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746Y1 - Double battery system - Google Patents

Double battery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746Y1
KR200360746Y1 KR20-2004-0017461U KR20040017461U KR200360746Y1 KR 200360746 Y1 KR200360746 Y1 KR 200360746Y1 KR 20040017461 U KR20040017461 U KR 20040017461U KR 200360746 Y1 KR200360746 Y1 KR 2003607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emergency
main
main battery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746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철훈
Original Assignee
이철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훈 filed Critical 이철훈
Priority to KR20-2004-00174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074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7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746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45Multimode batteries, e.g. containing auxiliary cells or electrodes switchable in parallel or series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 밧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동을 포함하여 전기회로 파트(PART)에 소정의 전원을 공급하는 주밧데리 및 비상밧데리와; 상기 주밧데리 및 비상밧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전기회로 파트(PART)와 연계시키거나 혹은 소정의 발전기로부터의 전류가 상기 주밧데리 및 상기 비상밧데리로 어느 하나로 공급되도록 회로를 형성하는 다이오드회로와; 상기 전기회로 파트(PART) 및 상기 발전기에 대한 상기 주밧데리 및 비상밧데리의 회로를 선택적으로 구성하는 선택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battery device, including a main battery and an emergency battery for supplying a predetermined power to the electrical circuit part (PART), including starting; A diode circuit for linking at least one of the main battery and the emergency battery with the electrical circuit part (PART) or forming a circuit such that a current from a predetermined generator is supplied to either the main battery and the emergency battery; And a selection switch for selectively configuring the circuits of the main battery and the emergency battery for the electric circuit part (PART) and the generator.

이에 의하여, 주밧데리와는 별개의 비상밧데리를 구비하고 선택스위치를 통해 메인 및 비상밧데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main battery is provided with a separate emergency battery, and the main and emergency batteries can be selectively used through the selection switch.

Description

이중 밧데리 장치{Double battery system}Dual Battery System {Double battery system}

본 고안은, 이중 밧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밧데리와는 별개의 비상밧데리를 구비하고 선택스위치를 통해 메인 및 비상밧데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이중 밧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batter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al battery device provided with an emergency battery separate from the main battery and to selectively use the main and emergency batteries through the selection switch.

본 고안은 자동차, 선박, 기계 등에 사용되는 밧데리(battery) 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주(main)밧데리, 비상(emergency)밧데리, 선택스위치, 다이오드(diode)회로를 구비하여 운전자의 부주의로 주(main)밧데리가 방전되더라도 선택스위치를 통해 비상밧데리로 시동을 걸고 응급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circuit used in automobiles, ships, machinery, etc. More specifically, a main battery, an emergency battery, a selector switch, a diode circuit is provided for the driver's carelessness Even if the main battery is discharged, it is possible to start the emergency battery and take emergency measures through the selector switch.

통상적으로 자동차, 선박, 기계 등에는 엔진 가동이나 주변 부속장치로의 전원공급을 위한 수단으로 밧데리(Battery)가 사용된다. 자동차를 그 예로 든다면, 자동차는 제너레이터(Generator)에 의해 충전되는 밧데리 전원으로 기동장치, 점화장치, 점등장치, 기타 편의장치 등을 가동한다.In general, batteries are used in automobiles, ships, machinery, etc. as a means for powering the engine or supplying peripheral accessories. Taking a car as an example, the car uses a battery power source charged by a generator to operate a starter, an ignition device, a lighting device, and other convenient devices.

위에서 소개한 장치들의 대부분은 자동차의 시동을 끄는 순간 전원이 차단되기 때문에 작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점등장치는 조명용, 지시용, 신호용, 경고용 등 그 사용 용도가 다양하기 때문에 시동을 끄더라도 안전 및 편의성을 위해 밧데리로부터의 전원이 계속 공급되는 것이 보통이다.Most of the devices mentioned above do not work because the power is cut off when the car is turned off. However, since the lighting device has various uses such as lighting, indicating, signaling, and warning, it is common to continue to supply power from the battery for safety and convenience even when the ignition is turned off.

그러나 운전자의 부주의로 상기 점등장치들을 소등시키지 않았을 경우, 자동차에 마련된 밧데리로부터의 전원이 계속 소진되기 때문에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밧데리가 방전되기에 이른다. 이럴 경우, 임시적인 방편으로써 다른 차량의 밧데리를 점프선으로 연결하여 시동을 걸기도 하지만, 점프선이 갖춰져야 함은 물론이거니와 다른 차량으로부터의 도움을 얻어야 하는 불편함과 더불어 사용에의 전기 쇼크 등의 안전사고에의 어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다.However, when the lighting devices are not turned off inadvertently by the driver, the battery is discharged after a certain time since the power from the battery provided in the vehicle continues to be exhausted. In this case, as a temporary measure, the other vehicle's battery can be started with a jump line, but the jump line must be equipped, and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get help from other vehicles, and safety accidents such as electric shock to use. There is bound to be difficulty.

이에, 근자에 들어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대한민국특허청에 여러 가지 기술이 출원되고 있다. 예를 들어, 출원번호 1019940026758의 밧데리방전 경보회로, 출원번호 1019950014364의 밧데리방전 차단회로, 출원번호 101996073355의 밧데리 모듈화 장치, 출원번호 1019950065196의 보조 밧데리 장치 등이 그것이다.Accordingly, various technologies have been applied to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s a means for solving such problems in recent years. For example, the battery discharge alarm circuit of the application number 1019940026758, the battery discharge blocking circuit of the application number 1019950014364, the battery modularization device of the application number 101996073355,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of the application number 1019950065196, and the like.

그런데, 공개된 기술들 중에서 밧데리방전 경보 및 차단 회로의 경우에는 별도의 센서회로에 의해 자동으로 검출하여 경보 및 차단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운전자가 의도적으로 자동차 시동을 끄고 점등장치를 작동시키고자 한다면 오히려 불편할 수밖에 없다.However, among the disclosed technologies, the battery discharge alarm and shutdown circuit is a system that automatically detects and alarms and shuts off by a separate sensor circuit, so it would be rather inconvenient for the driver to intentionally turn off the car and operate the lighting device. There is no choice but to.

그리고 밧데리 모듈화 장치의 경우, 엔진룸에 장착하기에는 공간이 너무 협소할 뿐만 아니라 보조적 기능을 하는 밧데리 방전방지 시스템에 이 시스템을 구현하기에는 실제로 비현실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보조 밧데리 장치의 경우에는 수납하기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재충전할 수 있는 회로가 마련되지 않아 사용 후 폐기해야만 하는 단점을 보인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battery modular device, the space is too small to be mounted in the engine room,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not practical to implement the system in the battery discharge prevention system which functions as an auxiliary function. The auxiliary battery device is not only cumbersome to store, but also has a drawback that must be discarded after use because no rechargeable circuit is provided.

본 고안의 목적은, 주밧데리와는 별개의 비상밧데리를 구비하고 선택스위치를 통해 메인 및 비상밧데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이중 밧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ual battery device having an emergency battery separate from the main battery and allowing the main and emergency batteries to be selectively used through the selection switch.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중 밧데리 장치가 채용된 자동차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employing a dual batter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도 1의 자동차에 적용된 이중 밧데리 장치의 전기회로도로써 선택스위치가 "정상(normal)" 상태인 조건에 대한 도면,FIG. 2A is an electrical circuit diagram of a dual battery device applied to the motor vehicle of FIG. 1 and is a view of a condition in which a selection switch is in a "normal" state; FIG.

도 2b는 도 2a의 전기회로도에서 선택스위치가 "비상(emergency)" 상태로 선택된 상태에 대한 도면,FIG. 2B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lect switch is selected as an “emergency” state in the electrical circuit diagram of FIG. 2A; FIG.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중 밧데리 장치의 전기회로도,3 is an electrical circuit diagram of a dual batter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중 밧데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4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dual batter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이중 밧데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5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dual battery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이중 밧데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6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dual battery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주밧데리 11 : 비상밧데리10: main battery 11: emergency battery

12 : 다이오드회로 13 : 선택스위치12: diode circuit 13: selection switch

14 : 대쉬보드 스위치박스14 dashboard switch box

상기 목적은, 시동을 포함하여 전기회로 파트(PART)에 소정의 전원을 공급하는 주밧데리 및 비상밧데리와; 상기 주밧데리 및 비상밧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전기회로 파트(PART)와 연계시키거나 혹은 소정의 발전기로부터의 전류가 상기 주밧데리 및 상기 비상밧데리로 어느 하나로 공급되도록 회로를 형성하는 다이오드회로와; 상기 전기회로 파트(PART) 및 상기 발전기에 대한 상기 주밧데리 및 비상밧데리의 회로를 선택적으로 구성하는 선택스위치를 포함하는, 이중 밧데리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ncludes: a main battery and an emergency battery for supplying predetermined power to an electric circuit part (PART) including starting; A diode circuit for linking at least one of the main battery and the emergency battery with the electrical circuit part (PART) or forming a circuit such that a current from a predetermined generator is supplied to either the main battery and the emergency battery; A dual battery device is provided, comprising a selector switch for selectively configuring the electrical circuit part (PART) and the circuits of the main battery and the emergency battery for the generator.

여기서, 상기 주밧데리와 상기 비상밧데리는 단일의 밧데리박스에 일체로 수용될 수 있다.Here, the main battery and the emergency battery may be integrally accommodated in a single battery box.

상기 주밧데리와 상기 비상밧데리 중 어느 하나는 단일의 밧데리박스에 일체로 수용되되, 다른 하나는 상기 밧데리박스에 대해 전기적으로 착탈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Any one of the main battery and the emergency battery may be integrally accommodated in a single battery box, and the other may be provided to be electrically detachable from the battery box.

상기 선택스위치는 상기 밧데리박스에 마련되거나 혹은 소정의 대쉬보드 스위치박스에 개별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The selection switch may be provided in the battery box or separately mounted in a predetermined dashboard switch box.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the subject innovation.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중 밧데리 장치가 채용된 자동차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의 자동차에 적용된 이중 밧데리 장치의 전기회로도로써 선택스위치가 "정상(normal)" 상태인 조건에 대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employing a dual batter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n electrical circuit diagram of a dual battery device applied to the vehicle of Figure 1 is a "normal" state of the selector switch It is a figure about a condition.

이 도면을 참조하면, 자동차(1)에는 주밧데리(10)와, 주밧데리(10)와는 별개의 비상밧데리(11)와, 전기를 발전하는 발전기(20)와, 발전기(20)로부터의 전류를 안정화시키는 레귤레이터(30)와, 레귤레이터(30)로부터의 안정화된 전류를 주밧데리(10) 및 비상밧데리(11)로 공급하는 다이오드회로(12)와, 다이오드회로(12)를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선택스위치(1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vehicle 1 has a main battery 10, an emergency battery 11 separate from the main battery 10, a generator 20 for generating electricity, and a current from the generator 20. The regulator 30 for stabilizing the voltage, the diode circuit 12 for supplying the stabilized current from the regulator 30 to the main battery 10 and the emergency battery 11, and selectively operates the diode circuit 12 And a selector switch 13.

도 2a의 회로를 참조할 때, 발전기(20) 및 레귤레이터(30)로부터의 회로는 "정상(normal)" 상태의 선택스위치(13)를 경유하여 주밧데리(10)로 향하고 있고, 그 회로 중에는 전기회로 파트(PART)와 연결된 회로가 존재한다.Referring to the circuit of FIG. 2A, the circuit from generator 20 and regulator 30 is directed to main battery 10 via selector switch 13 in a “normal” state, of which the circuit There is a circuit connected to the electrical circuit part (PART).

따라서 도 2a의 경우, 주밧데리(10)는 발전기(20) 및 레귤레이터(30)로부터의 충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1) 시동을 비롯한 각종 전기회로 파트(PART)로의 전원공급과 같은 방전 역시 가능하다.Accordingly, in the case of FIG. 2A, the main battery 10 may not only charge from the generator 20 and the regulator 30, but also discharge such as power supply to various electric circuit parts PART including starting of the vehicle 1. Do.

그리고 발전기(20) 및 레귤레이터(30)로부터 주밧데리(10)로 향하는 라인에 다이오드회로(12)가 갖춰지고 이 다이오드회로(12)가 비상밧데리(11)의 플러스(+) 단자에 연결되어 있기에 비상밧데리(11) 역시 발전기(20) 및 레귤레이터(30)로부터의 충전이 가능하다. 그러나 비상밧데리(11)를 통한 각종 전기회로 파트(PART)로의 전원공급은 불가능하다.Since the diode circuit 12 is provided on the line from the generator 20 and the regulator 30 to the main battery 10, the diode circuit 12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emergency battery 11. The emergency battery 11 may also be charged from the generator 20 and the regulator 30. However, power supply to various electric circuit parts PART through the emergency battery 11 is impossible.

이러한 회로에서, 운전자가 시동을 걸면 주밧데리(10)로부터 공급된 시동전류가 도시 않은 스타트모터를 구동시켜 엔진점화를 시키고, 이어 발전기(20)로부터 생성된 전류는 레귤레이터(30)를 거쳐 안정화된 후에 자동차(1)의 각 각종 전기회로 파트(PART)로 공급됨과 동시에 주밧데리(10)에 충전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물론, 발전기(20)로부터 생성된 전류는 레귤레이터(30)를 거쳐 안정화된 후에 비상밧데리(11)로 향하기도 한다.In this circuit, when the driver starts, the starting current supplied from the main battery 10 drives the start motor (not shown) to ignite the engine, and then the current generated from the generator 20 is stabilized via the regulator 30. Later, each of the various electric circuit parts PART of the vehicle 1 is supplied, and at the same time, a charging current is supplied to the main battery 10. Of course, the current generated from the generator 20 may be directed to the emergency battery 11 after it is stabilized via the regulator 30.

만일, 도 2a와 같이 선택스위치가(13)가 "정상(normal)" 상태로 선택된 주밧데리(10)가 운전자의 부주의로 완전방전 상태가 된다면, 더 이상 주밧데리(10)로부터의 시동전류라든지 각종 전기회로 파트(PART)로의 전원공급을 하지 못한다.If the main battery 10 in which the selection switch 13 is selected to be "normal" as shown in FIG. 2A is inadvertently completely discharged by the driver, the starting current from the main battery 10 is no longer used. It is not possible to supply power to various electrical circuit parts.

따라서 이 같은 상태라면 선택스위치(13)를 작동하여 "비상(emergency)" 상태로 선택을 하여 비상밧데리(11)가 주밧데리(10)의 역할을 담당하도록 하면 된다.Therefore, in this state, the selector switch 13 may be operated to select an "emergency" state so that the emergency battery 11 plays the role of the main battery 10.

도 2b는 도 2a의 전기회로도에서 선택스위치가 "비상(emergency)" 상태로 선택된 상태에 대한 도면이다. 즉, 도 2b는 도 2a에서 운전자의 부주위로 주밧데리(10)가 완전히 방전된 비상상태를 나타낸다.FIG. 2B is a view of a state in which a selection switch is selected as an “emergency” state in the electrical circuit diagram of FIG. 2A. That is, FIG. 2B illustrates an emergency state in which the main battery 10 is completely discharged around the driver in FIG. 2A.

도 2b의 회로를 참조할 때, 주밧데리(10)는 충전 및 방전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고 비상밧데리(11)만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자동차(1) 시동을 비롯한 각종 전기회로 파트(PART)로의 전원공급은 이제 비상밧데리(11)가 담당한다.Referring to the circuit of FIG. 2B, the main battery 10 is in a state in which charging and discharging are impossible, and only the emergency battery 11 is in a state in which charging and discharging is possible. Therefore, the emergency battery 11 is now responsible for supplying power to various electric circuit parts PART including starting of the vehicle 1.

즉, 시동키를 동작하면, 비상밧데리(11)로부터의 초기 전원이 공급되어 도시 않은 스타트모터를 구동시켜 엔진점화를 시키다. 이어 발전기(20)로부터 생성된 전류는 레귤레이터(30)를 거쳐 안정화된 다음, 자동차(1)의 각종 전기회로 파트(PART)로 공급됨과 동시에 비상밧데리(11)에 충전전류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ignition key is operated, the initial power from the emergency battery 11 is supplied to drive the start motor (not shown) to ignite the engine. Subsequently, the current generated from the generator 20 is stabilized through the regulator 30, and then is supplied to various electric circuit parts PART of the vehicle 1, and at the same time, the charging current is supplied to the emergency battery 11.

이 때, 선택스위치(13)를 도 2b에 도시된 "비상(emergency)" 에서 다시 도 2a에 도시된 "정상(normal)"으로 선택하면, 비상밧데리(11) 뿐만 아니라 주밧데리(10)도 충전될 수 있어 차후, 자동차(1) 운행에 있어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if the selector switch 13 is selected from the "emergency" shown in FIG. 2B again as the "normal" shown in FIG. 2A, not only the emergency battery 11 but also the main battery 10 are also shown. It can be charged so that it can later perform its function in the driving of the automobile 1.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중 밧데리 장치의 전기회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전술한 제1실시예와는 달리, 다이오드회로(12)를 비상밧데리(11) 뿐만 아니라 주밧데리(10) 단자에도 설치하고 있으며, 선택스위치(13)는 2중으로 변경하고 있다.3 is an electrical circuit diagram of a dual batter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is figure, unlike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diode circuit 12 is provided not only in the emergency battery 11 but also in the main battery 10 terminal, and the selection switch 13 is changed to double. have.

전술한 도 2b와 같이 선택스위치(13)가 "비상(emergency)" 조건일 경우, 주밧데리(10)는 충전될 수 없었으나, 도 3과 같은 조건이라면, 주밧데리(10)가 충전될 수 있다.When the selection switch 13 is in an “emergency” condition as shown in FIG. 2B, the main battery 10 could not be charged. However, if the selection switch 13 is in the same condition as in FIG. 3, the main battery 10 may be charged. have.

결국, 도 3의 회로는, 주밧데리(10)와 비상밧데리(11)가 병렬구조의 독립적이면서도 상호 보완작용을 하고 있기에 사용상 더욱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As a result, the circuit of FIG. 3 has the advantage that the main battery 10 and the emergency battery 11 are more convenient in use because they are independent and complementary in parallel.

도 4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중 밧데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할 때, 주밧데리(10)와 비상밧데리(11)는 앞서 기술한 실시예들과는 달리, 하나의 밧데리박스(15)에 함께 수용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4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dual batter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is figure, it can be seen that the main battery 10 and the emergency battery 11 are accommodated together in one battery box 15,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물론, 도 4의 실시예의 경우에도 앞서 기술한 선택스위치(13)와 다이오드회로(12)는 구비되어 있는데, 선택스위치(13)와 다이오드회로(12) 모두는 밧데리박스(15)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Of course, also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of Figure 4 is provided with the above-described selection switch 13 and the diode circuit 12, both the selection switch 13 and the diode circuit 12 is formed integrally in the battery box (15) It is.

제3실시예인 도 4와 같을 경우, 자동차(1) 내부 회로와는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하나의 밧데리박스(15)에서 전적으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차종에 관계없이 적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As shown in FIG. 4, which is the third embodiment, since the battery 1 can be processed entirely in one battery box independently of the internal circuit of the vehicle 1,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the vehicle type.

도 5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이중 밧데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할 때,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이중 밧데리 장치에서 주밧데리(10)는 소정의 제1밧데리박스(15)에 수용되어 있다.5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dual battery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is drawing, in the dual battery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attery 10 is housed in a predetermined first battery box 15.

다만, 비상밧데리(11)는 주밧데리(10)가 존재하는 제1밧데리박스(15)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주밧데리(10)의 수명이 다하여 교체를 할 경우, 주밧데리(10) 부분만을 교체하고 비상밧데리(11) 부분은 재활용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물론, 비상밧데리(11) 부분이 수명이 다 한 경우에는 비상밧데리(11)만을 개별적으로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경제적인 이점이 있음에 틀림이 없다.However, the emergency battery 11 is detachable to the first battery box 15 in which the main battery 10 exists so that the main battery 10 when the life of the main battery 10 is replaced, only the main battery 10 part is replaced. Replace and emergency battery (11) part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recycled. Of course, if the emergency battery (11) part is at the end of its life, there is no doubt that there is an economic advantage because only the emergency battery (11) need to be replaced individually.

제1밧데리박스(15)에 비상밧데리(11)가 마련된 제2밧데리박스(16)를 착탈시키는 구조는 통상의 후크구조를 비롯하여, 집게구조 등을 모두 적용할 수 있다.즉, 도 5에서 볼 때, 참조부호 15a 및 16b로 도시된 부분이 제1 및 제2밧데리박스(15,16)를 상호 착탈시키는 부분이다.The structure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second battery box 16 provided with the emergency battery 11 in the first battery box 15 may be applied to both a conventional hook structure and a tong structure. At this time, the portions shown by reference numerals 15a and 16b are portions that detach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boxes 15 and 16 from each other.

도 6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이중 밧데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앞서 기술한 실시예들 중에서, 특히 제3 및 제4실시예를 보면, 선택스위치(13)와 다이오드회로(12) 모두가 밧데리박스(15, 15a)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에 단품으로써 모든 차종에 적용할 수 있었다.6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dual battery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particular, in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since both the selection switch 13 and the diode circuit 12 are integrally formed in the battery boxes 15 and 15a, all of the vehicle models are sold separately. Could apply.

그러나 본 고안의 제5실시예인 도 6을 참조할 때, 자동차(1)의 대쉬보드 스위치박스(14)에는 선택스위치(13)를 갖추고, 주밧데리(10)와 비상밧데리(11)는 기존처럼 본넷의 내부에 장착하며, 이들 사이에 선택스위치(13)에 의해 조율되는 다이오드회로(12)를 구성하고 있다. 도 6에서 주밧데리(10)란 기존의 일반 밧데리를 가리킨다.However, referring to FIG. 6,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shboard switch box 14 of the vehicle 1 is provided with a selector switch 13, and the main battery 10 and the emergency battery 11 are as in the past. The diode circuit 12 is mounted inside the bonnet and is tuned by the selection switch 13 therebetween. In Figure 6, the main battery 10 refers to a conventional general battery.

도 6의 실시예에 의하면, 운전자의 실수나 혹은 기타의 원인으로 주밧데리(10)가 완전 방전되었을 때, 자동차(1)에서 하차하여 본넷을 열고 밧데리박스(15,15a)에 존재하던 선택스위치(13, 도 4 및 도 5 참조) 조작을 할 필요 없이 운전석에서 대쉬보드 스위치박스(14)의 선택스위치(13)를 조작하면 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6, when the main battery 10 is completely discharged due to a driver's mistake or other reasons, the selector switch which was present in the battery boxes 15 and 15a when the main battery 10 was completely discharged, got off the vehicle 1 and opened the bonnet. (See FIG. 13, FIG. 4 and FIG. 5) The selection switch 13 of the dashboard switch box 14 may be operated from the driver's seat without any operation.

즉, 대쉬보드 스위치박스(14)에 위치한 선택스위치(13)를 조작하여 다이오드회로(12)에 의해 주밧데리(10) 및 비상밧데리(11) 중 원하는 어떠한 것이 전기회로 파트(PART)로의 전원공급이 되도록 하면서도 발전기(20)로부터의 충전이 가능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매우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게 된다.That is, any of the main battery 10 and the emergency battery 11 are supplied to the electric circuit part PART by the diode circuit 12 by operating the selector switch 13 located in the dashboard switch box 14.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charge from the generator 20, which is very convenient in use.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전술한 각 실시예들에 대해서는 자동차(1)에 마련된 밧데리를 그 예로 하고 있으나, 자동차(1) 외에도 선박, 기계 등에 사용되는 밧데리에도 본 장치의 사상을 그대로 전용할 수 있음에 틀림이 없다.For each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battery provided in the vehicle 1 is taken as an example, but the idea of the present device may be used as it is in the battery used in ships, machines, etc. in addition to the vehicle 1.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주밧데리와는 별개의 비상밧데리를 구비하고 선택스위치를 통해 메인 및 비상밧데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주의로 주밧데리가 완전방전 되더라도 선택스위치를 통해 비상밧데리로 시동을 걸고 응급조치를 취할 수 있어 사용상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n emergency battery separate from the main battery and allowing the main and emergency batteries to be selectively used through the selection switch, even if the main battery is inadvertently discharged, the emergency battery through the selection switch It is very convenient in use because it can be started and emergency measures can be started.

Claims (4)

시동을 포함하여 전기회로 파트(PART)에 소정의 전원을 공급하는 주밧데리 및 비상밧데리와;A main battery and an emergency battery for supplying predetermined power to the electric circuit part PART including starting; 상기 주밧데리 및 비상밧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전기회로 파트(PART)와 연계시키거나 혹은 소정의 발전기로부터의 전류가 상기 주밧데리 및 상기 비상밧데리로 어느 하나로 공급되도록 회로를 형성하는 다이오드회로와;A diode circuit for linking at least one of the main battery and the emergency battery with the electrical circuit part (PART) or forming a circuit such that a current from a predetermined generator is supplied to either the main battery and the emergency battery; 상기 전기회로 파트(PART) 및 상기 발전기에 대한 상기 주밧데리 및 비상밧데리의 회로를 선택적으로 구성하는 선택스위치를 포함하는, 이중 밧데리 장치.And a selection switch for selectively configuring circuits of the main battery and the emergency battery for the electrical circuit part (PART) and the generato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주밧데리와 상기 비상밧데리는 단일의 밧데리박스에 일체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밧데리 장치.Dual batte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attery and the emergency battery is integrally accommodated in a single battery box.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주밧데리와 상기 비상밧데리 중 어느 하나는 단일의 밧데리박스에 일체로 수용되되, 다른 하나는 상기 밧데리박스에 대해 전기적으로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밧데리 장치.Any one of the main battery and the emergency battery is integrally housed in a single battery box, the oth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ttery box is provided electrically detachable, dual battery devic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선택스위치는 상기 밧데리박스에 마련되거나 혹은 소정의 대쉬보드 스위치박스에 개별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밧데리 장치.Wherein the selection switch is provided in the battery box or mounted in a predetermined dashboard switch box, dual battery device.
KR20-2004-0017461U 2004-06-21 2004-06-21 Double battery system KR20036074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461U KR200360746Y1 (en) 2004-06-21 2004-06-21 Double batter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461U KR200360746Y1 (en) 2004-06-21 2004-06-21 Double battery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0746Y1 true KR200360746Y1 (en) 2004-09-01

Family

ID=49436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7461U KR200360746Y1 (en) 2004-06-21 2004-06-21 Double battery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0746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6590B2 (en) Vehicle power supply device
KR200360746Y1 (en) Double battery system
JP7115302B2 (en) Backup power supply for autonomous vehicles
CN112672913A (en) Apparatus for powering and controlling electric vehicle
KR0134318Y1 (en) Warning device of alternator trouble for automobiles
CN100482498C (en) Emergency electric power supply unit
KR100536334B1 (en) Battery charginh system displaying charging state of vhhicles
KR100285450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discharge of battery in vehicle
KR100233295B1 (en) Battery charging monitoring device for a vehicle
JP4325635B2 (en) Vehicle power supply
JP5832249B2 (en) Vehicle charger
KR0178576B1 (en) Battery for a car
WO2024071145A1 (en) Vehicle power control system
KR200272116Y1 (en) Power supply of an automobile
KR0148540B1 (en) Without-notice-discharge protection apparatus of motor battery
KR0133235B1 (en) Over charge prevention device of an automobile
KR20050023481A (en) Method for self-diagnosis of re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for automobile
KR200178370Y1 (en) Apparatus for power supply of a vehicle
KR19990024954U (en) Starting power supply of the vehicle
KR19980048175U (en) Automotive auxiliary battery
JP3580835B2 (en) External indicator lighting system for vehicles
KR19990023752U (en) Starting system of car using charger
KR20230037630A (en) engine start control
KR200154040Y1 (en) Emergency system of diesel car
JP2005248827A (en) Power supply control system for motorcy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