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7958Y1 - 교통표지용 조립식 지주 - Google Patents

교통표지용 조립식 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7958Y1
KR200347958Y1 KR20-2004-0002126U KR20040002126U KR200347958Y1 KR 200347958 Y1 KR200347958 Y1 KR 200347958Y1 KR 20040002126 U KR20040002126 U KR 20040002126U KR 200347958 Y1 KR200347958 Y1 KR 2003479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bar
fastening holes
upper movable
column
movable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21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정위
Original Assignee
남정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정위 filed Critical 남정위
Priority to KR20-2004-00021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79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79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79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04H12/085Details of flanges for tubular ma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7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with sliding nuts or other additional connecting members for joining profiles provided with grooves or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통표지용 조립식 지주를 개시한다. 지중에 매립되는 기초콘크리트 위에 하단이 고정되는 하부고정지주와, 하부고정지주의 상단부에 몸체하부가 끼워져 접합되며 주면에 서로 어긋나서 직교하는 다수의 체결구멍들이 축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연결바와, 연결바의 노출부위를 하단부가 삽입하고 연결바의 체결구멍들에 대응하는 적어도 1쌍의 체결구멍을 주면의 소정위치에 가지며 상단부에 표지판이 설치되는 행거가 수평으로 연결되는 상부가동지주와, 상부가동지주의 체결구멍들과 연결바의 어느 1쌍의 체결구멍들을 관통하여 양자를 체결하는 고정볼트 및 연결바를 삽입하도록 하부고정지주와 상부가동지주 사이에 선택적으로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높이조절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결바의 돌출부위와 상부가동지주 사이에 양자를 상호 밀착시켜주는 스페이서가 구비되어 기계적 공차 등에 의한 양자간의 틈새를 메워 상부가동지주의 유동을 확실하게 방지한다.
본 고안은 취급이 용이하고 표지내용을 수정하거나 표지판의 교체시 교통통제 없이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아스콘을 덧씌우기 할 경우에도 표지판의 규정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교통표지용 조립식 지주{Assembly post for traffic sign}
본 고안은 도로가에 설치되어 안전한 도로운영에 필요한 각종 규제사항·지시사항 및 주의사항 등을 나타내거나 도로 또는 건물의 위치정보 등을 알려주는데 사용되는 교통표지(traffic sign)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표지내용을 수정하거나 교체할 때 교통을 통제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음은 물론 차도의 노화로 아스콘을 덧씌우더라도 표지판의 높이를 규정된 높이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된 교통표지용 조립식 지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가장자리 또는 차도(車道)의 위쪽에는 도로상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위험사항을 운전자와 보행자에게 알림으로써 안전하고 원활한 도로교통을 확보함과 동시에, 도로구조의 보전(保全)을 도모하기 위해서 도로의 이용에 필요한 각종사항을 알려주는 교통표지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교통표지는 법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제작·설치되며,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문자나 도형적(圖形的)인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나타내며, 전달사항의 성격에 따라 주의표지, 규제표지, 지시표지 및 안내표지 등으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교통표지는 도로의 규모에 따라 1개의 지주에 캔틸레버(cantilever) 형태로 설치되는 편주식(片柱式)과, 도로의 양측에 설치된 2개의 지주를 연결하는 수평 바(bar)에 부착되는 복주식(復柱式)으로 그 형식을 달리하여 설치되는데, 대체로 고속도로를 제외하고 편주식이 사용된다.
도1에는 이러한 편주식 교통표지 장치의 가장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도로가에 매립된 기초콘크리트(도시하지 않음) 위에 지주(1)의 하단이 앵커 (anchor:A)로 체결되고, 지주(1)의 상단부에 행거(hanger:2)가 외팔보 형태로 수평으로 접합되어 이 행거(2)에 각종 표시사항이 표시된 표지판(3)이 매달리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통상의 교통표지는 지주(1)가 단일몸체로 구성되어 있는 바, 대단히 무거운 중량물로서 운반과 설치시의 취급이 상당히 어렵고 번잡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표지판(3)의 내용을 수정하거나 훼손으로 교체할 경우에는 차도를 통제하고 작업해야 하므로 차량소통에 크나큰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특히, 노면의 노후 훼손 등으로 인해 차도 위에 아스콘 덧씌우기를 한 경우, 노면으로부터의 표지판(3)의 높이가 그만큼 낮아지게 되며, 이 경우 차고가 큰 대형차량이 지날 때 표지판(3)이 차량에 부딪쳐 훼손될 우려도 매우 높다.
이에 따라 표지판(3)의 높이를 규정높이로 맞추기 위해서는 기초콘크리트의 높이거나 기초콘크리트와 지주(1)간에 일정두께의 스페이서(spacer)를 개재할 수밖에 없는데, 이 경우 지주(1)의 하단부가 지상으로 돌출되어 도로의 미관을 해칠 뿐 아니라 작업 또한 대단히 번잡해지게 된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97798호에는 지주를 하부지주와 상부지주로 분할 구성하여 양자의 대응단에 구비된 플랜지들을 볼트로 체결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으나, 이는 운반 및 시공시의 취급을 용이하게 할 뿐 표지내용의 수정이나 교체시 상부지주를 분리해야 하는 번잡함이 있음은 물론이고 아스콘을 덧씌울 경우 표지판의 높이가 규정높이에 미달되는 문제를 여전히 안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운반 및 시공시의 취급이 용이하면서 표지내용의 수정 또는 교체시에도 교통을 통제하거나 상부지주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교통표지용 조립식 지주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노면의 노화 등으로 아스콘을 덧씌우기 하더라도 노면으로부터의 표지판의 규정 설치높이를 간단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교통표지용 조립식 지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일반적인 교통표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교통표지용 조립식 지주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3은 도2의 결합상태 정면도,
도4는 도3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
도5는 도4의 Ⅴ-Ⅴ선을 따라 발췌하여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6 및 도7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지주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발췌 정면도와 평면도,
도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발췌 단면도,
도10은 도9의 Ⅹ-Ⅹ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부고정지주 11: 베이스
20: 상부가동지주 21: 체결구멍
30: 연결바 31: 체결구멍
40: 고정볼트 50: 높이조절링
60, 70: 스페이서 80: 연결바
81: 플랜지 C: 기초콘크리트
A: 앵커 H: 행거
B: 표지판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교통표지용 조립식 지주는, 지중에 매립되는 기초콘크리트 위에 하단이 고정되는 하부고정지주; 이 하부고정지주의 상단부에 몸체의 하부가 끼워져 일체로 접합됨으로써 그 몸체의 나머지 부분이 하부고정지주와 단차를 이루면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주면에 서로 어긋나서 직교하는 다수의 체결구멍들이 축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연결바; 이 연결바의 돌출부위를 하단부가 삽입하고, 연결바의 체결구멍들에 대응하도록 서로 어긋나서 직교하는 적어도 1쌍의 체결구멍을 주면의 소정위치에 가지며, 상단부에 표지판이 설치되는 행거가 수평으로 연결되는 상부가동지주; 이 상부가동지주의 체결구멍들과 연결바의 어느 1쌍의 직교하는 체결구멍들을 관통하여 양자를 체결하는 적어도 1쌍의 고정볼트; 및 연결바를 삽입하도록 하부고정지주와 상부가동지주 사이에 선택적으로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높이조절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연결바의 돌출부위와 상부가동지주 사이에 양자를 상호 밀착시켜주는 스페이서가 구비되어 기계적 공차 등에 의한 양자간의 틈새를 메꿔 줌으로써 상부가동지주의 유동을 확실하게 방지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지주의 운반과 시공상의 취급이 매우 용이해짐은 물론 기(旣)설치된 교통표지의 표지내용을 수정하거나 또는 표지판을 교체할 때 상부가동지주를 인도쪽으로 회전시켜 작업할 수 있어 교통을 통제하거나 상부지주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노면의 노화 등으로 아스콘을 덧씌우기 할 경우에도 상부가동지주의 고정위치를 변경하고 상부 및 하부지주간에 높이조절링을 개재시킴으로써 노면으로부터의 표지판의 규정 설치높이를 간단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교통표지의 품위와 신뢰성 및 설치작업성의 향상, 유지관리의 용이성과 비용의 절감 등에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2 내지 도5에서, 본 고안에 의한 교통표지용 조립식 지주(P)는 지중에 매립된 기초콘크리트(C) 위에 고정되는 하부고정지주(10)와, 이 하부고정지주(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표지판(B)이 부착되는 행거(H)가 상단부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상부가동지주(20)와, 하부고정지주(10)와 상부가동지주(20)를 동축상에 연결하는 연결바(30)와, 상부가동지주(20)를 위치 고정시키는 고정볼트(40) 및 상부가동지주(20)와 하부고정지주(10) 사이에 선택적으로 개재되어 표지판(B)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링(50)으로 구성된다.
하부고정지주(10)는 소정지름과 길이를 갖는 중공의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기초콘크리트(C)에 고정하기 위한 베이스(11)를 하단에 수평으로 가진다. 베이스 (11)는 그 상면과 하부고정지주(10)의 외주간에 수직으로 위치되어 용접되는 복수의 리브(12)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 지지된다.
그리고 베이스(11)에는 기초콘크리트(C)의 상부로 돌출된 앵커(A)볼트가 관통하여 너트(N)로 체결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구멍(13)들이 형성된다.
연결바(30)는 소정길이를 갖는 파이프로 구성되고, 하단부가 하부고정지주 (10)의 상단부내에 끼워져 용접됨으로써 하부고정지주(10)에 일체적으로 접합된다. 이에 따라 연결바(30)는 하부고정지주(10)에 끼워지지 않은 부분이 하부고정지주 (10)와 단차를 이루면서 그 상방으로 적정길이 연장되는 형태를 취한다.
연결바(30)의 노출된 부위에는 상부가동지주(20)를 고정볼트(40)에 의해 일체적으로 위치 고정시키기 위해 서로 어긋나도록 상하로 간격을 두고서 직교하는 다수의 체결구멍(31)쌍들이 연결바(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연속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구멍(31)쌍들의 간격은 통상적인 노면의 아스콘 덧씌우기 높이에 대응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노면의 아스콘 덧씌우기로 표지판(B)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아질 경우 상부가동지주(20)를 하부고정지주(10)에 대해 적절히 들어올려 고정하기 위함이다.
상부가동지주(20)는 하부고정지주(10)와 동일한 지름을 갖는 적정길이의 파이프로 구성되고, 상단부에 표지판(B)을 지지하는 행거(H)를 볼트(S)에 의해 수평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22)를 갖는다. 이러한 상부가동지주(20)는 하단부가 하부고정지주(10)의 상부로 연장된 연결바(30)의 노출부를 삽입함으로써 하부고정지주(10)와 동축으로 연결된다.
상부가동지주(20)의 하부에는 고정볼트(40)에 의한 체결 고정을 위해 연결바 (30)의 어느 한 체결구멍(31)쌍과 대응하도록 상하로 어긋나서 서로 직교하는 2개의 체결구멍(21)쌍이 적정거리를 두고 형성된다.
고정볼트(40)는 상부가동지주(20)와 연결바(30)를 그 반경방향으로 완전히 관통하여 너트(41)와 결합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상부가동지주(20)를 연결바 (30)에 안정되게 지지해 줄 수 있는 충분한 지름을 갖는다.
높이조절링(50)은 노면의 아스콘 덧씌우기가 이루어져 표지판(B)의 높이보상을 위해 상부가동지주(20)를 올려서 고정한 경우, 하부고정지주(10)와 상부가동지주(20)간에 네크(neck)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양자간에 선택적으로 개재된다. 따라서 높이조절링(50)은 통상적인 아스콘 덧씌우기 두께에 대응하는 높이, 즉 연결바(30)의 인접하는 두 체결구멍(31)쌍들간의 이격거리와 동일한 높이로 구성된다.
한편, 하부고정지주(10) 및 상부가동지주(20)와 연결바(30)는 가공상의 기계적 오차 등으로 인해 상·하부 지주(20)(10)의 내경과 연결바(30)의 외경이 정확히 일치되지 않고 어느 정도의 편차가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용접으로 접합되는 하부고정지주(10)와 연결바(30)는 별 문제가 되지 않으나, 단순히 끼움방식으로 조립되어 고정볼트(40)에 의해 체결되는 상부가동지주(20)와 연결바(30)간에는 양자간의편차가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이 경우, 상부가동지주(20)에 유동이 발생되고, 예컨대 태풍과 같은 강한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중량물인 상부가동지주(20)에 의해 자칫 연결바(30)가 휘어져 상부가동지주(20)가 기울어지거나 심한 경우 하부고정지주(10)로부터 분리될 우려도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기로 연결바(30)의 외주와 상부가동지주(20)의 내주 사이에는 양자간의 편차를 보상하여 상호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박판으로 이루어진 스페이서(60)(70)가 함께 구비되어 상부가동지주(20)의 유동을 확실하게 방지한다.
스페이서(60)(7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상으로 구성되어 연결바 (30)를 감싸도록 결합될 수도 있고, 또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상으로 구성되어 연결바 (30)의 외주에 적정각도 간격으로 접합될 수도 있다.
통형의 스페이서(60)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연결바(30)의 체결구멍(31)에 대응하도록 다수의 체결구멍(61)들이 형성되고, 판상의 스페이서(70)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체결구멍 없이 연결바(30)의 체결구멍(31)들 사이사이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적 특징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교통표지용 조립식 지주는, 분할 구성된 하부고정지주(10)와 상부가동지주(20)를 현장으로 이송하여 조립 설치하므로 운반과 시공시의 취급이 매우 용이하고 설치작업도 간단하다. 특히, 연결바 (30)를 현장에서 직접 하부고정지주(10)에 접합할 경우, 기초콘크리트(C)의 앵커 (A) 설치상태에 관계없이 표지판(B)을 정확한 각도로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표지내용을 수정하거나 표지판(B)을 교체할 경우,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볼트(40)를 해체한 상부가동지주(20)를 하부고정지주(10)에 대해 회전시켜 행거(H)를 인도쪽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차량을 통제하지 않고서도 표지내용의 수정이나 교체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차량의 충돌 등으로 인해 지주, 예를 들어 하부고정지주(10)가 훼손된 경우 훼손된 부위만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에도 유리하며, 그에 따른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물론, 대형 차량과의 접촉으로 상부가동지주 (20)만이 훼손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특히, 노면의 노후로 인해 아스콘 덧씌우기를 한 경우에는 표지판(B)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아져 대형차량의 통행에 저촉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동지주(20)를 연결바(30)의 한 단계 위에 위치한 체결구멍(31)에 고정하여 상부가동지주(20)의 높이를 아스콘 덧씌우기 두께만큼 높여줌으로써 표지판(B)의 규정높이를 항시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부가동지주(20)와 하부고정지주(10) 사이에는 높이조절링(50)이 개재됨으로써 지주의 전체적인 외관을 매끄럽게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도9 및 도10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바(80)를 상부 및 하부지주(20)(10)들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구성하고, 연결바(80)의 외주에 상부 및 하부지주 (20)(10)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다수의 플랜지(81)를 적정간격으로 형성하여 각 플랜지(81)가 스페이서로 기능하도록 함으로써 상부가동지주(20)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된 구성이다.
플랜지(81)는 적정두께를 갖는 링을 별도 가공하여 연결바(80)의 외주에 용접으로 접합하여 구성되며, 이 경우 하부고정지주(10)의 내주에 삽입되는 연결바 (80)의 하측 플랜지(81)가 하부고정지주(10)와 용접됨으로써 연결바(80)가 하부고정지주(10)에 동심으로 접합된다.
이러한 실시예 역시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가지며, 특히 대구경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지주의 내경에 맞는 외경의 파이프 수급에 따른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으면서 상부가동지주(20)의 보다 용이한 조립도 기대할 수 있다.
즉, 지주는 통상적으로 파이프 제조사의 완제품을 구입하여 제조하게 되는데, 이러한 제품의 내경에 맞는 외경의 파이프의 생산여부가 중요하며, 생산되지 않을 경우 별도로 주문 제작하거나 직접 가공해야 하는 문제가 있으나, 연결바(80)를 통상적으로 생산 판매되는 지름의 파이프를 사용하고, 그 외주에 플랜지(81)를 붙이면 필요한 지름의 파이프 생산여부에 관계없이 지주를 분리 조립식으로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플랜지(81)를 보다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어 양자간의 갭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교통표지용 조립식 지주에 의하면, 지주의 운반과 시공상의 취급이 매우 용이해짐은 물론 기설치된 교통표지의 표지내용을 수정하거나 또는 표지판을 교체할 때 상부가동지주를 인도쪽으로 회전시켜 작업할 수 있어 교통을 통제하거나 상부지주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노면의 노화 등으로 아스콘을 덧씌우기 할 경우에도 상부가동지주의 고정위치를 변경하고 상부 및 하부지주간에 높이조절링을 개재시킴으로써 노면으로부터의 표지판의 규정 설치높이를 간단하게 유지시키면서도 지주의 전체적인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교통표지의 품위와 신뢰성 및 설치작업성의 향상, 유지관리의 용이성과 비용절감 등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5)

  1. 도로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그 상단부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행거를 통해서 차도의 상부에 표지판을 지지해주는 교통표지용 조립식 지주로서,
    지중에 매립되는 기초콘크리트 위에 하단이 고정되는 하부고정지주;
    상기 하부고정지주의 상단부에 몸체의 하부가 끼워져 일체로 접합됨으로써 그 몸체의 나머지 부분이 하부고정지주와 단차를 이루면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주면에 서로 어긋나서 직교하는 다수의 체결구멍들이 축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연결바;
    상기 연결바의 돌출부위를 하단부가 삽입하고, 상기 연결바의 체결구멍들에 대응하도록 서로 어긋나서 직교하는 적어도 1쌍의 체결구멍을 주면의 소정위치에 가지며, 상단부에 상기 행거가 수평으로 연결되는 상부가동지주;
    상기 상부가동지주의 체결구멍들과 연결바의 어느 1쌍의 직교하는 체결구멍들을 관통하여 양자를 체결하는 적어도 1쌍의 고정볼트; 및
    상기 연결바를 삽입하도록 상기 하부고정지주와 상부가동지주 사이에 선택적으로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높이조절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표지용 조립식 지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의 돌출부위와 상부가동지주 사이에 양자를 밀착시켜주는 스페이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표지용 조립식 지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연결바의 체결구멍들에 대응하는 다수의 체결구멍을 주면에 갖는 미세두께의 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표지용 조립식 지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체결구멍과 어긋나도록 연결바의 외주에 일정각도 간격으로 접합되는 미세두께를 갖는 복수의 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표지용 조립식 지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가 하부 및 상부 지주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구성되고, 이 연결바의 외주에 하부 및 상부 지주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다수의 플랜지를 적정간격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표지용 조립식 지주.
KR20-2004-0002126U 2004-01-29 2004-01-29 교통표지용 조립식 지주 KR2003479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126U KR200347958Y1 (ko) 2004-01-29 2004-01-29 교통표지용 조립식 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126U KR200347958Y1 (ko) 2004-01-29 2004-01-29 교통표지용 조립식 지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7958Y1 true KR200347958Y1 (ko) 2004-04-28

Family

ID=49428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2126U KR200347958Y1 (ko) 2004-01-29 2004-01-29 교통표지용 조립식 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7958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613B1 (ko) 2009-11-24 2010-05-19 (유) 이티산업 전선가이드를 갖는 전주
KR100960572B1 (ko) * 2009-11-24 2010-06-03 유한회사 이티아이 전주
KR100968509B1 (ko) 2010-02-18 2010-07-07 주식회사 신한빛 조립식 가로등
KR100976095B1 (ko) * 2010-01-19 2010-08-16 주식회사 신한빛 각도조절용 가로등
KR101421212B1 (ko) * 2013-02-14 2014-08-13 우성이엠씨(주) 파워 모노레일의 기초 구조물
KR20190044222A (ko) 2017-10-20 2019-04-30 이남현 도로표지판용 조립식지주
KR102024683B1 (ko) * 2018-08-28 2019-09-26 주식회사 다원테크 도로시설물용 회전형 폴
KR102624311B1 (ko) * 2023-06-26 2024-01-15 주식회사 신흥판금 감시카메라용 지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613B1 (ko) 2009-11-24 2010-05-19 (유) 이티산업 전선가이드를 갖는 전주
KR100960572B1 (ko) * 2009-11-24 2010-06-03 유한회사 이티아이 전주
KR100976095B1 (ko) * 2010-01-19 2010-08-16 주식회사 신한빛 각도조절용 가로등
KR100968509B1 (ko) 2010-02-18 2010-07-07 주식회사 신한빛 조립식 가로등
KR101421212B1 (ko) * 2013-02-14 2014-08-13 우성이엠씨(주) 파워 모노레일의 기초 구조물
KR20190044222A (ko) 2017-10-20 2019-04-30 이남현 도로표지판용 조립식지주
KR102024683B1 (ko) * 2018-08-28 2019-09-26 주식회사 다원테크 도로시설물용 회전형 폴
KR102624311B1 (ko) * 2023-06-26 2024-01-15 주식회사 신흥판금 감시카메라용 지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7379B1 (ko) 신호등 지지용 지주장치
KR100611553B1 (ko) 가로등지주의 연결구조
KR200347958Y1 (ko) 교통표지용 조립식 지주
KR101085031B1 (ko) 가로 시설물 설치대
KR101960780B1 (ko) 조립식 브라켓을 이용한 인도교
KR101618746B1 (ko) 시공성이 개선되게 한 확장 인도교의 조립식 거더 구조
KR100900553B1 (ko) 교통표지판 지주
KR20160041587A (ko) 가로보의 설치구조
KR200421527Y1 (ko) 펜스의 프레임 연결구조
CN214497276U (zh) 一种标志牌安装结构
KR20090001176U (ko) 회전식 도로표지판 및 교통신호등
KR20090038115A (ko) 가드레일 지주용 델리네이터 구조
KR200376017Y1 (ko) 지주 고정용 베이스
KR101196702B1 (ko) 충격흡수형 표지판
KR200397559Y1 (ko) 교통안전표지판 지주의 고정구조
KR100556544B1 (ko) 교통안전표지판 지주의 고정구조
JP3111247U (ja) 機器類の支柱装置
KR20010069576A (ko) 교통신호등용 철주
KR102069948B1 (ko) 도로표지판용 조립식지주
KR101679392B1 (ko) Led 전광판 일체형 신호등
KR101054212B1 (ko) 도로시설물용 지주
KR101354455B1 (ko) 철주의 매설식 지지구조
KR102495834B1 (ko) 도로안전시설물 설치를 위한 수동식 천공기 및 이를 이용한 천공홀의 천공과 도로안전시설물의 설치 방법
CN219342964U (zh) 一种市政道路文化护栏
KR101111029B1 (ko) 탈착식 중앙 분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