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6540B1 - 액체용 소분용기 - Google Patents

액체용 소분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6540B1
KR100916540B1 KR1020090019080A KR20090019080A KR100916540B1 KR 100916540 B1 KR100916540 B1 KR 100916540B1 KR 1020090019080 A KR1020090019080 A KR 1020090019080A KR 20090019080 A KR20090019080 A KR 20090019080A KR 100916540 B1 KR100916540 B1 KR 100916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liquid
subdivision
coupling hole
small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해윤
Original Assignee
황해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해윤 filed Critical 황해윤
Priority to KR1020090019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5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36Closures with frangible parts adapted to be pierced, torn, or removed, to provide discharge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002Closures to be pierced by an extracting-device for the contents and fixed on the container by separate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B65D51/164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the element being a valve
    • B65D51/16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the element being a valve formed by a slit or narrow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용 소분용기에 관한 것으로, 액체가 저장수용되는 수용부(102)가 형성되고, 상측에 액체가 유입되도록 유입구(104)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104) 외연에 수나사가 형성된 소분용기 본체(100)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소분용기 본체(100) 상측 유입구(104)에 나사결합되고, 상부면 중앙에 결합공(210)이 형성된 소분뚜껑(200)과; 상기 소분뚜껑(200)의 결합공(210)에 끼움결합하여 밀폐되도록 형성된 밀폐패킹부재(300);를 포함하고, 의약품, 잉크, 화학약품용액 등 다양한 액체가 담긴 소분용기 본체(100)로부터 뚜껑을 열필요없이 간단하게 주사기 등 별도의 소분기구를 이용하여 필요로 하는 별도의 계량컵, 계량스푼 등의 소분용기에 소분이 가능하고, 소분시 용기뚜껑 및 주변에 원액이 흐르거나 묻어나지 않도록 하여 용기주변의 오염을 방지하며, 누구나 사용이 간편한 액체용 소분용기에 관한 것이다.
액체, 용액, 소분, 용기, 뚜껑, 패킹, 주사기.

Description

액체용 소분용기{A remove vessel for liquid}
본 발명은 액체용 소분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약품, 잉크, 화학약품용액 등 다양한 액체가 담긴 용기로부터 뚜껑을 열필요없이 간단하게 주사기 등 별도의 소분기구를 이용하여 필요로 하는 별도의 용기에 소분이 가능하고, 소분시 용기뚜껑 및 주변에 원액이 흐르거나 묻어나지 않도록 하여 용기주변의 오염을 방지하며, 누구나 사용이 간편한 액체용 소분용기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액체 상태의 의약품, 잉크, 화학약품용액 등을 담는 소분용기는 단순히 액체상태의 용액을 저장하는 정도에 불과하고, 용기 외연에 계량 눈금을 새겨진 정도에 불과한 용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종래의 소분용기는 단순히 저장기능을 가진 정도에 불과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소량을 별도의 용기로 소분하기 위해서는 액체가 담긴 소분용기의 뚜껑을 개방하여 소분기구를 이용해 덜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소분용기의 뚜껑을 개방하여 소분하는 경우는 뚜껑이 개방됨에 따라 먼지 등의 이물질에 쉽게 노출되어 소분용기 내에 저장된 액체의 변질의 염려가 있고, 소분기구를 이용하여 소분시, 사용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해 원액이 소분용기와 주변에 묻어나 주변환경의 오염과 소분용기의 오염 등의 2차적인 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2차적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용액을 소분용기로부터 소분한 후, 소분용기와 주변에 묻어있는 원액을 닦아주어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소분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용기가 쓰러져 소분용기 내의 용액 자체를 소진하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좀 더 보완하기 위해 현재 개시되고 있는 소분용기는 용기 상부에 용기의 유입구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된 배출공을 구비한 중간 마개를 결합하고, 그 외연에 전체 저장용기를 밀폐하는 상부뚜껑이 결합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소분용기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소분용기로부터 일정량의 용액을 소분하기 위해서는 상부뚜껑을 분리한 후, 계량컵이나 계량스푼 등의 별도의 기구를 구비하고, 소분용기를 사용자가 파지하여 별도록 구비된 계량컵, 계량스푼 등의 기구에 중간마개가 대응되어 위치시킨다. 이후 용기의 외연을 가압하여 내부에 용액이 중간마개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형태이다. 즉, 스포이드와 같이 외력에 의해 압력이 전가되어 용기 내부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형태인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소분용기 사용자가 별도의 계량컵이나 계량스푼 등의 기구에 용액을 소분시, 정확한 계량이 어렵고, 과량 소분이 되었을 경우 다시 용기 내로 초과소분된 용액을 넣어야 할 경우 중간마개를 소분용기로부터 분리한 후, 넣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상당히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이와 같은 중간마개의 분리과정 중에 사용자의 손과 소분용기, 주변에 내부 용액이 묻어나게 되어 주변환경의 오염과 사용자의 손 등을 오염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특히, 소분용기 내에 저장된 용액이 인체에 상당히 유해한 용액일 경우 이러한 오염은 더욱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어 상당한 주의를 요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용기내에 수용된 용액을 소분시, 뚜껑을 개방하지 않고 소분이 가능하여 용액이 흐르거나 묻어나지 않아 용액에 의한 소분용기 및 주변오염을 방지하고, 뚜껑을 개방하지 않음에 따라 먼지 등의 외부이물질 침투로 인한 용액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액체용 소분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분용기에 주사기 등의 소분용기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소분이 가능하고, 소분시, 용액을 과량 분취하였을 경우 다시 소분용기 내로 간편하게 용액을 담을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액체용 소분용기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체용 소분용기는 액체가 저장수용되는 수용부(102)가 형성되고, 상측에 액체가 유입되도록 유입구(104)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104) 외연에 수나사가 형성된 소분용기 본체(100)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소분용기 본체(100) 상측 유입구(104)에 나사결합되고, 상부면 중앙에 결합공(210)이 형성된 소분뚜껑(200)과; 상기 소분뚜껑(200)의 결합공(210)에 끼움결합하여 밀폐되도록 형성된 밀폐패킹부재(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밀폐패킹부재(300)는 상기 결합공(210)을 통해 끼움결합되어 상기 소분뚜껑(200) 상부 내측 하부면에 밀착되는 끼움밀착부(310)와; 상기 끼움밀착부(310)의 상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결합공(210) 내연에 밀착결합되는 밀착스페이서부(320)와; 상기 밀착스페이서부(320)의 상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결합공(210) 상측외연의 소분뚜껑(200) 상부면에 밀착대응되는 상부밀착부(330)와; 상기 소분용기 본체(100)의 수용부(102)에 저장수용된 액체를 소분을 위한 주사기(I) 침투가 용이하도록 상기 상부밀착부(330) 중앙으로부터 상기 밀착스페이서부(320)측으로 요입형성된 주사기 삽입홈(3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소분뚜껑(200)의 결합공(210) 내연에 밀폐요홈(212)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요홈(212)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밀폐패킹부재(300)의 밀착스페이서부(320) 외연을 따라 밀폐환형돌기(350)가 마련되어 밀폐력이 증대되도록 형성되어도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결합공(210) 하측으로 상기 끼움밀착부(310)가 밀착결합되어 상기 소분뚜껑(200) 상부 내측 하부면과 동일면을 이루도록 상기 결합공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요입되어 단차형성된 안치면(214)이 형성되되, 사용자가 상기 소분용기 본체(100)를 뒤집어 사용시, 수용부(102) 내부에 수용된 액체가 상기 소분뚜껑(200) 상부 내측 하부면으로부터 전량 소분이 용이하도록 형성되어도 바람직하 다.
한편, 상기 밀폐패킹부재는 복원력이 우수하여 주사기 등의 소분기구에 의한 액체의 소분완류 후 소분기구가 침투된 부분이 즉시 복원되어 밀폐되는 합성고무, 천연고무,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용기내에 수용된 용액을 소분시, 뚜껑을 개방하지 않고 소분이 가능하여 용액이 흐르거나 묻어나지 않아 용액에 의한 소분용기 및 주변오염을 방지하고, 뚜껑을 개방하지 않음에 따라 먼지 등의 외부이물질 침투로 인한 용액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
또한, 본 발명은 소분용기에 주사기 등의 소분용기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소분이 가능하고, 소분시, 용액을 과량 분취하였을 경우 다시 소분용기 내로 간편하게 용액을 담을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액체용 소분용기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용 소분용기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용 소분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용 소분용기의 요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용 소분용기의 측면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용 소분용기의 다른 실시예 1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용 소분용기의 다른 실시예 1의 측면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용 소분용기의 다른 실시예 2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용 소분용기의 다른 실시예 2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체용 소분용기는 뚜껑을 개방할 필요없이 주사기(I)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용기 내에 수용된 용액을 분취하여 소분가능하고, 분취시 용액이 흘러내리거나 묻는 경우가 없어 보다 깨끗하고 청결한 상태로 소분용기 보관이 가능하며, 뚜껑의 개방이 필요없기 때문에 내부에 수용된 용액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소분용기 본체(100), 소분뚜껑(200), 밀폐패킹부재(300)로 구성된다.
상기 소분용기 본체(100)는 의약품, 잉크, 화학약품용액 등 다양한 산업분야 및 생활에서 쓰이고 있는 액체형태를 물질을 저장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소분용기 본체(100)는 원통형상 이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이 가능한 것으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액체가 저장수용되는 수용부(10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102) 상측 에 액체가 유입되어 상기 수용부(102) 내에 저장되도록 유입구(10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구(104) 외연에는 후술되는 소분뚜껑(200)이 나사결합되도록 수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102)가 밀폐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소분뚜껑(200)은 전술한 상기 소분용기 본체(100)의 수용보(102)를 밀폐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소분용기 본체(100) 상측 유입구(104)에 나사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소분뚜껑(200)의 상부면 중앙에는 후술되는 밀폐패킹부재(300)가 끼움결합되는 결합공(210)이 형성된다.
상기 밀폐패킹부재(300)는 전술한 상기 소분뚜껑(200)의 결합공(210)에 끼움결합하여 밀폐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밀폐패킹부재(300)상에 사용자가 주사기(I)를 이용하여 주사바늘을 찔러 소분용기 본체(100)내로 주사바늘을 침투시켜 수용부(102)에 수용된 액체를 분취한 후, 별도로 구비된 계량컵, 계량스푼 등의 용기에 소분시, 주사바늘에 의한 밀폐패킹부재(300)상의 침투구멍이 다시 밀폐되도록 연성의 복원탄성력을 가진 합성고무재, 천연고무재, 실리콘재 등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밀폐패킹부재(3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밀착부(310), 밀착스페이서부(320), 상부밀착부(330), 주사기 삽입홈(340)으로 형성된다.
상기 끼움밀착부(310)는 전술한 소분뚜껑(200)의 결합공(210)을 통해 끼움결합되어 상기 소분뚜껑(200) 상부 내측 하부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소분뚜껑(200)이 소분용기 본체(100)의 유입구(104)에 나사결합한 후, 수용부(102)에 수용된 액체 내용물이 결합공(210)으로 유출되는 것을 최초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공(210)에 끼움결합시 용이하게 끼움결합되도록 전방직경이 축소되는 형상의 쐐기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착스페이서부(320)는 상기 끼움밀착부(310)의 상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결합공(210) 내연에 밀착결합되도록 결합공(210) 내연 직경보다 크거나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끼움밀착부(310)을 통해 유출될 수 있는 액체를 다시 한번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밀착부(330)는 상기 밀착스페이서부(320)의 상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결합공(210) 상측외연의 소분뚜껑(200) 상부면에 밀착대응되어 수용부(102)에 수용된 액체의 유출을 최종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즉, 전술한 상기 끼움밀착부(310)와 밀착스페이서부(320) 및 상기 상부밀착부(330)를 통해 3단계의 완벽한 밀폐력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주사기 삽입홈(3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분뚜껑(200)의 결합공(210)에 상기 밀폐패킹부재(300)가 결합한 후, 사용자가 주사기(I)를 상기 밀폐패킹부재(300)에 대응하여 상기 소분용기 본체(100)의 수용부(102)에 저장수용된 액체를 분취시, 주사기(I) 침투가 용이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상부밀착부(330) 중앙으로부터 상기 밀착스페이서부(320)측으로 요입형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액체용 소분용기는 사용자가 소분용기 본체(100) 수용부(102)에 수용된 액체를 분취하기 위해 먼저 주사기(I)를 밀폐패킹부재(300)의 주사기 삽입홈(340) 측으로 대응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주사기(I)를 주사기 삽입홈(340) 상측으로부터 찔러 주사바늘이 소분용기 본체(100)의 수용부(102)측으로 침투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주사기(I)로 소분용기 본체(100) 내에 수용된 액체를 요구하는 량만큼 흡입한 후, 주사기(I)의 주사바늘을 밀폐패킹부재(300)로부터 제거한다. 이때, 상기 밀폐패킹부재(300)는 연성의 복원탄성력을 가진 합성고무재, 천연고무재, 실리콘 등으로 형성되어 있어, 주사바늘이 제거된 밀폐패킹부재(300)상의 주사바늘 침투공간(도시없음)이 다시 밀폐된다.
즉, 이와 같은 특성을 통해 사용자는 정량의 액체 소분이 간편하게 가능하고, 액체를 소분용기 본체(100)로부터 분취시, 액체가 소분용기 또는 주변에 흐르거나 묻지 않아 깨끗하고 청결한 분취소분이 가능하다. 더욱이, 액체의 성질이 인체에 유해한 경우 상기와 같은 분취소분은 더욱 유용한 것이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1을 살펴보면 상기 소분뚜껑(200)의 결합공(210) 내연에 밀폐요홈(212)이 형성한다. 이후, 상기 밀폐요홈(212)에 상기 밀폐패킹부재(300)를 끼움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밀폐패킹부재(300)의 밀착스페이서부(320) 외연에는 상기 밀폐요홈(212)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밀폐환형돌기(350)가 마련되어 밀폐력이 증대되도록 형성되어도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밀폐요홈(212)과 상기 밀폐환형돌기(350)를 더 형성함으로써, 상기 소분뚜껑(200)의 상측 상하부면과 결합공(210)에 결합대응되는 밀폐패킹부재(300)의 상기 끼움밀착부(310)와 밀착스페이서부(320) 및 상기 상부밀착부(330)를 통해 3단계의 밀폐력이 더욱 증대되는 것이다.
나아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2를 살펴보면 상기 결합공(210) 하측으로 단차형성된 안치면(214)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안치면(214)은 상기 밀폐패킹부재(300)의 끼움밀착부(310)가 결합공(210)을 통하여 밀착결합된 후, 상기 소분뚜껑(200) 상부 내측 하부면과 동일면을 이루도록 상기 결합공(210)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요입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공(210) 직하로 단차형성되어 연통된 상기 안치면(214)에 의해 사용자가 상기 소분용기 본체(100)를 뒤집어 사용시, 수용부(102) 내부에 수 용된 액체가 상기 소분뚜껑(200) 상부 내측 하부면으로 중력에 의해 이동되고, 안치면에 의해 하부면과 동일면상을 이룬 상기 끼움밀착부(310)를 통해 주사기를 이용하여 액체의 전량을 분취소분이 용이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명백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용 소분용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용 소분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용 소분용기의 요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용 소분용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용 소분용기의 다른 실시예 1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용 소분용기의 다른 실시예 1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용 소분용기의 다른 실시예 2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용 소분용기의 다른 실시예 2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소분용기 본체 102 : 수용부
104 : 유입구 200 : 소분뚜껑
210 : 결합공 212 : 밀폐요홈
214 : 안치면 300 : 밀폐패킹부재
310 : 끼움밀찰부 320 : 밀착스페이서부
330 : 상부밀착부 340 : 주사기 삽입홈
350 : 밀폐환형돌기 I : 주사기

Claims (5)

  1. 액체가 저장수용되는 수용부(102)가 형성되고, 상측에 액체가 유입되도록 유입구(104)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104) 외연에 수나사가 형성된 소분용기 본체(100)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소분용기 본체(100) 상측 유입구(104)에 나사결합되고, 상부면 중앙에 결합공(210)이 형성된 소분뚜껑(200)과; 상기 소분뚜껑(200)의 결합공(210)에 끼움결합하여 밀폐되도록 형성된 밀폐패킹부재(300);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패킹부재(300)는 상기 결합공(210)을 통해 끼움결합되어 상기 소분뚜껑(200) 상부 내측 하부면에 밀착되는 끼움밀착부(310)와; 상기 끼움밀착부(310)의 상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결합공(210) 내연에 밀착결합되는 밀착스페이서부(320)와; 상기 밀착스페이서부(320)의 상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결합공(210) 상측외연의 소분뚜껑(200) 상부면에 밀착대응되는 상부밀착부(330)와; 상기 소분용기 본체(100)의 수용부(102)에 저장수용된 액체를 소분을 위한 주사기(I) 침투가 용이하도록 상기 상부밀착부(330) 중앙으로부터 상기 밀착스페이서부(320)측으로 요입형성된 주사기 삽입홈(340);이 형성되되, 상기 소분뚜껑(200)의 결합공(210) 내연에 밀폐요홈(212)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요홈(212)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밀폐패킹부재(300)의 밀착스페이서부(320) 외연을 따라 밀폐환형돌기(350)가 마련되어 밀폐력이 증대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210) 하측으로 상기 끼움밀착부(310)가 밀착결합되어 상기 소분뚜껑(200) 상부 내측 하부면과 동일면을 이루도록 상기 결합공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요입되어 단차형성된 안치면(214)이 형성되되, 사용자가 상기 소분용기 본체(100)를 뒤집어 사용시, 수용부(102) 내부에 수용된 액체가 상기 소분뚜껑(200) 상부 내측 하부면으로부터 전량 소분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 소분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90019080A 2009-03-06 2009-03-06 액체용 소분용기 KR100916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080A KR100916540B1 (ko) 2009-03-06 2009-03-06 액체용 소분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080A KR100916540B1 (ko) 2009-03-06 2009-03-06 액체용 소분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6540B1 true KR100916540B1 (ko) 2009-09-14

Family

ID=41355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080A KR100916540B1 (ko) 2009-03-06 2009-03-06 액체용 소분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65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5446A1 (en) * 2021-01-15 2022-07-21 Pegasus Holdings LLC Beverage container infusion port and method of use
KR20230023217A (ko) 2021-08-10 2023-02-17 주식회사 제이에스스퀘어 소분이 가능한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1684A (ja) 2002-08-28 2004-03-18 Ishida Press Kogyo Kk 薬用瓶の蓋
KR200398596Y1 (ko) 2005-07-12 2005-10-13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액체용기 토출밸브
KR20060086922A (ko) * 2006-07-10 2006-08-01 김덕재 보조 캡
KR200423838Y1 (ko) 2006-04-10 2006-08-11 신신상사 주식회사 테니스 볼 공기 주입형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1684A (ja) 2002-08-28 2004-03-18 Ishida Press Kogyo Kk 薬用瓶の蓋
KR200398596Y1 (ko) 2005-07-12 2005-10-13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액체용기 토출밸브
KR200423838Y1 (ko) 2006-04-10 2006-08-11 신신상사 주식회사 테니스 볼 공기 주입형 케이스
KR20060086922A (ko) * 2006-07-10 2006-08-01 김덕재 보조 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5446A1 (en) * 2021-01-15 2022-07-21 Pegasus Holdings LLC Beverage container infusion port and method of use
KR20230023217A (ko) 2021-08-10 2023-02-17 주식회사 제이에스스퀘어 소분이 가능한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27163B (zh) 用于一次性使用物质容器的瓶子
KR101855948B1 (ko) 2웨이 체크밸브를 구비한 용기마개
ATE204242T1 (de) Ophthalmologische verpackung und abgabevorrichtung
CN111372498B (zh) 饮用物容器
JP7450777B2 (ja) 密封容器
JP2017520489A (ja) 万能ボトルキャップ
KR101325865B1 (ko) 파우더 혼합 에센스 화장품 용기
US20150174542A1 (en) Multi-ingredient mixing device
KR100916540B1 (ko) 액체용 소분용기
JP2013133123A (ja) 固形物溶解用容器、および固形物溶解用キット
CN215460210U (zh) 一种防漏液分量瓶
KR20180003252U (ko) 화장료 보관용기
CN111343888B (zh) 盖体及具备其的饮用物容器
JP4431669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保存兼用液剤容器
US20180023991A1 (en) Dual purpose measuring and dispensing device
KR20180023521A (ko) 액체용 소분용기
KR20170127210A (ko) 조립 용기, 리필팩 및 펌프를 포함하는 용기 세트 및 이에 사용되는 스파우트
JPH0644823Y2 (ja) パウチ止め栓
KR20230016899A (ko) 대용량 벌크위생용품의 정밀 소분화 방안 및 프로세스
JP2008050057A (ja) 樹脂製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樹脂製キャップ付容器
JP2001002109A (ja) 積み重ね可能な水密性容器
KR200446474Y1 (ko) 액상 포장 용기
JP4901379B2 (ja) 定量注出容器
CN203006035U (zh) 一种容器和用于该容器的瓶盖组件
KR200358633Y1 (ko) 스포이드 장착용 액상 저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