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6450Y1 - 방역장치의 잔류약제 방출구조 - Google Patents

방역장치의 잔류약제 방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6450Y1
KR200346450Y1 KR20-2003-0040247U KR20030040247U KR200346450Y1 KR 200346450 Y1 KR200346450 Y1 KR 200346450Y1 KR 20030040247 U KR20030040247 U KR 20030040247U KR 200346450 Y1 KR200346450 Y1 KR 2003464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discharge
storage member
medicine
solenoid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402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탁봉열
Original Assignee
디에이치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이치엠(주) filed Critical 디에이치엠(주)
Priority to KR20-2003-00402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64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64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64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42Field sprayers, e.g.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01M7/0085Tan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이러스성 전염병 또는 바이러스성 전염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방역장치를 통해 약제를 분사하고, 분사된 약제에 대하여 방역장치 내의 잔여 약제 제거 할 수 있도록 하여 겨울철과 같이 저온에 의해 동파(凍破)되는 것을 방지하고, 잔여 약제에 의해 부식(腐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방역장치의 잔류약제 방출구조에 관한 것으로, 제4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저장부재 내의 압력을 해제하고, 저장부재에 압력이 해제된 상태에서 남아 있는 약제를 배출관과 배출부재를 통해 완전 배출되도록 하여 저장부재에서 부식(腐蝕) 및 동파(凍破)가 방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약제탱크에 저장된 약제를 모터와 펌프를 이용하여 전염병(구제역, 콜레라, 조류독감, 광우병 등)이 발생된 지역 또는 방역을 하고자는 지역에 방역을 하고 난 후에 방역장치 내에 잔류한 약제를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약제에 의해 발생되는 부식 또는 겨울철의 동파 등의 발생을 억제하므로 부품의 교환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방역장치의 잔류약제 방출구조{A mechanism for discharges of residual chemicals in an epidemic control device}
본 고안은 구제역, 광우병, 콜레라, 조류독감 등과 같이 바이러스성 전염병의 발생 및 전염으로부터 가축의 보호 및 예방하기 위한 이동형 방역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이러스성 전염병 또는 바이러스성 전염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방역장치를 통해 약제를 분사하고, 분사된 약제에 대하여 방역장치 내의 잔여 약제 제거 할 수 있도록 하여 겨울철과 같이 저온에 의해 동파(凍破)되는 것을 방지하고, 잔여 약제에 의해 부식(腐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방역장치의 잔류약제 방출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축의 전염병으로는 최근에 자주 발생하는 구제역(口蹄疫, foot-and-mouth disease)은 소, 돼지, 양, 염소, 사슴 및 야생방추류 등과 같이 발굽이 둘로 갈라지는 우제류(偶蹄類) 동물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체온이 급격히 상승하고 입, 혀 발굽 또는 젖꼭지 등에 물집이 생기며, 식욕이 저하되어 심하게 앓 거나 죽게되는 급성가축전염병으로서 국제수역사무국(OIE)에서 A급으로 분류한 15종의 질병 중에서도 첫째가는 악성가축전염병이다.
국내에서는 1934년 이전에 북한지역에서 발생하였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벼병인체 구제역의 병인체는 피코르나바이러스과 아프토바이러스속에 속하는 소형의 바이러스이며 7개의 혈청형(A, O, C, Asia 1, SAT 2 및 SAT 3)이 있다.
전파방법 구제역 바이러스는 매우 빠르게 전화되며, 크게 3가지 경로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첫째, 감염동물의 수포액이나 침, 유즙, 정액, 호흡공기 및 분변 등에 접촉하여 이루어지는 직접촉전파이다.
둘째, 감염지역내 사람(목부, 수의사, 인공수정사 등), 차량(사료차, 출하차, 집유차 등), 의복, 물, 사료, 기구 등에 의한 간접접촉전파이다.
셋째, 공기를 통해서도 전파되는데 육지에서는 60km, 바다를 통해서는 200km 이상 떨어진 곳까지 전파가 가능하다. 또한 구제역 바이러스에 오염된 식육과 식육부산물 등 축산물을 통해서 전파된다. 임상증상 구제역의 잠복기간은 14일 이내 이다.
또한 돼지콜레라는 제1종 전염병으로 돼지만 자연 감염되는 것으로, 전신성, 급성, 전염병으로 전염력이 매우 강하고 일단 감염되면 연령에 관계없이 100% 폐사하며, 피부의 암적색 출혈반, 결장의 단추모양 궤양, 출혈성 패혈증이 특징이다.
그리고 돼지를 구입할 때는 구입농장에서 과거6개월 이상 콜레라가 발생한 적이 없는지 구입 돈의 예방접종이 정확히 이루어졌는지 확인하고, 구입한 돼지는 3주 이상 격리돈사에 기르면서 이상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이러한 구제역과 돼지콜레라는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이므로 특별한 치료법이 없으므로 양돈장에 출입하는 차량을 통제하고 부득이 출입할 때는 차량, 손, 신발,옷 등의 소독을 철저히 해야 한다.
이와 같이, 구제역 또는 돼지콜레라는 전염성이 강하고 피해가 막대하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축농가의 입구 또는 전염지역에는 차량을 방역하고 차량의 운전자 또는 일반인을 소독하기 위한 방역장치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방역장치는 일정지역에서 전염을 예방하기 위해 도로상에 방역팬스를 설치하고 계속적으로 방제액을 살포하여 이동하는 차량이나 사람에 의해 전염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역장치의 경우 겨울철과 같이 기온이 저하되는 계절에 약제를 살포하고 난 후에 이를 제거하기가 매우 어려운데, 이는 방역장치의 내에 남아있는 방제액을 별도로 배출하기 위한 수단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방제액을 배출하지 못하고 보관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방제액을 방역장치에 남아 있는 상태로 방역장치를 보관하는 경우 겨울철과 같이 기온이 저하되는 계절에는 방제액이 얼게 되고, 그로 인하여 방역장치의 부품이 파손되며, 파손된 부품을 교환하기 전에는 방역장치를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부품을 교환한다고 하여도 매년 찾아오는 겨울철마다 부품이 파손되어 계속적으로 방역장치를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방제액을 방역장치 내에 담겨진 상태로 방역장치를 보관한 후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내부를 세척하여야 하는데, 이는 담겨진 약제에 의해 내부에 부식(腐蝕)이 발생하고 심한 경우에는 부식에 의해 연결관이 막히게 되어방제액이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항상 내포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구제역, 돼지콜레라, 조류독감 등과 같이 전염성이 강한 전염병을 예방하거나 또는 방역을 마친 후에 방역장치 내에 남아있는 방제액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겨울철과 같이 기온이 저하되는 계절에 부품이 파손되어 방역장치를 계속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방역장치의 잔류약제 방출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구제역, 콜레라, 광우병, 조류독감 등으로부터 예방 및 전염되는 것을 방제할 수 있도록 약제를 저장하는 약제탱크(미도시)와, 상기 약제탱크와 연결되어 약제를 공급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를 구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약제가 인입되도록 단속하는 제1솔레노이드와,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해 공급되는 약제를 소정량 저장하는 저장부재와, 상기 저장부재에 저장된 약제가 분사노즐(미도시)을 통해 분출될 수 있도록 약제의 공급을 단속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해 공급된 약제를 회수하여 저장탱크에 리턴시키는 제3솔레노이드밸브와, 저장부재 내에 약제가 남아있는 약제를 배출하기 위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제4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제1솔레이노이드밸브와 상기 제3솔레노이드밸브 사이에 설치되어 약제의 통로가 되는 제1 T형연결관과, 상기 제1 T형연결관과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저장부재와 제4솔레노이드와 연결되도록 하여 약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2 T형연결관과, 상기 제2 T형연결관과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제4솔레노이드와 연결되는 L자형연결관과, 상기 제2 T형연결관과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저장부재와 연결되는 연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형 방역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재에 잔재되어 있는 약제에 의해 발생되는 부식(腐蝕) 및 동파(凍破)를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되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부재의 약제를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이동형 방역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방역장치의 잔류약제 방출구조의 요부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방역장치의 잔류약제 방출구조를 확대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방역장치의 잔류약제 방출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수단 11 : 바퀴
12 : 모터 13 : 펌프
14 : 호스 15 : 공급공
16 : 제1솔레노이드밸브 17 : 제2솔레노이드밸브
18 : 배출공 19 : 제3솔레노이드밸브
20 : 제4솔레노이드밸브 21 : 제1 T형연결관
22 : 제2 T형연결관 23 : 연결관
24 : 저장부재 30 : 배출부재
31 : 배출관 32 : 제5솔레노이드밸브
33 : 수동밸브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방역장치의 잔류약제 방출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이동형 방역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방역장치의 잔류약제 방출구조의 요부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방역장치의 잔류약제 방출구조를 확대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이동형 방역장치는 사용자가 방역할 장소로 본 고안이 방역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바퀴(11)가 설치된 이동수단(10)이 구비된다.
상기 이동수단(10)에는 구제역, 콜레라, 광우병, 조류독감 등으로부터 예방 및 전염되는 것을 방제할 수 있도록 약제를 저장하는 약제탱크(미도시)와, 상기 약제탱크(미도시)와 연결되어 약제를 공급하는 펌프(13)와, 상기 펌프(13)를 구동시키는 모터(13)가 구비된다.
상기 약제탱크(미도시)에 저장된 약제를 배출하거나 잔여 약제를 회수하기위한 제1 T형연결관(21)이 구비되고, 상기 제1 T형연결관(21)의 일측(도면상 좌측)에는 약제가 공급되는 공급공(15)이 형성된 제1솔레노이드밸브(16)가 설치되고, 상기 제1 T형연결관(21)의 다른 일측(도면상 우측)에는 제3솔레노이드밸브(19)가 설치되며, 상기 제1 T형연결관(21)의 수직방향으로 제2 T형연결관(22)이 설치된다.
상기 제2 T형연결관(22)의 일측에는 연결관(23)이 설치되고, 연결관(23)의 일측에는 약제가 소정량 담아지는 저장부재(24)가 설치되며, 상기 저장부재(24)는 상기 펌프(13)와 연결되어 약제가 분사노즐(미도시)을 통해 분사될 수 있도록 압력이 가해지며, 상기 제1 T형연결관(21)을 통해 공급되는 약제는 저장부재(24) 내에서 일정한 압력이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T형연결관(22)의 일측에는 L자형연결관(25)이 설치되고, 상기 L자형연결관(25)의 일측에는 방역을 마치고, 잔류약제가 리턴된 상태에서 저장부재(24)에 남아 있는 약제가 배출되도록 공기를 흡입하는 제4솔레노이드밸브(20)가 설치된다.
또한 저장부재(24)에 잔재하고 있는 약제가 배출되도록 상기 저장부재(24)의 하방향으로 배출관(31)이 설치되고, 상기 배출관(31)에는 저장부재(24)에 남아있는 약제를 완전 배출하기 위하여 배출부재(30)가 설치된다.
상기 배출부재(30)는 사용자가 직접 약제가 배출되도록 하는 수동밸브(33)가 설치되거나 또는 전기적 에너지를 이용하여 저장부재(24)에 남아 있는 약제를 배출하기 위한 제5솔레노이드밸브(32)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방역장치의 잔류약제 방출구조의 작용을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약제를 살포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제1솔레노이드밸브(16)의 일측에 형성된 공급공(15)을 통해 약제탱크(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는 약제가 공급호스(미도시)를 거쳐 공급되면, 제1솔레노이드밸브(16)는 저장부재(24)로 약제를 공급하기 위하여 오픈된다.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16)가 오픈되면, 제1솔레노이드밸브(16)의 일측에 설치된 제1 T형연결관(21)과 연결관(23)을 거쳐 저장부재(24)에 보내지며, 상기 저장부재(24)에 보내진 약재는 일정압력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이동수단(10)에 설치되어 있는 모터(12)의 구동력을 받아 펌프(13)에 의해 압력이 가해진다.
상기 저장부재(24)에 가해지 압력에 의해 약재는 제2솔레노이드밸브(17)가 오픈되므로 인하여 배출공(18)을 통해 약제가 배출되고, 배출된 약제는 이동수단(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호스(14)를 거쳐 분사노즐(미도시)을 통해 분사된다.
사용자가 방역이 끝나면 분사노즐(미도시)과 연결된 호스(14)에 남아 있는 약제를 다시 리턴 시키는데, 이때에는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드(16)가 오프된 상태에서 제2솔레노이드밸브(17)와 제3솔레노이드밸브(19)가 오픈된다.
상기 제3솔레노이드밸브(19)가 열리면 분사노즐과 연결된 호스(14)에 잔재하고 있는 약제를 펌프(13)에 의해 흡입하는데, 이때에는 호스(14), 저장부재(24), 제2솔레노이드밸브(17), 제2 T형연결관(22)을 거쳐 제3솔레노이드밸브(19)를 통해 남아있는 약제를 약제탱크(미도시)로 리턴 시킨다.
상기 잔여 약제가 저장탱크 쪽으로 리턴된 상태에서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17), 저장부재(24), 제2 T형연결관(22), 제3솔레노이드밸브(19)에 잔재하고 있는 약제를 완전 배출하기 위하여 제4솔레노이드밸브(20)가 오픈되는데, 이때 상기 제1, 제2, 제3솔레노이드밸브(16, 17, 19)는 오프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4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해서는 공기가 흡입된다.
상기 제4솔레노이드밸브가 오픈되면서 공기가 흡입되면, 상기 저장부재에 남아있는 약제를 배출하기 위하여 저장부재의 하방향에 설치되어 있는 배출부재를 오픈 시키면 저장부재에 남아 있는 약제가 완전 배출되어 저장부재에는 잔여약제가 남아 있지 않게 되어 동파 및 부식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배출부재(30)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두 가지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그중 하나는 사용자가 직접적인 조작에 의해 약제를 배출하는 수동밸브(33)이고, 다른 하나는 전기적 에너지를 이용하여 약제를 배출하는 제5솔레노이드밸브(32)이다.
상기 사용자의 직접적인 조작에 의해 저장부재(24)에 남아 있는 약제를 배출하는 것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관(23), 제1, 제2T형연결관(21, 22) 내에 잔재하고 있는 약제를 제4솔레노이드밸브(20)에 의해 공기가 흡입되면, 배출관(31)의 일측에 설치된 수동밸브(33)에 의해 저장부재(24)의 약제를 배출시키는데, 이때에는 중력을 이용하여 저장부재(24)에 남아 있는 약제가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수동밸브(33)를 사용하는 것은 방역을 하는 장소가 넓지 않고, 또한 사용하는 시간 및 기간이 짧을 경우에는 수동밸브(33)를 이용하여 배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품의 단가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5솔레노이드밸브(32)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은 사용자가 방역하는 시간 및 기간이 길 경우 그리고 자주 사용하는 경우에 제5솔레노이드밸브(32)를 장착하는데, 이는 사용자가 직접 저장부재(24)에 잔여 약제를 일일이 제거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주 저장부재(24)를 교환하였는데, 이는 부식이 발생된 상태에서 저장부재(24)를 통해 배출되는 약제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부식에 의해 발생되는 것)에 의해 분사노즐(미도시) 또는 다른 부품들이 그 이물질에 의해 고장의 원인이 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오랜 시간동안 부품의 교환 없이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부품비가 추가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겨울철과 같이 기온이 저하되는 계절에 저장부재에 남아 있는 잔여 약제가 얼게 되고, 얼게되는 약제에 의해 저장부재(24)가 동파되므로 인하여 매년 저장부재(24)를 교환하여야 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부품의 교환에 따른 보수비용이 절약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부식, 동파에 의한 부품의 교환 시기를 연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방역장치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보수료가 적게 들어가는 장점이 있게 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저장부재(24)를 배출부재(30)에 의해 배출되도록 한 것은 구성은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한다 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방역장치의 잔류약제 방출구조의 효과를 살펴보면, 약제탱크에 저장된 약제를 모터와 펌프를 이용하여 전염병(구제역, 콜레라, 조류독감, 광우병 등)이 발생된 지역 또는 방역을 하고자는 지역에 방역을 하고 난 후에 방역장치 내에 잔류한 약제를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약제에 의해 발생되는 부식 또는 겨울철의 동파 등의 발생을 억제하므로 부품의 교환없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구제역, 콜레라, 광우병, 조류독감 등으로부터 예방 및 전염되는 것을 방제할 수 있도록 약제를 저장하는 약제탱크(미도시)와, 상기 약제탱크와 연결되어 약제를 공급하는 펌프(13)와, 상기 펌프(13)를 구동시키는 모터(12)와, 상기 펌프(13)에 의해 공급되는 약제가 인입되도록 단속하는 제1솔레노이드(16)와,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16)를 통해 공급되는 약제를 소정량 저장하는 저장부재(24)와, 상기 저장부재(24)에 저장된 약제가 분사노즐(미도시)을 통해 분출될 수 있도록 약제의 공급을 단속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17)와,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17)를 통해 공급된 약제를 회수하여 저장탱크에 리턴시키는 제3솔레노이드밸브(19)와, 저장부재(24) 내에 약제가 남아있는 약제를 배출하기 위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제4솔레노이드밸브(20)와, 상기 제1솔레이노이드밸브(16)와 상기 제3솔레노이드밸브(19) 사이에 설치되어 약제의 통로가 되는 제1 T형연결관(21)과, 상기 제1 T형연결관(21)과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저장부재(24)와 제4솔레노이드(20)와 연결되도록 하여 약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2 T형연결관(22)과, 상기 제2 T형연결관(22)과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제4솔레노이드(20)와 연결되는 L자형연결관(25)과, 상기 제2 T형연결관(22)과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저장부재(24)와 연결되는 연결관(23)을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형 방역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재에 잔재되어 있는 약제에 의해 발생되는 부식(腐蝕) 및 동파(凍破)를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되는 배출관(31); 및
    상기 배출관(31)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부재(24)의 약제를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장치의 잔류약제 방출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재(30)는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여 잔여 약제를 배출하여 부식, 동파 등을 방지하는 수동밸브(3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장치의 잔류약제 방출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재(30)는 전기적 에너지에 의해 저장부재(24)에 잔류하고 있는 약제를 배출하여 부식, 동파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5솔레노이드밸브(3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장치의 잔류약제 방출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솔레노이드밸브가 오픈된 상태에서 공기가 흡입되면, 저장부재의 잔류 약제가 배출되도록 배출부재가 오픈되어 잔류 약제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장치의 잔류약제 방출구조.
KR20-2003-0040247U 2003-12-26 2003-12-26 방역장치의 잔류약제 방출구조 KR2003464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247U KR200346450Y1 (ko) 2003-12-26 2003-12-26 방역장치의 잔류약제 방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247U KR200346450Y1 (ko) 2003-12-26 2003-12-26 방역장치의 잔류약제 방출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6450Y1 true KR200346450Y1 (ko) 2004-03-30

Family

ID=49344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40247U KR200346450Y1 (ko) 2003-12-26 2003-12-26 방역장치의 잔류약제 방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645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961B1 (ko) 2011-03-04 2011-09-26 허용 약제분사장치의 회수구조
KR20130071343A (ko) * 2011-12-20 2013-06-28 야마호고오교오가부시기가이샤 동결 방지 살포 막대
CN107637585A (zh) * 2017-10-11 2018-01-30 重庆文理学院 一种农林喷洒机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961B1 (ko) 2011-03-04 2011-09-26 허용 약제분사장치의 회수구조
KR20130071343A (ko) * 2011-12-20 2013-06-28 야마호고오교오가부시기가이샤 동결 방지 살포 막대
KR101999302B1 (ko) * 2011-12-20 2019-07-12 야마호고오교오가부시기가이샤 동결 방지 살포 막대
CN107637585A (zh) * 2017-10-11 2018-01-30 重庆文理学院 一种农林喷洒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64800B2 (ja) 車両消毒装置
US20170135313A1 (en) Overhead valve system for animal hoof treatment
KR100786373B1 (ko) 약제분사장치
CN101123873A (zh) 家畜消毒方法、家畜消毒装置、家畜和家畜肉
KR101689503B1 (ko) 차량용 방역 장치
KR200346450Y1 (ko) 방역장치의 잔류약제 방출구조
KR20160122461A (ko) 축사방역장치
KR20150030666A (ko) 가금류의 인도적 대량 도살 및 사육장의 살균을 위한 이산화탄소 기반 방법 및 시스템
CA2900516C (en) Method for the treatment of animals with hooves
KR20200023725A (ko) 축사용 차량의 소독장치
KR101049157B1 (ko) 차량 방역시스템
KR101165191B1 (ko) 소독액 무화 분사장치의 분사구
KR101368455B1 (ko) 축산 농장용 차량 소독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328394Y1 (ko) 동파방지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방역장치
KR101051656B1 (ko) 가습기 겸용 소독기
KR20120121679A (ko) 차량의 방역약제 살포장치
KR101896514B1 (ko) 폐수처리수단이 구비된 동결방지용 차량소독시스템
KR20120123809A (ko) 구제역 방제시스템
WO2002085102A1 (en) A disinfectant spraying apparatus
JP2005253378A (ja) 養鶏方法
JP3229687U (ja) 殺菌シ−ト
KR20040089755A (ko) 이동식 자동 차량 방역장치
KR200334512Y1 (ko) 이동식 자동 차량 방역장치
KR102574728B1 (ko) 미세분무 기능을 가지는 거점식 스마트 방제 시스템
JP7401099B2 (ja) 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