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4626Y1 -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4626Y1
KR200354626Y1 KR20-2004-0009996U KR20040009996U KR200354626Y1 KR 200354626 Y1 KR200354626 Y1 KR 200354626Y1 KR 20040009996 U KR20040009996 U KR 20040009996U KR 200354626 Y1 KR200354626 Y1 KR 2003546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elevator
wall
nut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99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일식
Original Assignee
윤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일식 filed Critical 윤일식
Priority to KR20-2004-00099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46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46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46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 B66B5/0081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by preventing falling by means of safety fences or handrails, being operable or not, mounted on top of the elevator car

Landscapes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케이지 내부에서 모든 조립작업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승강기의 벽면(1)에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3)과 정렬되게 벽면(1)의 외면에 사전에 부착된 다수의 외부너트(60); 상기 핸들(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배치되어 핸들(10)과 엘리베이터 벽면(1) 사이에서 핸들(10)을 지지하고, 일단부 상부 모서리에는 핸들(10)을 결합하기 위한 아치형 오목부(110)가 형성되고, 타단부의 엘리베이터 벽면(1)에 맞닿는 단부벽(102)에는 볼트 등의 체결구가 관통되는 관통공(104)이 형성되며, 오목부(110)의 하부에는 양쪽 측벽 간격을 가로지르는 격벽(106)이 형성되고, 격벽(106)의 상단에는 볼트 등의 체결구가 통과하는 관통공(108)이 뚫린 가로벽(109)이 형성되어, 하단부가 개방된 박스형 핸들받침대(100); 조립상태에서, 핸들받침대의 관통공(104)과 엘리베이터 벽면의 관통공(3)을 통해 외부너트(33)에 일단부가 나사결합되어 핸들받침대(100)를 엘리베이터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제1 체결구(70); 및 상기 핸들받침대의 관통공(108)을 통해 핸들(10)을 핸들받침대(100)의 오목부(110)에 결합하기 위한 제2 체결구(80)를 포함하고, 핸들(100)의 길이를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의 핸들받침대(100)를 통해 핸들을 엘리베이터 벽면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Passenger handle assembly for elevator}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내부에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면서도 쉽게 설치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케이지 내부에서 모든 조립작업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승객용 손잡이를 엘리베이터 케이지에 설치하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3가지 방식이 일반적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단면도로서, 승객과 손잡이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내벽면에는 원통형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핸들(10)이 승객이 손으로 잡기에 적당한 위치로 가로로 길게 부착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런 핸들(10)은 그 길이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으로 배치된 브라켓(20)에 의해 엘리베이터 내벽면에 지지되고, 이들 브라켓에 연결된 볼트 등의 체결구(30)에 의해 엘리베이터 벽면에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2에는 종래의 핸들 조립체의 일례가 확대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20)의 일단부에는 볼트 등의 체결구(30)가 달려있고, 이 체결구는 엘리베이터 벽면(1)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하며, 엘리베이터 외부에서 와셔, 너트 등으로 체결구(30)를 단단히 조여 핸들(10)을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핸들은 그 조립작업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내부장식을 완료하고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승강통로에 설치한 다음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런 작업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 설치작업에 숙련자가 아닌 비숙련자인 인테리어 설치업자가 엘리베이터 외부로 나가 작업해야 하므로, 공중에 높이 매달려 있는 엘리베이터에서 작업자가 추락할 위험이 있다.
도 3, 4는 종래의 다른 예의 핸들조립체의 분해사시도와 결합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경우에는 브라켓(20)을 감싸는 ㄷ자 모양의 캡(25)이 있다. 이 캡(25)은 브라켓(20)에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에 소정 공간(27)이 형성되는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먼저 캡(25)을 엘리베이터 벽면에 볼트 등의 체결구(30)로 결합한 다음, 핸들 브라켓(20)을 캡(25)에 삽입하고, 브라켓이 삽입된 상태로 캡(25)에 브라켓을 작은나사 등으로 조여서 결합하면, 핸들조립작업이 완료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핸들조립체는 작은나사를 이용해 브라켓과 캡을 결합하므로 장기간 사용시 캡과 브라켓의 결합상태가 헐거워져서 핸들이 흔들리는 문제가 발생하곤 한다. 또, 보통 핸들 브라켓은 여러개(보통 3-4개)이므로, 엘리베이터 벽면에 사전 형성된 체결구용 구멍과 캡을 정렬시키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도 5, 6은 종래의 또다른 예의 핸들조립체 분해상태의 측면도와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경우에는 브라켓(20) 일단부에 체결판(50)을 용접 등으로 결합하고, 이 체결판(50)을 체결구(30)로 엘리베이터 벽면에 결합하는 것이다. 이 경우는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핸들 조립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안전성은 확보할 수 있지만, 체결판(50) 자체가 브라켓(30)의 양쪽으로 돌출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보이게 되고, 특히 체결구(30)가 승객 등의 시야에 노출되게 된다. 내부 장식을 중요시하는 엘리베이터에는 이와 같이 체결판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은 심각한 문제이므로, 내장을 중요시하는 엘리베이터에는 이와 같은 핸들조립체가 거의 사용되지 않는 실정이다.
본 출원인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작업성을 개선한 엘리베이터 손잡이를 2002년 12월 23일 실용신안으로 출원한 바 있다.
도 7은 본 출원인의 이런 종래의 고안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 고안은, 승강기 외부에 볼트(30)를 고정시켜 놓고 승강기 내부에서, 핸들 내부의 너트를 돌려서 고정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 고안은 승강기 출하공장에서 승강기 벽면에 미리 볼트를 고정시켜 출하해야만 하므로, 벽판재끼리 쌓아노을 때 돌출한 볼트로 인해 겹쳐 쌓아놓은 다른 벽판재에 흠집을 발생시키며, 벽판재에 미리 볼트를 고정시켜놓기도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 현장에서 핸들 내부를 통해 볼트에 와셔와 너트를 체결하기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종래의 기술 어떤 것도, 핸들 자체를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가공된 것을 사용하고 있고,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판매되는 원통체를 그대로 이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별도의 가공비나 재료비가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생산공장에서 엘리베이터 벽면에 미리 볼트를 고정시켜놓지 않아도, 엘리베이터 케이지 내부에서 모든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정성을 확보함은 물론, 체결구 등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엘리베이터 내부장식의 미감을 해치지 않도록 하며, 결합상태가 단단하여 장기간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핸들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유지보수가 간편한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핸들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시중에서 판매되는 원통형 핸들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비용절감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핸들조립체가 설치된 상태의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일례의 핸들조립체의 조립된 상태의 부분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다른 예의 핸들조립체의 분해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조립단면도;
도 5는 종래의 또다른 예의 핸들조립체의 분리된 상태의 측면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자의 종래의 고안의 핸들조립체의 조립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들받침대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측단면도;
도 11은 핸들받침대에서 제1 체결구를 결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조립 전후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3a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핸들과 개구폐쇄구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3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개구폐쇄구가 핸들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도;
도 14a, 14b는 본 고안에 따른 외부너트를 엘리베이터 케이지 벽면 외측에부착하는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내벽면에 설치되고, 승객이 손으로 잡기 위한 기다란 원통형 핸들(10)을 엘리베이터 벽면에 볼트 등의 체결구를 통해 결합하여 고정되는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에 있어서:
승강기의 벽면(1)에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3)과 정렬되게 벽면(1)의 외면에 사전에 부착된 다수의 외부너트(60);
상기 핸들(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배치되어 핸들(10)과 엘리베이터 벽면(1) 사이에서 핸들(10)을 지지하고, 일단부 상부 모서리에는 핸들(10)을 결합하기 위한 아치형 오목부(110)가 형성되고, 타단부의 엘리베이터 벽면(1)에 맞닿는 단부벽(102)에는 볼트 등의 체결구가 관통되는 관통공(104)이 형성되며, 오목부(110)의 하부에는 양쪽 측벽 간격을 가로지르는 격벽(106)이 형성되고, 격벽(106)의 상단에는 볼트 등의 체결구가 통과하는 관통공(108)이 뚫린 가로벽(109)이 형성되어, 하단부가 개방된 박스형 핸들받침대(100);
조립상태에서, 핸들받침대의 관통공(104)과 엘리베이터 벽면의 관통공(3)을 통해 외부너트(33)에 일단부가 나사결합되어 핸들받침대(100)를 엘리베이터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제1 체결구(70); 및
상기 핸들받침대의 관통공(108)을 통해 핸들(10)을 핸들받침대(100)의 오목부(110)에 결합하기 위한 제2 체결구(80)를 포함하고,
핸들(100)의 길이를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의 핸들받침대(100)를 통해 핸들을 엘리베이터 벽면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에 있어서, 제2 체결구(80)는 핸들(10)에 적당한 간격으로 관통 고정된 볼트이고, 볼트를 너트와 와셔로 핸들받침대(100)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핸들(10)의 길이를 따라 내부에 십자가 모양의 통로(15)가 형성되고, 상기 십자 통로(15)의 중앙에는 너트(17)를 수용하되 너트의 회전은 방지할 정도의 확대된 폭을 가진 너트수용부(16)가 형성되고, 상기 너트수용부(16)에 너트를 수용한 상태에서 제2 체결구(80)를 이용해 핸들받침대(100)에 핸들을 고정할 수 있으며, 제2 체결구(80)를 완전히 조인 상태에서는 체결구(80)의 일단부가 너트수용홈(16)의 너트를 완전히 관통해 위로 돌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핸들(10)의 십자 통로(15)에서 제2 체결구(80)가 장착되는 곳 이외의 부분의 십자통로(15)의 하단 개구부를 막는 다수의 개구폐쇄구(90)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폐쇄구(90)는 단면이 U형이고 양 측벽(92)은 밖으로 벌어지려는 탄성을 가져 탄력에 의해 상기 십자통로(15)에 끼워맞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개구폐쇄구(90)의 양측벽(92) 외측면에는 십자통로(15)의 너트수용홈(16)에 걸려 개구폐쇄구의 임의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기(94)가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의 벽면(1)에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3)과 정렬되게 벽면(1)의 외면에 다수의 외부너트(33)가 관통공마다 하나씩 각각 부착된다. 그리고 볼트 등의 제1 체결구를 핸들받침대(100)의 공간을 통해 핸들받침대 단부벽(102)의 관통공(104)을 통해 외부너트(60)에 연결한 다음 렌치 등으로 조여 핸들받침대(100)를 엘리베이터 벽면에 단단히 결합한다. 이 결합과정이 도 11에 별도로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간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제1 체결구(70)는 육각홈이 형성된 머리가 달린 볼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핸들(10)에 간격을 두고 제2 체결구(80)가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용접 등에 의해 제2 체결구(80)가 핸들(10)의 구멍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 좋다. 이런 용접부착 상태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이렇게 제2 체결구(80)가 달린 핸들(10)을 핸들받침대(100)의 일단부에 안착한 다음, 와셔와 너트 등으로 제2 체결구(80)를 조이면 다수의 핸들받침대(100)에 핸들(100)이단단히 결합되게 된다.
한편, 도 14에는 외부너트(60)를 벽면 외부에 고정하는 방식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판재를 조립하기 전에 외부너트(60)를 미리 벽면의 관통공(3) 외측면에 용접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3)을 기다란 장공 형태로 형성하고, 기다란 형태의 외부너트(60) 한쪽면에 미리 접착제를 바른 뒤, 중앙에 실이나 철사로 묶어 장공(3)을 통해 너트(60)를 외부로 내보낸 뒤, 끈을 당기면 도 9B와 같이 관통공(3) 외측면에 외부너트(60)가 접착된다. 즉, 엘리베이터 케이지 내부에서 외부너트(60) 설치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 측면에서나 안정성 측면에서 아주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들받침대(100)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받침대(100)는 핸들(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배치되어 핸들(10)과 엘리베이터 벽면(1) 사이에서 핸들(10)을 지지하는 박스 형태로 구성된다. 핸들받침대(100)의 일단부 상부 모서리, 도면에서는 우측 상부 모서리에는 핸들(10)을 결합하기 위한 아치형 오목부(110)가 형성되고, 타단부의 엘리베이터 벽면(1)에 맞닿는 단부벽(102)에는 볼트 등의 체결구가 관통되는 관통공(104)이 형성되며, 오목부(110)의 하부에는 양쪽 측벽 간격을 가로지르는 격벽(106)이 형성되고, 격벽(106)의 상단에는 볼트 등의 체결구가 통과하는 관통공(108)이 뚫린 가로벽(109)이 형성되고, 핸들받침대(100)의 하단부는 개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핸들받침대(100)는 바람직하게 상틀과 하틀의 2개의 틀만이용하는 주형으로 주조할 수 있으므로,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2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바, 조립 전의 상태와 조립 후의 상태가 단면도로 나타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핸들(10)의 길이를 따라 내부에 십자가 모양의 통로(1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십자 통로(15)의 중앙에는 너트(17)를 수용하되 너트의 회전은 방지할 정도의 확대된 폭을 가진 너트수용부(16)가 형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너트수용부(16)에 미리 너트(17)를 적당히 다수개 배치한 상태에서, 제2 체결구(80)를 핸들받침대(100) 밑에서 너트(17)에 조이면 핸들을 핸들받침대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제2 체결구(80)를 완전히 조인 상태에서 제2 체결구(80)의 단부는 너트수용험(16)의 너트(17)를 완전히 관통하여 위로 돌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상태가 도 12의 조립 후의 도면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렇게 체결구(80)가 너트(17)를 완전히 관통해 돌출하게 되면, 너트(17)의 모든 나사산에 체결구(80)의 나사산이 맞물리게 되므로, 체결구(80)의 결합강도가 충분하여, 핸들의 장기간 사용에도 체결구의 조임상태가 느슨해지는 등의 문제가 대폭 감소된다.
도 13a에는 전술한 십자통로(15)의 개방부를 막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십자통로(15)는 핸들(10)의 길이방향 전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하단부는 개방되게 된다. 이렇게 십자통로(15)가 개방상태에 있으면, 이물질이 들어가게 되고 외관이 보기 좋지 않은 등의 문제가 있으므로, 가능하면 십자통로의 개방부를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핸들(10)의 십자 통로(15)에서 제2 체결구(80)가 장착되는 곳 이외의 부분의 십자통로(15)의 하단 개구부를 다수의 개구폐쇄구(90)로 막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개구폐쇄구(90)는 단면이 U형이고 양 측벽(92)은 밖으로 벌어지려는 탄성을 가져 탄력에 의해 십자통로(15)에 끼워맞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가능하면 개구폐쇄구(90)의 외측면은 핸들(10)의 외관과 일치되는 아치형으로 하는 것이 좋다. 또, 개구폐쇄구(90)의 양측벽(92) 외측면에는 십자통로(15)의 너트수용홈(16)에 걸려 개구폐쇄구의 임의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기(9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된 개구폐쇄구를 십자통로에 손으로 밀어서 끼우면, 측벽(94)의 탄성에 의해 측벽이 벌어지면서 너트수용홈(16)에 돌기(94)가 결려 개구폐쇄구의 임의의 이탈이 방지된다.
도 13b는 이런 개구폐쇄구(90)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도로서, 조립된 상태의 핸들조립체를 밑에서 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체결구를 통해 핸들받침대(100)에 결합되는 부분 이외의 모든 개구부는 개구폐쇄구(90)로 막을 수 있다.
한편, 도 13a에는 장식용 필름(F)을 핸들의 외면에 부착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의 손잡이에는 외측면에 장식필름을 붙이는 것이 일반적인데, 사람의 손길이 빈번히 접촉되는 이런 장식필름은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접착면이 벗겨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전술한 개구부 안쪽으로 장식필름의 일단을 집어넣고 개구폐쇄구의 외면에도 별도로 장식필름을 부착하고 필름의 양단을 덮개 안쪽으로 연장한 상태로 개구폐쇄구를 결합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접착필름의 접착이 시작되거나 끝나는 부분이 완전히 핸들 안으로 들어가게 되므로, 사람의 손길이 빈번히 닿아도 결코 접착필름이 벗겨지는 경우가 없게 되는 부수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생산공장에서 엘리베이터 외벽면에 미리 볼트를 고정시켜놓지 않아도, 엘리베이터 케이지 내부에서 엘리베이터 손잡이를 결합하는 모든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정성을 확보함은 물론, 체결구 등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엘리베이터 내부장식의 미감을 해치지 않도록 하며, 결합상태가 단단하여 장기간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핸들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유지보수가 간편한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핸들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 의하면, 기존에 생산되는 원통형 파이프를 별도의 가공 없이 그대로 엘리베이터의 핸들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절감과, 공수의 감소를 통한 생산성 향상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에 의하면, 핸들에 부착되는 장식용 필름이 장시간 사용에도 벗겨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Claims (5)

  1. 엘리베이터 내벽면에 설치되고, 승객이 손으로 잡기 위한 기다란 원통형 핸들(10)을 엘리베이터 벽면에 볼트 등의 체결구를 통해 결합하여 고정되는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에 있어서:
    승강기의 벽면(1)에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3)과 정렬되게 벽면(1)의 외면에 사전에 부착된 다수의 외부너트(60);
    상기 핸들(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배치되어 핸들(10)과 엘리베이터 벽면(1) 사이에서 핸들(10)을 지지하고, 일단부 상부 모서리에는 핸들(10)을 결합하기 위한 아치형 오목부(110)가 형성되고, 타단부의 엘리베이터 벽면(1)에 맞닿는 단부벽(102)에는 볼트 등의 체결구가 관통되는 관통공(104)이 형성되며, 오목부(110)의 하부에는 양쪽 측벽 간격을 가로지르는 격벽(106)이 형성되고, 격벽(106)의 상단에는 볼트 등의 체결구가 통과하는 관통공(108)이 뚫린 가로벽(109)이 형성되어, 하단부가 개방된 박스형 핸들받침대(100);
    조립상태에서, 핸들받침대의 관통공(104)과 엘리베이터 벽면의 관통공(3)을 통해 외부너트(33)에 일단부가 나사결합되어 핸들받침대(100)를 엘리베이터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제1 체결구(70); 및
    상기 핸들받침대의 관통공(108)을 통해 핸들(10)을 핸들받침대(100)의 오목부(110)에 결합하기 위한 제2 체결구(80)를 포함하고,
    핸들(100)의 길이를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의 핸들받침대(100)를 통해 핸들을 엘리베이터 벽면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구(80)가 핸들(10)에 적당한 간격으로 관통 고정된 볼트이고, 상기 볼트를 너트와 와셔로 핸들받침대(100)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10)의 길이를 따라 내부에 십자가 모양의 통로(15)가 형성되고, 상기 십자 통로(15)의 중앙에는 너트(17)를 수용하되 너트의 회전은 방지할 정도의 확대된 폭을 가진 너트수용부(16)가 형성되고, 상기 너트수용부(16)에 너트를 수용한 상태에서 제2 체결구(80)를 이용해 핸들받침대(100)에 핸들을 고정할 수 있으며, 제2 체결구(80)를 완전히 조인 상태에서는 체결구(80)의 일단부가 너트수용홈(16)의 너트를 완전히 관통해 위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10)의 십자 통로(15)에서 제2 체결구(80)가 장착되는 곳 이외의 부분의 십자통로(15)의 하단 개구부를 막는 다수의 개구폐쇄구(90)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폐쇄구(90)는 단면이 U형이고 양 측벽(92)은 밖으로 벌어지려는 탄성을 가져 탄력에 의해 상기 십자통로(15)에 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폐쇄구(90)의 양측벽(92) 외측면에는 십자통로(15)의 너트수용홈(16)에 걸려 개구폐쇄구의 임의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기(9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KR20-2004-0009996U 2004-04-12 2004-04-12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KR2003546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996U KR200354626Y1 (ko) 2004-04-12 2004-04-12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996U KR200354626Y1 (ko) 2004-04-12 2004-04-12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4799A Division KR100567669B1 (ko) 2004-04-12 2004-04-12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4626Y1 true KR200354626Y1 (ko) 2004-06-30

Family

ID=49347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996U KR200354626Y1 (ko) 2004-04-12 2004-04-12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462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32700A1 (en) Length adjustable passenger handle assembly for elevator
JP4655705B2 (ja) 組立式キャビネット
KR100567669B1 (ko)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KR200354626Y1 (ko)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WO2013067037A1 (en) Tool-less modular panel system
JP5532896B2 (ja) 航空機用の化粧室ユニット
KR200354625Y1 (ko)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KR200403481Y1 (ko) 알루미늄 약전 단자함
JPH03286711A (ja) 机の連結構造
JP3653692B2 (ja) 補強部材
JP3252080B2 (ja) 手摺り取付構造
KR950006768Y1 (ko) 벽판넬의 코너부 조립구조
JPH089283Y2 (ja) 柱と上枠との取付構造
JP2554550Y2 (ja) シャワー装置のカバー取付け構造
JPH0242841Y2 (ko)
JPH0450778Y2 (ko)
KR200300591Y1 (ko) 도어용 힌지장치
JP4321861B2 (ja) 浴室ユニットの天井構造
KR20110004930U (ko) 조립식선반
JPH045671Y2 (ko)
JPS5840167Y2 (ja) バルコニ−における連結構造
JPH0721803Y2 (ja) 開口枠へのサッシの取付構造
JP5232701B2 (ja) 建具
JPS5832541Y2 (ja) 吊束の取付構造
JPH043546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