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3239Y1 - 터널 및 지하차도의 안전 유도등 - Google Patents

터널 및 지하차도의 안전 유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3239Y1
KR200353239Y1 KR20-2004-0005788U KR20040005788U KR200353239Y1 KR 200353239 Y1 KR200353239 Y1 KR 200353239Y1 KR 20040005788 U KR20040005788 U KR 20040005788U KR 200353239 Y1 KR200353239 Y1 KR 2003532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safety induction
safety
fastening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57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경
Original Assignee
김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경 filed Critical 김문경
Priority to KR20-2004-00057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32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32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32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01F9/559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82Traffic lines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 F21S8/03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the surface being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4Provision of filling media

Abstract

본 고안은 터널 및 지하차도의 안전유도등에 관한 것으로서, 터널이나 지하차도에 설치되어 노면과 인도를 구분해주는 종래의 안전 유도등은 반사체를 이용함에 따라 수명이 짧고 유지나 관리에 비용이 많이 들며, 특히 먼지나 매연과 같은 오염물질이 반사체에 묻게 되면 안전 유도등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몸체부(100)의 일측면에 형성된 설치부(110)에는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111)와 체결홈(112)을 형성되고, 상기 설치부(110)에는 양단에 체결구(121)가 구비된 투명재질의 보호캡(120)이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으로는 상기 발광다이오드(11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선(140)이 설치되고, 몸체부(100)의 전후면에는 체결공(131)이 구비된 체결부(130)가 형성되어 있는 안전 유도등을 구성하므로서, 안전 유도등이 먼지 또는 매연 등에 의해 더렵혀지더라도 발광다이오드(111)의 강한 발광에 의해 운전자가 노면과 인도의 경계선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것이며, 아울러 안전 유도등의 유지 및 관리를 저렴하면서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터널 및 지하차도의 안전 유도등{Safety guidance lamp of tunnel and underpass}
본 고안은 터널이나 지하차도의 노면과 인도 경계면에 설치되는 안전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안전 유도등에 수명이 짧고 교체시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반사체를 사용하지 않고 발광다이오드를 설치하여 구성함에 따라 운전자가 터널 내부에서 노면과 인도의 구분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으며, 안전 유도등의 유지 및 관리를 저렴하면서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터널 및 지하차도의 안전 유도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안전 유도등은 평면체 또는 돌출된 형태의 몸체부에 반사체를 부착한 후 차선 또는 노면과 인도의 경계부분에 설치하므로서 상기 반사체에 차량의 전조등 불빛이 반사되면서 운전자가 차선 또는 노면과 인도의 경계부분을 정확히 인식하여 안전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반사체가 설치된 안전 유도등은 설치된 후 눈이나 비로 인한 흙탕물 또는 각종 먼지나 매연과 같은 오염물질에 의해 반사체가 쉽게 오염될 수 있으며, 반사체가 조금이라도 오염되면 차량의 불빛을 정확히 반사시키지 못하여 안전 유도등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반사체의 반사효율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떨어지게 됨에 따라 안전 유도등의 불량상태를 점검할 때 반사체의 불량상태를 빛을 비추어 일일이 확인해야 하며, 불량상태가 확인되는 경우 반사체만을 교환하기 힘드므로 안전 유도등을 전체적으로 교환함에 따라 유지 관리에 따른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터널이나 지하차도의 경우 밝은 곳에서 어두운 내부로 들어갈 때 홍채의 반응에 따라 운전자의 시야가 천천히 확보되는데, 이때 노면과 인도의 경계면을 표시해주는 안전 유도등의 반사체가 각종 먼지나 매연 등의 오염물질에 의해 조금이라도 오염되어 있게 되면 반사체의 기능이 떨어지게 되면서 운전자가 안전 유도등을 정확히 인식하지 못하여 사고가 일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터널 또는 지하차도 내부의 노면과 인도의 경계면을 표시하는 안전 유도등에 발광다이오드를 설치함에 따라 운전자가 터널 및 지하차도 내부에서 안전 유도등의 정확한 안내를 받아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아울러 안전 유도등의 유지나 관리를 저렴하면서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터널 및 지하차도의 안전 유도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안전 유도등의 몸체부 일측면에 발광다이오드와 체결홈이 구비된 설치부를 형성하고, 상기 설치부에는 양단에 체결구가 형성된 보호캡을 설치하며,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는 발광다이오드와 연결되는 전원선을 외부로 인출시켜 형성하고, 몸체부의 전후면에는 체결공이 구비된 체결부를 형성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안전 유도등에 전원의 공급을 받아 발광되는 발광다이오드를 설치함에 따라 안전 유도등이 먼지 또는 매연 등에 의해 오염되더라도 발광다이오드의 강한 발광에 의해 노면과 인도의 구분이 가능해져 운전자가 터널이나 지하차도의 내부에서 노면과 인도의 경계선을 정확하게 인식하여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는 것이며, 아울러 안전 유도등이 심하게 오염되어 발광다이오드의 빛이 보이지 않을 경우 안전 유도등의 보호캡만을 교체하여 새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전체적인 유지나 관리를 저렴하면서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 유도등을 예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 유도등의 요부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 유도등에 보호캡이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몸체부 110 : 설치부
111 : 발광다이오드 112 : 체결홈
120 : 보호캡 121 : 체결구
130 : 체결부 131 : 체결공
140 : 전원선
이하, 본 고안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 유도등을 예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 유도등의 요부 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 유도등에 보호캡이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터널 또는 지하차도 내부의 노면과 인도를 구분해주는 안전 유도등을 구성함에 있어서,
몸체부(10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설치부(110)를 형성하고, 상기 설치부 (110)에는 양 끝부분에 체결홈(112)을 형성하며, 상기 체결홈(112)의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111)를 설치하고, 상기 설치부 (110)에는 상기 체결홈(112)에 체결될 수 있도록 양단에 체결구(121)가 형성된 투명재질의 보호캡(120)을 설치하며, 몸체부(100)의 저면 일측으로는 상기 발광다이오드 (111)와 연결되는 전원선(140)을 외부로 인출시켜 형성하고, 몸체부(100)의 전후면에는 체결공(131)이 구비된 체결부(130)를 형성하여 된 안전 유도등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150)은 몸체부(100)의 내부에서 발광다이오드(111)를 설치부(110)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실리콘이며, (160)은 몸체부(100)로부터 전원선 (140)이 인출되기 위한 구멍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터널 또는 지하차도 내부의 노면과 인도의 경계면을 구분시켜 주기 위한 안전 유도등에 반사체를 설치하지 않고 전원의 공급에 의해 발광되는 발광다이오드(111)를 설치함에 따라 먼지나 매연에 의해 안전 유도등이 오염되더라도 발광다이오드(111)의 강한 발광에 의해 안전 유도등의 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수명이 길고 유지나 관리를 저렴하면서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 유도등을 예시한 것으로서, 몸체부(100)의 일측면에는 일정한 깊이를 가지는 설치부(110)가 형성되며, 상기 설치부(110)의 양 끝부분에는 체결홈(11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양쪽 체결홈(112)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111)가 설치된 것이며, 이때 상기 설치부(110)는 몸체부(10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설치부(110)에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보호캡(120)이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보호캡(120)의 형상은 설치부(110)와 상응하도록 구성된 것이며, 보호캡(120)을 설치부(110)에 설치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보호캡(120)의 양단에는 상기 설치부(110)의 체결홈(112)에 상응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구(121)를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호캡(120)과 설치부(110)의 결합수단은 상기 체결구(121)와 체결홈(112)을 이용한 수단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따라서 보호캡(120)이 설치부(110)에 설치되면 발광다이오드(111)를 외부로부터 보호해주게 되는 것이며, 장시간 사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보호캡(120)의 표면이 매연이나 먼지등에 의해 오염되더라도 발광다이오드(111)의 발광에 의한 빛이 오염된 보호캡(120)을 통해 외부로 비춰짐에 따라 안전 유도등의 기능이 완전히 상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보호캡(120)의 오염이 지워지지도 않고 빛이 투과되지 않을 정도일 때에는 안전 유도등을 전체적으로 교환할 필요없이 상기 보호캡(120)만을 교체하여 새것과 같이 재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호캡(120)은 발광다이오드(111)의 빛이 그대로 투과될 있도록 투명한 재질을 사용한 것이며, 상기 발광다이오드(111)를 여러가지 색상을 가지는 발광다이오드(111)로 사용하여 안전 유도등의 색상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부(100)의 내면을 보면 발광다이오드(111)의 렌즈쪽이 설치부 (110)의 표면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면서 그 반대쪽은 몸체부(100)의 내면에 위치되어 실리콘(15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각각의 발광다이오드(111)는 몸체부(100)의 외부로 인출되는 전원선(140)에 연결되므로서 전원선(140)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다이오드(111)가 발광되고, 상기 몸체부(100) 외부로 인출된 전원선(140)은 지면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지면속에 설치하여 외부로부터보호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몸체부(100)의 전후면에는 체결공(131)이 구비된 체결부(130)를 형성함에 따라 체결수단(도면중 미도시)을 상기 체결공(131)을 통해 지면에 간단히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필요에 따라 몸체부(100)를 지면으로부터 간단히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안전 유도등의 상태를 점검할 경우 종래와 같이 안전 유도등에 반사체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불량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판단하기 힘들며, 불량으로 확인되면 안전 유도등을 전체적으로 교환해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소모되고,작업성 또는 용이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경우 안전 유도등의 발광다이오드(111)를 외부에서 간단히 살펴볼 수 있는 것이며, 이때 발광이 되지 않는 발광다이오드(111)가 있는 안전 유도등이 발견되는 경우 상기 몸체부(100)의 안쪽에서 실리콘(150)과 함께 교체할 발광다이오드(111)를 바로 제거한 후 그 자리에 새로운 발광다이오드를 설치하고 다시 실리콘으로 고정시켜 보수를 완료할 수 있으므로 안전 유도등을 전체적으로 교환할 필요없이 발광다이오드(111)만 간단히 교체하여 재사용할수 있어 유지 및 관리에 저렴하면서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가 있으며,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터널이나 지하차도 내부에 노면과 인도의 경계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안전 유도등을 구성함에 있어서, 안전 유도등 내부에 전원의 인가를 받아 발광되는 발광다이오드를 설치하므로서 매연이나 먼지등에 의한 오염에 관계없이 안전 유도등의 기능이 장시간 동안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터널이나 지하차도의 내부에서 운전자를 안전하게 안내할 수 있는 것이며, 안전 유도등의 유지나 보수 또한 저렴하면서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2)

  1. 터널 또는 지하차도 내부의 노면 가장자리 또는 차선과 인도를 구분해주기 위해 설치되는 안전 유도등을 구성함에 있어서,
    일측면 또는 양쪽면에 설치부(110)가 요입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설치부 (110) 내부에는 전원선(140)과 연결된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111)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전후면에는 체결공(131)이 구비된 체결부(130)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100);
    상기 설치부(110)와 상응하는 형상으로 설치부(110)에 결합되며,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보호캡(12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및 지하차도의 안전 유도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의 설치부(110) 양단에는 체결홈(112)을 형성하고, 보호캡(120)의 이면 양단에는 상기 체결홈(112)과 체결될 수 있는 체결구(121)를 형성하여 보호캡(120)이 설치부(110)에서 교체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및 지하차도의 안전 유도등.
KR20-2004-0005788U 2004-03-04 2004-03-04 터널 및 지하차도의 안전 유도등 KR2003532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788U KR200353239Y1 (ko) 2004-03-04 2004-03-04 터널 및 지하차도의 안전 유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788U KR200353239Y1 (ko) 2004-03-04 2004-03-04 터널 및 지하차도의 안전 유도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3239Y1 true KR200353239Y1 (ko) 2004-06-22

Family

ID=49431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5788U KR200353239Y1 (ko) 2004-03-04 2004-03-04 터널 및 지하차도의 안전 유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32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443B1 (ko) 2007-04-24 2007-09-04 (주) 에스엘테크 발광 기능을 갖는 차도용 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443B1 (ko) 2007-04-24 2007-09-04 (주) 에스엘테크 발광 기능을 갖는 차도용 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7245B1 (ko) 제거가 용이한 태양광 도로표지병
KR100694289B1 (ko) 횡단보도의 발광장치
KR100939477B1 (ko) 도로용 난간조명장치
KR102014662B1 (ko) 도로 표지병
KR101906380B1 (ko) 내구성·시인성·유지관리성이 향상된 광섬유 표지판
KR20200086947A (ko) 날개부가 구비된 태양광 도로표지병
KR100934621B1 (ko) 발광 횡단보도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16773Y1 (ko) 발광수단을 구비한 합성수지 경계석
KR100941585B1 (ko) 자전거 전용도로용 조명기구
KR100864457B1 (ko) 노면표시 도로 구조물
KR100725119B1 (ko) 도로교통용 안전표시장치
WO2012074201A2 (ko) 도로 표지병
KR200416774Y1 (ko) 횡단보도의 신호등과 연동하는 발광수단을 구비한 합성수지경계석
KR200353239Y1 (ko) 터널 및 지하차도의 안전 유도등
KR100806209B1 (ko) 발광 과속 방지턱
KR101553557B1 (ko) 주행 차량 운전자 인식을 위한 보행자 보호용 횡단보도 표시램프
KR100890279B1 (ko) 엘이디를 이용한 차선 표시장치
KR200395641Y1 (ko) 중앙분리대 및 옹벽의 안전유도등
KR20100115536A (ko) 차량 유도장치를 갖는 중앙분리대
KR200408831Y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보도블록 경계표시장치
KR100911243B1 (ko) 보행자 신호등
KR200432648Y1 (ko) 도로용 시선유도봉
KR200383383Y1 (ko) 터널 및 지하차도의 안전 유도등
KR102390139B1 (ko) 속도제한 표지판
KR200324414Y1 (ko) 쏠라 볼라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60216

Effective date: 20061109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