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348Y1 - 천장 등받이박스 - Google Patents

천장 등받이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348Y1
KR200330348Y1 KR20-2003-0020970U KR20030020970U KR200330348Y1 KR 200330348 Y1 KR200330348 Y1 KR 200330348Y1 KR 20030020970 U KR20030020970 U KR 20030020970U KR 200330348 Y1 KR200330348 Y1 KR 2003303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ceiling
box
back box
n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09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용
Original Assignee
김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용 filed Critical 김현용
Priority to KR20-2003-00209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3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3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3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장 등받이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실내공간의 천장을 형성하는 벽체(400)의 외측면에 상부면이 접하며 못 등과 같은 고정구(300)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되는 틈새방지구(200)와, 상기 틈새방지구(200)의 좌우 양측에 하부로 돌출되도록 각각 못등과 같은 고정구(300)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되는 연결부재(600)와, 상기 연결부재(600)에 못등과 같은 고정구(300)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되는 등받이박스(100)로 구성하여, 삽입홈(110)에 삽입되어진 삽입돌기(610)를 관통하는 못등과 같은 고정구(300)에 의해 천장 등받이박스(100)가 벽체(400)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는 틈새방지구(200)에 결합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상기 등받이박스(100)를 틈새방지구(200)에 결합시에도 못 등과 같은 고정구(300)의 머리부분이 실내공간의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되어 실내공간의 외관미가 향상됨은 물론, 상기 천장 등받이박스(100)의 외측면에 못 등과 같은 고정구(300)의 머리부분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별도의 마감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됨으로서, 상기 등받이박스(100)를 벽체(400)에 고정되게 설치시 부품수가 저감되어 작업성 및 설치비용이 절감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천장 등받이박스{Box for Back of the Ceiling}
본 고안은 천장 등받이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실내공간의 상부에 실내공간의 외관미가 향상되도록 하는 천장 등받이박스를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천장 등받이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공간의 상부를 형성하는 천장에는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천장에 설치되는 각종 등과 조화를 이루어 실내 인테리어가 한층 돋보이도록 하는 등받이박스(100')를 고정되게 설치하고 있다.
여기에서 종래 천장 등받이박스는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와 같이, 실내공간의 천장을 형성하는 벽체(400')의 외측면에 상부면이 접하며 못 등과 같은 고정구(300')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되는 틈새방지구(200')와, 상기 틈새방지구(200')의 저면에는 고정구(300')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되는 등받이박스(10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천장 등받이박스는 실내공간의 천장을 형성하는 벽체(400')의 외측면에 틈새방지구(200')를 못 등과 고정구(300')를 이용해 고정되게 설치하고, 상기 틈새방지구(200')의 저면에는 실내공간의 외관미를 향상시키기 위한 등받이박스(100')가 못 등과 같은 고정구(300')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에 의해 실내공간의 외관미를 향상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천장 등받이박스는 못 등과 같은 고정구(300')가 등받이박스(100')의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하며 틈새방지구(200')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등받이박스(100')가 실내공간의 천장을 형성하는 벽체(40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관계로, 상기 등받이박스(100')가 고정되도록 하는 못 등과 같은고정구(300')의 머리부분이 외부에서 보이게 되어 실내공간의 외관미를 저감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도 상기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못등과 같은 고정구(300')를 이용해 틈새방지구(200')에 천장 등받이박스(100')를 결합시킨 후에는,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등받이박스(100')를 관통하고 있는 고정구(300')의 머리부분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상기 등받이박스(100')의 외측면에 별도의 마감재(500')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별도의 마감재(500')를 등받이박스(100')에 설치 시에는 작업량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작업성을 저하시키게 됨은 물론, 부품수가 증가하여 천장 등받이박스를 설치시 많은 설치비용이 들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내공간의 천장을 형성하는 벽체의 외측면에 상부면이 접하며 못 등과 같은 고정구(300)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되는 틈새방지구와, 상기 틈새방지구의 좌우 양측에 하부로 돌출되도록 각각 못등과 같은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못등과 같은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되는 등받이박스로 구성하여, 상기 연결부재를 관통하는 못등과 같은 고정구에 의해 천장 등받이박스가 벽체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는 틈새방지구에 결합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상기 천장 등받이박스를 틈새방지구에 결합시에도 못 등과 같은 고정구의 머리부분이 실내공간의 외부에서보이지 않게 되어 실내공간의 외관미가 향상됨은 물론, 상기 천장 등받이박스의 외측면에 못등과 같은 고정구의 머리부분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별도의 마감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됨으로서, 상기 천장 등받이박스를 벽체에 고정되게 설치시 부품수가 저감되어 작업성 및 설치비용이 절감되도록 하는 천장 등받이박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실내공간에 천장 등받이박스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저면도
도 2는 종래 천장 등받이박스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종래 다른 천장 등받이박스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천장 등받이박스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인 천장 등받이박스의 결합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등받이박스 110 : 삽입홈
200 : 틈새방지구 300 : 고정구
400 : 벽체 600 : 연결부재
610 : 삽입돌기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그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천장 등받이박스는 도 4와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실내공간의 천장을 형성하는 벽체(400)의 외측면에 상부면이 접하며 못 등과 같은 고정구(300)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되는 틈새방지구(200)와, 상기 틈새방지구(200)의 좌우 양측에 하부로 돌출되도록 각각 못등과 같은 고정구(300)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되는 연결부재(600)와, 상기 연결부재(600)에 못등과 같은 고정구(300)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되는 등받이박스(100)로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600)의 하부에는 삽입돌기(610)가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610) 인입되는 삽입홈(110)이 등받이박스(1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됨을 밝혀 둔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천장에 설치되는 각종 등과 조화를 이루어실내 인테리어가 한층 돋보이도록 하는 등받이박스(100)를 설치시, 틈새방지구(200)의 좌우 양측에 연결부재(600)가 하부를 향하도록 못등과 같은 고정구(300)를 이용해 결합시킨 후, 상기 틈새방지구(200)를 실내공간의 천장을 형성하는 벽체(400)의 외측면에 못 등과 고정구(300)를 이용해 고정되게 설치하고, 상기 틈새방지구(200)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부재(600)에는 실내공간의 외관미를 향상시키기 위한 등받이박스(100)가 못 등과 같은 고정구(300)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등받이박스(100)의 삽입홈(110)에는 연결부재(600)의 삽입돌기(610)가 삽입된 상태에서 못등과 같은 고정구(300)가 관통되면서 결합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삽입홈(110)에 삽입되어진 삽입돌기(610)를 관통하는 못등과 같은 고정구(300)에 의해 천장 등받이박스(100)가 벽체(400)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는 틈새방지구(200)에 결합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상기 등받이박스(100)를 틈새방지구(200)에 결합시에도 못 등과 같은 고정구(300)의 머리부분이 실내공간의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되어 실내공간의 외관미가 향상됨은 물론, 상기 천장 등받이박스(100)의 외측면에 못 등과 같은 고정구(300)의 머리부분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별도의 마감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됨으로서, 상기 등받이박스(100)를 벽체(400)에 고정되게 설치시 부품수가 저감되어 작업성 및 설치비용이 절감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실내공간의 천장을 형성하는 벽체의 외측면에 상부면이 접하며 못 등과 같은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되는 틈새방지구와, 상기 틈새방지구의 좌우 양측에 하부로 돌출되도록 각각 못등과 같은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못등과 같은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되는 등받이박스로 구성되어, 삽입홈에 삽입되어진 삽입돌기를 관통하는 못등과 같은 고정구에 의해 천장 등받이박스가 벽체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는 틈새방지구에 결합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상기 등받이박스를 틈새방지구에 결합시에도 못 등과 같은 고정구의 머리부분이 실내공간의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되어 실내공간의 외관미가 향상됨은 물론, 상기 천장 등받이박스의 외측면에 못 등과 같은 고정구(300)의 머리부분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별도의 마감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됨으로서, 상기 등받이박스를 벽체에 고정되게 설치시 부품수가 저감되어 작업성 및 설치비용이 절감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실내공간의 천장을 형성하는 벽체(400)의 외측면에 상부면이 접하며 못 등과 같은 고정구(300)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되는 틈새방지구(200)와, 상기 틈새방지구(200)의 좌우 양측에 하부로 돌출되도록 각각 못등과 같은 고정구(300)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되는 연결부재(600)와, 상기 연결부재(600)에 못등과 같은 고정구(300)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되는 등받이박스(1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등받이박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600)의 하부에는 삽입돌기(610)가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610) 인입되는 삽입홈(110)이 등받이박스(1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등받이박스.
KR20-2003-0020970U 2003-07-01 2003-07-01 천장 등받이박스 KR2003303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970U KR200330348Y1 (ko) 2003-07-01 2003-07-01 천장 등받이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970U KR200330348Y1 (ko) 2003-07-01 2003-07-01 천장 등받이박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4147A Division KR20050005030A (ko) 2003-07-01 2003-07-01 천장 등받이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348Y1 true KR200330348Y1 (ko) 2003-10-17

Family

ID=49417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970U KR200330348Y1 (ko) 2003-07-01 2003-07-01 천장 등받이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34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3636A (en) Reversible escutcheon
KR200330348Y1 (ko) 천장 등받이박스
KR20050005030A (ko) 천장 등받이박스
CN210828023U (zh) 一种顶面变形缝装饰结构
JP7091126B2 (ja) 建物用ドアユニット及びパネルユニット
JP2010222827A (ja) 外壁構造
KR200224533Y1 (ko) 전선이 매입 가능한 천장 모서리 장식구
KR200192702Y1 (ko) 천장 등받이박스의 설치구조
JP3717596B2 (ja) 化粧胴差水切構造
CN210563111U (zh) 一种轻质隔墙阴角收口结构
JP2793529B2 (ja) ニッチ
KR200243008Y1 (ko) 천정설치용 판재 구조
JP4103863B2 (ja) ユニットルームの天井取付構造
KR20050117070A (ko) 건축용 단열체 및 그 시공방법
JPH0123342Y2 (ko)
JPH0556821A (ja) 壁面への箱物の取付構造
KR950008936Y1 (ko) 건물용 칸막이 연결구
JP2547298Y2 (ja) 台所キャビネット用化粧材
JPH0625150Y2 (ja) 天袋の下部構造
KR200219926Y1 (ko) 천장 모서리 마감재
JPH07189476A (ja) 多用途見切り
JPH0234345Y2 (ko)
KR200368478Y1 (ko) 유도등 케이스의 통로매입 고정구조
KR200312871Y1 (ko) 체결구를 사용하는 샤워 부스용 고정바
JPH07184765A (ja) カーテンレー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