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5500Y1 - 방화문용 외측판재와 내측판재의 결합 구조물 - Google Patents

방화문용 외측판재와 내측판재의 결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5500Y1
KR200355500Y1 KR20-2004-0007152U KR20040007152U KR200355500Y1 KR 200355500 Y1 KR200355500 Y1 KR 200355500Y1 KR 20040007152 U KR20040007152 U KR 20040007152U KR 200355500 Y1 KR200355500 Y1 KR 2003555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fire door
inner plate
outer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71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혜정
Original Assignee
동방노보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방노보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방노보펌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071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55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55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55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82Flush doors, i.e. with completely flat surface
    • E06B3/827Flush doors, i.e. with completely flat surface of metal without an internal frame, e.g. with exterior panels substantia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내측판재와 외측판재를 끼움 결합시키도록 된 방화문의 결합 구조물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방화문의 결합 구조물은 방화문을 이루는 내측판재에 결합장공을 형성하고, 외측판재에는 상기 결합장공 걸려 고정되는 걸림단을 형성함으로써, 걸림단을 결합장공에 삽입시켜 고정시키는 동작만으로 내측판재와 외측판재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되고, 걸림단이 결합장공에서 이동될 수 있는 거리만큼만 내측판재 또는 외측판재를 이동시키게 되므로 좁은 공간에서 조립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방화문용 외측판재와 내측판재의 결합 구조물{COMBINATION STRUCTURE OF OUTSIDE PANEL AND INSIDE PANEL FOR A FIRE DOOR}
본 고안은 방화문의 내측판재와 외측판재의 결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측판재와 외측판재에 결합장공과 걸림단을 서로 대응되도록 각각 형성하여 걸림단을 결합장공에 삽입시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내측판재와 외측판재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는 방화문의 결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문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판재(1)와 외측판재(2)로 이루어지고, 그 사이에는 도시되지 않은 불연재 등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방화문의 내측판재(1)와 외측판재(2)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판재(2)의 가장자리가 절곡되어 형성된 삽입부(2-1)에 내측판재(1)의 삽입단(1-1)을 삽입시킨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동시켜 결합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방화문은 그 결합 구조물이 슬라이딩 타입으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내측판재(1)와 외측판재(2)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충분한 작업공간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대략 2M 정도의 길이를 갖는 내측판재(1)와 외측판재(2)를 일렬로 위치시켜 삽입부(2-1)에 삽입단(1-1)을 끼운 후 내측판재(1) 또는 외측판재(2)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삽입단(1-1)이 삽입부(2-1)에 끼워지면서 결합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대략 4M 정도의 길이를 갖는 작업공간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고, 이로 인하여 조립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고, 조립작업이 불편한 문제점도 유발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방화문의 내측판재와 외측판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화문의 외측판재와 내측판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2a는 결합전 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고, 2b는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방화문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지지단의 결합부위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
도 5는 종래기술에 의한 방화문의 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방화문의 조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내측판재 12 : 결합단
13 : 지지단 13A : 삽입홈
13B : 삽입단 18 : 결합장공
20 : 외측판재 22 : 밀착단
24 : 걸림단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측판재의 가장자리가 이면과 평행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다중 절곡되어 형성된 결합단에는 다수개의 결합장공이 수직방향으로 천공되고, 외측판재의 가장자리가 이면과 평행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다중 절곡되어 형성된 밀착단에는 다수개의 걸림단이 결합장공 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내측판재와 외측판재가 결합되도록 각각의 걸림단이 결합장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의 내측판재와 외측판재의 결합 구조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걸림단과 밀착단의 단부 사이에는 결합장공의 하부 가장자리가 끼워지기 위한 끼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측판재의 이면에서 결합단과 더불어 공간을 형성하는 각 지지단의 결합부위가 평면상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하부측 지지단의 각 단부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좌,우측 지지단의 각 단부에는 각각의 삽입홈으로 삽입되는 삽입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내측판재에 결합장공을 형성하고, 외측판재에는 상기 결합장공에 끼워져 고정되는 걸림단을 형성함으로써, 각 걸림단을 결합장공에 끼워 고정시키는 동작만으로 외측판재와 내측판재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방화문의 외측판재와 내측판재를 조립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외측판재와 내측판재가 겹쳐진 상태에서 걸림단이 결합장공에 걸림단이 고정되므로 협소한 공간에서도 외측판재와 내측판재의 조립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방화문의 결합 구조물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화문의 외측판재와 내측판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2a는 결합전 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고, 2b는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방화문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방화문의 결합 구조물은 결합장공(18)을 구비한 내측판재(10), 상기 결합장공(18)에 결합되는 걸림단(24)을 구비한 외측판재(20)로 구성된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방화문을 이루는 내측판재(10)와 외측판재(20)에 서로 결합되기 위한 결합장공(18)과 걸림단(24)이 각각 형성된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내측판재(10)의 가장자리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다중 절곡되어 지지단(13)과 결합단(12)이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단(12)에는 다수개의 결합장공(18)이 수직방향으로 천공된 것이다. 상기 지지단(13)과 결합단(12)이 다중 절곡되어 형성됨으로써, 내측판재(10)의 이면(외측판재(20)와 마주보는 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공간은 추후 난연재 등이 삽입 설치된다.
상기 결합장공(18)을 본 실시 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좁은 구조의 슬롯 형상을 갖으나, 이에 국한 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걸림단(22)이 삽입될 수 있는 구조이면 만족한다.
상기 외측판재(20)는 그 가장자리가 이면(내측판재(10)와 마주보는 면) 측으로 절곡된 후 각각의 단부가 다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밀착단(22)이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밀착단(22)에는 다수개의 걸림단(24)이 상기 결합장공(18) 측으로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는데, 걸림단(24)과 밀착단(22)의 단부 사이에는 끼움부(26)가 형성된다. 상기 끼움부(26)는 밀착단(22)과 걸림단(24)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것으로, 결합장공(18)의 하부 가장자리가 끼워진다.
이와 같은 걸림단(24)은 결합장공(18)과 대응되는 갯수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방화문 결합 구조물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외측판재(20)와 내측판재(10)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내측판재(10)의 각 삽입단(13B)을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1 또는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절곡하여 각 삽입홈(13A)에 삽입시킨다.
즉, 내측판재(10)의 가장자리를 각각 이면 측으로 절곡한 후 다시 지지단(13)이 형성되도록 다단 절곡하여 지지단(13)과 결합단(12)이 형성되도록 한 후, 각 지지단(13)이 만나는 결합부위에서 각 삽입단(13B)을 절곡시켜 삽입홈(13A)에 삽입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각 삽입단(13B)이 삽입홈(13A)에 삽입되면 각 지지단(13)의 단부가 결합되어 이루는 모서리 부위에서는 그 이면으로 돌출되는 부위가 없게 되므로, 문틀(도시되지 않음)과의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게 되고, 미려한 미관이 창출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판재(20)의 결합단(12)과 내측판재(10)의 밀착단(22)이 서로 마주보도록 하되, 결합장공(18)이 서로 대응되도록 한다.
이어서, 결합단(12)과 밀착단(22)을 밀착시켜 걸림단(24)을 결합장공(18)으로 삽입시킨다.
상기 걸림단(24)이 결합장공(18)으로 삽입되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판재(20)를 하부로 이동시켜 상기 각 걸림단(24)이 결합장공(18)의 하부에 걸리도록 한다.
상기 걸림단(24)이 결합장공(18)에 걸리게 되면 상기 걸림단(24)과 밀착단(22)의 단부 사이에 형성된 끼움부(26)에 결합장공(18)의 하부 가장자리가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걸림단(24)은 결합장공(18)의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걸림단(24)이 결합장공(18)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동작에 의해 걸림단(24)이 결합장공(18)의 하부 이면(내측판재(10)의 이면과 마주보는 면)에 걸림과 동시에 결합장공(18)의 하부 가장자리가 끼움부(26)에 끼워지게 되므로 걸림단(24)은 결합장공(18)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각각의 걸림단(24)이 각 결합장공(18)에 끼워져 고정되므로 내측판재(10)와 외측판재(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외측판재(20)의 걸림단(24)을 내측판재(10)의 결합장공(18)에 삽입시켜 고정시키는 동작만으로 외측판재(20)와 내측판재(10)의 결합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이고, 외측판재(20) 또는 내측판재(10)가 결합장공(18)의 길이 만큼만 이동되므로 좁은 작업공간에서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방화문의 내측판재와 외측판재의 결합 구조물은 방화문을 이루는 내측판재에 결합장공을 형성하고, 외측판재에는 상기 결합장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걸림단을 형성함으로써, 걸림단을 결합장공에 삽입시켜 고정시키는 동작만으로 내측판재와 외측판재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될 뿐만 아니라, 걸림단이 결합장공에서 이동될 수 있는 거리만큼만 내측판재 또는 외측판재를 이동시키게 되므로 좁은 공간에서 조립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며, 내측판재의 각 지지단의 결합부위에 돌출부가 발생되지 않음으로써미려한 미관이 창출되고, 문틀과의 틈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효과도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2)

  1. 내측판재(10)의 가장자리가 이면과 평행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다중 절곡되어 형성된 결합단(12)에는 다수개의 결합장공(18)이 수직방향으로 천공되고,
    외측판재(20)의 가장자리가 이면과 평행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다중 절곡되어 형성된 밀착단(12)에 다수개의 걸림단(24)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걸림단(24)과 밀착단(12)의 단부 사이에는 끼움부(26)가 형성되며,
    상기 내측판재(10)와 외측판재(20)가 결합되도록 각각의 걸림단(24)이 결합장공(18)에 삽입되고, 끼움부(26)에 결합장공(18)의 하부 가장자리가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의 내측판재와 외측판재의 결합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판재(10)의 이면에서 결합단(12)과 더불어 공간을 형성하는 각 지지단(13)의 결합부위가 평면상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하부측 지지단(13)의 각 단부에 삽입홈(13A)이 형성되고, 좌,우측 지지단(13)의 각 단부에는 각각의 삽입홈(13A)으로 삽입되는 삽입단(13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의 내측판재와 외측판재의 결합 구조물.
KR20-2004-0007152U 2004-03-16 2004-03-16 방화문용 외측판재와 내측판재의 결합 구조물 KR2003555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152U KR200355500Y1 (ko) 2004-03-16 2004-03-16 방화문용 외측판재와 내측판재의 결합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152U KR200355500Y1 (ko) 2004-03-16 2004-03-16 방화문용 외측판재와 내측판재의 결합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5500Y1 true KR200355500Y1 (ko) 2004-07-07

Family

ID=49347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7152U KR200355500Y1 (ko) 2004-03-16 2004-03-16 방화문용 외측판재와 내측판재의 결합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55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1730B1 (ko) * 2021-05-14 2022-03-04 백지영 개선된 방화문 조립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1730B1 (ko) * 2021-05-14 2022-03-04 백지영 개선된 방화문 조립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202992A (ja) 遊技盤の前面扉
KR200355500Y1 (ko) 방화문용 외측판재와 내측판재의 결합 구조물
JP4348551B2 (ja) フレーム連結具
KR200352487Y1 (ko) 방화문용 외측판재와 내측판재의 결합 구조물
JP4863198B2 (ja) 部材取付構造及びテーブル
KR200355501Y1 (ko) 방화문용 외측판재와 내측판재의 결합 구조물
JP2009044041A (ja) 電子機器用筺体の構造
JP5673410B2 (ja) 採光機能付建具
KR200224347Y1 (ko) 가구용 도어
JP4937890B2 (ja) パネル体の窓構造
KR200360524Y1 (ko) 방화문용 외측판재와 내측판재의 결합 구조물
KR200211373Y1 (ko) 가구제작용 조립체
KR200341882Y1 (ko) 샌드위치패널
JP5112958B2 (ja) ガラリ
JP2015172314A (ja) 建具枠
KR200200938Y1 (ko) 콘크리트 시공용 패널
JP2005315066A (ja) 壁体構築用下地材、金属パネル及び金属壁体
KR200163581Y1 (ko) 문틀조립장치
KR200281175Y1 (ko) 현관도어의 조립식 스텐레즈 스틸프레임
KR200367887Y1 (ko) 장식판이 설치된 도어
KR200404283Y1 (ko) 도어용 통풍구
KR102101471B1 (ko) 틀 프레임용 모서리 연결구의 프레임 고정장치
KR200355502Y1 (ko) 방화문용 외측판재와 내측판재의 결합 구조물
KR200346228Y1 (ko) 가설 방음판
KR200275020Y1 (ko) 광고판넬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