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5178Y1 - 자전거용 더블 스탠드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더블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5178Y1
KR200355178Y1 KR20-2004-0000830U KR20040000830U KR200355178Y1 KR 200355178 Y1 KR200355178 Y1 KR 200355178Y1 KR 20040000830 U KR20040000830 U KR 20040000830U KR 200355178 Y1 KR200355178 Y1 KR 2003551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astening
shaft
ground
fasten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08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주
노성호
Original Assignee
삼천리자전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천리자전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천리자전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008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51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51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51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1/0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 B62H1/02Articulated stands, e.g. in the shape of hinged arms
    • B62H1/04Substantially U-shaped stands for embracing the rear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2700/00Supports or stands for two-whee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xle Suspensions And Sidecars For Cy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전거용 더블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바퀴의 허브축(62) 양단측에 각각 고정되어 설치되는 제1 및 제2 체결브라켓(20,30)과, 지면에 지지되는 지면지지부(12)와 상기 지면지지부(12)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체결브라켓(20,3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축지지부(13)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브라켓(20,30)에 일단부가 연결된 탄성부재(25,35)의 탄성력을 선택적으로 받는 지지레그(10)와, 상기 체결브라켓(20,30)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걸어져 상기 지지레그(10)가 상기 체결브라켓(20,30)에 대해 회전된 상태를 선택적으로 체결하는 체결레버(40)와, 상기 일측 체결브라켓(20,30)과 이에 연결되는 축지지부(13)가 상기 허브축(62)의 일단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변속기(68)가 안착되는 안착공간(38)을 형성하는 도피절곡부(15,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변속기(68)를 구비하는 자전거를 더블 스탠드로 보다 견고하고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전거용 더블 스탠드{A double stand for bicycle}
본 고안은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를 세워서 보관할 수 있도록 뒷바퀴를 지지하는 자전거용 더블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는 일반적으로 프레임의 전후에 각각 구비되는 바퀴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것으로, 세워서 보관하기 위해서는 스탠드로 지지하여야만 한다. 일반적으로 스탠드는 뒷바퀴쪽에 구비되어 자전거 전체를 지지한다.
이와 같은 스탠드는 싱글스탠드와 더블스탠드가 있는데, 이중 싱글스탠드는 뒷바퀴의 회전축 일단부쪽에 구비되어 자전거를 약간 기울어진 상태로 지지한다. 그리고 더블스탠드는 뒷바퀴의 회전축 양단부를 동시에 지지함과 동시에 지면에 안착되어 뒷바퀴가 지면에서 들어진 상태로 지지되게 한다.
상기 싱글스탠드는 가볍고 간편하나 안정성 및 무거운 하중을 지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고, 더블스탠드는 안정성 및 정립성은 좋으나 상대적으로 무겁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 생산되는 자전거에는 대부분 변속기가 장착되는데, 변속기는 일반적으로 뒷바퀴의 회전축 일단부측에 구비되므로 더블스탠드를 사용할 경우 서로 간섭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간섭을 피하기 위해 종래에는 더블스탠드를 뒷바퀴의 허브축에 연결하기 위한 체결브라켓을 허브축에서 후방으로 이격시켜 연장되게 하고, 실질적으로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레그가 허브축에서 이격된 위치에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이 되면 자전거의 하중에 의해 더블 스탠드에 모멘트가 발생하고 자전거에 과다한 하중이 가해질 경우 자전거가 쓰러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스탠드에 모멘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뒷바퀴의 허브축 양단을 더블스탠드의 지지레그가 지지할 수 있도록 하려면 변속기와의 간섭을 없애기 위해서는 변속기가 설치되는 쪽의 허브축의 단부와 연결되는 지지레그의 부분이 상대적으로 허브축의 중간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 연결된다.
따라서, 후방에서 볼 때 뒷바퀴의 상하방향 중심축과 더블 스탠드의 중심축이 서로 일치하지 않게 되어 외관상 균형이 맞지 않게 되고, 지지레그에 의한 지지상태가 약간 기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더블 스탠드를 채용한 자전거에서는 변속기의 보호를 위해 별도의 변속기 보호구를 장착하여야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변속기가 구비되는 자전거에서 사용할 수 있는 더블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변속기가 구비되는 자전거에서 더블 스탠드가 뒷바퀴에 대해 좌우대칭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변속기가 구비되는 자전거에서 더블 스탠드의 지지레그가 뒷바퀴의 허브축과 직교하여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더블 스탠드가 변속기의 보호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용 더블 스탠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좌측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우측면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의 더블스탠드가 허브축에 설치되는 것을 보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지지레그 12: 지면지지부
13: 축지지부 14: 경사연장부
14': 직선연장부 15: 도피절곡부
15': 직선연장부 16: 연결부
18: 가이드브라켓 19: 스토퍼핀
20,30: 제1 및 제2체결브라켓 21,31: 가이드슬롯
22,32: 축관통공 23,33: 프레임커버부
24,34: 걸이돌부 25,35: 탄성부재
37: 도피절곡부 38: 안착공간
40: 체결레버 42: 체결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바퀴의 허브축 양단측에 각각 고정되어 설치되는 제1 및 제2 체결브라켓과, 지면에 지지되는 지면지지부와 상기 지면지지부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체결브라켓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축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브라켓에 일단부가 연결된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선택적으로 받는 지지레그와, 상기 체결브라켓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걸어져 상기 지지레그가 상기 체결브라켓에 대해 회전된 상태를 선택적으로 체결하는 체결레버와, 상기 일측 체결브라켓과 이에 연결되는 축지지부가 상기 허브축의 일단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변속기가 안착되는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도피절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피절곡부는 상기 체결브라켓과 축지지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체결브라켓과 축지지부에 각각 형성된 도피절곡부는 서로 협력하여 상기 안착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체결브라켓에는 각각 소정의 곡률로 가이드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레그에 구비된 스토퍼핀이 이동가능하게 위치되어 지지레그의 회전범위를 지지한다.
상기 체결브라켓에는 자전거 프레임의 일측 외면을 둘러싸도록 프레임의 일측 외형과 대응되는 프레임커버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커버부와 인접한 위치에는 각각 상기 허브축이 관통하는 축관통공이 천공된다.
상기 지지레그의 지면지지부는 상기 축지지부와 연결되는 부분이 지면에 접촉되게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축지지부는 소정의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연장부와 경사연장부에서 일직선으로 연장되는 직선연장부로 구성되며, 상기 도피절곡부는 일측 직선연장부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용 더블 스탠드는 변속기가 구비되는 자전거에 채용되어 자전거를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고, 감속기의 보호를 위한 별도의 보호구를 장착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용 더블 스탠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용 더블 스탠드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서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정면도,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더블스탠드가 허브축에 설치되는 것을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지지레그(10)는 자전거의 뒷바퀴에 설치되어 뒷바퀴를 지면에서 분리시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레그(10)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봉을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지면에 지지되는 지면지지부(12)가 구비된다. 상기 지면지지부(12)는 자전거의 뒷바퀴의 회전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지면지지부(12)는 자전거의 뒷바퀴 측의 좌우폭보다는 약간 더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면지지부(12)는,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단이 그 중간부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게 형성되어 있어 실질적으로 그 양단부가 지면에 닿게 된다.
상기 지면지지부(12)의 양단에서 일체로 연장되어서는 축지지부(13)가 구비된다. 상기 축지지부(13)는 뒷바퀴의 허브축(62) 양단 측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지면지지부(12)의 양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된다. 상기 축지지부(13)는 각각 상기 지면지지부(12)의 양단에서 뒷바퀴의 중심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연장부(14)와 상기 경사연장부(14)의 선단에서 직선으로 연장되는 직선연장부(14')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일측 축지지부(13)에는 도피절곡부(15)가 구비된다. 상기 도피절곡부(15)는 반대쪽의 축지지부(13)에서 상대적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뒷바퀴에 구비되는 변속기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도피절곡부(15)의 선단에는 상기 직선연장부(14')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직선연장부(15')가 소정 길이 구비된다.
상기 축지지부(13)의 최선단에는 연결부(16)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16)는 봉형상인 지지레그(10)의 다른 부분과는 달리 납작하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16)와 마주보게 상기 축지지부(13)에는 가이드브라켓(18)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브라켓(18)은 상기 지지레그(10)와 별도로 제작되어 용접등의 방법으로 부착된다. 상기 가이드브라켓(18)에는 스토퍼핀(19)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레그(10)의 회전범위를 규제하게 된다.
상기 축지지부(13)중 도피절곡부(15)가 형성되지 않은 쪽의 연결부(16)에는 제1체결브라켓(20)이 회전중심핀(20')으로 상기 연결부(16)와 가이드브라켓(18)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1체결브라켓(20)이 뒷바퀴의 허브축(62)에 고정되면 상기 지지레그(10)가 상기 회전중심핀(20')을 중심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체결브라켓(20)에는 가이드슬롯(21)이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롯(21)은 상기 스토퍼핀(19)이 관통하는 부분으로, 상기 가이드슬롯(21)을 관통한 스토퍼핀(19)은 그 양단이 각각 상기 연결부(16)와 가이드브라켓(18)에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핀(19)은 상기 가이드슬롯(21)의 내부에 위치되어 가이드슬롯(21)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지지레그(10)의 회전범위를 규제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슬롯(21)의 곡률중심은 상기 회전중심핀(20')이 된다.
상기 제1체결브라켓(20)에는 축관통공(22)이 형성된다. 상기 축관통공(22)을 뒷바퀴의 허브축(62)이 관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체결브라켓(20)의 상단 일측에는 프레임커버부(23)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커버부(23)는 대략 파이프 형상인 프레임(66)의 일측을 소정 범위 감쌀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커버부(23)는 자전거의 프레임(66) 일측의 외면에 안착되어 제1체결브라켓(20)이 임의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체결브라켓(20)의 일측에는 걸이돌기(24)가 형성되는데, 이에는 탄성부재(25)의 일단부가 걸어진다. 상기 탄성부재(25)는 제1체결브라켓(20)과 지지레그(10) 및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레버(40) 사이에서 탄성력을 작용하여지지레그(10)가 특정한 위치에 있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지지레그(10)가 지면에 대해 들어올려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도피절곡부(15)가 형성된 쪽의 연결부(16)에는 제2체결브라켓(30)이 구비된다. 상기 제2체결브라켓(30)은 상기 연결부(16)와 가이드브라켓(18)의 사이에 구비되고 양단이 상기 연결부(16)와 가이드브라켓(18)에 각각 지지되는 회전중심핀(30')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중심핀(30')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레그(10)가 상기 제2체결브라켓(30)에 대해 회전된다.
상기 제2체결브라켓(30)에도 가이드슬롯(31)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슬롯(31) 역시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그 곡률중심은 상기 회전핀(30')이다. 상기 가이드슬롯(31)에는 양단이 상기 연결부(16)와 가이드브라켓(18)에 지지되는 스토퍼핀(19)이 위치된다. 상기 스토퍼핀(19)은 상기 지지레그(10)의 회전범위를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체결브라켓(30)에도 상기 제1체결브라켓(20)과 대응되는 위치에 축관통공(32)이 천공된다. 상기 축관통공(32)에는 뒷바퀴의 회전축의 일단부측이 관통하게 된다. 상기 축관통공(32)이 형성된 제2체결브라켓(30)에 인접하여서는 프레임커버부(33)가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커버부(33) 역시 대략 파이프 형상인 프레임(66)의 일측을 소정 범위 감쌀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커버부(33)는 자전거의 프레임(66) 일측의 외면에 안착되어 제2체결브라켓(30)이 임의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체결브라켓(30)의 일측에는 걸이돌기(34)가 형성되고, 상기 걸이돌기(34)에는 탄성부재(35)의 일단부가 걸어진다. 상기 탄성부재(35)의 타단부는 상기 도피절곡부(15)의 일측에 걸어진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25)는 상기 지지레그(10)와 제2체결브라켓(30)과의 사이에서 탄성력을 발휘하여 지지레그(10)가 특정한 위치에 있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지지레그(10)가 지면에 대해 수평으로 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2체결브라켓(30)에는 도피절곡부(37)가 형성된다. 상기 도피절곡부(37)는,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레그(10)의 도피절곡부(15)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제2체결브라켓(30)을 단차지게 만든다. 상기 제2체결브라켓(30)에 도피절곡부(37)가 형성됨에 의해 상기 지지레그(10)의 중심선(m)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2 체결브라켓(20,30)의 상단(축관통공(22,32)이 형성된 부분)이 대칭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즉, 상기 도피절곡부(37)(15)들은 상기 지지레그(10)의 축지지부(13) 상단과 제2체결브라켓(30)의 하단이 상대적으로 지지레그(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변속기(68)가 설치될 수 있는 안착공간(38)(도 2참고)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하지만 제2체결브라켓(30)의 상단은 중심선(m)을 중심으로 제1체결브라켓(20)의 상단과 대칭이 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레그(10)가 상기 체결브라켓(20,30)에 대해 회전된 상태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레버(4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제1체결브라켓(20)이 구비된 상기 지지레그(10)의 축지지부(13) 선단에 형성된 연결부(16)에는 회전중심축(40')을 중심으로 체결레버(40)가 소정 각도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체결레버(40)에는 상기 탄성부재(25)의 일단부가 걸어져 있다.
상기 체결레버(40)의 일측에는 체결부(42)가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42)는 상기 체결레버(40)가 상기 회전중심축(40')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25)의 탄성력에 의해 당겨짐에 의해, 상기 제1체결브라켓(20)의 일측에 걸어진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상기 지지레그(10)가 회전중심핀(20',30')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방지한다. 물론 상기 체결레버(40)가 회전중심축(40')을 중심으로 반대로 회전되면 상기 체결부(42)가 더 이상 상기 제1체결브라켓(20)의 일측에 걸어지지 않아 지지레그(1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체결레버(40)는 상기 탄성부재(2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레그(10)의 상태를 선택적으로 체결하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는 다음과 같다. 60은 뒷바퀴의 허브이고, 64는 스프라켓, 70은 짐받이다리, 71은 흙받이 다리, 72는 와셔, 73은 너트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용 더블 스탠드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서 더블 스탠드가 설치되는 것을 설명한다. 뒷바퀴의 허브(60)의 중심에서 양단으로 돌출된 허브축(62)의 일측에는 스프라켓(64)이 구비되고, 상기 스프라켓(64)의 외측으로 프레임(66)이 구비된다. 물론 상기 스프라켓(64)이 구비된 반대쪽으로 돌출된 허브축(62)에는 스프라켓(64)없이 프레임(66)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라켓(64)이 구비된 쪽의 허브축(62)에는 변속기(68)가 장착된다. 상기 변속기(68)가 장착된 허브축(62)의 외측에 더블 스탠드의 체결브라켓(20,30)이 장착된다. 즉, 상기 체결브라켓(20,30)의 축관통공(22,32)을 허브축(62)이 관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체결브라켓(30)의 도피절곡부(37)와 지지레그(10)의 도피절곡부(15)에 의해 형성되는 안착공간(38)에 상기 변속기(68)가 안착된다. 이때, 상기 도피절곡부(37)(15)를 포함하는 제2체결브라켓(30)은 변속기(68)를 외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커버역할도 하게 된다.
상기 체결브라켓(20,30)이 설치된 후에는, 양단의 허브축(62)에 짐받이다리(70), 흙받이다리(71)등을 각각 설치하고, 각각 와셔(72)를 개재한 상태로 상기 허브축(62)에 너트(73)를 죄어주면 조립이 완성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브라켓(20,30)은 상기 허브축(62)과 연결되는 부분이 지지레그(10)의 중심선(m)에서 대칭이 되는 위치에 있고, 안착공간(38)이 형성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지지레그(10)의 부분 역시 중심선(m)을 중심으로 양단이 서로 대칭이다. 따라서 뒷바퀴의 허브(60)의 중심과 상기 중심선(m)은 서로 일치하게 되고 뒷바퀴를 전방이나 후방에서 볼 때, 지지레그(10)의 중심선(m)에 뒷바퀴의 중심이 위치하게 되어 외관상으로도 대칭을 이루게 된다.
또한,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레그(10)의 지면지지부(12) 양단이 뒷바퀴의 중심, 즉 자전거의 중심에서 동일한 거리에 있게 되므로 자전거의 지지상태가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된다.
한편, 상기 지지레그(10)의 선단의 연결부(16)측은 상기 축지지공(22,32)의거의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허브축(62)에 가해지는 자전거의 하중과 자전거를 지지하는 지지레그(10)에 의해 모멘트가 발생하는 것이 최소화된다. 이는 모멘트의 팔길이가 되는 상기 지지레그(10)의 연장선과 허브축(62)사이의 최단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아지기 때문이다. 이는 상기 변속기(68)와 더블 스탠드 사이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구성인 도피절곡부(37,15)가 허브축(62)의 연장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의 더블 스탠드는 변속기를 사용하는 자전거에서 변속기와의 간섭없이 뒷바퀴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변속기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도피절곡부가 허브축의 선단 연장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스탠드의 지지레그가 뒷바퀴의 허브축과 상대적으로 덜 이격되어 모멘트의 발생이 최소화되어 자전거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서는 제2브라켓과 지지레그의 도피절곡부에 의해 형성되는 안착공간에 변속기가 안착되어 제2브라켓과 지지레그에 의해 외력으로부터 보호된다. 따라서, 변속기를 외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도 있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에서는 지지레그의 중심선과 뒷바퀴의 중심선이 서로 일치하게 구성되므로, 자전거를 후방이나 전방에서 볼 때, 스탠드의 지지레그가 뒷바퀴의 허브축 양단에서 대칭이 되는 위치에서 지면에 지지될 수 있어 지지상태가 안정적이 되고 외관상으로도 대칭으로 균형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바퀴의 허브축 양단측에 각각 고정되어 설치되는 제1 및 제2 체결브라켓과,
    지면에 지지되는 지면지지부와 상기 지면지지부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체결브라켓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축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브라켓에 일단부가 연결된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선택적으로 받는 지지레그와,
    상기 체결브라켓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걸어져 상기 지지레그가 상기 체결브라켓에 대해 회전된 상태를 선택적으로 체결하는 체결레버와,
    상기 일측 체결브라켓과 이에 연결되는 축지지부가 상기 허브축의 일단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변속기가 안착되는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도피절곡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스탠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피절곡부는 상기 체결브라켓과 축지지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체결브라켓과 축지지부에 각각 형성된 도피절곡부는 서로 협력하여 상기 안착공간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스탠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브라켓에는 각각 소정의 곡률로 가이드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레그에 구비된 스토퍼핀이 이동가능하게 위치되어 지지레그의 회전범위를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스탠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브라켓에는 자전거 프레임의 일측 외면을 둘러싸도록 프레임의 일측 외형과 대응되는 프레임커버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커버부와 인접한 위치에는 각각 상기 허브축이 관통하는 축관통공이 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스탠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그의 지면지지부는 상기 축지지부와 연결되는 부분이 지면에 접촉되게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축지지부는 소정의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연장부와 경사연장부에서 일직선으로 연장되는 직선연장부로 구성되며, 상기 도피절곡부는 일측 직선연장부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스탠드.
KR20-2004-0000830U 2004-01-13 2004-01-13 자전거용 더블 스탠드 KR2003551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830U KR200355178Y1 (ko) 2004-01-13 2004-01-13 자전거용 더블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830U KR200355178Y1 (ko) 2004-01-13 2004-01-13 자전거용 더블 스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5178Y1 true KR200355178Y1 (ko) 2004-07-03

Family

ID=49347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830U KR200355178Y1 (ko) 2004-01-13 2004-01-13 자전거용 더블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517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715A (ko) 2018-06-28 2020-01-07 주식회사 로보쓰리 전동주행 전환용 휠체어 동력장치
US20230331335A1 (en) * 2016-09-02 2023-10-19 Razor Usa Llc Anti-rattle folding scoot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331335A1 (en) * 2016-09-02 2023-10-19 Razor Usa Llc Anti-rattle folding scooter
KR20200001715A (ko) 2018-06-28 2020-01-07 주식회사 로보쓰리 전동주행 전환용 휠체어 동력장치
KR102158013B1 (ko) * 2018-06-28 2020-09-21 주식회사 로보쓰리 전동주행 전환용 휠체어 동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1624B2 (en)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TWI345538B (en) Two-wheeled vehicle with rear suspension
US6457732B2 (en) Front suspension structure
US10829177B2 (en) Rolling motor vehicle
CN107963168B (zh) 用于车轮对齐的悬吊支架结构
KR200355178Y1 (ko) 자전거용 더블 스탠드
ITRM950812A1 (it) Veicolo con almeno tre ruote con sistema di sospensione
JP5573907B2 (ja) 下部ジブ
TWI723192B (zh) 具載荷外殼的摩托車的前行李架
WO2014174855A1 (ja) 自動二輪車のサイドスタンド
JP5578686B2 (ja) 二輪車のスタンド
CN105818853B (zh) 转向装置
WO2012120753A1 (ja) 折り畳み式ベビーカーの自立構造
JP2009154634A (ja) 緩衝キャスター
JP2020124949A (ja) 二輪車
JP3959561B2 (ja) ホイールクレーンのアウトリガ補強部材
JP7175012B2 (ja) 折りたたみ式自転車
KR200168923Y1 (ko) 등받이 절첩구조를 가진 오토바이용 짐받이
KR20120021839A (ko) 스트러트 마운팅 타입 스테빌라이저바 장치
CN205469377U (zh) 一种自行车前置双杆支撑装置
JP2009107608A (ja) 折りたたみ式自転車
JP6612627B2 (ja) 移動可能な踏み台
JP4098819B1 (ja) 自転車用荷台
JP3607938B2 (ja) 田植機のサイドマーカ
ES2281469T3 (es) Dispositivo de planch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