막으로 천정보드(400)의 하부면 사이를 밀봉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수단의 삽입홈(112)에 고무패킹(111a)을 삽입하여 개재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천정구조용 크로스-바에 따르면, 메인-바에 구축된 천정보드의 상부면까지 크로스-바를 돌출 커버시킴으로써, 천정마감재로써의 기능을 겸하기 때문에 별도의 마감재가 필요치 않는 장점이 있다.
때문에 초기 설치비용이 매우 저렴하고, 설치 및 유지보수가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3)

  1. 천정보드 사이를 연결하는 고정바를 형성함에 있어서, 천정보드의 하부 설치 틈새를 실링하는 고무패킹 고정수단을 가지고, 인접 설치되는 천정보드(400) 각각에 형성된 끼움홈(411) 하저면에 면접되는 제 1 수평프레임(110);
    상기 제 1 수평프레임(110)과 평행하게 제 1 수직프레임(120)으로 연결설치되어 인접 설치되는 천정보드(400) 각각에 형성된 끼움홈(411) 상저면에 면접되는 제 2 수평프레임(130);
    상기 제 2 수평프레임(130)과 평행하게 제 2 수직프레임(140)으로 연결설치되어 인접 설치되는 천정보드(400) 각각의 상부 가장자리를 커버하여 설치 틈새를 차단하는 제 3수평프레임(150)으로 일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천정구조용 크로스-바.
  2. 제 1항에 있어서, 제 1 수직프레임(120)은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프레임(110,130) 사이를 연결 일체화 하는 수직하게 연결된 적어도 2 이상의 프레임으로 일체화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천정구조용 크로스-바.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고무패킹 고정수단은 제 1 수평프레임(110)의 중앙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 저부 양측으로 걸림턱(111)을 구비하여 그 내부로 패킹 삽입홈(1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천정구조용 크로스-바.
KR20-2004-0018440U 2004-06-29 2004-06-29 천정구조용 크로스-바. KR2003615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440U KR200361548Y1 (ko) 2004-06-29 2004-06-29 천정구조용 크로스-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440U KR200361548Y1 (ko) 2004-06-29 2004-06-29 천정구조용 크로스-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548Y1 true KR200361548Y1 (ko) 2004-09-14

Family

ID=49437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8440U KR200361548Y1 (ko) 2004-06-29 2004-06-29 천정구조용 크로스-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54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42582A (ko)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N105256924A (zh) 一种构件式幕墙
KR200361548Y1 (ko) 천정구조용 크로스-바.
KR101091953B1 (ko) 커튼월 구조
JP2023155491A (ja) コーナ部材
KR100437865B1 (ko) 층고가 높은 층의 커튼월 설치구조
JP3031266B2 (ja) フェンスの構造
US4724650A (en) Subceiling beam intersection
CN114135031A (zh) 竖向隐索的拉索玻璃幕墙系统及其施工方法
KR20090027002A (ko) 유리벽 시공용 클램프
JPS641363Y2 (ko)
CN212053408U (zh) 一种格栅吊顶用的龙骨连接结构
CN219973616U (zh) 一种凹凸玻璃幕墙与冲孔板组合幕墙系统
JP5886593B2 (ja) 格子パネルの取付構造
CN216810468U (zh) 竖向隐索的拉索玻璃幕墙系统
JPH1162030A (ja) 縦張外壁板の接合水切金具及びその連結構造
KR200280431Y1 (ko) 천정구조용 보드 결합장치
JP2614008B2 (ja) 家屋の構造
JPS624143Y2 (ko)
JP3142993U (ja) 手摺り用支柱
JP4323933B2 (ja) バルコニーの格子ユニットの取付け構造
JP3802671B2 (ja) 外壁パネル間の水切り構造とその施工方法
JPS5911578Y2 (ja) 嵌殺しパネル付窓
JPH0520803Y2 (ko)
JPH052829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