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5150Y1 - 레인지 후드 스위치부 결착구조 - Google Patents

레인지 후드 스위치부 결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5150Y1
KR200355150Y1 KR20-2004-0010155U KR20040010155U KR200355150Y1 KR 200355150 Y1 KR200355150 Y1 KR 200355150Y1 KR 20040010155 U KR20040010155 U KR 20040010155U KR 200355150 Y1 KR200355150 Y1 KR 2003551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case
range hood
upper case
latch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01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츠
Priority to KR20-2004-00101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51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51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51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케이스, 하부케이스, 및 상기 상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메인PCB에 전달하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는 레인지후드 스위치부에서, 상기 상부케이스는 스위치노브를 수용하며 스위치부의 외장을 구성하는 표면부; 및, 상기 표면부의 하부면 테두리로부터 소정의 간견 내측으로 이격된 후 수직하향으로 연장된 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케이스에는 수직상향으로 연장돌출된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에서 외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걸림쇠;가 소정의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고, 상기 상부케이스에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기 걸림쇠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절개되어 형성된 걸림쇠수용부가 소정의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후드 스위치부 결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레인지 후드 스위치부 결착구조{Switch Case Coupling Link for Range hood}
기술분야
본 고안은 레인지후드 스위치부의 결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레인지후드의 소정의 위치에 상기 스위치부를 수용하도록 절개되어 있는 통공에 상기 스위치부를 결합시키기 위한 스위치부의 결착구조에 관한 고안이다.
종래기술
종래의 주방용 레인지후드에는 송풍기의 팬모타와 조명기구를 작동하기 위하여 PUSH스위치 또는 ROCKER스위치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PUSH스위치의 경우는 레인지후드에 직접 체결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어 별도의 브라켓에 나사결합된 후 PUSH스위치가 결합된 브라켓을 레인지후드의 몸체 일부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PUSH스위치를 결합하였다.
따라서 PUSH스위치를 결합하는 공정에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한 번 결합된 PUSH스위치를 분리하는 작업에도 또한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비경제적이었으며, PUSH스위치와 레인지후드의 사이에 결합매개체로서 별도의 브라켓이 요구되는 불편함도 수반되었다.
한편, ROCKER스위치의 경우에도 별개로 구성된 스위치를 하나 씩(보통 4개 정도) 하네스에 연결하고 난 후 레인지후드에 체결해야 하는 바 작업이 번거롭고,일단 한 번 체결되고 나면 레인지후드로부터 분리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ROCKER스위치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스위치를 일체로 모듈화한 일체형의 스위치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모듈화된 일체형의 스위치부의 경우 다수 개의 스위치가 하나의 스위치부에 미리 조립된 상태로 마련되어 있는 바, 일체형의 스위치부를 레인지후드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절개부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스위치부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기존의 일체형의 스위치부의 경우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에 결착구조인 걸림쇠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걸림쇠를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부의 상부케이스에 성형하기 위해서는 사출금형의 제작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왜냐하면 단순하게 상부금형과 하부금형만으로는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단면을 성형한 후 성형품을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으로부터 이형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스위치부의 상부케이스에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종래의 걸림쇠를 성형하기 위해서는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이외에 별도의 슬라이드코어와 슬라이드블럭이 필요하여 금형제작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걸림쇠와 상부케이스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는 그 길이가 짧고 상부케이스의 표면과 같은 평면을 유지하면서 상부케이스의 표면부 바로 아래에 마련되어 있는 바, 일단 스위치부가 레인지후드에 장착이 되고 나면 스위치부를 다시 레인지후드로부터 분리하는데 큰 힘이 소요되어 분리가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왜냐하면 분리를 위하여 걸림쇠를 상부케이스의 내측으로 밀어 넣어야 하기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레인지후드의 내측으로 상부케이스의 표면부 바로 아래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쇠까지 적절한 공구를 접근시켜 걸림쇠를 상부케이스의 내측으로 밀어 넣어야 하나 걸림쇠에 연결된 연결부재의 길이가 짧아 상당한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한 걸림쇠가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지 않는다.
따라서 일단 한 번 장착이 된 스위치부를 분리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분리과정에서 스위치부의 걸림쇠 및 연결부재가 손상되어 재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자주 발생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레인지후드의 모터와 조명 등을 제어하는 스위치부의 장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새로운 형식의 결착구조가 마련된 스위치부를 제공함을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본 고안인 스위치부를 구성하는 상부케이스의 제작시 필요한 사출금형의 형태를 단순화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을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장착된 스위치부를 필요시에는 스위치부를 손상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새로운 형식의 결착구조를 제공함을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1a 및 도1b는 종래의 스위치부의 결착구조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걸림쇠가 스위치부의 상부케이스에 형성되어 있다.
도2는 본 고안의 스위치부의 결착구조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걸림쇠가 스위치부의 하부케이스에 형성되어 있다.
도3은 본 고안의 주요 구성요소인 걸림쇠의 단면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걸림쇠가 하부케이스의 외측으로 편향되도록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수직상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상부케이스 110:표면부
120:몸체부 130:걸림쇠수용부
200:하부케이스 210:걸림쇠
212:연결부재 214:걸림돌기부
300:스위치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고안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상부케이스, 하부케이스, 및 상기 상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메인PCB에 전달하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는 레인지후드 스위치부에서, 상기 상부케이스는 스위치노브를 수용하며 스위치부의 외장을 구성하는 표면부; 및, 상기 표면부의 하부면 테두리로부터 소정의 간견 내측으로 이격된 후 수직하향으로 연장된 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케이스에는 수직상향으로 연장돌출된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에서 외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걸림쇠;가 소정의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고, 상기 상부케이스에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기 걸림쇠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절개되어 형성된 걸림쇠수용부가 소정의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후드 스위치부 결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의 스위치부의 결착구조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걸림쇠가 스위치부의 하부케이스에 형성되어 있음을 보여 준다.
상부케이스(100)는 표면부(110), 몸체부(120), 및 몸체부(120)에 마련된 걸림쇠수용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표면부(11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100)에서 각종 스위치노브(Switch Knob)를 수용하며 레인지후드에 장착된 상태에서 스위치부의 외장을 구성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레인지후드에 스위치부(300)를 수용하기 위하여 절개되어 있는 통공의 크기보다 표면부의 크기가 더 크게 설계되어 스위치부(300)가 레인지후드에 장착되면 절개되어 있는 통공을 완전히 덮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스위치부(300)가 레인지후드에 장착되면 레인지후드에 절개되어 있는 통공은 스위치부(300)의 표면부(110)에 의하여 감추어지게 된다.
몸체부(12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부(110)의 하부면 테두리로부터 소정의 간격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수직하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몸체부(120)의 내부에는 스위치부(300)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 주요 작동 요소들이 설치된다.
몸체부(120)는 표면부(110)의 하부면 테두리로부터 소정의 간격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수직하향으로 연장되는 바, 결과적으로 몸체부(120)가 형성하는 단면적은 표면부(110)의 표면적보다 작게된다.
다시 말하면 몸체부(120)는 레인지후드에 절개되어 있는 통공의 내부로 삽입되기에 충분한 크기로 설계되어 있다. 즉, 통공이 크기보다 약간 작은 단면적을 가지고 있어 스위치부를 장착하기 위하여 레인지후드에 마련된 통공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된다.
걸림쇠수용부(13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2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걸림쇠수용부(130)는 후술하는 하부케이스(200)의 걸림쇠(210)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바, 걸림쇠(210)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걸림쇠수용부(13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쇠(210)와 대응하는 위치에 몸체부(12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어 있는 바,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걸림쇠(210)를 소정의 힘으로 압박하면 걸림쇠(210)가 걸림쇠수용부(130)의 내부로 휘어지면서 수용되고 외부의 힘이 작용하지 않으면 걸림쇠(210)는 탄성력으로 다시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걸림쇠수용부(130)는 걸림쇠(210)의 작동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케이스(200)는 상부케이스(100)의 몸체부(120)의 개방된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한 디스플레이부 등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하부케이스(200)는 연결부재(212) 및 걸림돌기부(214)로 구성되는 걸림쇠(210)가 소정의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다.
연결부재(212)는 하부케이스(200)에서 수직상향으로 연장돌출되어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연결부재(212)는 하부케이스(200)의 하부면에서 상향으로 연장되는 판재로서 외부의 힘이 작용하면 하부케이스(200)의 내측으로 휘어지나, 외부의 힘이 작용하지 않으면 탄성력으로 다시 본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걸림돌기부(214)는 연결부재(212)의 단부에서 외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걸림돌기부(214)의 구체적 형상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직각삼각형 또는 화살촉과 유사한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직각삼각형 등과 유사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스위치부(300)를 레인지후드에 마련된 통공에 삽입하여 결합하는 과정에서 걸림쇠(210)가 자연스럽게 통공의 크기에 따라 내측으로 휘어지게 되어 용이하게 삽입이 이루어지고, 일단 삽입이 되면 걸림쇠(210)가 다시 탄성력으로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안정되게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3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에 의하면, 걸림쇠(210)의 연결부재(212)가 하부케이스(200)의 외측으로 편향되도록 소정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외측으로 편향되도록 연결부재(212)가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져 수직상향으로 연장된 경우 하부케이스(200)와 상부케이스(100)가 결합된 상태의 스위치부(300)가 레인지후드의 통공에 삽입되어 결합된 후 스위치부(300)를 다시 분리하는 공정이 필요한 경우 레이지후드의 내측인 스위치부(300)의 하부케이스(200) 방향에서 스위치부(300)의 표면부(110) 방향으로 소정의 공구를 사용하거나 손을 사용하여 걸림돌기부(214)를 직접 접촉하여 걸림돌기부(214)가 스위치부의 내측으로 휘어지도록 압박하지 않더라도 걸림돌기부(214)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접근이 용이한 연결부재(212)을 스위치부(300)의 내측으로 휘어지도록 압박을 가하고, 결과적으로 걸림돌기부(214)가 내측으로 휘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하부케이스(200)의 외측으로 편향되도록 연결부재(212)가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져 있는 바, 하부케이스(200)와 상부케이스(1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부재(212)는 몸체부(120)의 외부로 약간 돌출된 상태을 유지하고 있어 별도의 공구가 없더라도 직접 손을 사용하여 연결부재(212)을 걸림쇠수용부(130)의 내측으로 휘어지게 할 수 있다. 즉 보다 용이하게 스위치부(300)의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실시예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밝혀 둔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레인지후드의 모터와 조명 등을 제어하는 스위치부를 레인지후드에 장착함에 있어서, 새로운 형식의 결착구조가 마련된 스위치부를 제공하여 보다 편리하게 스위치부를 레인지후드에 장착할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인 스위치부를 구성하는 상부케이스의 제작시 필요한 사출금형의 형태를 단순화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결착구조를 상부케이스가 아닌 하부케이스에 마련하여 사출금형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즉, 종전에는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이외에 별도의 슬라이드블록이나 슬라이드코어 등이 필요하였으나 본 고안의 경우는 결착구조가 마련된 하부케이스 성형시 별도의 슬라이드블록이난 슬라이드코아가 요구되지 않는다.
셋째, 장착된 스위치부를 필요시에는 스위치부를 손상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걸림쇠가 하부케이스에 마련되어 있으며 걸림쇠와 연결된 연결부재의 길이가 길어 종전의 상부케이스에 마련된 짧은 연결부재에 비하여 훨씬 적은 힘으로 걸림쇠를 하부케이스의 내측으로 밀어 넣을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가 소정의 각도로 외측 편향되도록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직접 걸림쇠를 밀어 넣지 않고 연결부재를 내측으로 용이하게 밀어 넣음으로써, 결과적으로 걸림쇠를 밀어 넣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소정의 공구를 걸림쇠가 있는 곳까지 접근시킬 필요없이 연결부재가 닿을 수 있는 곳까지 접근시킨 상태에서 연결부재에 압박을 가하여 연결부재를 용이하게 내측으로 밀어 넣을 수 있는 바, 보다 용이하게 스위치부의 분리가 가능하다.

Claims (2)

  1. 상부케이스, 하부케이스, 및 상기 상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메인PCB에 전달하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는 레인지후드 스위치부에서,
    상기 상부케이스는 스위치노브를 수용하며 스위치부의 외장을 구성하는 표면부;및,
    상기 표면부의 하부면 테두리로부터 소정의 간견 내측으로 이격된 후 수직하향으로 연장된 몸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케이스에는 수직상향으로 연장돌출된 연결부재;및,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에서 외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걸림쇠;
    가 소정의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고,
    상기 상부케이스에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기 걸림쇠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절개되어 형성된 걸림쇠수용부가 소정의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후드 스위치부 결착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걸림쇠의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하부케이스의 외측으로 편향되도록 소정의 각도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후드 스위치부 결착구조.
KR20-2004-0010155U 2004-04-13 2004-04-13 레인지 후드 스위치부 결착구조 KR2003551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155U KR200355150Y1 (ko) 2004-04-13 2004-04-13 레인지 후드 스위치부 결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155U KR200355150Y1 (ko) 2004-04-13 2004-04-13 레인지 후드 스위치부 결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5150Y1 true KR200355150Y1 (ko) 2004-07-02

Family

ID=49433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0155U KR200355150Y1 (ko) 2004-04-13 2004-04-13 레인지 후드 스위치부 결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515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6334B1 (en) Latch mechanism for a housing
JP2007213963A (ja) 電気器具の端子装置
JP5346530B2 (ja) コネクタモジュール用の保持フレーム
KR200355150Y1 (ko) 레인지 후드 스위치부 결착구조
KR101860017B1 (ko) 인쇄회로기판 조립 구조가 형성된 하우징
JP2006523011A (ja) プリント配線板の装着部が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の少なくとも部分を形成するプリント配線板を収容するためのハウジング
JPH09250520A (ja) 筐体固定構造
JP4366302B2 (ja) 取着体およびビス固定部材
JP3675258B2 (ja) 筐体の取付構造
JP4522248B2 (ja) 分電盤
JP4043747B2 (ja) 接触型起動スイッチ
KR200161360Y1 (ko) 조립이 용이한 전자제품용 파워버튼
JP2003124645A (ja) 箱体の固定構造
JPS6328623Y2 (ko)
KR19980032839U (ko) 전원코드의 고정구
KR200162008Y1 (ko) 전기터미널 고정가능 커넥터하우징
KR200162009Y1 (ko) 원형전기터미널고정가능커넥터하우징
JPS5816222Y2 (ja) シヤ−シ取付装置
US7677811B2 (en) Lightpipe mounting assembly and method
KR200333568Y1 (ko) 전자기기용 회로기판 고정구조
JP3141690B2 (ja) 化粧カバー付き給電装置
JPH1178710A (ja) カーラジオ用の接続ボックス
KR200199687Y1 (ko) 부채 손잡이의 부채판 장착 장치
KR100588673B1 (ko) 차량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어셈블리 마운팅구조
KR100942574B1 (ko) 전자레인지의 인쇄회로기판 장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