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9157B1 - 차량 방역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방역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9157B1
KR101049157B1 KR1020080134365A KR20080134365A KR101049157B1 KR 101049157 B1 KR101049157 B1 KR 101049157B1 KR 1020080134365 A KR1020080134365 A KR 1020080134365A KR 20080134365 A KR20080134365 A KR 20080134365A KR 101049157 B1 KR101049157 B1 KR 101049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pipe
air
pump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4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6349A (ko
Inventor
문형기
Original Assignee
(주)선농
두원공과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선농, 두원공과대학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선농
Priority to KR1020080134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9157B1/ko
Publication of KR20100076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6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6Mounting of the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방역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약물탱크와, 상기 약물탱크에 연결된 펌프와, 상기 펌프에 연결된 약물 파이프와 상기 약물 파이프로부터 분기되는 약물 분배파이프와, 상기 약물 분배파이프로부터 약물을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을 포함하되, 상기 약물 파이프에 약물 진행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결되는 공기 파이프와, 상기 공기 파이프에 연결된 공기 압축기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겨울철 방역시에도 약물 파이프가 동파될 우려가 없고, 성능 향상을 통해 동일한 동력의 펌프 대비 노즐의 갯수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방역, 차량, 펌프, 공기압축기, 분사노즐, 약물

Description

차량 방역시스템{VEHICLE DISINFECTION SYSTEM}
본 발명은 차량 방역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겨울철 동파를 방지하는 동시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 방역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제역(口蹄疫, Foot and Mouth Disease)은 소, 돼지, 양, 염소, 사슴 등 발굽이 둘로 갈라진 동물(우제류)에 감염되는 질병으로 전염성이 매우 강하며 입술, 혀, 잇몸, 코, 발굽사이등에 물집(수포)이 생기고 체온이 급격히 상승되고 식욕이 저하되어 심하게 앓거나 죽게 되는 질병으로 국제수역사무국(OIE)에서 A급으로 분류하며 우리나라 제1종 가축전염병으로 지정되어 있다.
따라서, 구제역이 발생한 지역은 방역을 해야 하며 그 지역을 통과하는 차량 역시 방역이 필수적이다. 구제역 뿐만 아니라 기타 가축 전염병이 발생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차량 방역시스템의 대표적인 구조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341885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으며, 도 1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기술하면 이하와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 방역시스템은 차량이 구제역 발생 지역을 출입할 때 차량의 외관과 저면을 방역하는 장비로, 차량의 출입을 감지하는 광전자센서(200)와, 차량의 측면과 저면에 약액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과, 물탱크(500) 및 약액탱크(600)와, 물과 약액을 혼압해서 고압으로 분사하는 고압펌프(100)와, 상기 펌프(100)로부터 분사노즐까지 연결되는 배관 파이프(300)(400)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르면, 배관 파이프(300)(400)와 분사노즐을 통해 물과 약액을 분사한 후에도 여전히 물이 배관 파이프(300)(400)에 잔류하고 있어 겨울철 방역시 얼어서 동파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단지 펌프(100)로 물을 분사노즐에 공급하여 분사하므로 소정 갯수 이상의 분사노즐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펌프(100)의 동력(마력)을 높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즉, 분사노즐의 갯수를 높이기 위해 결국 고가의 고마력 펌프를 구입해야 했으므로 비경제적이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명의 목적은 겨울철 방역시에도 동파의 우려가 없는 차량 방역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일한 동력의 펌프 대비 노즐의 갯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차량 방역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방역시스템은,
약물탱크와, 상기 약물탱크에 연결된 펌프와, 상기 펌프에 연결된 약물 파이프와 상기 약물 파이프로부터 분기되는 약물 분배파이프와, 상기 약물 분배파이프로부터 약물을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차량 방역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약물 파이프에 약물 진행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결되는 공기 파이프와, 상기 공기 파이프에 연결된 공기 압축기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차량 방역시스템은,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에 연결된 펌프와, 상기 펌프에 연결된 약물 파이프와 상기 약물 파이프로부터 분기되는 약물 분배파이프와, 상기 약물 분배파이프로부터 약물을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차량 방역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약물 파이프에는 약액 공급기가 별도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약물 파이프에 약물 진행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결되는 공기 파이프와, 상기 공기 파이프에 연결된 공기 압축기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약물 파이프와 공기 파이프 사이의 경사각은 5°~45°사이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약물 파이프에는 열선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 파이프의 직경은 약물 파이프 직경의 1/2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약물 파이프와 공기 파이프 사이의 교차지점과 펌프 사이, 및 상기 약물 파이프와 공기 파이프 사이의 교차지점과 공기 압축기 사이에는 개폐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방역시스템은 RFID 인식장치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방역시스템은 CCTV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겨울철 방역시에도 약물 파이프가 동파될 우려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동력의 펌프 대비 노즐의 갯수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방역효과가 증대된다.
이하, 첨부된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다.
설명의 편의상, '약액'은 물에 의해 희석되지 않은 제조 당시의 약품 원액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고, '약물'은 약액이 물에 의해 희석된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방역시스템은 약물탱크(1)와, 상기 약물탱크(1)에 연결된 펌프(2)와, 약물을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5)과, 상기 펌프(2)와 분사노즐(5)을 연결하는 약물 파이프(6) 및 약물 분배파이프(4)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약물 파이프(6)에는 약물 진행방향에 대하여 공기 파이프(7)가 경사지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 파이프(7)에는 공기 압축기(3)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약물 파이프(6)와 공기 파이프(7) 사이의 경사각은 5°~45°사이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경사각이 지나치게 작으면 제조 자체가 어렵고 지나치게 크면 흐르는 약물에 동력을 추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약물이 공기 파이프(7) 쪽으로 역류하는 등 성능개선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공기 파이프(7)의 직경은 약물 파이프(6) 직경의 1/2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좋다. 만일 공기 파이프(7)의 직경이 약물 파이프(6) 직경의 1/2을 초과하면 약물이 공기 파이프(7) 쪽으로 역류하는 등으로 인해 성능개선의 효과가 덜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약물 파이프(6)와 공기 파이프(7) 사이의 교차지점(C)과 펌프(2) 사이, 및 상기 약물 파이프와 공기 파이프 사이의 교차지점과 공기 압축기(3) 사이에는 각각 개폐밸브(8)(9)가 설치되어 있어 상호 시간차를 두고 각각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개폐밸브(8)(9)는 솔레노이드 밸브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별도의 제어장치(미도시)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도 2에서 구성부호 10, 11은 약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이다.
상기 약물 파이프에는 열선(12)이 연결되어 있어 잔류한 물기를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겨울철 동파 예방효과를 증가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량 방역시스템은 RFID 인식장치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도록 하여 통과하는 각 해당 차량의 방역시간 및 재방역시각을 체크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해당 차량이 불필요하게 중복 방역되는 것을 방지하여 약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방역시스템은 CCTV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있어, 통과하는 차량의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방역에 관련된 위법 차량 조회 및 기타 범법 차량의 색출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여 제어장치에 신호를 보내기 위한 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각종 밸브(8)(10)(11)(12)의 자동 개폐 및 펌프(2)와 공기 압축기(3)의 자동 on/off, 열선(12)의 on/off, RFID 인식장치 및 CCTV 신호 수신 등을 위해서는 별도의 제어부(미도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방역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차량이 차량 방역시스템에 접근하여 바닥 등에 미리 설치한 센서(미도시)에 의해 감지되면, 펌프(2)에 전원이 연결되는 동시에 펌프(2)에 연결된 개폐밸브(8)가 개방되어 약물(1)이 약물 파이프(6)와 분배 파이프(4) 및 분사노즐(5)을 통해 차량으로 분사된다.
상기 펌프(2) 및 개폐밸브(8)의 개방에 뒤이어 바로 공기 압축기(3)에 연결된 개폐밸브(9)도 열려서 약물이 유동하고 있는 약물 파이프(6)로 압축공기가 공급된다.
이에 따라 압축공기의 도움을 받아 약물이 보다 원활하게 약물 파이프(6)와 분배 파이프(4) 및 분사노즐(5)을 통해 분사된다.
다음, 소정의 분사시간이 지나 방역이 완료되면 먼저 펌프(2)가 정지하고 펌프(2)에 연결된 개폐밸브(8)가 폐쇄되어 더 이상 약물이 공급되지 않는다.
그리고, 펌프(2)에 연결된 개폐밸브(8)가 폐쇄된 후 수 초(10초 전후가 바람직)가 경과한 후 공기 압축기(3)에 연결된 개폐밸브(9)를 폐쇄한다.
이와 같이 하면, 약물 파이프(6)에 잔류한 약물을 분사노즐(5)을 통해 완전히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열선(12)이 작동하면 약물 파이프(6)에 잔류한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여 겨울철 동파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약물탱크(1) 대신에 물탱크(1')가 배치되어 물만이 펌프(2)에 의해 공급되도록 하고 약물 파이프(6)에 약액을 별도로 공급하는 약액 공급기(20)가 배치되어 물을 공급하면서 약액을 희석하도록 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 방역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방역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도 2에서 약물 파이프와 공기 파이프의 연결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방역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 주요 구성부호의 설명
1... 약물탱크
2... 펌프
3... 공기 압축기
4... 약물 분배파이프
5... 분사노즐
6... 약물 파이프
7... 공기 파이프
8, 9... 개폐밸브
10, 11... 체크밸브
20... 약액 공급기

Claims (9)

  1. 약물탱크와, 상기 약물탱크에 연결된 펌프와, 상기 펌프에 연결된 약물 파이프와 상기 약물 파이프로부터 분기되는 약물 분배파이프와, 상기 약물 분배파이프로부터 약물을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차량 방역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약물 파이프에 약물 진행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결되는 공기 파이프와, 상기 공기 파이프에 연결된 공기 압축기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되,
    상기 약물 파이프와 공기 파이프 사이의 경사각은 5°~45°사이의 범위에 있이며,
    상기 공기 파이프의 직경은 약물 파이프의 직경의 1/2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방역시스템.
  2.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에 연결된 펌프와, 상기 펌프에 연결된 약물 파이프와 상기 약물 파이프로부터 분기되는 약물 분배파이프와, 상기 약물 분배파이프로부터 약물을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차량 방역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약물 파이프에는 약액 공급기가 별도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약물 파이프에 약물 진행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결되는 공기 파이프와, 상기 공기 파이프에 연결된 공기 압축기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되,
    상기 약물 파이프와 공기 파이프 사이의 경사각은 5°~45°사이의 범위에 있이며,
    상기 공기 파이프의 직경은 약물 파이프의 직경의 1/2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방역시스템.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파이프에는 열선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방역시스템.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파이프와 공기 파이프 사이의 교차지점과 펌프 사이, 및 상기 약물 파이프와 공기 파이프 사이의 교차지점과 공기 압축기 사이에는 개폐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방역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방역시스템에는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을 통과하는 차량을 인식하는 RFID 인식장치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방역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방역시스템에는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을 통과하는 차량을 촬영하는 CCTV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방역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공기 압축기 및 개폐밸브를 작동시키는 제어장치가 추가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방역시스템.
KR1020080134365A 2008-12-26 2008-12-26 차량 방역시스템 KR101049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365A KR101049157B1 (ko) 2008-12-26 2008-12-26 차량 방역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365A KR101049157B1 (ko) 2008-12-26 2008-12-26 차량 방역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349A KR20100076349A (ko) 2010-07-06
KR101049157B1 true KR101049157B1 (ko) 2011-07-14

Family

ID=42638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4365A KR101049157B1 (ko) 2008-12-26 2008-12-26 차량 방역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915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978B1 (ko) 2011-01-21 2013-01-21 김대성 방역장치의 동결방지방법
CN109042604A (zh) * 2018-10-31 2018-12-21 刘宗群 一种用于园林的农药喷洒装置
KR20190098324A (ko) 2018-02-14 2019-08-22 강형석 방역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방역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128B1 (ko) * 2011-11-25 2013-09-30 (주)엔퓨텍 폐쇄회로카메라와 차량번호 인식을 이용한 디지털 차량 살균 관제시스템
KR101666520B1 (ko) * 2015-09-07 2016-10-14 박재광 긴급도로용 조립식 자동방역소독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514Y1 (ko) 2000-02-22 2000-08-16 장재선 차량용 소독장치
KR100546493B1 (ko) 2005-10-11 2006-01-25 김도연 이동이 가능한 스팀 분사기
KR200439552Y1 (ko) * 2007-06-25 2008-04-22 남기욱 노즐 결빙방지 차량소독장치
KR100863107B1 (ko) * 2007-05-04 2008-10-13 주식회사 세스코 자동 분사 장치의 인터렉티브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514Y1 (ko) 2000-02-22 2000-08-16 장재선 차량용 소독장치
KR100546493B1 (ko) 2005-10-11 2006-01-25 김도연 이동이 가능한 스팀 분사기
KR100863107B1 (ko) * 2007-05-04 2008-10-13 주식회사 세스코 자동 분사 장치의 인터렉티브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200439552Y1 (ko) * 2007-06-25 2008-04-22 남기욱 노즐 결빙방지 차량소독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978B1 (ko) 2011-01-21 2013-01-21 김대성 방역장치의 동결방지방법
KR20190098324A (ko) 2018-02-14 2019-08-22 강형석 방역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방역시스템
CN109042604A (zh) * 2018-10-31 2018-12-21 刘宗群 一种用于园林的农药喷洒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349A (ko) 201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9157B1 (ko) 차량 방역시스템
KR200439552Y1 (ko) 노즐 결빙방지 차량소독장치
KR101202696B1 (ko) 무인 차량 방역 및 소독, 방제장치
NZ752829A (en) Animal spray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of use
CN102635473A (zh) 燃料喷射装置
KR102006224B1 (ko) 동파방지기능을 가진 고압식 포그분무장치
KR101065561B1 (ko) 차량소독 결빙방지시스템
KR101086861B1 (ko) 차단 방역장치
FI114083B (fi) Menetelmä suihkutuslaitteiston yhteydessä ja suihkutuslaitteisto
KR101950712B1 (ko) 무언체 전도 수문
CN105997291B (zh) 全自动红外感应喷淋踏板
KR100571001B1 (ko) 방제용 동력분사장치
KR20110079395A (ko) 차량의 무동력 자동방역장치
KR200346450Y1 (ko) 방역장치의 잔류약제 방출구조
KR20130054516A (ko) 무인 차량 방역 시스템
KR20140105058A (ko) 센서 네트워크 기반 차량 방역 시스템
JP6191825B2 (ja) 定圧自動開閉弁
CN110312837A (zh) 饮用水生成设备
KR200463765Y1 (ko) 정전노즐을 이용한 방제기
US20200296927A1 (en) Sensing mat for an animal treatment system
KR200341885Y1 (ko) 무인 차량 방역기
KR20150042913A (ko) 완전 중화된 선박평형수 배출을 위한 중화 시스템
KR101583891B1 (ko) 디젤차량용 scr 시스템의 우레아 역류 방지 장치
KR101896514B1 (ko) 폐수처리수단이 구비된 동결방지용 차량소독시스템
JP2016150076A (ja) 液体噴出装置及び液体噴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