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020Y1 - 광고판넬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광고판넬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020Y1
KR200275020Y1 KR2020020004770U KR20020004770U KR200275020Y1 KR 200275020 Y1 KR200275020 Y1 KR 200275020Y1 KR 2020020004770 U KR2020020004770 U KR 2020020004770U KR 20020004770 U KR20020004770 U KR 20020004770U KR 200275020 Y1 KR200275020 Y1 KR 2002750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upport structure
support
coupl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7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모
Original Assignee
임병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병모 filed Critical 임병모
Priority to KR20200200047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0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0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020Y1/ko

Links

Landscapes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품개수를 절감하여 제작 상의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판넬을 설치하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 광고판넬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벽체에 장착되기 위해 각 모서리 부에 지지구조가 설치되는 광고판넬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는, 판넬 모서리의 교차되는 2변에 밀착될 수 있도록 모서리와 대응되는 형태로 받침부가 형성되고, 받침부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받침부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체결부재가 관통설치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결합부재가 관통된 이후의 결합부에 결합되며, 판넬이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부에서 돌출된 끝단이 마감단으로 형성된 마감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판넬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광고판넬 지지구조{Supporting structure of advertising panel}
본 고안은 광고판넬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부품개수를 절감하여 제작 상의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판넬을 설치하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내부를 안내하거나 광고 및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각종 문구가 게시되는 등의 광고판넬은 벽체에 고정되기 위해 각 모서리 부분에 판넬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구조를 갖는다.
도 1 및 도 2는 상기된 광고판넬 지지구조의 종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와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광고판넬 지지구조(이하, 지지구조라 약칭함)는 본체(1)를 기준으로 벽체(W) 측단의 본체(1)에 결합되는 연결대(2), 본체(1)의 판넬(P) 측단에 결합되는 연결대(3)와 마감구(4)로 구성되며, 상기 벽체(W) 측 연결대(2)를 관통하여 본체(1)가 벽체(W)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비스(5)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지지구조는 작업자가 판넬(P)의 각 모서리 부근에 통공(P1)을 형성하고, 그 통공(P1)의 위치와 대응되는 벽체(W)의 위치에 연결대(2)를 구비한 후, 비스(5)를 결합하여 일단의 위치선정을 한다.
그 다음, 작업자는 본체(1)를 연결대(2)와 결합시키고, 그 외측단에 다른 연결대(3)를 일부가 돌출된 상태로 결합시켜 돌출된 부분에 판넬(P)의 통공(P1)을 끼운 후, 판넬(P)에서 돌출된 연결대(3)에 마감구(4)를 결합하여 광고판넬의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지지구조는 판넬을 설치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천공작업을 거쳐야 하며 또 판넬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 통공과 연결대의 고정위치가 정밀하게 일치되지 않으면 본체가 경사지게 장착되거나, 심하게는 결합이 불가능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통공과 연결대 고정위치가 정밀하게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난해하고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지지구조를 구성하기 위한 부품은 다수의 부품개수가 요구되며, 이에 따라 각각의 부품을 독립적으로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단가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다수의 부품을 조립함에 있어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지지구조를 구성하는 부품의 개수를 최소로 감축하고, 지지구조를 조립하는 과정이 보다 쉽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 광고판넬 지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광고판넬 지지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광고판넬 지지구조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지지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지지구조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지지구조의 다른 실시예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지지구조의 다른 실시예 결합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지지구조의 추가된 실시예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지부재 11: 받침부
12: 결합부 20: 마감구
21: 마감단 30: 제한부재
31: 제한편 32: 돌출편
40: 스페이서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특징의 구성을 갖는다.
본 고안은 벽체에 장착되기 위해 각 모서리 부에 지지구조가 설치되는 광고판넬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는, 판넬 모서리의 교차되는 2변에 밀착될 수 있도록 모서리와 대응되는 형태로 받침부가 형성되고, 받침부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받침부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체결부재가 관통설치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결합부재가 관통된 이후의 결합부에 결합되며, 판넬이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부에서 돌출된 끝단이 마감단으로 형성된 마감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 특징이 적용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지지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3의 지지구조에 의해 광고판넬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지지구조는 판넬(P)의 각 모서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0)와, 지지부재(10)를 벽체(W)에 고정시키는 결합부재인 비스(14)와, 상기 지지부재(10)에서 판넬(P)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마감구(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재(10)는 판넬(P)의 모서리에 밀착되는 받침부(11)와, 받침부(11)를 벽체(W)에 고정시키기 위해 비스(14)가 관통되는 결합부(12)로 형성된다.
상기 받침부(11)는 판넬(P) 모서리의 교차되는 2변에 밀착되기 위해 'ㄴ'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12)는 받침부(11)의 외면에 돌출형성된다.
상기 마감구(20)는 비스(14)가 결합부(12)를 관통한 이후에 결합부(12)에 결합되는 것으로, 이를 위한 바람직한 구성은 도 4에서와 같이 비스(14)가 관통되기 위한 통공(12a)을 형성하고 통공(12a) 보다 넓은 직경으로 마감구(20)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12b)을 형성한다. 이때 비스(14)가 관통하는 통공(12a)을 장공으로 형성하게 되면 결합부(12) 전체에 약간의 유격이 있게 되므로 판넬(P)의 설치시 더욱 유리한 잇점이 있다.
또한, 상기 마감구(20)는 판넬(P)이 받침부(11)의 전방으로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부(12)에 결합된 후, 돌출된 단부에 직경이 넓게 형성된 마감단(21)이 형성되며, 마감단(21)의 일부가 판넬(P)의 모서리 부분이 위치된 선상에 간섭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판넬(P)이 전방으로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동 도면에서와 같이 받침부(11)에서 내측으로 제한돌기(13)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마감구(20)는 배제되거나 장식구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지지구조는 우선 판넬(P)의 하측을 지지할 지지부재(10)를 판넬(P)의 크기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벽체(W)에 고정하고, 고정된 지지부재(10)에 판넬(P)을 얹은 후, 판넬(P)의 기울기나 경사도를 수평으로 유지하여 나머지 지지부재(10)를 벽체(W)에 고정시키면 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작업상태는 기존의 판넬(P)에 천공을 해야하고 연결대(2)를 한꺼번에 벽체(W)에 위치고정시켜야 하는 작업에 비해 손쉽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0)의 받침부(11)와 판넬(P)에 약간의 유격을 형성하여 고정하게 되면, 판넬(P)의 고정상태가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와 같이 불량할 경우에 일측의 비스(14)를 느슨하게 풀어낸 후 판넬(P)을 유동시켜 수평의 상태를 유지시키고 풀어낸 비스(14)를 다시 조여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와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지구조는 원실시예의 제한돌기(13)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판넬(P)이 전방으로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판넬(P)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지지부재(10)의 전방에 제한부재(30)가 마감구(20)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제한부재(30)는, 지지부재(10)의 받침부(11) 두께보다 넓은 두께로 형성된 폭을 가지며 받침부(11)의 형태와 대응되게 형성된 제한편(31)과, 제한편(31)에서 돌출되어 결합부(12)와 마감구(20)에 의해 결합되는 돌출편(32)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지지부재(10)에 제한돌기(13)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마감구(20)의 마감단(21)이 판넬(P)을 지지하기 어려운 형태로 형성된 경우에 적용되는 구성이다.
<추가된 실시예>
도 7은 본 고안에서 추가되는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추가되는 실시예에 의한 지지구조는 지지부재(10)와 벽체(W)의 사이에 스페이서(40)를 간섭시킨 것이며, 이는 판넬(P)이 벽체(W)와 접촉시키지 않도록 하여 판넬(P)과 벽체(W)와의 갭을 둠으로써 광고내용의 공감각적, 즉 입체적 광고 효과를 연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스페이서(40)는 벽체(W)와 형성된 간격으로 판넬(P)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원실시예의 마감단(21)이 판넬(P)의 모서리부분 선상에 일부가 간섭되도록 하는 구성과 같이 스페이서(40)의 일부가 판넬(P) 후방 모서리부분의 선상에 간섭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비스(14)는 지지부재(10)의 결합부(12)와 함께 스페이서(40)를 관통하여 벽체(W)와 결합되기 때문에 그 길이가 연장되어진 것을 선택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은 판넬(P)의 설치시, 지지부재(10)의 전후 폭과 판넬(P)의 두께가 일치되지 않아 약간의 유동이 될 수는 있으나 이러한 문제는 다양한 전후폭을 가진 지지부재(10)를 두어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해결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부품의 개수가 감소되어 제작원가를 낮출 수 있으며, 판넬을 설치하기 위해 지지구조를 조립하는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구조를 조립하고 벽체에 설치한 후에도 판넬을 유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설치작업에 비해 손쉬운 작업상태를 제공하여 작업의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4)

  1. 벽체(W)에 장착되기 위해 각 모서리 부에 지지구조가 설치되는 광고판넬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는
    판넬(P) 모서리의 교차되는 2변에 밀착될 수 있도록 모서리와 대응되는 형태로 받침부(11)가 형성되고, 받침부(11)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받침부(11)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결합부재(14)가 관통설치되는 결합부(12)가 형성된 지지부재(10)와;
    상기 결합부재(14)가 관통된 이후의 결합부(12)에 결합되며, 판넬(P)이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부(12)에서 돌출된 끝단이 판넬(P) 모서리의 선상까지 확대된 마감단(21)으로 형성된 마감구(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판넬 지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1)에는 판넬(P)이 전방으로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해 판넬(P)의 내측방으로 돌출형성된 제한돌기(13)가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판넬 지지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0)는
    판넬(P)이 전방으로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해 받침부(11)의 두께보다 넓은 두께의 폭을 갖는 제한편(31)과, 제한편(31)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마감구(20)의 관통결합에 의해 제한편(31)이 고정되도록 한 돌출편(32)으로 구성된 제한부재(3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판넬 지지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0)의 결합부(12)와 벽체(W)의 사이에 판넬(P)이 벽체(W)와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는 스페이서(40)가 간섭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판넬 지지구조.
KR2020020004770U 2002-02-18 2002-02-18 광고판넬 지지구조 KR2002750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770U KR200275020Y1 (ko) 2002-02-18 2002-02-18 광고판넬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770U KR200275020Y1 (ko) 2002-02-18 2002-02-18 광고판넬 지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020Y1 true KR200275020Y1 (ko) 2002-05-09

Family

ID=73055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770U KR200275020Y1 (ko) 2002-02-18 2002-02-18 광고판넬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02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75020Y1 (ko) 광고판넬 지지구조
KR200492672Y1 (ko) 건물 외장용 어셈블리
KR101864186B1 (ko) 건축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H10299240A (ja) 縦溝を備えたカバー条片のための固定金具
JP2007186900A (ja) エンド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長尺物の連結構造
JP2007186913A (ja) 延長ボードの取付構造
JP4605471B2 (ja) 棚板用受け具その他の接続具
KR200163581Y1 (ko) 문틀조립장치
KR200324097Y1 (ko) 천정 모서리마감구조
KR200355500Y1 (ko) 방화문용 외측판재와 내측판재의 결합 구조물
KR200219927Y1 (ko) 천장 모서리 마감재
KR200404283Y1 (ko) 도어용 통풍구
JP3969353B2 (ja) 壁パネルの連結構造
JP3370058B2 (ja) ガス栓の取付構造
JP6389549B1 (ja) 外壁取付具及び外壁取付構造
KR200243008Y1 (ko) 천정설치용 판재 구조
JPWO2017175322A1 (ja) 室内機の補助パネル及び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0330348Y1 (ko) 천장 등받이박스
JP2528113Y2 (ja) ブラインド用ブラケット
KR200193220Y1 (ko) 천정 패널 구축을 위한 지지바 체결구조
JP4325513B2 (ja) ローパーティション用パネルの連結構造及び連結スタッド
JP2005120688A (ja) コーナー部材の取付け構造および取付け具
JP2003096967A (ja) 壁パネルと天井パネルとのl字状連結材およびこれを使用する連結構造
JP3114185U (ja) ローパーティションのパネル連結構造及びパネル連結具
JP5280700B2 (ja) 装飾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