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8966Y1 - 멀티 텐셔너 - Google Patents

멀티 텐셔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8966Y1
KR200348966Y1 KR20-2004-0001690U KR20040001690U KR200348966Y1 KR 200348966 Y1 KR200348966 Y1 KR 200348966Y1 KR 20040001690 U KR20040001690 U KR 20040001690U KR 200348966 Y1 KR200348966 Y1 KR 2003489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er
guide roller
transmission line
engin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16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우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우에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우에스이
Priority to KR20-2004-00016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89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89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89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the object being a workshop for servicing, for maintenance, or for carrying workmen during wor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송전선 및 송전선의 가선시에 기존의 풀라와 텐셔너의 역할이 동시에 가능한 멀티 텐셔너에 관한 것으로, 엔진풀라처럼 자주적으로 이동하며 텐셔너와 엔진풀라의 역할을 한대의 장비에 의하여 동시에 제공하는 멀티 텐셔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4륜 구동으로 이동되는 바퀴(2, 13)의 상측에 설치되는 엔진(21)의 전방에 안내로울러(17)와,
상기 안내로울러(17)의 우측으로 밴드 브레이크 핸들(33)로 장력이 조절되며 내측에 슈체인(10)이 설치된 휠 드럼(44)과,
상기 휠 드럼(44)의 상측에 가이드로울러(11)가 설치되고 전방으로 가이드로울러(15)와 양측이 가려지고 상,하측으로 가이드로울러(28)를 설치하여 송전선(52)을 공급하거나 당기도록 하고,
모터(40)의 동력이 클러치 레버(42)를 통하여 펌프(41)에 연결되고 기어박스(25)를 통하여 클러치(27)를 구동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멀티 텐셔너{Multi Tensioner}
본 고안은 송전선 및 송전선의 가선시에 기존의 풀라와 텐셔너의 역할이 동시에 가능한 멀티 텐셔너에 관한 것으로, 엔진풀라처럼 자주적으로 이동하며 텐셔러와 엔진풀라의 역할을 한대의 장비에 의하여 동시에 제공하는 멀티 텐셔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송전선 가선공사현장에서는 송전선이나 가공선(광통신 케이블)과 같은 전선의 견인용 와이어 로프를 당겨서 릴 와인더에 감아주는 릴 와인더 부착형 엔진풀라는 도 3과 같이 견인용 와이어 로프를 당기는 경우에만 사용되며, 엔진풀라와 연계 구동하면서 송전선이나 가공선에서 일정한 장력을 유지시켜주는 장력저항장치인 텐셔너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엔진풀라는 2륜(후륜) 구동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주로 산악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경사진 곳이나 언덕주행시에 운반 및 이동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작업하기가 매우 불편하었다.
또한 노후된 고압전선의 교체작업시 일측에 설치된 신규의 케이블 드럼을 배치하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신규 케이블을 잡아당기는 윈치가 배치되어 윈치에서 신규의 케이블을 철탑을 거쳐 잡아당기는 방법으로 신규의 케이블을 철탑에 재가설하는 텐셔너는 바퀴가 없어서 별도의 차량에 적재하여 필요한 곳까지 이동해야 하므로 이동시간이나 경비의 소모가 많을 뿐만 아니라 이동이 어려운 것이었다.
또한 송전선과 가공선을 가선 공사시 타워의 한쪽에서는 엔진풀라를 설치하고 반대방향에서는 텐셔너를 설치하여 송전선과 가공선을 일정한 장력으로 유지시키면 반대편의 엔진풀라에서 전선이 연결된 와이어를 당겨 송전선과 가공선을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기존의 텐셔너는 무동력에 의한 전선 및 송전선을 한방향으로만 풀어주는 단순한 용도로만 사용되어 장력의 불균형시 송전선의 처짐이 발생하여 전기사고 및 송전선의 고품질 유지가 어려워 진다.
그리고 송전선과 가공선을 설치한 후에는 엔진풀라와 텐셔너를 다시 새로운 장소로 옮겨서 작업을 준비하는 관계로 이동시간과 작업의 준비시간이 너무 길게 소모되는 것이다.
또한 노후되거나 사고난 송전선을 교체작업하는 경우에도 엔진풀라와 텐셔너를 필요로 하나 엔진풀라는 작은드럼을 사용함으로 전선이 손상되고 작업이 어려운 것이었다.
또한 송전선과 가공선을 설치할 때 너무많이 공급되어 늘어지면 역회전을 시켜 회수해야만 하고, 너무 팽팽하면 공급하는 작용을 설치하여 설치작업을 자연스럽게 진행할 수 없는 것이다.
그리고 노후되거나 사고난 전선의 교체작업시 설치 전선을 회수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설치반대 방향인 텐셔너에서 작업하므로 작업이 불편한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기존의 풀라와 텐셔너의 역할이 동시에 가능한 단방향 작업 및 양방향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유압식 장력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원하는 장력으로 작업할 수 있으며, 차체이동이 가능한 4륜 구동형을 제공하여 산악이동에 편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송전선의 처짐시 사고방지를 위한 역방향 당김작업 기능을 제공하여 작업기간을 단축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멀티 텐셔너를 이용한 송전선의 공급상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멀티 텐셔너를 이용한 송전선의 수급상태도
도 3 은 종래 텐셔너와 풀라를 이용한 송전선의 가설상태도
도 4 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방브라켓트 2, 13 : 바퀴
3 : 핸들 4 : 체인지 레버
6 : 의자 10 : 슈체인
11, 15, 28 : 가이드로울러 14 : 쿨링 파이프
17 : 안내로울러 19 : 메인프레임
21 : 엔진 23 : 발판
24 : 와이어 클램프 25 : 기어박스
26 : 캡스탄 27 : 클러치
27' : 클러치레버 32 : 탱크
33 : 밴드 브레이크 핸들 34 : 밸브
36 : 체인브라켓 40 : 모터
41 : 펌프 42 : 클러치레버
44 : 휠드럼 47 : 거리메타
50 : 멀티 텐셔너 51 : 전선드럼
52 : 송전선 54 : 풀라
55 : 텐셔너
본 고안은 바퀴(2, 13)가 전, 후방에 설치되어 4륜 구동되도록 하며, 바퀴(2, 13)의 상측에는 메인 프레임(19)이 설치되어 있고, 바퀴(2)의 상측으로 엔진(21)이 설치되어 핸들(3)로 의자(6)에 앉아 주변의 기구를 조작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엔진(21)의 전방으로 라이트와 안내 로울러(17)가 설치되어 있으며, 핸들(3)의 일측으로 탱크(32)가 설치되어 있다.
바퀴(13)의 상측에는 전선용 휠 드럼(44)이 설치되어 있으며 휠 드럼(44)의 내부에 슈체인(10)이 설치되어 있으며, 휠 드럼(44)의 좌측으로 가이드 로울러(11)가 설치되어 있고, 우측으로 가이드 로울러(1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로울러(15)의 우측에는 상, 하측에 가이드 로울러(28)가 설치되어 있어서 내부에 전선이 진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휠 드럼(44)의 일측에 설치된 슈체인(10)과 클러치(27)의 일측에는 체인이 연결되어 있어서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휠 드럼(44)의 일측에는 밴드 브레이크 핸들(33)이 설치되고 가이드 로울러(28)의 하측에는 거리메타(47)가 설치되어 있다.
클러치(27)에는 클러치 레버(27')가 설치되어 있고 전방으로 와이어용 캡스탄(2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27)의 안쪽에는 기어박스(25)가 설치되고 좌측에는 체인브라켓(36)이 설치되어 있으며, 기어박스(25)의 안쪽에는 클러치 레버(42)와 펌프(41)가 설치되어 모터(40)의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메인 프레임(19)의 전방과 후방에는 브라켓트(1)가 설치되어 있으며, 후방으로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발판(23)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멀티 텐셔너(50)는 바퀴(2, 13)를 4륜 구동형으로 채용하여 산악 이동시에도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동후에 도 1 과 같이 멀티 텐셔너(50)를 철탑(53)의 일측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전선드럼(51)에 보관된 신규 송전선(52)이 가이드 로울러(28)를 통과하여 휠드럼(44)에 감긴 후 가이드 로울러(11, 15)에 안내되면서 철탑(53)에 공급되는 것이다.
이때 반대펀의 철탑(53') 일측에 설치된 풀라(54)에서 송전선(52)을 잡아당겨 작업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휠 드럼(44)은 체인으로 기어박스(25)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어서 일정한 장력으로 송전선(52)을 잡아주면서 풀라(54)의 당기는 장력에 따라서 송전선(52)의 처짐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멀티 텐셔너(50)를 이용하여 송전선(52)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풀라(54)의 당김작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되는 경우에는 모터(40)를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기어박스(25)를 통한 휠 드럼(44)의 회전방향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송전선(52)을 역방향으로 당겨 처짐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2 와 같이 전선드럼(51)의 송전선(52)을 텐셔너(55)로 공급하는 경우에는 철탑(53')의 일측으로 멀티 텐셔너(50)를 설치하여 송전선(52)을 당기게 되는 것이다.
이때 송전선(52)은 철탑(53, 53')을 통과하여 가이드 로울러(28)의 사이로 공급된 후 가이드로울러(15)에 안내되면서 휠 드럼(44)에 감겨지게 된다.
여기서 텐셔너(55)는 송전선(52)이 일정한 장력으로 공급되도록 하며, 멀티텐셔너(50)는 원하는 장력으로 송전선(52)을 잡아당겨 송전선(52)의 처짐이 없이 작업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멀티 텐셔너(50)는 기존의 풀라(54)와 텐셔너(55)의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므로 멀티 텐셔너(50)가 2개 이거나, 풀라(54) 또는 텐셔너(55)가 한 대만 있는 경우에도 모두 광케이블(52)의 포설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휠 드럼(44)은 밴드 브레이크 핸들(33)을 이용하여 유압으로 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장력으로 작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캡스탄(26)은 와이어를 감아놓고 새로운 케이블로 교체하는 경우에는 클러치(27)와 클러치 레버(27')를 이용하여 모터(40)의 동력을 기어박스(25)에서 변환시켜 와이어를 당길 때 사용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기존의 엔진풀라와 텐셔너를 일체형으로 설치하여 하나의 장비로 송전선이나 가공선을 현장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며 가장 적합한 엔진풀라와 텐셔너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유압식 장력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원하는 장력으로 작업할 수 있으며, 차체이동이 가능한 4륜 구동형을 제공하여 산악이동에 편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캡스탄을 설치하여 와이어 로프를 당길때 텐셔너와 연계동작으로 송전선이나 가공선이 텐셔너의 드럼을 이용한 동력으로 정, 역회전이 가능하므로 용이하게 가선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 텐셔너는 정회전만 무동력으로 구동된 것에 비하여 정,역회전을 동력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하여 전선의 설치작업 뿐만 아니라 회수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Claims (2)

  1. 4륜 구동으로 이동되는 바퀴(2, 13)의 상측에 설치되는 엔진(21)의 전방에 안내 로울러(17)와,
    상기 안내 로울러(17)의 우측으로 밴드 브레이크 핸들(33)로 장력이 조절되며 내측에 슈체인(10)이 설치되는 휠 드럼(44)과,
    상기 휠 드럼(44)의 상측에 가이드 로울러(11)가 설치되고 전방으로 가이드로울러(15)와 양측이 가려지고 상,하측으로 가이드 로울러(28)를 설치하여 송전선(52)을 공급하거나 당기도록 하고,
    모터(40)의 동력이 클러치 레버(42)를 통하여 펌프(41)에 연결되고 기어박스(25)를 통하여 클러치(27)를 구동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텐셔너.
  2. 제1항에 있어서, 클러치(27)의 일측으로 클러치 레버(27')와 와이어용 캡스탄(26)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텐셔너.
KR20-2004-0001690U 2004-01-20 2004-01-20 멀티 텐셔너 KR2003489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690U KR200348966Y1 (ko) 2004-01-20 2004-01-20 멀티 텐셔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690U KR200348966Y1 (ko) 2004-01-20 2004-01-20 멀티 텐셔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8966Y1 true KR200348966Y1 (ko) 2004-04-30

Family

ID=49429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690U KR200348966Y1 (ko) 2004-01-20 2004-01-20 멀티 텐셔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896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678B1 (ko) 2008-09-26 2009-06-18 경 환 정 송전선로의 긴선공사용 윈치조립체
KR101870090B1 (ko) * 2017-11-22 2018-06-21 지이산업 주식회사 전기식 항타기
KR102077532B1 (ko) 2019-05-22 2020-02-14 주식회사 청우에스이 역회전용 브레이크 텐셔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678B1 (ko) 2008-09-26 2009-06-18 경 환 정 송전선로의 긴선공사용 윈치조립체
KR101870090B1 (ko) * 2017-11-22 2018-06-21 지이산업 주식회사 전기식 항타기
KR102077532B1 (ko) 2019-05-22 2020-02-14 주식회사 청우에스이 역회전용 브레이크 텐셔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33768B (zh) 一种连续管线起下装置
KR100590852B1 (ko) 전선 권취장치
KR200348966Y1 (ko) 멀티 텐셔너
CN205562910U (zh) 一种自走式光缆布放牵引机
CN102102531A (zh) 一种深井救援装置
KR102077532B1 (ko) 역회전용 브레이크 텐셔너
CN217984464U (zh) 一种电缆铺设用方向器机构
CN209411661U (zh) 一种钢缆缠绕均匀的绞车
US2843358A (en) Pipe pulling machine
JPH10979A (ja) 応急道路敷設・撤収車両
JP2001095117A (ja) 架空地線への光ケーブル巻付機
JP3617616B2 (ja) 架空地線への光ケーブル巻付機
KR200379722Y1 (ko) 삭도용 윈치
CN220754205U (zh) 一种电缆敷设助力装置
CN217626817U (zh) 一种高压电缆过桥通道的施工装置
CN113562551B (zh) 用于电力工程施工的线缆收放装置
CN218407423U (zh) 一种采煤机电缆拖缆装置
CN217025156U (zh) 一种电动和手动两用的绞盘
CN219341558U (zh) 一种液压绞车
CN210350634U (zh) 一种建设工程用的地下管廊电缆电线铺设牵引装置
KR102298245B1 (ko) 전선드럼설치용 긴장기
CN220664543U (zh) 一种自动收放电缆小车
CN217867419U (zh) 收线装置
CN220317218U (zh) 一种重型绞盘
JP2872666B1 (ja) ケーブル牽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