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8996Y1 - 가구 조립용 앵커 - Google Patents

가구 조립용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8996Y1
KR200348996Y1 KR20-2004-0002635U KR20040002635U KR200348996Y1 KR 200348996 Y1 KR200348996 Y1 KR 200348996Y1 KR 20040002635 U KR20040002635 U KR 20040002635U KR 200348996 Y1 KR200348996 Y1 KR 2003489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furniture
assembly
assembling
coup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26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섭
Original Assignee
최용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섭 filed Critical 최용섭
Priority to KR20-2004-00026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89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89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89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구 조립용 앵커에 관한 것으로, 가구(10)의 결합구멍(11)으로 설치되며, 몸체의 내부로 조립볼트(20)가 삽입되어 나사 체결되도록 관통구멍(31)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볼트(20) 삽입시 끝단부가 벌어질 수 있도록 절개된 절개부(32)가 일단부로 형성되고, 몸체 외주면으로 일정간격을 갖고 돌출 형성된 걸림편(33)이 구비된 앵커몸체(30)에 있어서;
상기 앵커몸체(30)에는 결합구멍(11) 내부로 조립될 때 절개부(32)의 셋팅 위치를 결정되도록 하는 조립위치 결정 컷팅면(34)이 형성되어 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비교적 길이에 비해 그 두께가 비교적 얇은 가구류의 목재판넬 조립 시 앵커의 자동 공급라인에서 항상 일정한 방향, 즉 절개부(32)의 벌어짐 방향이 길이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앵커가 조립되므로써 두께방향으로의 변형 여유가 없는 패널의 조립시 앵커 벌어짐에 의한 변형이나 파손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가구 조립용 앵커{Anchor for Assembling a Furniture}
본 고안은 가구 조립용 앵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예로서 선반이나 책상 등과같이 그 길이에 비하여 그 두께가 비교적 얇은 목재를 조립하기 끼워 조립되는 앵커의 벌어짐 방향이 항상 폭 직각방향으로만 위치 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가구의 경우 조립과 분해를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그 결합력을 우수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앵커와 앵커볼트를 이용하고 있다.
종래 앵커는 도 1에서와 같이 내부로 조립볼트(20)가 삽입되어 나사 체결되도록 관통구멍(31)이 형성되어 조립볼트(20)의 조임작업으로 돌기형상으로 다수 돌출된 걸림편(33)이 조립구멍 내벽에서 강하게 압착될 수 있도록 절개부(32)가 트여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서로다른 두 개의 가구류를 조립볼트(20)의 조임 작업으로 견고히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앵커는 벽면 등 그 구조가 단단한 곳에 설치하는 데는 아무 불편이 없었으나, 비교적 길이에 비하여 두께가 얇은 목재 가구의 경우 앵커몸체(30)의 절개부(32) 방향에 따라 조립과정에서 파손되어 불량품이 양산되는 원인이 되었다.
즉, 조립볼트(20)의 조임시 절개부(32)가 벌어지는 것에 의해 걸림편(33)이 조립구멍 내벽에서 고정되도록 힘이 작용 될 때 두께가 얇은 선반 등의 패널형상 가구류의 경우, 이러한 조임 과정에서 비교적 두께가 얇은 두께방향으로 앵커몸체(30)의 벌어짐 압착력이 작용되면 두께방향으로 형상변형이 발생되거나 심하게는 제품이 파손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두께가 얇은 목재 등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불량률이 증가하며, 제품 제작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길이에 비하여 두께가 얇은 패널형 가구에 앵커를 자동 공정으로 조립할 때 앵커의 벌어짐 위치가 두께 직각방향으로만 위치되도록 한 가구 조립용 앵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가구 내에 설치된 앵커가 조립되는 과정에서 가구류의 변형이나 파손되지 않도록 한 가구 조립용 앵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앵커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가구 조립용 앵커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앵커가 선반 내부로 삽입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앵커로 조립볼트가 삽입되어 선반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인 앵커가 선반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측 단면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가구 11 - 결합구멍
20 - 조립볼트 30 - 앵커몸체
31 - 관통구멍 32 - 절개부
33 - 걸림편 34 - 조립위치 결정 컷팅면
35 - 경사면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가구(10)의 결합구멍(11)으로 설치되며, 몸체의 내부로 조립볼트(20)가 삽입되어 나사 체결되도록 관통구멍(31)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볼트(20) 삽입시 끝단부가 벌어질 수 있도록 절개된 절개부(32)가 일단부로 형성되고, 몸체 외주면으로 일정간격을 갖고 돌출 형성된 걸림편(33)이 구비된 앵커몸체(30)에 있어서;
상기 앵커몸체(30)에는 결합구멍(11) 내부로 조립될 때 절개부(32)의 셋팅위치를 결정되도록 하는 조립위치 결정 컷팅면(34)이 형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앵커몸체(30)의 상부와 하부로 절단면을 갖는 조립위치 결정 컷팅면(34)에 의해 그 두께가 비교적 얇은 목재의 조립시 항상 두께 직각 방향으로만 벌어짐이 작용되도록 앵커몸체(30)가 삽입 설치되는 것에 의해, 조립과정에서 두께방향으로 가구(10)의 형상이 변형이나 파손의 염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인 가구 조립용 앵커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인 앵커가 선반 내부로 삽입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앵커로 조립볼트가 삽입되어 절개부가 벌어지며, 선반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5는 앵커가 선반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즉, 도 2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앵커몸체(30)는 주로 목재로 형성되어 선반이나 책상 등과 같이 두께가 비교적 얇고 길이방향으로 긴 패널형상의 가구를 조립하기 위해 가구(10)에 미리 뚫어지는 결합구멍(11)으로 삽입 설치되어 진다.
이때, 앵커몸체(30)의 조립공정은 대량 생산을 위해 주로 자동 조립공정에 의해 결합구멍(11)의 위치로 각각 끼워지게 된다.
앵커몸체(30)는 몸체의 내부로 조립볼트(20)이 삽입되도록 관통구멍(31)이뚫어지고, 조립볼트(20)가 나사 체결되면서 내부로 진입될 때 끝단부로부터 벌어질 수 있도록 절개부(32)가 "-" 형으로 절결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 외주면으로는 일정간격을 갖고 걸림편(33)들이 돌출 성형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앵커몸체(30)의 둘레에는 절개부(32)에 대략 직각방향으로 조립위치 결정 컷팅면(34)가 형성되어 끝단부로는 일정각도를 갖고 테이퍼진 경사면(35)이 예리하게 성형되어 있다.
앵커몸체(30)의 끝단부에 경사면(35)을 형성하는 이유는 자동 조립공정에서 결합구멍(11)으로 끼워 조립할 때 원활하게 가구에 파여진 결합구멍(11)으로 끼워 조립되도록 유도한다.
또, 상기 앵커몸체(30)에는 일정부분을 절단한 조립위치 결정 컷팅면(34)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조립위치 결정 컷팅면(34)은 절개부(32)와 대략 직각방향으로 성형하게 되어, 자동 조립 공정라인에서 자동기기에 의해 앵커몸체(30)를 결합구멍(11)으로 끼워 조립할 때 도시하지 않은 가이더의 안내로 조립위치 결정 컷팅면(34)이 가구(10)의 두께라인과 평행하게 조립되도록 유도하게 된다.
따라서, 절개부(32)의 벌어짐 방향이 가구의 두께에 직각인 길이방향으로 항상 조립되므로, 앵커볼트(30)의 조임작업으로 앵커몸체(30)가 벌어질 때, 그 변위와 압력변화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앵커몸체(30)의 절개부(32) 벌어짐 방향이 결합구멍(11) 내에서 비교적 얇은 두께 방향으로는 작용되지 않게 되므로 두께가 얇은 선반이나 상판,측판 등과 같이 패널형 가구의 변형 및 파손 염려가 없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립위치 결정 컷팅면(34)는 선별기와 같은 자동 공급기에 의해 앵커몸체(30)가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결합구멍(11)으로 앵커몸체(30)를 바로 삽입 설치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효율 및 생산성을 증대시킨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앵커의 상부와 하부로 절단면을 갖는 조립위치 결정 컷팅면에 의해 그 두께가 비교적 얇은 목재의 조립 시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앵커가 삽입 설치되고, 두께 직각방향인 길이 방향으로만 변형력을 전달시키게 되어 가구의 형상이 변형 및 파손염려가 없는 것이다.
또, 앵커의 조립공정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져 작업 효율이 증대되고,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가구(10)의 결합구멍(11)으로 설치되며, 몸체의 내부로 조립볼트(20)가 삽입되어 나사 체결되도록 관통구멍(31)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볼트(20) 삽입시 끝단부가 벌어질 수 있도록 절개된 절개부(32)가 일단부로 형성되고, 몸체 외주면으로 일정간격을 갖고 돌출 형성된 걸림편(33)이 구비된 앵커몸체(30)에 있어서;
    상기 앵커몸체(30)에는 결합구멍(11) 내부로 조립될 때 절개부(32)의 셋팅 위치를 결정되도록 하는 조립위치 결정 컷팅면(3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가구 조립용 앵커.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몸체(30)의 몸체 끝단부로 테이퍼진 경사면(35)이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조립용 앵커.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몸체(30)의 조립위치 결정 컷팅면(34)은 절개부(32)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조립용 앵커.
KR20-2004-0002635U 2004-02-04 2004-02-04 가구 조립용 앵커 KR2003489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635U KR200348996Y1 (ko) 2004-02-04 2004-02-04 가구 조립용 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635U KR200348996Y1 (ko) 2004-02-04 2004-02-04 가구 조립용 앵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8996Y1 true KR200348996Y1 (ko) 2004-04-29

Family

ID=49429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2635U KR200348996Y1 (ko) 2004-02-04 2004-02-04 가구 조립용 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8996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515B1 (ko) 2006-07-27 2007-08-22 김호남 다용도 사무기기용 테이블
KR101252719B1 (ko) 2011-12-21 2013-04-09 주식회사 라이프스타일 가구용 연결장치
KR102155510B1 (ko) * 2020-01-21 2020-09-14 주식회사 네오퍼스 선반의 전방이탈방지 기능을 구비한 다보 및 이러한 다보에 의해 조립된 수납가구
KR20220095639A (ko) 2020-12-30 2022-07-07 김원도 조립대상체 조립용 다기능앵커 및 이를 이용한 조립대상체 조립구조
KR20220101932A (ko) * 2021-01-12 2022-07-19 (주)청송퍼니처 이동형 또는 고정형 가구 선반에 적용이 가능한 공용 고정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515B1 (ko) 2006-07-27 2007-08-22 김호남 다용도 사무기기용 테이블
KR101252719B1 (ko) 2011-12-21 2013-04-09 주식회사 라이프스타일 가구용 연결장치
KR102155510B1 (ko) * 2020-01-21 2020-09-14 주식회사 네오퍼스 선반의 전방이탈방지 기능을 구비한 다보 및 이러한 다보에 의해 조립된 수납가구
KR20220095639A (ko) 2020-12-30 2022-07-07 김원도 조립대상체 조립용 다기능앵커 및 이를 이용한 조립대상체 조립구조
KR20220101932A (ko) * 2021-01-12 2022-07-19 (주)청송퍼니처 이동형 또는 고정형 가구 선반에 적용이 가능한 공용 고정 장치
KR102449645B1 (ko) 2021-01-12 2022-09-30 (주)청송퍼니처 이동형 또는 고정형 가구 선반에 적용이 가능한 공용 고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1681A (en) Arrangement for mounting hinge pin sockets to cabinet doors
US4284378A (en) Fastener for panels
EP3313236B1 (en) Joining device, particularly for joining a shelf to a wall of a piece of furniture
JPS60245818A (ja) 2つのプレートを角度をもつて連接する装置及び方法
KR200348996Y1 (ko) 가구 조립용 앵커
US5570982A (en) Screw hole with preinstalled screw
JP2007054344A (ja) フレーム部材と接合具とそれらを用いた構造体
JP3156422U (ja) パネルまたはパネル状要素のための連結具
EP4187113A1 (en) Fastener for grooved joint between furniture panels
KR200228609Y1 (ko) 조립식 앵글선반 결합구조
KR20200008865A (ko) 무타공 프로파일 연결 장치
KR200467577Y1 (ko) 가구용 조립구
JP3205940U (ja) 薄肉の屋根またはファサードパネルを、下部構造に結合するための取付手段、ならびに取付手段とシールワッシャとを有するキット、および取付手段とシールワッシャと格納ベルトとを有するキット
KR200382746Y1 (ko) 가구용 직결볼트
KR100358949B1 (ko) 조립용 가구 연결구
JP2013014932A (ja) 建築用木材の継合構造
CN111550478B (zh) 具有保持元件的紧固件
US6481919B2 (en) Connection device having an angled extending member
EP3957870A1 (en) Intermediate assembly apparatus
KR100732485B1 (ko) 벤딩형 나비너트의 제조방법 및 그 벤딩형 나비너트
KR200209866Y1 (ko) 체결장치
CN220268119U (zh) 一种连接组件及连接系统
CN216519022U (zh) 一种板件连接组件和柜体
CN216044803U (zh) 活动层板托的卡接座、活动层板托和型材组合式家具
JP3485289B2 (ja) 抽出し箱体に対する化粧前面板の取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