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955Y1 - 유공관 - Google Patents

유공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955Y1
KR200356955Y1 KR20-2004-0011202U KR20040011202U KR200356955Y1 KR 200356955 Y1 KR200356955 Y1 KR 200356955Y1 KR 20040011202 U KR20040011202 U KR 20040011202U KR 200356955 Y1 KR200356955 Y1 KR 2003569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ated pipe
perforated
axis diameter
main body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12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윤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강원프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강원프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강원프라코
Priority to KR20-2004-00112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9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9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9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공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공관을 타원형으로 형성시켜 침출수를 받아들이는 수평축의 길이를 보다 길게 구성하도록 하여 많은 양의 침출수를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함과 수직축의 길이를 짧게 하여 유공관의 매설시 터파기 공사를 낮게하여 유공관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유공관에 관한 것인바, 본 고안은 수평축 지름과 수직축 지름이 같은 원형의 형태를 갖는 본체에 천공되는 다수의 구멍을 통해 내부로 집수되는 우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매설되는 유공관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수평축 지름이 수직축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유공관{Drain pipe}
본 고안은 유공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공관을 타원형으로 형성시켜 침출수를 받아 들이는 수평 축의 길이를 보다 길게 구성하도록 하여 많은 양의 침출수를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함과 수직축의 길이를 짧게 하여 유공관의 매설시 터파기 공사를 낮게하여 유공관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유공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터널, 공원, 운동장 등에는 침수로 인한 각종 피해를 예방 하고자, 높은 곳과 낮은 곳의 구배차(勾配差)에 의해 우수의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유공관이 매설된다.
첨부도면 도 1은 종래 유공관의 매설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써, 종래 유공관(100)은 유공관(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100a)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본체(100a)의 둘레면 전반에 걸쳐 본체(100a) 내부로 우수를 집수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원 형상의 구멍(110)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천공된다.
종래 유공관(100)은 본체(100) 상부 측의 구멍(110)을 통해 본체(100a) 내부로 우수가 집수되면 그 우수의 일부는 본체(100a)를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고, 나머지 일부는 본체(100) 하부 측의 구멍(110)으로 배출되어 본체(100a) 하측에 있는 배수층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유공관은 매설시에는 터파기 공사를 먼저 시행하는데 유공관의 매설깊이는 주위의 토질, 지하수면상태등 여러가지 요인을 감안하여 시공할때 결정하는것이 이상적이다.
보통의 지반 또는 잘 다져진 땅을 파헤치게 되는데, 이때 수평의 폭을 굴토폭이라 하며 유공관을 매설할 경우 굴토폭은 배관작업에 지장을 주지않는 범위내에서 가급적 굴토폭을 적게 벽면이 연직되게 하는 것이 이상적인 굴토방법이다.
예컨데 유공관은 원형을 사용하는데 이때 사용하는 유공관의 직경에 따라 토굴폭이 다르게 되는데 원형의 지름이 ø100mm일때 굴토폭은 250mm, ø150mm일때 굴토폭은 350mm, ø200mm일때 굴토폭은 450mm, ø250mm일때 굴토폭은 550mm, ø300mm일때 굴토폭은 700mm, ø400mm일때 굴토폭은 900mm로 굴토하게 되며, 매설깊이는 유공관 지름이 ø150mm일때 깊이는 400-450mm, 지름이 ø200mm일때 깊이는 500-550mm, 지름이 ø250mm일때 깊이는 600-650mm 깊이로 하여야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보면 유공관의 크기 보다 3-4배로 크게 터파기를 하여야함으로써 하나의 유공관을 매설하기 위해서는 깊고 넓은 터파기 작업을 하여야만 했기 때문에 작업의 신속성을 저해하는 원인이 되었다.
다른 문제점으로는 침출수를 유공관 내부로 받아들여 배출시키는 배출량에 있어서도 원형의 표면에 다수의 통공을 형성시키되 유공관의 지름이 수평과 수직이 같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많은 양의 침출수를 유공관 내부로 받아 들이지 못하여 배출량에도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침출수의 배출량을 늘리는 방법으로는 다수의 통공을 장방형상으로 형성시켜 방출량을 늘리도록 한 선원 기술도 있으나 다수의 통공이 진원인 경우 보다는 침출수를 배출하는 것이 조금 향상되지만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유공관 자체가 진원의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전자에서 상술한 유공관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본 고안은 종래의 유공관과 같은 지름을 갖는 유공관보다 수평 지름이 길게 형성하여 다수의 통공을 형성할 면적 예컨데 숫자를 늘릴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많은 양의 침출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함과 또한 수직축의 길이를 짧게 하여 유공관의 매설시 터파기 공사를 낮게 하도록 하여 유공관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유공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수평축 지름과 수직축 지름이 같은 원형의 형태를 갖는 본체에 천공되는 다수의 구멍을 통해 내부로 집수되는 우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매설되는 유공관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수평축 지름이 수직축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관에 의하여 달성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유공관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유공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공관 2 : 본체
3 : 구멍 4 : 지지판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유공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써,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의 유공관(1)은 본체(2)에 천공되는 다수의 구멍(3)을 통해 내부로 집수되는 우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형성하되 상기 본체(2)는 수평축지름이 수직축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 구조이다.
한편,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본체(2)의 중앙 내측으로는 지지판(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판(4)이 본체(2)의 내측에 상부는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는 소정의 뜸을 형성시켜 침출수가 지지판(4)에 의해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며 지면과 접하는 본체(2)의 하부 저면으로는 유동방지부재(5)를 형성시켜 매립시 관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는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축 보다 수평으로 넓게 형성되어 있어 침출수를 보다 많이 받아들일 수 있어 종래 유공관 보다 같은 시간 동안에 배출량을 늘려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첨부도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4)이 일체로 형성시킨 구조는 매립후 토사의 하중에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첨부도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4)의 하부를 본체(2)로 부터 소정으로 이격시켜 뜸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매립시 하중에 의한 처짐변형을 방지하면서 평상시에는 유공관의 내부를 일체로 구성시키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효과는 종래의 유공관과 같은 지름을 갖는 유공관보다 수평 지름이 길게 형성하여 다수의 통공을 형성할 면적 예컨데 숫자를 늘릴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많은 양의 침출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함과 또한수직축의 길이를 짧게 하여 유공관의 매설시 터파기 공사를 낮게 하도록 하여 유공관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수평축 지름과 수직축 지름이 같은 원형의 형태를 갖는 본체에 천공되는 다수의 구멍을 통해 내부로 집수되는 우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매설되는 유공관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수평축 지름이 수직축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관.
  2. 상기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중앙 내측으로는 지지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이 본체의 내측에 상부는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는 소정의 뜸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과 접하는 하부에는 지면에서 유동되지 않게 방지하는 유동방지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관.
KR20-2004-0011202U 2004-04-22 2004-04-22 유공관 KR2003569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202U KR200356955Y1 (ko) 2004-04-22 2004-04-22 유공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202U KR200356955Y1 (ko) 2004-04-22 2004-04-22 유공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955Y1 true KR200356955Y1 (ko) 2004-07-21

Family

ID=49348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1202U KR200356955Y1 (ko) 2004-04-22 2004-04-22 유공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95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3786B1 (ko) 터널 배수구조
KR100616123B1 (ko)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0491410B1 (ko) 경사지의 배수구조
KR100718722B1 (ko) 비탈면 배수시설
US5852906A (en) Internal-wall drain system
KR200396485Y1 (ko)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
JP4764084B2 (ja) 既設マンホールの耐震補強方法
JP3181823B2 (ja) 透水性を有する排水溝
KR200356955Y1 (ko) 유공관
KR100925414B1 (ko)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녹화공법
KR100481148B1 (ko) 헥사튜브코넥터 배수공법
JP2006328894A (ja) 地下構造体の施工方法
JP2007092293A (ja) マンホール管の埋設構造
JP2014084647A (ja) 排水システムおよび排水方法
JP2004278287A (ja) 透水性鋼管山留め式擁壁構造
JP2004092049A (ja) 構造物の基礎構造
JP7222602B2 (ja) 地表面排水装置およびその設置方法
JP6442750B2 (ja) 土中集排水管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30047137A (ko) 비탈면 암거배수용 수로관
KR100714664B1 (ko) 연결설치가 용이한 유공관
KR20090044391A (ko) 드레인보드를 이용한 배수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200406944Y1 (ko) 도로의 침하방지용 맨홀
JPH11256609A (ja) 構造物の浮上防止方法及び浮上防止構造
JPH11158861A (ja) 地下水排除工法
KR200187240Y1 (ko) 투수관을 이용한 이중 수로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