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089Y1 - 승용완구 - Google Patents

승용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089Y1
KR200344089Y1 KR20-2003-0034279U KR20030034279U KR200344089Y1 KR 200344089 Y1 KR200344089 Y1 KR 200344089Y1 KR 20030034279 U KR20030034279 U KR 20030034279U KR 200344089 Y1 KR200344089 Y1 KR 2003440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ire
wheel shaft
groov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2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명옥
Original Assignee
표명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표명옥 filed Critical 표명옥
Priority to KR20-2003-00342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0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0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0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9/00Swings
    • A63G9/10Swings with seats shaped as riding horses, breeches, or the like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어린이용 승용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승마 동작으로 전진구동하고 제자리에서 점핑승용완구를 겸한 승용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승용완구는 자전거, 자동차, 동물 형태의 승용완구등이 있고 어린이들을 위한 승용완구로서 자리잡고 있으나 다른 방법의 구동동작으로 움직이는 승용완구로 인해 어린이의 흥미와 생동감을 한층 더 높혀주는 승용완구가 필요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탑승자가 위,아래로 몸을 움직일때 바퀴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축에 회전에 제약을 두는 기어를 설치하고 레버의 작동으로 전진 및 제자리에서 점핑완구로서의 작동을 할수 있도록 하여 보다 흥미있고 생동감 있는 본 고안과 같은 승용완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승용완구 { wehicie toy }
본 고안은 어린이용 승용완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승용완구에 탑승자가 탑승하고 위, 아래로 몸을 움직이면 바퀴와 연결대 지지대가 벌어지면서 밑으로 이동하는 힘에 의해 바퀴와 고정연결되어 있는 축이 회전하면서 바퀴도 같이 회전하게 되는데 앞바퀴와 연결된 앞바퀴축과 뒤바퀴와 연결대 뒤바퀴축에 바퀴축의 회전에 따라 바퀴축의 회전을 제약하는 조정판이 설치되어 있어 승용완구가 밑으로 내려갈때는 뒤바퀴축이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을 제약하고 있어 승용완구가 앞으로 전진하게 되고 승용완구가 위로 올라갈때는 앞바퀴축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을 제약하고 있고 뒤바퀴축이 앞바퀴축 쪽으로 딸려오는 형태로 구동하게 되어 말이 달릴때 앞발과 뒤발이 벌어졌다 좁혀졌다 하는 형태로 구동하는 승용완구이며 조정판과 연결된 와이어를 움직이는 레버를 작동시 기어에서 조정판이 이탈하여 탑승자가 위, 아래로 몸을 움직여도 승용완구는 전진하지 않고 제자리에서만 앞바퀴축과 뒤바퀴축이 벌어졌다 , 좁혀졌다 하여 제자리에서 점핑하는 승용완구가 된다.
종래의 기술중 본 고안과 같이 탑승자가 위, 아래로의 몸을 움직이면 전진 구동하는 구동방식의 승마형완구가 있으나, 전진과 제자리에서만 점핑을 하는 두가지의 기능을 가지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승용완구에 탑승자가 탑승하고 몸을 위, 아래로 움직일때 탑승자의 움직임으로만 승용완구의 구동이 원활할수가 없어 앞지지대(11)와 뒤지지대(12)을 연결하는 인장스프링(5)이 고정연결되어 있어 탑승자의 위, 아래의 움직임에 있어 밑으로 내릴때는 인장스프링(5) 늘어났다 줄어들었다 하면서 인장 스프링(5)의 탄성에 의해 구동동작이 원활히 이루어 질수 있으며 앞지지대(11)와 뒤지지대(12)와 베아링(10)으로 연결된 앞바퀴축(35)과 뒤바퀴축(36)의 기어(28)에 조정판(30)이 기어박스(7)내부에 안착 설치되어 기어(28)의 회전을 제약하고 와이어 (14)로 연결되어 있어 전진 구동 및 제자리에서 점핑을 레버(4)에 의해 선택할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본 고안의 승용완구의 외부에 동물모양등의 형태의 커버를 씌우므로서 탑승자가 내부 장치들에 의한 안전성을 확보할수 있다.
제 1도는 본 고안의 승용완구의 전체적인 모습을 사시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 2도의 (가),(나)는 본 고안의 승용완구의 몸체 부분을 나타낸 것으로서 (가)는 몸체 부분을 위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나)는 (가)의 'A-A'선의 몸체 부분의 측면을 절단하고 내부를 측면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제 3도는 본 고안의 몸체 부분의 앞 부분을 도 2의 (가)의 'A-B' 선의 몸체 부분을 정면을 절단하고 내부를 정면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제 4도의 (가),(나)는 본 고안의 앞지지대와 뒷지지대를 나타낸 상태도로서 (가)는 본 고안의 앞지지대와 뒷지지대의 구조가 동일한 것을 정면과 측면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상태도이며, (나)는 본 고안의 앞지지대와 뒷지지대에 인장스프링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제 5도는 본 고안의 앞바퀴축과 뒤바퀴측에 기어와 바퀴과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제 6도는 본 고안의 레버 부위를 정면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제 7도는 본 고안의 제 2도 (나)의 'C-A' 선의 레버 부위를 측면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제 8도의 (가),(나)는 본 고안의 기어박스를 나타낸 상태도로서 (가)는 기어박스를 위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나)는 본 고안의 기어박스를 측면을 절단하여 내부를 본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제 9도는 본 고안의 기어박스를 앞부분을 절단하여 내부를 본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몸체 2: 핸들
3: 발판 4: 레버
5: 인장스프링 6: 바퀴
7: 기어박스 8: 기어박스바퀴
9: 기어박스커버 10: 베아링
11: 앞지지대 12: 뒷지지대
13: 와이어고무관 14: 와이어
15: 와이어고정캡 16: 와이어연결부리벳
17: 레버고정대 18: 레버리벳
19: 몸체리벳 20: 와이어연결부
21: 와이어고정캡연결부 22: 몸체리벳홈
23: 인장스프링 고정고리 24: 고정고리홈
25: 와이어고정고리홈 26: 앞,뒤지지대옆고정대
27: 앞,뒤지지대위고정대 28: 기어
29: 기어박스와이어고정캡연결부
30: 조정판 31: 조정판리벳
32: 조정판인장스프링 33: 조정판고정대
34: 고정대홈 35: 앞바퀴축
36: 뒤바퀴축 37: 축홈
38: 와이어고정고리 39: 레버리벳홈
40: 레버와이어연결부 41: 리벳홈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도 2의 (가)(나), 도 3, 도4의 (가)(나), 도5, 도6, 도7, 도8의 (가) (나),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의 파인 곳에 탑승자가 앉아 핸들(2)을 잡고 발판(3)에 다리를 얹고 엉덩이를 위,아래로 움직이면 인장스프링(5)이 늘어나고, 줄어들어 승용완구를 전진하거나 제자리에서 점핑하게하는 승용완구에 있어서,
탑승자가 탑승할수 있는 몸체(1)의 일단부에 발판(3)이 돌출되어 있으며 핸들(3)은 끝부분에 나사산이 있어몸체(1)에 NUT로 고정 연결되어 있고, 몸체 측면에는 앞지지대(11), 뒤지지대(12)를 몸체리벳(19)으로 연결하는 몸체리벳홈(22)이 있고, 몸체(1) 내부에는 앞,뒤지지대옆고정대(26)가 앞과 뒤 부분에 시계방향으로 7시 ~ 8시 사이와 4시 ~ 5시 사이에 몸체(1)의 좌,우를 연결하는 막의 형태로 연결 돌출되어 있으며 앞,뒤지지대위고정대(27)가 몸체(1)의 좌,우를 연결하는 막의 형태로 연결되어 있고, 레버고정대(17)가 돌출되어 있어 레버고정대(17)는 십자 형태로서 앞과 뒤부분에 와이어고정캡연결부(21)가 돌출되어 있어 와이어고정캡(15) 4개를 앞부분의 와이어고정캡연결부(21)에 2개와 뒤부분의 와이어고정캡연결부(21)의 2개를 용접으로 고정 연결하며, 레버(4)에 천공된 레버리벳홈(39)과 레버고정 대(17)의 레버리벳홈(39)에 레버리벳(18)으로 연결하며,
상기 레버(4)은 레버와이어연결부(40)가 위에 2개소 아래에 2개소가 돌출되어 있고, 와이어연결부(20)가 레버와이어연결부(40)의 4개소에 동일하게 와이어연결부리벳(16)으로 연결되며 와이어(14)가 와이어연결부(20)에 BOLT와 NUT로 고정연결되며,
상기 앞지지대(11), 뒤지지대(12)는 구조가 동일하며 리벳홈(41)이 천공되어 있어 몸체(1)의 몸체리벳홈(22)에 몸체리벳(19)으로 연결하며 앞지지대(11)에 2개소, 뒤지지대(12)에 2개소가 천공되어 있고 축홈(37)에는 베아링(10)을 앞지지대 (11)에 2개, 뒤지지대(12)에 2개를 끼우고 베아링(10) 홈에 앞바퀴축(35)과 뒤바퀴축(36)을 끼우며, 인장스프링(5)이 연결된 인장스프링고정고리(23)을 고정 연결할수 있는 고정고리홈(24)이 앞지지대(11)에 3개소, 뒤지지대(12)에 3개소가 천공되어 있으며, 와이어고정고리(38)를 고정 연결할수 있는 와이어고정고리홈(25)이 앞지지대(11)에 2개소, 뒷지지대(12)에 2개소가 요홈되어 있으며,
상기 앞바퀴축(35)과 뒤바퀴축(36)은 구조는 동일하며 앞바퀴축(35)과 뒤바퀴축(36)의 중심에는 기어박스(7)를 끼우고 기어박스커버(9)을 BOLT로 고정 시키며 기어박스(7) 내부에는 기어(28)가 BOLT로서 고정연결되고 앞바퀴축(35)과 뒤바퀴축 (36) 양쪽 끝부분은 앞지지대(11)와 뒤지지대(12)에 장착된 베아링(10)의 홈에 끼워지며 바퀴(6)가 BOLT로 고정 연결되며,
상기 기어박스(7)는 앞바퀴축(35) 중심에 연결되는 기어박스(7)와 뒤바퀴축 (36) 중심에 연결되는 기어박스(7)의 구조는 동일하며, 기어박스(7)에 기어박스와이어고정캡연결부(29)가 위, 아래로 1개소씩 돌출되어 있고 와이어고정캡(15)을 용접으로 기어박스와이어고정캡연결부(29) 상부에 고정연결하며 내부는 관통하는 홈이 있어 와이어(14)가 통과하여 조정판(30)에 와이어연결부리벳(16)으로 연결된 와이어연결부(20)와 BOLT와 NUT로 고정 연결되고, 조정판(30)은 기어(28)와 접촉하는 위와 아래부분이 상이하여 위부분은 기어(28)의 산과 골에 끼워져 기어(28)의 동작을 조절할수 있는 산의 형태로 돌출되어 있으며 아래부분은 기어(28)의 산과 골에 끼우지지 않도록 돌출이 없는 평평한 형태이며 조정판(30)의 동작을 고정하는 조정판고정대(33)와 조정판고정대(33)를 받치고 있는 조정판인장스프링(34)과 조정판고정대(33)와 조정판인장스프링(34)을 끼울수 있는 고정대홈(34)이 있고 기어박스(7) 뒤부분에는 기어박스(7)을 지탱하는 바퀴(8)가 BOLT로 고정 연결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와이어고정캡(15)에 각각 표시되어 있는 'D','E','F', 'G', 와 도 8도 (나)에 도시된 기어박스와이어고정캡연결부(29)에 각각 표시되어 있는 'H', 'J'의 와이어(14) 연결 상태와 레버(4)의 작동에 의한 조정판(30),기어 (28)의 회전, 바퀴(6)의 회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의 와이어(14)는 앞바퀴축(35)의 중심에 설치된 기어박스(7)의 위부분의 기어박스와이어고정캡연결부(29)인 'H' 을 통과하여 조정판(30)의 위부분의 와이어연결부(20)와 고정 연결되고, 'E'의 와이어는 앞바퀴축(35)의 중심에 설치된 기어박스(7)의 아래부분의 기어박스와이어고정캡연결부(29)인 'J' 을 통과하여 조정판 (30)의 아래부분의 와이어연결부(20)와 고정 연결되고 'F'의 와이어(14)는 뒤바퀴축(36)의 중심에 설치된 기어박스(7)의 아래부분의 기어박스와이어고정캡연결부 (29) 인 'J' 를 통과하여 조정판(30)의 아래부분의 와이어연결부(20)와 고정 연결되고 'G'의 와이어(14)는 뒤바퀴축(36)의 중심에 설치된 기어박스(7)의 위부분의 기어박스와이어고정캡연결부(29)인 'H' 을 통과하여 조정판(30)의 위부분의 와이어연결부(20)와 고정 연결되어 있어서,
레버(4)를 탑승자쪽으로 당기면 'D'의 와이어 (14)와 'G'의 와이어(14)가 당겨지게 되어 기어박스(7) 조정판(30) 위부분의 산 형태의 돌출 부위가 기어(28)의 산과 골에 끼워져 승용완구가 전진시 기어(28)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기어(28)와 접촉되어 있는 조정판(30)의 위부분을 기어(28)의 산과 골의 밖으로 밀어 조정판(30)이 뒤로 밀리면서 조정판고정대(33)와 조정판(30)이 벌어져 조정판인장스프링(32)이 미는 힘에 의해 조정판고정대(33)가 앞으로 나오나 조정판고정대(33) 는 조정판(30)을 항상 밀고 있기에 조정판(30)과 조정판고정대(33)가 접촉하고 있는 부분에 있는 조정판(30)의 중간 부분의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넘어가지 않으면 조정판고정대(33)의 미는 힘에 의해 기어(28)가 회전시 조정판(30)의 위부분의 산형태의 돌출부위가 다시 기어(28)의 산과 골로 끼워진다. 기어(28)가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을 지속하면 기어(28)의 산과 골로 조정판(30)의 위부분의 산 형태의 돌출부위가 기어(28)의 산과 골로 끼워졌다, 빠졌다의 작동을 반복하며 기어(2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면 조정판(30)의 위 부분의 산 형태의 돌출 부위가 기어(28)의 산과 골에 끼워져 있어 밖으로 밀려고하는 것이 아니라 기어(28)쪽으로 당기므로 조정판(30)과 접촉되어 있는 조정판고정대(33)가 뒤로 밀리려고 하나 조정판고정대(33)가 조정판고정대홈(34)에서 더이상 뒤로는 밀릴 공간이 없게 끼워져 있기에 조정판고정대(33)가 기어(28) 쪽으로는 밀리나 뒤로는 밀리지 않아 조정판 (30)의 위 부분의 산 형태의 부위가 기어(28)의 산과 골에서 빠지지않아 기어(28)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여 바퀴(6)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한다.
레버(4)을 탑승자 앞쪽으로 밀면 'F' 와이어(14)와 'E' 와이어(14)가 당겨져
기어박스(7) 내의 조정판(30)의 위부분의 산 형태의 돌출된 부위가 기어(28)의 산과 골에서 빠져나오고 조정판(30)과접촉되어있는 조정판고정대(33)가 조정판(30) 중간 부분의 산 형태의 돌출된 부분을 넘어 반대편 면에 접촉하고 조정판(30) 아래부분의 평평한 면이 기어(28)의 산과 접촉되지 않는 위치에 있게 되어 기어(28)와 바퀴(6)의 시계방향과 시계반대방향의 회전에 제약을 주지 않는다.
이하 상기 레버(4)의 작동 상태에 의한 승용완구의 작동 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레버(4)가 탑승자 쪽으로 당겨져 있을때,
제 1도, 도 2도의 (나), 도 4도의 (나)에 도시된 바와같이 몸체(1)에 탑승자가 탑승하고 핸들(2)을 잡고 발판(3)에 발을 얹고 위,아래로 몸을 움직이면 몸체 (1)가 밑으로 내려 갈때는 앞지지대(11)는 앞바퀴축(35)에 연결된 바퀴(6)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뒤지지대(12)는 뒤바퀴축(36)에 연결된 바퀴(6)을 시계방향으로 회전 시키면서 앞지지대(11)와 뒤지지대(12)에 연결된 인장스프링(5)이 늘어나면서 앞지지대(11)와 뒤지지대(12)가 벌어져야하나 레버(4)가 탑승자쪽으로 당겨져 있을때는 뒤바퀴축(36)에 설치된 기어박스(7) 내의 조정판(30)이 바퀴(6)와 뒤바퀴축(36)의 시계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므로 앞지지대(11)는 바퀴(6)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앞지지대(11)가 인장스프링(5)을 잡아당기면서 벌어지고 뒤지지대(12)는 바퀴(6)가 회전하지 않으므로 앞쪽으로 기울어 지면서 인장스프링(5)을 잡아 당기게 된다. 이때 앞지지대(11)와 뒤지지대(12)는 벌어지는 범위는 몸체(1) 내부에 형성된 앞,뒤지지대옆고정대(26)에 의해 제약받으며 내려간 몸체(1)가 위로 올라갈때에 인장스프링(5)이 줄어드면서 앞지지대(11)는 바퀴(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앞지지대(11)가 좁혀져야 하고 뒤지지대(12)는 바퀴(6)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뒤지지대(12)가 좁혀져야 하나 벌어질때와 반대로 좁혀질때는 앞바퀴축(35)의 기어박스(7) 내부의 조정판(30)이 앞바퀴축(35)과 기어(28), 바퀴(6)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기 때문에 뒤바퀴축(36)과 기 어(28), 바퀴(6)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뒤지지대(12)가 좁혀지게 되어 몸체(1)가 내려갈때는 뒤바퀴축(36)에 연결된 기어(28), 바퀴(6)는 회전하지 않고 앞바퀴축(35)에 연결된 기어(28), 바퀴(6)만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승용완구가 앞으로 전진하고 몸체(1)가 올라갈때는 반대로 앞바퀴축(35)에 연결된 기어 (28), 바퀴(6)는 회전하지 않고 뒤바퀴축(36)에 연결된 기어(28), 바퀴(6)만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앞지지대(11)와 뒤지지대(12)가 좁혀진 상태를 만드는데 앞지지대(11)와 뒤지지대(12)의 좁혀지는 범위는 몸체(1) 내부의 앞,뒤지지대위고정대(37)에 앞지지대(11)와 뒤지지대(12)가 접촉되면서 제약을 받게된다.
이 작동 과정에서 기어박스(7)에 고정연결되어 있는 기어박스바퀴(8)의 역할은 기어박스(7)내의 조정판(30)이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할때 앞바퀴축(35)이나 뒷바퀴축(36)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위해 조정판(30)에 힘을 주는데 조정판 (30)가 연결된 기어박스(7)가 시계방향으로 돌아가려고 하는것을 못하도록 받쳐주어 조정판(30)의 작동을 정상 작동 되도록한다.
상기와 같은 작동에 따라 탑승자가 위,아래로 몸을 움직이면 승용완구가 앞으로 전진하고 인장스프링(5)은 탑승자의 몸무게에 따라 인장스프링고정고리(23)을 앞지지대(11)와 뒤지지대(12)의 NUT를 해체하고 철거 하므로서 인장스프링(5)의 갯수를 3개에서 2개, 2개에서 1개로 조정이 가능하여 탑승자의 몸무게에 따라 강도를 조절할수 있다.
레버(4)가 탑승자 앞쪽으로 당겨져 있을때,
레버(4)가 탑승자 앞쪽으로 당겨져 있을때는 앞바퀴축(35)과 뒤바퀴축(36)에 연결된 기어박스(7)내의 조정판(30)이 기어(28)의 시계방향이나 시계반대방향의 회전에 제약을 주지않으므로 앞지지대(11)와 뒤지지대(12)가 같은 형태로 앞지지대 (11)는 인장스프링(5)을 잡아 당기면서 앞쪽으로 벌어지고 뒤지지대(12)는 인장스프링(5)을 잡아 당기면서 뒤쪽으로 벌어졌다 탑승자가 위쪽으로 몸을 움직이면 인장스프링(5)이 당겨지면서 앞지지대(11)와 뒤지지대(12)가 좁혀진다. 탑승자의 위,아래로의 몸을 반복하여 움직이면 승용완구도 상기와 같은 작동에 의해 앞으로 전진하지 하고 몸체(1)만 내려갔다, 올라갔다 한다.
본 고안은 승용완구의 내부의 장치들에 관한 것으로 몸체(1) 및 앞지지대 (11), 뒤지지대(12)등의 외부에 동물 모양이나 기타의 모양의 케이스를 씌우므로서 내부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안전 사고를 방지할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2가지의 구동동작의 기능을 가지고 있고 내부 인장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탑승자가 탑승감을 생동감 있게 느낄수 있어 어린이들의 새로운 흥미와 놀이 기구로서의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통상의 승용완구에 있어서,
    탑승자가 탑승할수 있는 몸체(1)의 일단부에 발판(3)이 돌출되어 있으며 핸들(3)은 끝부분에 나사산이 있어 몸체(1)에 NUT로 고정 연결되어 있고, 몸체 측면에는 앞지지대(11), 뒤지지대(12)를 몸체리벳(19)으로 연결하는 몸체리벳홈(22)이 있고, 몸체(1) 내부에는 앞,뒤지지대옆고정대(26)가 앞과 뒤 부분에 시계방향으로 7시 ~ 8시 사이와 4시 ~ 5시 사이에 몸체(1)의 좌,우를 연결하는 막의 형태로 연결 돌출되어 있으며 앞,뒤지지대위고정대(27)가 몸체(1)의 좌,우를 연결하는 막의 형태로 연결되어 있고, 레버고정대(17)가 돌출되어 있어 레버고정대(17)는 십자 형태로서 앞과 뒤부분에 와이어고정캡연결부(21)가 돌출되어 있어 와이어고정캡(15) 4개를 앞부분의 와이어고정캡연결부(21)에 2개와 뒤부분의 와이어고정캡연결부(21)의 2개를 용접으로 고정 연결하며, 레버(4)에 천공된 레버리벳홈(39)과 레버고정 대(17)의 레버리벳홈(39)에 레버리벳(18)으로 연결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완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4)은 레버와이어연결부(40)가 위에 2개소 아래에 2개소가 돌출되어 있고, 와이어연결부(20)가 레버와이어연결부(40)의 4개소에 동일하게 와이어연결부리벳(16)으로 연결되며 와이어(14)가 와이어연결부(20)에 BOLT와 NUT로 고정연결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승용완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앞지지대(11), 뒤지지대(12)는 구조가 동일하며 리벳홈(41)이 천공되어 있어 몸체(1)의 몸체리벳홈(22)에 몸체리벳(19)으로 연결하며 앞지지대(11)에 2개소, 뒤지지대(12)에 2개소가 천공되어 있고 축홈(37)에는 베아링(10)을 앞지지대 (11)에 2개, 뒤지지대(12)에 2개를 끼우고 베아링(10) 홈에 앞바퀴축(35)과 뒤바퀴축(36)을 끼우며, 인장스프링(5)이 연결된 인장스프링고정고리(23)을 고정 연결할수 있는 고정고리홈(24)이 앞지지대(11)에 3개소, 뒤지지대(12)에 3개소가 천공되어 있으며, 와이어고정고리(38)를 고정 연결할수 있는 와이어고정고리홈(25)이 앞지지대(11)에 2개소, 뒷지지대(12)에 2개소가 요홈되어 있는 구조의 특징으로 하는 승용완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앞바퀴축(35)과 뒤바퀴축(36)은 구조는 동일하며 앞바퀴축(35)과 뒤바퀴축(36)의 중심에는 기어박스(7)를 끼우고 기어박스커버(9)을 BOLT로 고정 시키며 기어박스(7) 내부에는 기어(28)가 BOLT로서 고정연결되고 앞바퀴축(35)과 뒤바퀴축 (36) 양쪽 끝부분은 앞지지대(11)와 뒤지지대(12)에 장착된 베아링(10)의 홈에 끼워지며 바퀴(6)가 BOLT로 고정 연결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완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7)는 앞바퀴축(35) 중심에 연결되는 기어박스(7)와 뒤바퀴축 (36) 중심에 연결되는 기어박스(7)의 구조는 동일하며, 기어박스(7)에 기어박스와이어고정캡연결부(29)가 위, 아래로 1개소씩 돌출되어 있고 와이어고정캡(15)을 용 접으로 기어박스와이어고정캡연결부(29) 상부에 고정연결하며 내부는 관통하는 홈이 있어 와이어(14)가 통과하여 조정판(30)에 와이어연결부리벳(16)으로 연결된 와이어연결부(20)와 BOLT와 NUT로 고정 연결되고, 조정판(30)은 기어(28)와 접촉하는 위와 아래부분이 상이하여 위부분은 산의 형태로 돌출되어 있으며 아래부분은 평평한 형태이며 조정판(30)의 동작을 고정하는 조정판고정대(33)와 조정판고정대(33)를 받치고 있는 조정판인장스프링(34)과 조정판고정대(33)와 조정판인장스프링(34)을 끼울수 있는 고정대홈(34)이 있고 기어박스(7) 뒤부분에는 기어박스(7)을 지탱하는 바퀴(8)가 BOLT로 고정 연결되어 있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완구.
KR20-2003-0034279U 2003-11-01 2003-11-01 승용완구 KR2003440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279U KR200344089Y1 (ko) 2003-11-01 2003-11-01 승용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279U KR200344089Y1 (ko) 2003-11-01 2003-11-01 승용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089Y1 true KR200344089Y1 (ko) 2004-03-11

Family

ID=49344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279U KR200344089Y1 (ko) 2003-11-01 2003-11-01 승용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08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26888U (ja) 上下往復ペダル式レジャー自転車
US5549313A (en) Velocipede with protective padded shell and soft removable cover
US4077647A (en) Ridable amusement device
CA2396733C (en) Ride-on vehicle with direction responsive mechanism
KR200344089Y1 (ko) 승용완구
US5816597A (en) Pedal-propelled vehicle structure for amusement scooters
KR100900207B1 (ko) 유아용 승용놀이구
KR20120017170A (ko) 자가구동식 스케이트보드
KR100642140B1 (ko) 전후륜 자전운행이 가능한 퀵보드
WO2004083028A1 (en) Drivable scooter with footstools
CN111298371B (zh) 一种多功能运动单车
KR100965096B1 (ko) 제동수단을 개선시킨 링크 동력 킥보드
KR102578355B1 (ko) 운동방향의 전환 구조를 가지는 보드
KR200318845Y1 (ko) 킥 보드
KR200428429Y1 (ko) 보조 조향장치를 갖는 세발자전거용 안장
KR200395612Y1 (ko) 운동량 조절기능을 갖는 수동식 스쿠터
JPH0347287A (ja) 小供用乗物
JP3229649U (ja) 子供乗り物用付属玩具装置
KR200384997Y1 (ko) 승용차 완구
US11071921B2 (en) Ride-on toy
KR200245138Y1 (ko) 이중구조를 갖는 롤러보드
KR200209459Y1 (ko) 유모차 겸용 승용놀이구
KR200163993Y1 (ko) 승용회전놀이기구
KR200345943Y1 (ko) 유모차 겸용 세발 자전거
TWM528925U (zh) 滑步腳踏進階兩用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