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8633Y1 - 스포이드 장착용 액상 저장용기 - Google Patents

스포이드 장착용 액상 저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8633Y1
KR200358633Y1 KR20-2004-0014989U KR20040014989U KR200358633Y1 KR 200358633 Y1 KR200358633 Y1 KR 200358633Y1 KR 20040014989 U KR20040014989 U KR 20040014989U KR 200358633 Y1 KR200358633 Y1 KR 2003586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dropper
liquid storage
stopper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49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롯데삼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롯데삼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롯데삼강
Priority to KR20-2004-00149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86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86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86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combined with an open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포이드 장착용 액상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음식을 조리할 경우, 간장, 식초, 참기름 등과 같은 액상 형태의 내용물을 음식에 첨가시 기존의 경우와 같이, 사람의 감각이나 별도의 용기를 이용하여 첨가하게 되면 내용물 첨가량의 정도를 정확히 알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저장용기의 마개에 스포이드를 설치하고, 이를 이용하여 첨가량의 정도를 정확히 구현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용기없이 계량이 가능하며, 특히 스포이드의 하단을 원형의 구(球)로 형성하여 한 방울씩 첨가하더라도 일정한 방울이 형성되도록 하는 스포이드 장착용 액상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포이드 장착용 액상 저장용기{Vessel for mounting spoid}
본 고안은 스포이드 장착용 액상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용기의 마개에 스포이드를 설치하고, 이를 이용하여 첨가량의 정도를 정확히 구현함은 물론, 별도의 용기없이 계량이 가능하며, 특히 스포이드의 하단을 원형의 구(球)로 형성하여 한 방울씩 첨가하더라도 일정한 방울이 형성되도록 하는 스포이드 장착용 액상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을 조리할 경우, 간장, 식초, 참기름 등과 같은 액상 형태의 내용물을 음식에 첨가시 사람의 감각이나 별도의 용기를 이용하여 첨가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할 경우, 음식에 첨가하는 양을 대략적으로만 알 뿐 정확한 용량의 계측이 어려우며, 일정한 용량을 갖는 계량 스푼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는 실제 그 용량에 맞게 따르기 쉽지 않아 지금까지의 액상 형태의 내용물은 대략적인 용량을 첨가할 뿐 정량의 첨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저장용기의 마개에 스포이드를 설치하고, 이를 이용하여 첨가량의 정도를 정확히 구현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용기없이 계량이 가능하며, 특히 스포이드의 하단을원형의 구(球)로 형성하여 한 방울씩 첨가하더라도 일정한 방울이 형성되도록 하는 스포이드 장착용 액상 저장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포이드 장착용 액상 저장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포이드 장착용 액상 저장용기의 흡입관 하단의 원형부를 나타내는 구체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포이드 장착용 액상 저장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개 10a : 돌기부
11 : 고무구 12 : 흡입관
12a : 원형부 13 : 탈거용 밀봉체
14 : 상부 밀봉부재 14a : 연결부
14b : 하단부 15 : 하부 밀봉부재
15a : 연결부 15b : 돌출부
20 : 저장용기 21 : 목부
21a : 걸림턱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스포이드 장착용 액상 저장용기는, 저장용기(20)의 목부(21)에 삽입된 후,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어 잠겨지는 형태로서, 그 상단면 중앙에 저장된 액상의 내용물을 일정량 빨아 올릴 수 있도록 고무구(11)가 형성되고, 그 고무구(11)와 함께, 일체 연결되어 그 하단면 중앙을 통해 아랫 방향으로 흡입관(12)이 형성된 마개(1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개(10)에는 그 외주면 둘레에 세로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돌기부(10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관(12)에는 그 하단부에 구 형상의 원형부(12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마개(10)의 하단 안쪽면에 세로 방향으로 밀착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저장용기(20)의 목부(21) 외경의 걸림턱(21a)에 가로 방향의 걸림 형태로 밀봉되어, 상기 저장용기(20)의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잠겨져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상,하부 밀봉부재(14,15)로 이루어진 탈거용 밀봉체(13)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거용 밀봉체(13)는, 저장용기(20)의 목부(21)에 감겨져 있는 하부 밀봉부재(15)를 상기 상부 밀봉부재(14)와 연결부(14a,15a)를 통해 연결하되, 상기 하부 밀봉부재(15)의 상단면 중앙부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15b) 및 상기 상부 밀봉부재(14)의 하단부(14b)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14a,15a)를 통해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포이드 장착용 액상 저장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포이드 장착용 액상 저장용기의 흡입관 하단의 원형부를 나타내는 구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포이드 장착용 액상 저장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액상 저장용기의 마개(10)에 스포이드를 설치하고, 이를 이용하여 첨가량의 정도를 정확히 구현함은 물론, 별도의 용기없이 계량이 가능하며, 특히 스포이드의 하단을 원형의 구(球)로 형성하여 한 방울씩 첨가하더라도 일정한 방울이 형성되도록 하는 스포이드 장착용 액상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10은 마개를 나타낸다.
상기 마개(10)는 저장용기(20)의 목부(21)에 삽입된 후,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어 잠겨지는 형태로서, 그 마개(10)의 외주면 둘레에 세로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돌기부(10a)가 형성되어 그 마개(10)를 개폐시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있고, 상기 마개(10)의 상단면 중앙에 저장용기(20) 내에 저장된 액상의 내용물을 일정량 빨아 올릴 수 있도록 고무구(1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고무구(11)와 함께, 일체 연결되어 상기 마개(10)의 하단면 중앙을 통해 아랫 방향으로 형성된 흡입관(1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흡입관(12)의 하단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球)형상의 원형부(12a)로 형성하여 한 방울씩 첨가하더라도 일정한 방울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그 흡입관(12) 외주면에 정량의 눈금을 표시하여 그 눈금에 맞추어 일정한 양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마개(10)의 하단 안쪽면에 세로 방향으로 밀착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저장용기(20)의 목부(21) 외경의 걸림턱(21a)에 가로 방향의 걸림 형태로 밀봉되어 초기 개방전에 상기 저장용기(20)의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잠겨져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상,하부 밀봉부재(14,15)로 이루어진 탈거용 밀봉체(13)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저장용기(20)가 사용된 구(舊)제품인지, 사용되지 않은 신(新)제품인지를 판별하게 하여주는 구성으로서, 소비자가 최초 제품을 사용한다는 신뢰를 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탈거용 밀봉체(13)는, 저장용기(20)의 목부(21)에 감겨져 있는 링 형상의 하부 밀봉부재(15)가 상기 상부 밀봉부재(14)와 연결부(14a,15a)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바, 그 상단면의 중앙부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15b) 및 상부밀봉부재(14)의 하단부(14b)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14a,15a)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탈거용 밀봉체(13)의 연결부(14a,15a)는 액상 저장용기의 마개(10)를 최초 개방시, 작은 힘으로도 쉽게 절단되면서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스포이드 장착용 액상 저장용기에 대한 조작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10)에 별다른 외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마개(10)의 하단 안쪽면의 상부 밀봉부재(14)의 연결부(14a)와, 저장용기(20)의 목부(21) 외경에 형성된 하부 밀봉부재(15)의 연결부(15a)가 서로 일체 연결되어 마개(10) 및 저장용기(20)는 서로 밀폐되어 있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10)를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켜 저장용기(20)에서 탈거시킬 경우, 상기 상부 밀봉부재(14) 및 하부 밀봉부재(15)의 연결부(14a,15a)가 서로 분리되어 용이하게 저장용기(20)에서 마개(10)를 탈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탈거용 밀봉체(13)는 마개(10)를 저장용기(20)에서 최초 개방시, 소비자가 최초 제품을 사용한다는 신뢰를 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용기(20)에서 마개(10)를 탈거한 상태에서, 음식을 조리시 간장, 식초, 참기름 등과 같은 액상 형태의 내용물이 담겨진 상기 저장용기(20)를 통해 첨가량의 정도를 정확히 구현함은 물론, 별도의 용기없이 계량이 가능토록 하여 스포이드를 통해 음식에 정량을 첨가하게 되는 바, 상기 마개(10) 상단면에 형성된 고무구(11)를 압착하여 흡입관(12)에 내용물을 일정량 빨아 올린 후, 음식에 떨어 뜨려 첨가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흡입관(12) 외주면에 형성된 눈금에 맞추어 일정한 양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흡입관(12)의 하단에 형성된 구(球)형상의 원형부를 통해 한 방울씩 계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밀폐구조로 되어 마개(10)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고, 액상 저장용기의 마개(10)에 형성된 스포이드를 이용하여 첨가 용량의 정도를 정확히 구현함은 물론, 별도의 용기없이 계량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고안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포이드 장착용 액상 저장용기에 의하면, 액상 형태의 내용물을 음식에 첨가시 그 첨가 용량의 정도를 정확히 구현함은 물론, 별도의 용기없이 계량이 가능하며, 특히 스포이드의 하단을 원형의 구(球)로 형성하여 한 방울씩 첨가하더라도 일정한 방울이 형성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저장용기(20)의 목부(21)에 삽입된 후,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어 잠겨지는 형태로서, 그 상단면 중앙에 저장된 액상의 내용물을 일정량 빨아 올릴 수 있도록 고무구(11)가 형성되고, 그 고무구(11)와 함께, 일체 연결되어 그 하단면 중앙을 통해 아랫 방향으로 흡입관(12)이 형성된 마개(1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 장착용 액상 저장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개(10)에는 그 외주면 둘레에 세로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돌기부(10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 장착용 액상 저장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12)에는 그 하단부에 구 형상의 원형부(12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 장착용 액상 저장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개(10)의 하단 안쪽면에 세로 방향으로 밀착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저장용기(20)의 목부(21) 외경의 걸림턱(21a)에 가로 방향의걸림 형태로 밀봉되어, 상기 저장용기(20)의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잠겨져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상,하부 밀봉부재(14,15)로 이루어진 탈거용 밀봉체(13)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 장착용 액상 저장용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탈거용 밀봉체(13)는, 저장용기(20)의 목부(21)에 감겨져 있는 하부 밀봉부재(15)를 상기 상부 밀봉부재(14)와 연결부(14a,15a)를 통해 연결하되, 상기 하부 밀봉부재(15)의 상단면 중앙부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15b) 및 상기 상부 밀봉부재(14)의 하단부(14b)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14a,15a)를 통해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 장착용 액상 저장용기.
KR20-2004-0014989U 2004-05-29 2004-05-29 스포이드 장착용 액상 저장용기 KR2003586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989U KR200358633Y1 (ko) 2004-05-29 2004-05-29 스포이드 장착용 액상 저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989U KR200358633Y1 (ko) 2004-05-29 2004-05-29 스포이드 장착용 액상 저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8633Y1 true KR200358633Y1 (ko) 2004-08-11

Family

ID=49435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989U KR200358633Y1 (ko) 2004-05-29 2004-05-29 스포이드 장착용 액상 저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863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430U (ko) 2017-05-31 2018-12-10 한국바이오메디컬 (주) 위생 부재가 구비된 전자담배용 기화유닛 및 상기 위생 부재가 구비된 전자담배용 기화유닛의 액상충전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430U (ko) 2017-05-31 2018-12-10 한국바이오메디컬 (주) 위생 부재가 구비된 전자담배용 기화유닛 및 상기 위생 부재가 구비된 전자담배용 기화유닛의 액상충전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83924C (en) Cap assembly having storage chamber for secondary material with movable working member
US5316054A (en) Self-contained package for housing, dispensing and diluting concentrated liquid
JP2009292507A (ja) 吐出容器
US20130220967A1 (en) Safety Bottle Cap
US5224632A (en) Measuring cap
JP2011513144A (ja) 容器ネックに栓をするための栓装置
KR200358633Y1 (ko) 스포이드 장착용 액상 저장용기
JP2002012242A (ja) 計量器付き容器
US20120160798A1 (en) Healthy Pour Serving Size Cap
JP4980022B2 (ja) 密閉キャップ
US8157133B2 (en) Inverted dispenser fitment
JP4602072B2 (ja) 定量塗布容器
RU171348U1 (ru) Крышка для бутыли
JP2008050057A (ja) 樹脂製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樹脂製キャップ付容器
JP2007176498A (ja) 計量・注出用装置を有する閉蓋具
JP5101342B2 (ja) 計量キャップ
WO2017214354A1 (en) Cap for dispensing a metered volume of liquid
JPH0539079Y2 (ko)
JP2017149478A (ja) 計量キャップ付き注出栓
JP2006232327A (ja) 注出容器
JP3118961U (ja) フラスコ
JP6108456B2 (ja) 計量機能付ヒンジキャップ
KR200371222Y1 (ko) 안전마개 및 이와 결합되는 용기구조
JP5452080B2 (ja) 容器
JP3741880B2 (ja) 注出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