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5398Y1 - 용접 결함이 없는 데크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용접 결함이 없는 데크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5398Y1
KR200355398Y1 KR20-2004-0010628U KR20040010628U KR200355398Y1 KR 200355398 Y1 KR200355398 Y1 KR 200355398Y1 KR 20040010628 U KR20040010628 U KR 20040010628U KR 200355398 Y1 KR200355398 Y1 KR 2003553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foot
truss girder
deck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06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테크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테크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테크노스
Priority to KR20-2004-00106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53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53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5398Y1/ko
Priority to CNB2005100055749A priority patent/CN100333868C/zh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5Light-weight girders, e.g. with precast parts

Abstract

본 고안은 트러스 거더가 부착된 데크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러스 거더의 래티스와 스폿 용접되는 돌기가 서로 맞대어 접혀 형성되어, 용접흔적이 생기지 않아 핀홀과 같은 용접결함이 없는 안정적인 구조와 미려한 외관을 갖는 데크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용접 결함이 없는 데크 플레이트{DECK PLATE FOR TRUSS DECK ASSEMBLY}
본 고안은 트러스 거더가 부착된 데크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러스 거더의 래티스와 스폿 용접되는 돌기가 서로 맞대어 접혀 형성되면서 그 높이가 높은 구조를 갖는 용접 결함이 없는 데크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형적인 데크 플레이트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크 플레이트는 크게 트러스 거더(1)와 이 트러스 거더(1)가 고정되는 바닥판(10)으로 구성되어 있다.
트러스 거더(1)는 트러스 형상의 래티스(4)를 대향되게 배치하고, 이 래티스(4)에 상부철근(6)과 하부철근(8)을 용접 고정한다. 이 래티스(4)의 하단측에는 외측으로 향하는 풋트(9)가 절곡 형성되어 있다. 이 트러스 거더의 형태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바닥판(10)은 소정 크기의 기판(11), 이 기판(11)의 양단에 형성되어 인접하는 바닥판과 연결되는 연결부(13)(14), 풋트(9)가 재치되도록 기판(11) 부분에 절곡 형성되는 돌기(15)로 구성되어 있다.
이 돌기(15)에 재치된 풋트(9)는 스폿 용접에 의해 기판(11)에 고정된다. 즉, 두 개의 전극이 풋트(9)와 기판(11)의 하면에 배치 통전되면, 용접부(풋트와 돌기)가 가열되어 용접온도에 이르면 전극으로 가압하여 용접을 행하게 된다.
그런데, 돌기(15)는 산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고 그 높이는 아주 낮은 통상 1 내지 2mm 정도이다. 이러한 산형과 낮은 높이는, 스폿용접에서 열 집중을 주기 위한 부분에 불과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인 것이다, 따라서, 돌기(15)의 정점이 어느 정도 용융하여 비이드가 형성될 때까지 전극이 가해져야하기 때문에(이것은 전극이 백플레이트 기능을 한다는 측면이 강함), 전극과 맞닿는 기판(11)의 하면에도 과전류로 인해 용접흔적이 생기게 된다. 이 용접흔적으로는 녹방지를 위한 아연도금바닥강판인 경우 도금이 벗겨져 그대로 방치할 경우 녹이 슬어 외관상 보기 좋지 않고, 강도도 저하도기 때문에 재 도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용접흔적이 심한 경우로는 과다 전류로 돌기(15) 주위에 핀홀(다수의 기공)이라는 용접결함이 생길 수 있다. 이 핀홀은, 특히 전극이나 바닥판의 표면이 완전 평면이 아니고 미세한 요철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 요철 중 볼록면이 지나친 용융으로 인해 생기는 현상으로 보인다. 이 핀홀이 있는 바닥판으로 시공하면, 핀홀을 통해 콘크리트의 수분이 누출되어 천장 마감재를 더럽히게 된다. 또한, 핀홀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철근을 부식시켜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돌기(15)에 재치된 풋트(9)에 압력을 가하면, 한쪽이 기울어지기 쉽다. 이처럼 기울어진 부분의 풋트(9)는 기판(11)과 통전하게 되고, 결국 풋트(9)의 자국이 그대로 기판(11)에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기판(11)에 용접흔적에 의한 용접 결함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기판(11) 상에 생기는 용접 결함을 없애기 위해, 두 가지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첫째, 한국등록실용신안(제234547호 및 제215040호) 및 한국등록특허(제245268호)의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용접을 전혀 행하지 않고트러스 거더와 바닥판을 서로 결합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이 방법은 결합편의 절곡이 매우 어렵고, 설령 절곡되더라도 바닥판의 길이가 길어져 비용이 상승하게 되고, 길이방향으로 쉽게 빠질 우려가 커서 시공의 안정성을 크게 해칠 우려가 있다.
둘째, 한국등록실용신안(제268380호 및 제275962호)의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용접을 하되, 양 측면에서 용접을 행하여, 바닥판에 용접흔적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양 측면에서 돌기와 래티스를 용접한다는 것은, 용접부위가 서로 대응되게 쌍으로 형성되어 있어 용접공간이 매우 협소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협소한 용접공간에 의해, 용접 작업이 매우 불편하여 용접성이 불량하고, 용접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강도가 약하고 시공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폿 용접에 의해 발생하는 도장 벗겨짐에 의한 녹이나 핀홀과 같은 용접결함을 억제시킬 수 있는 데크 플레이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데크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분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를 도시한 부분 정면도.
도 4는 도 3의 부분 측면도.
도 5a 내지 도 5e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의 다양한 돌기 형상을 도시한 부분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트러스 거더 4 : 래티스
6: 상부 철근 8 : 하부 철근
9 : 풋트 13,14 : 연결부
10,100 : 바닥판 11,110 : 기판
15,150 : 돌기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데크 플레이트는 트러스 거더와, 상기 트러스 거더의 풋트가 재치되는 돌기를 갖는 바닥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돌기는 서로 맞대어 접혀 형성되고,
상기 트러스 거더의 풋트는 상기 돌기의 상단측에 스폿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돌기가 서로 맞대어 접혀져서, 그 상단측의 두께가 어느 정도 백플레이트 기능을 하여 과도한 용접전류가 불필요하여 용접흔적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용접이 상하에서 행해지므로 용접 자세가 훨씬 편리하게 된다.
상기 돌기의 높이가 3 내지 15mm로 구성되면, 풋트와 기판간에 닿는 것을 방지하여 풋트자국과 같은 용접흔적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본 고안의 다른 트징은 트러스 거더와, 상기 트러스 거더의 풋트가 재치된 채 스폿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돌기를 갖는 바닥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돌기의 높이는 3 내지 15mm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돌기는 원호, 사각, 티(T)자, 기억(??)자, 마름모꼴, 와이(Y)자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데,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를 도시한 부분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데크 플레이트는 전술한 트러스 거더(1)와 바닥판(100)으로 구성되어 있다.
바닥판(100)은 트러스 거더(1)가 배치되는 기판(110), 기판(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곡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150)로 구성되어 있다.
돌기(150)는 기판(110)의 상방으로 눌러 절곡하고, 절곡된 양면을 서로 맞대어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맞대어진 구성에 의해, 돌기(150)의 상단측에는 충분한 살두께부(150a)가 형성되고, 이 살두께부(150a)는 백플레이트 기능을 한다. 따라서, 풋트(9)의 직경 일부가 살두께부(150a) 속에 용입되어, 충한한 강도를 얻을 뿐 아니라 외관상 비이드가 거의 보이지 않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돌기(150) 높이는 3 내지 15mm,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5mm 로 구성한다. 이처럼, 높은 돌기(150)의 구성에 의하여, 상하에서 가해지는 용접 전극에 의해, 풋트(9)가 기울어진다고 해도 기판(110)과의 접촉을 해소시켜 용접흔적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서로 맞대어 접한 형태의 수직 돌기(150)는 도 5a 내지 도 5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 돌기(150a), 아령형 돌기(150b), 원형 돌기(150c), 마름모꼴형 돌기(150d), 와이(Y)자형 돌기(150e), 기억(??)자형 돌기(150f), 티(T)자형 돌기(150g)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데크 플레이트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데크 플레이트에 의하며, ①트러스 거더의 풋트가 고정되는 바닥판의 돌기가 서로 맞대어 접함으로써, 접한 돌기의 상단측에 충분한 살두께부가 형성되고, 이 살두께부에 풋트의 일부가 용입 고정되어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있고, 아래에서 위로 볼 때 외관상 비이드가 거의 보이지 않아 깔끔하고, ②상하에서 용접하기 때문에, 용접 자세가 대단히 편리하고, ③수직 돌기가 서로 맞대어 접합 경우로, 기존의 산형 돌기와 비교할 때 재료 손실도 거의 없다.
또한, 돌기의 높이가 3 내지 15mm로 구성됨으로써, 풋트와 기판 사이의 간극이 넓어, 풋트가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기울어지더라도 기판과의 접촉을 피해 서로 통전에 의한 용접흔적을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Claims (1)

  1. 트러스 거더와,
    상기 트러스 거더의 풋트가 재치되는 돌기를 갖는 바닥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돌기는 서로 맞대어 접혀 형성되고,
    상기 트러스 거더의 풋트는 상기 돌기의 상단측에 스폿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플레이트.
KR20-2004-0010628U 2004-01-20 2004-04-17 용접 결함이 없는 데크 플레이트 KR2003553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628U KR200355398Y1 (ko) 2004-04-17 2004-04-17 용접 결함이 없는 데크 플레이트
CNB2005100055749A CN100333868C (zh) 2004-01-20 2005-01-19 用于构架甲板组件的甲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628U KR200355398Y1 (ko) 2004-04-17 2004-04-17 용접 결함이 없는 데크 플레이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4297A Division KR100451845B1 (ko) 2004-01-20 2004-01-20 용접 결함이 없는 데크 플레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5398Y1 true KR200355398Y1 (ko) 2004-07-06

Family

ID=49433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0628U KR200355398Y1 (ko) 2004-01-20 2004-04-17 용접 결함이 없는 데크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53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589B1 (ko) * 2011-02-22 2011-08-18 주식회사 윈스틸 래티스의 풋트 용접부 강도 강화형 데크 플레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589B1 (ko) * 2011-02-22 2011-08-18 주식회사 윈스틸 래티스의 풋트 용접부 강도 강화형 데크 플레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07918A1 (en) Laser-welded crane rail for suspended crabs
KR200355398Y1 (ko) 용접 결함이 없는 데크 플레이트
JP4777425B2 (ja) 非溶接トラスデッキプレート及びこの製造方法
KR100451845B1 (ko) 용접 결함이 없는 데크 플레이트
JP5027531B2 (ja) 車体パネルの結合部の構造
KR20050102742A (ko) 용접 결함이 없는 데크플레이트
KR101057589B1 (ko) 래티스의 풋트 용접부 강도 강화형 데크 플레이트
KR200343274Y1 (ko) 트러스 데크 어셈블리용 데크 플레이트
CN100333868C (zh) 用于构架甲板组件的甲板
KR20170097302A (ko) 조립방식의 이중 퍼린에 의해 지지되는 금속패널지붕-트러스 구조체
JP5027518B2 (ja) 車体パネルの結合部の構造
KR200368262Y1 (ko) 데크 플레이트
JP3904528B2 (ja) すがもれ防止瓦屋根
JPH0430504B2 (ko)
CN219100576U (zh) 一种金属基板集成岩板及其安装结构
JPH0416819Y2 (ko)
JP2002018596A (ja) 溶接用裏当て
KR20060082950A (ko) 고리 고정의 트러스 데크 어셈블리
JPH0686758B2 (ja) 天窓用水切り
KR20060082951A (ko) 고리 용접의 트러스 데크 어셈블리
JPH09271992A (ja) T継手用裏当て材
KR200389831Y1 (ko) 용접부 접합구조를 개선한 데크플레이트
JP2899554B2 (ja) 折板屋根構造、およびこれに用いる天井板支持具
JP2008184024A (ja) 車体パネルの結合部の構造
JP3717779B2 (ja) 金属製梁と角形金属管製柱との接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