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9677Y1 - 체결식 관누수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체결식 관누수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9677Y1
KR200349677Y1 KR20-2004-0004679U KR20040004679U KR200349677Y1 KR 200349677 Y1 KR200349677 Y1 KR 200349677Y1 KR 20040004679 U KR20040004679 U KR 20040004679U KR 200349677 Y1 KR200349677 Y1 KR 2003496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ipe
tube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46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진식
Original Assignee
조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진식 filed Critical 조진식
Priority to KR20-2004-00046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96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96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96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8Sealing by means of axial screws compressing a ring or slee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8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outside the pipe
    • F16L55/17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outside the pipe by means of rings, bands or sleeves pressed against the outside surface of the pipe or h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실 공사에 있어서 지하실 벽을 관통하는 관의 관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벽체 내의 관에 끼워지는 판재 형상의 관누수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제1관통공이 형성된 제1본체를 갖는 제1판재, 제2관통공이 형성된 제2본체를 갖는 제2판재 및 상기 제1판재와 상기 제2판재를 마주보도록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특징의 본 고안은 판재가 용접이 아닌 간단한 볼트, 너트 체결 방식에 의해 관에 밀접하게 체결되므로, 다양한 재질의 관에 판재를 시공할 수 있으며, 시공 현장에서 간편하고 신속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판재가 관에 체결된 후에도 그 위치를 자유롭게 재조정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관통관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고 용접 지점이 감소하게 되어, 시공 공정을 간소화하는 동시에 비용을 절약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체결식 관누수 방지장치 {Assembling Water Leakage Protector Of Pipe}
본 고안은 지하실 공사에 있어서 지하실 벽을 관통하는 관의 관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벽체 내의 관에 끼워지는 판재 형상의 관누수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 있어서 지하에 공간을 형성하는 경우에 땅을 파고 벽체를 만들어 공간을 형성하여야 한다. 이 경우 벽체를 사이에 두고 안쪽은 실내 공간이며, 바깥쪽은 땅속 공간이 된다.
이러한 지하공간으로는 상, 하수도관 등의 다양한 관이 연결되게 되는데, 대부분 땅속에 매설되어 지하공간으로 연결된다. 이 때 관은 지하의 벽체를 관통하는 형태로 건물의 안쪽과 연결되는데, 벽체의 양생시에 관을 매설하여 벽체를 짓거나, 벽체를 지은 후 구멍을 뚤어 관을 결합시키고 빈틈을 매꾸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 때 벽체와 매설된 관과의 사이에는 미세한 틈이 발생하며, 이러한 틈으로는 땅 속의 수분, 지하수 등의 이동로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땅속의 물기가 관의 외부 표면을 타고 관과 벽체 사이의 공간을 따라 지하의 실내로 흐르게 된다.
지하 공간에서의 이런 누수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관에 판재를 관통, 용접시켜 물이 흐르는 것을 막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방식을 도 1에 도시하였는데, 도 1은 종래의 용접식 관누수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벽체(102) 내에 관통관(100)이 삽입되어 있고, 관통관(100)을 감싸며 판재(130)가 결합되어 있다. 판재(130)는 관통관(100)에 용접에 의해 용접부(134)로 결합된다.
따라서 땅 속(106)에 위치하는 수분, 지하수가 관통관(100)을 타고 벽체(102) 내로 흐르더라도 그 경로가 판재(130)에 의해 막히므로, 더 이상 실내(104)로 향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벽체(102)를 관통하는 관통관(100)에 판재(130)를 용접하여 붙이는 것은 수분이 실내(104)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효과가 있으나, 이를 실제로 제작하여 시공하는 경우 번거로운 점이 많다.
우선 관통관(100)에 판재(130)가 용접으로 결합되므로, 일단 용접된 판재(130)는 위치의 이동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실제 시공시에는 벽체(102) 두께에 따라 관통관(100)을 일정한 길이로 준비하여 그 중앙에 판재(130)를 용접한 후, 벽체(102) 내에 매설하고, 그 후에 관통관(100)의 양쪽에 내부관(110) 및 외부관(120)을 별도로 용접, 접합시켜야 한다.
즉, 관통관(100)의 양쪽에 내부관(110) 및 외부관(120)을 각각 용접하여야 하므로, A부분과 B부분에서 2번의 용접 공정이 진행되어야 한다. 비록 A부분의 용접을 생략하고자 내부관(110)을 길게 연장하고 별도의 관통관(100) 없이 판재(130)를 내부관(110)에 용접할 수도 있으나, 이를 위해 벽체(102)의 시공 위치를 미리 계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관통관(100)을 별도로 마련하고, 판재(130)를 관통관(100)에 접합시키기 위해 용접을 해야 할 뿐만아니라, 내부관(110)과 외부관(120)을 추가적으로 용접, 접합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관통관(100)의 재질이 PVC 등의 합성수지이거나 스테인리스 재질인 경우에는 용접이 거의 불가능하거나 용접으로 인한 표면 손상에 따라 녹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이에 판재를 관에 접합시키기 위해 용접 이외의 방법으로 하는 동시에, 판재가 관에서 자유롭게 위치를 재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시에 작업자가 정밀한 계산 없이도 자유롭게 판재를 결합할 수 있는 관누수 방지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판재가 용접이 아닌 다른 방식에 의해 관에 밀접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관누수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판재가 관에 체결된 후에도 그 위치를 자유롭게 재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관누수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용접식 관누수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체결식 관누수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판재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체결식 관누수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체결식 관누수 방지장치의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제1판재 12 : 제1본체
14 : 제1관통공 16 : 테두리부
18 : 체결홀 20 : 제2판재
26 : 테두리부 30 : 실링부재
40 : 체결부재 50 : 관
60 : 외부관 62 : 벽체
64 : 실내(내부공간) 66 : 땅속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제1관통공이 형성된 제1본체를 갖는 제1판재, 제2관통공이 형성된 제2본체를 갖는 제2판재 및 상기 제1판재와 상기 제2판재를 마주보도록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관통공의 테두리부와 상기 제2관통공의 테두리부 사이에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관통공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제1본체 면에 경사진 경사면이 구비되고, 상기 경사면과 제2판재의 제2관통공 테두리부 사이에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관통공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제1본체 면에 경사진 경사면이 구비되고, 상기 제2관통공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제2본체 면에 경사진 경사면이 구비되고, 상기 제1판재의 경사면과 제2판재의 경사면 사이에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본체 및 상기 제2본체에는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에는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볼트와 너트인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체결식 관누수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관(50)이 관통되는 제1판재(10)와 제2판재(20)가 구비되고, 관(50)과 제1, 2판재(10, 20)가 만나는 부분에는 실링부재(30)가 감싸고 있으며, 제1판재(10)와 제2판재(20)는 서로 마주보며 체결부재(40)에 의해 결합된다.
관(50)에는 두 개의 판재(10, 20)가 끼워진다. 각각의 판재(10, 20)에는 관(50)이 관통되기 위한 제1관통공(14; 도 3 참조), 제2관통공(미도시, 제1관통공의 설명으로 대신함)이 형성되며, 제1관통공(14)은 관(50)의 지름보다 약간 커서 관(50)이 제1관통공(14)에 겨우 삽입되도록 한다.
제1판재(10)와 제2판재(20) 사이에는 실링부재(30)가 삽입되며, 실링부재(30)는 네오프렌과 같이 내열성, 내식성이 있으면서도 탄성이 좋은 재료를사용한다. 실링부재(30)는 관(50)의 외면에 밀착하도록 지름 및 크기를 결정한다.
제1판재(10)와 제2판재(20)는 상호 체결부재(40)에 의해 마주보며 결합되는데, 체결부재(40)는 제1판재(10)와 제2판재(20)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거리를 조절한다. 체결부재(40)로는 볼트, 너트를 사용하며, 볼트가 끼워지기 위해 제1, 2판재(10, 20)에는 체결홀(18; 도 3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부재(40)를 조절하여 제1, 2판재(10, 20) 사이의 거리를 좁힘에 따라 실링부재(30)는 제1, 2판재(10, 20)의 제1관통공(14)과 관(50) 사이의 공간을 강하게 밀폐한다. 따라서 별도의 용접에 의한 밀폐공정이 없더라도 실링부재(30)에 의해 외부 땅속(66)의 수분이 내부 공간(64)으로 흐를 수 없게 된다.
체결부재(40)를 다시 풀러, 제1, 2판재(10, 20)를 분리하면, 제1, 2판재(10, 20) 및 실링부재(30)는 관(5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으며,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관(50)을 벽체(62)를 기준으로 일정 길이로 절단해 놓을 필요가 없으며, 내부의 관(50)이 벽체(62) 외부까지 길게 돌출되도록 한 후, 벽체(62)의 위치에 따라 제1, 2판재(10, 20)의 위치만 조절해주면 되며, 관(50)과 외부관(60) 사이의 B부분만 접합시키면 족하다. 결국 3개의 관이 필요하던 것이 2개의 관으로 해결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판재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판재(10)는 본체(12)의 중심에 제1관통공(14)이 형성되어 있고, 제1관통공(14) 외측의 테두리부(16)는 형상의 변형을 주어 실링부재(30)의 차단작용이 용이하도록한다.
제1, 2판재(10, 20)를 상호 체결하기 위해 본체(12)에는 일정 간격으로 체결홀(18)을 형성하여, 체결부재(40)가 장착되도록 한다. 제1관통공(14)의 크기는 관(50)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며, 제1관통공(14)의 외곽인 테두리부(16)는 측면도에서 보이듯이, 일정각도로 본체(12)에 대해 경사지도록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사면이 있는 경우에는 실링부재(30)의 변형, 움직임이 더욱 용이해지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체결식 관누수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판재(10)는 테두리부(16)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제2판재(20)는 테두리부(26)에 경사면이 형성되지 않는다.
체결부재(40)가 제1, 2판재(10, 20)를 서로 가깝게 밀착시키는 경우, 실링부재(30)는 제2판재(20)의 테두리부(26)가 실링부재(30)를 제1판재(10)의 테두리부(16) 쪽으로 밀게 되고, 경사면이 형성된 테두리부(16)를 따라 실링부재(30)는 변형되어 관(50) 쪽으로 더욱 밀착되게 된다.
이러한 경사면의 각도나 크기는 실링부재(30)의 크기나 재질에 따라 조절 가능하며, 반대로 경사면의 각도나 크기에 따라 실링부재(30)의 크기나 재질을 조절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체결식 관누수 방지장치의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경사면이 제1판재(10)의 테두리부(16) 및 제2판재(20)는 테두리부(26)에 모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테두리부(16) 및 테두리부(26)의 경사면을 따라 실링부재(30)는 관(50)쪽으로 밀착되게 된다. 양쪽의 판재(10, 20)에 모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관(50)과 넓은 면에서 밀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판재가 용접이 아닌 간단한 볼트, 너트 체결 방식에 의해 관에 밀접하게 체결되므로, 다양한 재질의 관에 판재를 시공할 수 있으며, 시공 현장에서 간편하고 신속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판재가 관에 체결된 후에도 그 위치를 자유롭게 재조정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관통관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고 용접 지점이 감소하게 되어, 시공 공정을 간소화하는 동시에 시공 비용을 절약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6)

  1. 제1관통공이 형성된 제1본체를 갖는 제1판재;
    제2관통공이 형성된 제2본체를 갖는 제2판재; 및
    상기 제1판재와 상기 제2판재를 마주보도록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식 관누수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공의 테두리부와 상기 제2관통공의 테두리부 사이에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식 관누수 방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공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제1본체 면에 경사진 경사면이 구비되고,
    상기 경사면과 제2판재의 제2관통공 테두리부 사이에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식 관누수 방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공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제1본체 면에 경사진 경사면이 구비되고,
    상기 제2관통공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제2본체 면에 경사진 경사면이 구비되고,
    상기 제1판재의 경사면과 제2판재의 경사면 사이에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식 관누수 방지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 및 상기 제2본체에는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에는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식 관누수 방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볼트와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식 관누수 방지장치.
KR20-2004-0004679U 2004-02-23 2004-02-23 체결식 관누수 방지장치 KR2003496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679U KR200349677Y1 (ko) 2004-02-23 2004-02-23 체결식 관누수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679U KR200349677Y1 (ko) 2004-02-23 2004-02-23 체결식 관누수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9677Y1 true KR200349677Y1 (ko) 2004-05-08

Family

ID=49429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679U KR200349677Y1 (ko) 2004-02-23 2004-02-23 체결식 관누수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96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85764A (zh) * 2019-12-31 2020-04-10 北京凯盛建材工程有限公司 一种减振防水穿墙管结构及其施工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85764A (zh) * 2019-12-31 2020-04-10 北京凯盛建材工程有限公司 一种减振防水穿墙管结构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49677Y1 (ko) 체결식 관누수 방지장치
JP6480269B2 (ja) 型枠支持体
KR100817812B1 (ko) 맨홀의 관 연결구조
KR101396514B1 (ko) 수자원 취수를 위한 조립식 취수탑의 도수관 연결장치 구조
JP2010065500A (ja) シールドトンネル用袋体付きセグメントおよびシールドトンネル用セグメント本体への袋体の取り付け方法
JP2008274577A (ja) 止水部材、止水構造、コンクリート矢板の接合構造及び鋼管矢板の連結構造
CN211624438U (zh) 中性面设柔性动密封组件的防水穿墙套管结构
KR100468812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방지를 위해 설치되는시공이음부의 지수판과 신축 이음부의 익스펜숀죠인트부재와의 접속 부위에 사용하는 지수판 접속부재
JP2020143545A (ja) 鋼管矢板継手部の止水構造
JP6571354B2 (ja) 嵩上げブロック
JP2010265683A (ja) 地中構造物
JP3207390U (ja) コンクリート型枠支持部の止水構造
KR20080000887U (ko) 콘크리트 암거용 접속부 패킹제
KR200268425Y1 (ko) 도로 경사면의 지중 콘크리트 흄관의 연결구조
KR100524394B1 (ko) 콘크리트암거
KR200375104Y1 (ko) 관로연결구
KR102156388B1 (ko) 맨홀 누수 방지 구조 및 이의 조립 방법
JP3317688B2 (ja) パッキン
JP2002227187A (ja) 鋼管矢板の継手およびその施工法
KR200295874Y1 (ko) 앵커플레이트
KR200290208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방지를 위해 설치되는시공이음부의 지수판과 신축 이음부의 익스펜숀죠인트부재와의 접속 부위에 사용하는 지수판 접속부재
JP5408543B2 (ja) 管路更生方法
JP3908105B2 (ja) 構造部材の接続構造
JP3909271B2 (ja) 流体注入部材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連結部材
JP2011106241A (ja) 杭頭接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