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0207B1 - 유아용 승용놀이구 - Google Patents

유아용 승용놀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0207B1
KR100900207B1 KR1020080062807A KR20080062807A KR100900207B1 KR 100900207 B1 KR100900207 B1 KR 100900207B1 KR 1020080062807 A KR1020080062807 A KR 1020080062807A KR 20080062807 A KR20080062807 A KR 20080062807A KR 100900207 B1 KR100900207 B1 KR 100900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member
wheel rotating
spring
rid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2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4624A (ko
Inventor
이두평
Original Assignee
(주)성신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신이엔씨 filed Critical (주)성신이엔씨
Publication of KR20090004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0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0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9/00Toy animals for riding
    • A63G19/08Toy animals for riding made to travel by ratchet-wheels, e.g. by stretching the legs
    • A63G19/10Toy animals for riding made to travel by ratchet-wheels, e.g. by stretching the legs by pressing the seats or saddles up-and-dow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Toy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유아나 아동이 탑승하는 몸통이 꺽이지 않고 원래의 형태 그대로를 유지하면서도 앞으로 전진되게 이동되는 승용놀이구를 제공하는 동시에 운동량이 부족한 아동에게 자연스럽게 운동이 되게 하는 승용놀이구에 관한 것으로서, 동물 또는 캐릭터 형상으로 양분되게 제조된 후 하나로 결합되게 고정되고 앞쪽 상단부에 손잡이(111)가 설치되며 중간 하단부에는 발착지대(115)를 갖는 몸통(110)과; 상기 몸통(110) 내부에서 상호 간격이 유지되도록 세워지게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지플레이트(120)와; 상기 복수개의 지지플레이트(120)와 몸통(110)의 전후측과 양측에 각각 구비하는 가이드공(121,112)(122,113)을 각각 관통하는 연동축(213,223)을 각각 구비하여 복수개의 지지플레이트(120) 사이의 앞,뒷쪽에서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앞바퀴회전부재(330) 및 뒷바퀴회전부재(340)와, 상기 앞바퀴회전부재(330) 상단부를 앞쪽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탄력을 부여하는 스프링(350)과 뒷바퀴회전부재((340) 상단부를 뒷쪽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탄력을 부여하는 스프링(351)를 구비하고, 상기 앞바퀴회전부재(330) 및 뒷바퀴회전부재(340) 중간부에는 지지플레이트(120) 내면 전,후측에 있는 각각의 걸림돌기(123)가 삽입되는 가이드장공(333,343)이 있으며, 상기 앞바퀴회전부재(330) 상단부와 뒷바퀴회전부재((340) 하단부를 연결축(320,321)으로 연결되게 하는 연결바(310)를 갖는 작동수단(300)과; 상기 몸통(110)의 가이드공(112,113) 외측으로 관통되는 각각의 연동축(213,223)이 축고정홀(214,224)에 각각 고정되고 하부에는 앞쪽 방향으로만 회전 되는 일방향회전바퀴(211,221)를 각각 구비하여 벌어지고 오무려드는 회동운동을 하는 한쌍의 앞다리부(210) 및 뒷다리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뒷바퀴회전부재((340) 상단부를 뒷쪽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탄력을 부여하는 스프링(351)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스프링장력조절수단(360) 및 음악이나 음성이 나오도록 하는 음성출력장치(400)를 갖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승용놀이구, 말타는 완구, 승용완구

Description

유아용 승용놀이구{Infantile riding playing nine}
본 발명은 유아용 승용놀이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통에 탑승하고 굴러주는 동작으로 몸통을 승하강시켜 다리부가 탄력적으로 회전됨에 따라 추진력을 얻어 전진하도록 함에 있어 승용물의 다리부 회전작동시의 소음을 방지하며, 앞바퀴와 뒷바퀴가 동시에 정확한 전후진 운동을 하도록 한 것이다.
[문헌 1] KR 20-0340905 Y1 2004.02.11
일반적으로 유아용 승용놀이구는 주로 말, 코끼리, 강아지, 호랑이 등의 동물 형태 또는 오토바이, 승용차 등의 승용물 형태를 한 몸통의 하부 전방 및 후방에 구름바퀴를 설치하여 구성하게 되며, 이러한 승용놀이구의 상부에 탑승한 후 두발로 지면을 밀어주면 추진력이 발생되어 승용놀이구가 전진하게 되는 것으로, 유아들은 승용놀이구가 움직이는 것에 호기심을 가지게 되고, 이러한 동작을 통해 다리근육을 발달시킬 수 있음은 물론 승용놀이구가 움직이는 도중 중심을 잡으려고 노력하는 과정에서 신체의 근육을 고루 발달시킬 수 있고 균형감각도 키워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승용놀이구는 두발로 지면을 밀어주어 전진시키는 동작 이외에는 별다른 기능이 없어 유아들이 비교적 쉽게 실증을 내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발명자에 의해서 개시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340905 호에서는 승용놀이구의 몸통을 2분할하여 서로 힌지작동되도록 구성하고, 이러한 분할된 몸통의 사이에 인장스프링을 연결하며, 각 몸통의 하부에 전진하는 방향으로만 회전되는 바퀴를 장착하여 몸통에 탑승을 한 후 몸을 승하강시키면 그 탄력에 의해 승용놀이구의 몸통이 벌어졌다 오므려졌다하면서 추진력을 얻어 전진할 수 있는 승용유희기구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발명자에 의해 개시된 상기 승용유희기구의 경우 몸통을 두개의 몸 통으로 분할되어 작동하기 때문에 몸통과 몸통이 접힐 때 유아들의 엉덩이 부위에 통증을 유발할 수 있고, 각 몸통 사이에 연결되는 인장스프링이 일자 형태로 연결되므로 각 몸통이 벌어질 때 안정감이 떨어지며, 작동중 금속재로 이루어진 인장스프링이 벌어졌다 오므려졌다 하면서 큰 소음을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승용놀이구에 추진력을 발생시켜 전진시키는 것도 잠시 유아들의 호기심을 자극할 뿐 지속적인 호기심을 느낄 만큼 기능이 다양하지 않은 것이어서 보다 많은 기능성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동이 탑승하는 몸통이 꺽이지 않고 원래의 형태 그대로를 유지하면서도 앞으로 전진되게 이동되는 승용놀이구를 제공하는 동시에 운동량이 부족한 아동에게 자연스럽게 운동이 되게 하는 승용놀이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탑승 후 손잡이를 잡고 앞뒤로 흔들더라도 한쪽으로 쏠리는 것이 없고 동일하게 작동되고 양 다리부가 벌어지거나 오므려질 때 과도한 부하가 걸리더라도 이를 지탱할 수 있고 몸통의 형상을 변형 없이 반영구적인 수명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신뢰성이 크게 향상되도록 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으로는, 스위치 조작에 의해 동물의 울음, 발굽소리, 음악과 같은 음성정보가 나오도록 함으로써 유아들의 호기심을 더욱 자극할 수 있는 승용놀이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동물 또는 캐릭터 형상으로 양분되 게 제조된 후 하나로 결합되게 고정되고 앞쪽 상단부에 손잡이가 설치되며 중간 하단부에는 발착지대를 갖는 몸통과; 상기 몸통 내부에서 상호 간격이 유지되도록 세워지게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복수개의 지지플레이트와 몸통의 전후측과 양측에 각각 구비하는 가이드공을 각각 관통하는 연동축을 각각 구비하여 복수개의 지지플레이트 사이의 앞,뒷쪽에서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앞바퀴회전부재 및 뒷바퀴회전부재와, 상기 앞바퀴회전부재 상단부를 앞쪽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탄력을 부여하는 스프링 및 뒷바퀴회전부재 상단부를 뒷쪽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탄력을 부여하는 스프링를 구비하고, 상기 앞바퀴회전부재 및 뒷바퀴회전부재 중간부에는 지지플레이트 내면 전,후측에 있는 각각의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장공이 있으며, 상기 앞바퀴회전부재 상단부와 뒷바퀴회전부재 하단부를 연결축으로 연결되게 하는 연결바를 갖는 작동수단과; 상기 몸통의 가이드공 외측으로 관통되는 각각의 연동축이 축고정홀에 각각 고정되고 하부에는 앞쪽 방향으로만 회전되는 일방향회전바퀴를 각각 구비하여 벌어지고 오무려드는 회동운동을 하는 한쌍의 앞다리부 및 뒷다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승용놀이구를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뒷바퀴회전부재 상단부를 뒷쪽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탄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일측의 지지플레이트 내면에 받침편을 가진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 내부에는 일측에 너트공을 가진 스프링장력조절구가 직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단부가 스프링과 연결되고, 상기 너트공에는 받침편을 관통하는 렌치볼트가 체결되게 하여 렌치볼트의 회전에 의해 스프링장력조절구가 직선방향으로 이동되어 스프링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스프링장 력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통의 내상부 앞쪽에는 스피커, 내장메모리, 착탈식 외장메모리, 마이크로프로세서, 배터리로 이루어진 음성출력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손잡이 양측에는 상기 내장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제1스위치와, 상기 착탈식 외장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제2스위치를 각각 구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통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음성을 입력하면 그 음성이 진동하도록 작용되는 에코마이크를 구비하고, 상기 에코마이크는 스피커와 직접 연결되게 하며, 상기 에코마이크와 인접한 부위에는 상기 에코마이크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에코스위치를 구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통의 후단 상부에는 연결로드연결홈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로드연결홈에는 상단에 가로방향으로 손잡이를 가진 연결로드가 끼워지도록 하고 몸통을 관통하는 고정핀이 끼움공에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방향회전바퀴는 바퀴축 외측으로 공지의 클러치베어링이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클러치베어링의 외주면에는 고무외륜부재가 고정되게 씌워져서 구성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아동이 탑승하는 몸통이 꺽이지 않고 원래의 형태 그대로를 유지하면서도 앞으로 전진되게 이동되는 승용놀이구를 제공함으로써 마치 말타기와 같 은 느낌을 가질 수 있어 재미를 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탑승 후 손잡이를 잡고 앞뒤로 흔들더라도 한쪽으로 쏠리는 것이 없고 동일하게 작동되어 일측으로 과도하게 쏠리지 않고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줄 수 있기 때문에 동작성에 있어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양 다리부가 벌어지거나 오므려질 때 과도한 부하가 걸리더라도 이를 지지플레이트에 의해 지탱할 수 있어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몸통의 형상을 변형 없이 반영구적인 수명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신뢰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탑승을 하고 손잡이를 잡을 때 손잡이 양측에 위치한 제1스위치 또는 제2스위치를 자연스럽게 터치하게 되어 말울음, 말발굽, 동요 등의 음성정보가 출력될 수 있어 유아들의 호기심을 지속적으로 유발할 수 있고 에코기능을 갖출 경우 유아들이 다양하게 소리를 내도록 유도할 수 있어 목청을 좋게 하고 발음을 정확하게 할 수 있으며 더욱 자신감을 심어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재미있는 승용놀이에 의해서 도시생활에서 운동량이 부족한 아동에게 자연스럽게 운동이 되게 하는 것이 됨으로써 아동의 건강 증진에도 커다란 도움을 주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을 제시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승용놀이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전체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작동수단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전체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채용되는 일방향회전바퀴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승용놀이구(100)는 동물 또는 캐릭터 형상으로 된 몸통(110)을 구비하고 그 앞쪽 상부에 손잡이(111)를 구비한다.
상기 몸통(110)은 제조시에 양쪽으로 분할된 상태로 사출성형하여 각각 제조된 다음 조립 과정에 합쳐지게 조립되어 다수의 볼트(116), 너트(116')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상호 고정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몸통(110)을 체결구로 고정하는 방법은 이미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도면 도시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체결방법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몸통(110)의 하부 전후에는 각각 2개씩의 앞다리부(210)와 뒷다리부(220)를 구비하여 앞다리부(210)와 뒷다리부(220)의 하부가 벌어지도록 그 상단부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앞다리부(210)와 뒷다리부(220)의 하부에는 승용놀이구(100)가 전진되게 이동하는 방향으로만 회전되고 승용놀이구(100)가 후진되게 이동되는 방향으로는 전혀 회전되지 못하는 일방향회전바퀴(211)(221)가 각각 설치된 것으로서,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기 몸통(110)의 내부에는 복수의 지지플레이트(120)를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게 설치하고, 상기 각각의 지지플레이트(120)의 사이에는 앞다리부(210)와 뒷다리부(220)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수단(300)이 장착되어 진다.
상기 복수의 지지플레이트(120)는 다수의 볼트(116), 너트(116')에 의해 몸 통(110)을 고정시킬 때 함께 고정되게 하는 것이며, 이때 지지플레이트(120)는 몸통(110) 내면부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몸통(110)은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하여 구성하게 되고 지지플레이트(120)는 철판과 같은 금속재질로 구성하게 된다.
작동수단(300)은, 도 3에 보인 바와 같이 앞쪽과 뒷쪽에 각각의 앞바퀴회전부재(330) 및 뒷바퀴회전부재(340)를 구비하고 이들은 각각 홀(331,341)을 통해 연동축(213,223)이 관통되게 결합된 후 각각 고정된다. 상기 연동축(213,223) 고정은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고정수단에 의해서도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앞바퀴회전부재(330) 상단부와 뒷바퀴회전부재(340) 하단부에는 각각의 연결축(320,321)에 의해 연결바(310)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앞바퀴회전부재(330) 및 뒷바퀴회전부재(340) 상부에는 스프링고정홀(332,342)을 각각 구비하고, 중간부에는 회전제어용 가이드장공(333,343)을 각각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장공(333,343)에는 승용놀이구(100) 조립과정에 지지플레이트(120)의 내면 앞쪽과 뒷쪽에 각각 돌출되어 있는 걸림돌기(123)가 각각 삽입되도록 조립된다.
따라서, 연동축(213,223)이 회전됨으로써 앞바퀴회전부재(330) 및 뒷바퀴회전부재(340)가 회전되면 걸림돌기(123)는 그대로 있는 상태에서 가이드장공(333,343)이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앞바퀴회전부재(330) 및 뒷바퀴회전부재(340) 의 회전범위는 가이드장공(333,343)의 길이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한 기능을 하는 가이드장공(333,343)과 걸림돌기(123)는 만약, 오작동 요인의 발생에 의해서 앞바퀴회전부재(330) 및 뒷바퀴회전부재(340)가 정상적인 회전범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경우가 발생 되면 걸림돌기(123)가 가이드장공(333,343) 양측 내면 중 어느 하나의 내면에 걸림되기 때문에 앞바퀴회전부재(330) 및 뒷바퀴회전부재(340)는 더 이상 회전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몸통(110)에 유아나 아동이 탑승하고 승용놀이를 하는 도중에 만약 고장이 발생되더라도 몸통(110)이 지면에 주저앉게 되는 경우가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작동수단(300)은 앞바퀴회전부재(330)의 연동축(213)이 지지플레이트(120) 및 몸통(110)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공(121,112)을 관통하도록 조립한 후 앞다리부(210)의 축고정홀(214)에 연동축(213) 끝단부가 삽입되게 하여 고정되게 한다.
또한, 뒷바퀴회전부재(340)의 연동축(223)이 지지플레이트(120) 및 몸통(110)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공(122,113)을 관통하도록 조립한 후 뒷다리부(210)의 축고정홀(224)에 연동축(223) 끝단부가 삽입되게 하여 고정되게 한다.
상기 축고정홀(214,224)에 회동축(213,214)이 각각 고정되게 하는 것은 키이(key)(미도시됨) 박음에 의해서 고정되게 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방법의 축고정방법에 의해서 고정되게 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축고정방법은 이미 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이므로 상세한 도면 도시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다리부(210) 및 뒷다리부(220)가 회전되면 연동축(213,223)이 회동 됨으로써 앞바퀴회전부재(330) 및 뒷바퀴회전부재(340)가 회전되는 동작을 하도록 구성되게 조립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앞바퀴회전부재(330) 상부에는 몸통(110)의 앞쪽 방향(외측방향)으로 당겨지도록 탄력을 부여하는 스프링(350)이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350)은 지지플레이트(120) 내면에 돌출된 스프링걸림돌기(124)에 일단부가 걸림되고 다른쪽 일단부는 앞바퀴회전부재(330)의 스프링고정홀(332)에 걸림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스프링(350)의 탄력에 의해서 앞바퀴회전부재(330)의 상단부는 항상 몸통(110)의 앞쪽 방향으로 당겨지게 하는 탄력이 작용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뒷바퀴회전부재(340) 상부에는 몸통(110)의 뒷쪽 방향(외측방향)으로 당겨지도록 탄력을 부여하는 스프링(351)이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351)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스프링장력조절수단(360)을 구비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스프링장력조절수단(360)은 지지플레이트(120) 내면에 받침편(361a)이 있는 지지부재(361)가 고정되게 구비하고, 상기 받침편(361a)으로는 렌치볼트(363)의 나사부가 관통되도록 하여 머리부가 받침편(361a)에 걸림되게 한다.
또한, 상기 렌치볼트(363)의 나사부에는 스프링장력조절구(362)의 일측에 있는 너트공(362a)이 체결되게 하고, 상기 스프링장력조절구(362)의 하단부와 뒷바퀴 회전부재(340)의 상단부 사이에 스프링(3521)이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렌치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렌치볼트(363)를 회전시키게 되면 그 렌치볼트(363)의 머리부가 받침편(361a)에 받쳐져 있는 동시에 스프링장력조절구(362)가 지지부재(361) 내부에서 회전되지 못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렌치볼트(363)는 제자리에서 공회전만 하게 되고 너트공(362a)을 가진 스프링장력조절구(362)가 직선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렌치볼트(363)를 좌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프링장력조절구(362)는 윗쪽방향으로 이동되고 반대로 렌치볼트(363)를 우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프링장력조절구(362)는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서, 스프링장력조절구(362)가 윗쪽 방향으로 이동되면 스프링(351) 길이가 늘어나기 때문에 뒷바퀴회전부재(340)를 당기는 탄력이 강해지게 되는 것이고 반대로 스프링장력조절구(362)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스프링(351) 길이가 줄어들기 때문에 뒷바퀴회전부재(340)를 당기는 탄력이 상대적으로 약해지게 스프링(351) 장력이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스프링(351) 장력을 조절하는 것은 승용놀이시에 아동은 손잡이(111)를 잡고 양발을 몸통(110) 양측에 고정되게 설치된 발착지대(115)에 올려 놓는 상태로 몸통(110) 위에 탑승한 다음 엉덩이를 들었다가 하강시키면서 몸통(110)을 눌러주게 됨으로써 그 몸통(110) 자체가 아래 방향으로 내려가게 되는 것과 동시에 뒷바퀴회전부재(340)가 회전하면서 스프링(351)를 당기게 되는 작동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스프링(351) 장력이 강하면 몸통(110)을 강하게 눌러주어야 하고 반대로 스프링(351) 장력이 약하면 엉덩이로 몸통(110)을 눌러주는 힘이 약해도 되는 것이기 때문에 승용놀이시에 몸통(110)에 탑승하는 아동의 연령이나 몸무게에 따라 스프링(351) 장력을 적절하게 조절하고 승용놀이를 하게 함으로써 힘들지 않게 승용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하게 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채용되는 일방향회전바퀴(211,221)의 종단면도를 보인 것으로서, 상기 일방향회전바퀴(211,221)는 각각의 앞다리부(210) 및 뒷다리부(220) 내면부에 각각 바퀴축(21)이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바퀴축(21)에는 클러치베어링(22)이 끼워지도록 설치되며, 클러치베어링(22) 외주면에는 지면(P)에서 구름운동할 때 마찰력이 우수한 외륜고무부재(23)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이다.
상기 클러치베어링(22)은 내부에 있는 다수의 보올(22a)이 턱부(22b)에 걸림됨으로써 도 5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지 못하고 시계반대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클러치베어링(22)은 이미 공지된 부품이므로 상세한 구조 및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및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승용놀이구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아동이 먼저 발착지대(115)를 밟고 몸통(110)에 탑승을 한다. 이 상태는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앞다리부(210)와 뒷다리부(220)가 몸통(110) 하측으로 거의 세워져 있는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게 된다.
다음, 상기 상태에서 몸통(110) 위에 탑승한 아동은 손잡이(111)를 잡고 엉 덩이를 들었다가 하강시키면서 몸통(110)을 눌러주게 되면 그 눌러주는 힘에 의해서 몸통(110)이 도 6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상태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밑으로 내려가게 되고 그로 인해 앞다리부(210)와 뒷다리부(220)는 벌어지게 하는 힘을 받게 된다.
그러나 이때 일방향회전바퀴(211,221)들이 앞쪽방향으로만 회전되는 것이기 때문에 뒷다리부(220)의 일방향회전바퀴(221)는 회전되지 못하여 후미방향으로 밀려나지 못하고 도 6에서 지면(P)과 맞닿아 있는 원래의 지점인 "R1"지점에 그대로 머물러 있게 되고 앞다리부(210)의 일방향회전바퀴(21)는 구름운동을 하여 앞쪽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앞다리부(210)와 뒷다리부(220)의 작용에 있어 동시적으로 작동되는 것이나 이해를 돕기 위해 앞다리부(210)의 작용을 먼저 설명하고 뒷다리부(22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몸통(110)이 힘을 받아 수직방향으로 내려가게 되면 앞다리부(210)의 일방향회전바퀴((211)는 앞쪽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원래의 지점인 "F1"지점에서 "F2"지점으로 이동됨으로써 "L"거리만큼 앞쪽방향으로 전진되게 이동되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앞다리부(210)는 벌어지게 되는 상태가 되고 그로 인해 연동축(21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연동축(213)과 고정된 앞바퀴회전부재(33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스프링(350)이 당겨져서 늘어나게 되는 동시에 연결바(310)가 뒷바퀴회전부 재(340)의 하단부를 밀게 된다.
한편, 몸통(110)이 힘을 받아 수직방향으로 내려가게 되면 뒷다리부(220)의 일방향회전바퀴(221)가 도 6에서 "R1"지점에서 후미방향으로 밀리지 않고 그대로 정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뒷다리부(220)의 하단부가 후미방향으로 벌어지지 않게 되고 뒷다리부(220)의 상단부가 원호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밑으로 내려가게 된다.
이때, 뒷다리부(220) 상단부가 원호방향으로 회전하는 중심점은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방향회전바퀴(221)와 지면(P)이 접촉되는 "R1" 지점이 중심점이 되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일방향회전바퀴(221)는 구름운동을 하지 않고 가상선 도시와 같이 뒷다리부(220) 상단부가 원호방향으로 이동되는 각도상으로 뉘어지는 것과 같이 약간 움직이게 되나 미약한 정도의 움직임이므로 이를 무시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뒷다리부(220) 상단부가 원호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연동축(223)이 밑으로 내려가면서 앞쪽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갖게 되면서 회동되게 된다.
도 7의 (b)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연동축(223)이 회동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가정도를 보여 준다. 여기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것은 뒷다리부(220) 상단부가 원호방향으로 회전되기 전의 연동축(223)을 나타낸 것이고 실선으로 도시된 것은 뒷다리부(220) 상단부가 하측으로 원호방향으로 회전된 후의 연동축(223)을 나타낸 것으로서, 연동축(223)이 "S" 각도만큼 회전된 상태를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뒷다리부(220) 상단부가 원호방향으로 회전되어 연동축(223)이 밑으로 내려가게 되면 연동축(223)이 앞쪽방향으로 이동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몸 통(110)이 앞쪽방향으로 전진되게 이동되는 상태가 되는 동시에 연동축(223)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되기 때문에 도 8에 보인 바와 같이 뒷바퀴회전부재(340)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스프링(351)이 잡아 당겨져서 늘어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연결바(310)는 앞바퀴회전부재(330)와 뒷바퀴회전부재(340)를 동시적으로 회전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앞바퀴회전부재(330)와 뒷바퀴회전부재(340)의 회전길이가 동일한 회전길이를 갖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몸통(110)이 수직방향으로 하강하거나 또는 상승할 때 앞바퀴회전부재(330)와 뒷바퀴회전부재(340)는 동시에 회전되게 하면서 동일한 회전길이로 회동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탑승한 아동이 엉덩이를 들게 되면 밑으로 내려간 몸통(110)이 곧바로 다시 윗쪽으로 상승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몸통(110)이 하강 된 상태에서 길이가 늘어난 스프링(350,351)이 오무려두는 탄력에 의해서 앞바퀴회전부재(330)와 뒷바퀴회전부재(34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로 인해 연동축(213,223)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앞다리부(210)의 하단부가 안쪽방향으로 오무려 들게 이동하려고 하나 그 앞다리부(210)의 일방향회전바퀴(211)가 앞쪽방향으로만 회전되는 것이기 때문에 후미방향으로 구름운동을 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도 9에서 "F1" 지점에서 움직이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앞다리부(210)의 상단부가 원호방향으로 상승되게 이동하면서 몸통(210)이 앞쪽방향으로 전진되게 이동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뒷다리부(220)는 연동축(223)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뒷다리부(220)의 하단부가 연동축(22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로 인해 앞쪽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되는 일방향회전바퀴(221)가 구름운동을 하여 도 9에서 "R1" 지점에서 "R2"으로 이동됨에 따라 "L" 거리만큼 전진되게 이동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동이 승용놀이구(100)를 탑승한 상태에서 한번 엉덩이를 들고 내려 놓는 동작에 의해서 몸통(110)이 하강되게 하면 스프링(350,351) 탄력에 의해서 다시 몸통(110)이 상승되는 1싸이클 작동이 되는 것이고, 1싸이클 작동 때마다 "L" 거리만큼 몸통(110)이 앞쪽방향으로 전진되게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1싸이클 작동을 반복적으로 함으로써 승용놀이구(100)가 반복적으로 전진되게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재미 있는 승마놀이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탑승한 아동이 상하 방향으로 계속적으로 움직이게 되므로 놀이를 즐기면서도 운동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작동수단(300)이 몸통(110)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위치된 2개의 지지플레이트(120)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되고 작동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각 다리부(210)(220)에 지속적인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이러한 부하를 지지플레이트(120)에서 지탱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약한 재질(플라스틱)로 이루어진 몸통(110)의 형상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제품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앞바퀴회전부재(330)와 뒷바퀴회전부재(340)가 연결바(310)로 연결되어 동시적으로 작동되므로 앞다리부(210)와 뒷다리부(220)가 벌어지고 모이는 동작이 항상 일정하고 동일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한쪽으로 하중이 쏠리지 않아 아동이 몸통(110)에 탑승한 후 몸통(110)을 전후방향으로 흔들더라도 몸통(110)이 앞뒤로 과도하게 쏠려 넘어지지 않고 오히려 마치 말을 타는 느낌으로 전진방향으로 계속 이동할 수 있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 더욱 재미를 느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아동들은 어떠한 물건이든 쉽게 싫증을 내기 마련이므로 아동들이 지속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승용놀이구를 사용토록 유도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기능을 구비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본 발명은 승용놀이구(100)에서 음악이나 음성이 나오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10은 음성출력장치가 채용된 승용놀이구(100)의 평면구성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승용놀이구에 채용되는 음성출력장치의 시스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 및 도 11를 참조하면, 몸통(110)의 상부에는 스피커(401), 내장메모리(402), 착탈식 외장메모리(403), 마이크로프로세서(404), 배터리(405)로 이루어진 음성출력장치(400)를 설치하고, 손잡이(111) 양측에는 내장메모리(402)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제1스위치(406)와, 착탈식 외장메모리(403)에 저장 되어 있는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제2스위치(407)를 각각 형성하게 된다.
또한, 몸통(11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음성을 입력하면 그 음성이 진동하도록 작용되는 에코마이크(408)를 형성하고, 에코마이크(408)가 스피커(401)와 직접 연결되게 하며, 에코마이크(408)와 인접한 부위에는 에코마이크(408)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에코스위치(409)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제1스위치(406)와 제2스위치(407)는 유아들의 손이 터치하는 회수에 따라 온/오프되도록 터치스위치로 구성함이 바람직하고, 착탈식 외장메모리(403)는 메모리 카드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서, 이러한 음성출력장치(400)는 이미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회로나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유아들이 승용놀이구(100)에 탑승하게 되면 안전을 위해 자연스럽게 손잡이(111)를 잡기 마련이고, 손잡이(111)의 양측에는 제1스위치(406)와 제2스위치(407)가 위치하고 있어 유아들이 손잡이(111)를 오른손 또는 왼손으로 손잡이(111)를 잡을 때 제1스위치(406) 또는 제2스위치(407)를 터치하게 된다.
상기 제1스위치(406)가 터치될 경우 음성출력장치(400)의 내장메모리(402)에 내장되어 있는 다양한 소리가 스피커(401)를 통해 출력될 수 있는데, 예컨대 내장메모리(402)에 말울음과 말발굽소리가 내장되어 있다면 제1스위치(406)를 터치함에 따라 마이크로프로세서(404)가 작동하여 내장메모리(402)로부터 말울음과 말발굽소리를 로딩하여 스피커(401)를 통해 출력하게 되므로 유아들은 마치 자신이 말에 타고 있는 듯한 느낌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2스위치(407)가 터치 될 경우 착탈식 외장메모리(403)에 수록되어 있는 음성정보가 출력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착탈식 외장메모리(403)에는 유아들이 좋아하는 동요 등을 수록하여 제2스위치(407)의 터치시 동요가 출력되도록 구성하면 더욱 좋을 것이다.
그리고 에코스위치(409)를 누르게 되면 유아들이 내는 소리가 에코의 형태로 출력되므로 유아들은 호기심을 가지고 더욱 많은 소리를 내게 되며, 이러한 작용으로 유아들은 목청도 좋아지고 자신감을 가질 수 있으며, 언어적인 발달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따른 또다른 실시예로서, 몸통(110)의 후단 상부에는 연결로드연결홈(117)을 형성하고, 상단에 가로방향으로 손잡이(501)를 갖는 연결로드(500)를 연결로드연결홈(117)에 끼운후 고정핀(114)이 몸통(110)을 관통하여 끼움공(502)에 끼워지도록 구성되게 한 것이다.
상기 연결로드(500)는 평상시에는 몸통(110)과 분리시켜 따로 보관하다가 긴 거리를 이동하거나 산책이나 마트와 같이 사람들이 많은 장소로 외출할 때에만 몸통(110) 후미에 장착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결로드(500)를 몸통(110) 후미에 장착하고 손잡이(501)를 잡고 밀어주게 되면 이때는 승용놀이구(100)를 마치 유모차와 같이 이동시킬 수 있어 외출할 때 아동을 태우고 외출할 수 있게 되므로 매우 편리하고 보다 활용성이 좋은 승용놀이구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비록 일실시예의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 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한 것이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 나지 않는 한 폭넓게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용놀이구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용놀이구의 전체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수단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용놀이구의 종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채용되는 일방향회전바퀴의 종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승용놀이구가 하강할 때의 작용을 보인 개략설명도,
도 7의 (a)는 본 발명의 뒷다리부와 연동축의 작동을 설명하는 개략도이고, (b)는 연동축이 회동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가상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승용놀이구가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승용놀이구가 상승할 때의 작용을 보인 개략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승용놀이구에 음성출력장치가 채용된 상태를 보인 평면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실시되는 음성출력장치의 시스템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분리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몸통 111 : 손잡이
112,113,121,122 : 가이드공 120 : 지지플레이트
123 : 걸림돌기 210 : 앞다리부
211,221 : 일방향회전바퀴 213,223 : 연동축
220 : 뒷다리부 300 : 작동수단
310 : 연결바 320,321 : 연결축
330 : 앞바퀴회전부재 340 : 뒷바퀴회전부재
343 : 가이드장공 350,351 : 스프링
360 : 스프링 장력조절수단 362 : 스프링장력조절구
363 : 렌치볼트 400 : 음성출력장치
401 : 스피커 402 : 내장메모리
403 : 착탈식 외장메모리 404 : 마이크로프로세서
405 : 배터리 406 : 제1스위치
407 : 제2스위치 408 : 에코마이크
409 : 에코스위치 500 : 연결로드

Claims (6)

  1. 동물 또는 캐릭터 형상으로 양분되게 제조된 후 하나로 결합되게 고정되고 앞쪽 상단부에 손잡이(111)가 설치되며 중간 하단부에는 발착지대(115)를 갖는 몸통(110)과;
    상기 몸통(110) 내부에서 상호 간격이 유지되도록 세워지게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지플레이트(120)와;
    상기 복수개의 지지플레이트(120)와 몸통(110)의 전후측과 양측에 각각 구비하는 가이드공(121,112)(122,113)을 각각 관통하는 연동축(213,223)을 각각 구비하여 복수개의 지지플레이트(120) 사이의 앞,뒷쪽에서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앞바퀴회전부재(330) 및 뒷바퀴회전부재(340)와, 상기 앞바퀴회전부재(330) 상단부를 앞쪽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탄력을 부여하는 스프링(350) 및 뒷바퀴회전부재(340) 상단부를 뒷쪽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탄력을 부여하는 스프링(351)를 구비하고, 상기 앞바퀴회전부재(330) 및 뒷바퀴회전부재(340) 중간부에는 지지플레이트(120) 내면 전,후측에 있는 각각의 걸림돌기(123)가 삽입되는 가이드장공(333,343)이 있으며, 상기 앞바퀴회전부재(330) 상단부와 뒷바퀴회전부재(340) 하단부를 연결축(320,321)으로 연결되게 하는 연결바(310)를 갖는 작동수단(300)과;
    상기 몸통(110)의 가이드공(112,113) 외측으로 관통되는 각각의 연동축(213,223)이 축고정홀(214,224)에 각각 고정되고 하부에는 앞쪽 방향으로만 회전되는 일방향회전바퀴(211,221)를 각각 구비하여 벌어지고 오무려드는 회동운동을 하는 한쌍의 앞다리부(210) 및 뒷다리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승용놀이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뒷바퀴회전부재(340) 상단부를 뒷쪽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탄력을 부여하는 스프링(351)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일측의 지지플레이트(120) 내면에 받침편(361a)을 가진 지지부재(361)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361) 내부에는 일측에 너트공(362a)을 가진 스프링장력조절구(362)가 직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단부가 스프링(351)과 연결되고, 상기 너트공(362a)에는 받침편(361a)을 관통하는 렌치볼트(363)가 체결되게 하여 렌치볼트(363)의 회전에 의해 스프링장력조절구(362)가 직선방향으로 이동되어 스프링(351)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스프링장력조절수단(36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승용놀이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110)의 내상부 앞쪽에는 스피커(401), 내장메모리(402), 착탈식 외장메모리(403), 마이크로프로세서(404), 배터리(405)로 이루어진 음성출력장치(400)를 설치하고; 상기 손잡이(111) 양측에는 상기 내장메모리(402)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제1스위치(406)와, 상기 착탈식 외장메모리(403)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제2스위치(407)를 각각 구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승용놀이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11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음성을 입력하면 그 음성이 진동하도록 작용되는 에코마이크(408)를 구비하고, 상기 에코마이크(408)는 스피커(401)와 직접 연결되게 하며, 상기 에코마이크(408)와 인접한 부위에는 상기 에코마이크(408)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에코스위치(409)를 구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승용놀이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110)의 후단 상부에는 연결로드연결홈(117)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로드연결홈(117)에는 상단에 가로방향으로 손잡이(501)를 가진 연결로드(500)가 끼워지도록 하고 몸통(110)을 관통하는 고정핀(114)이 끼움공(502)에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승용놀이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회전바퀴(211,221)는 바퀴축(21) 외측으로 공지의 클러치베어링(22)이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클러치베어링(22)의 외주면에는 고무외륜부재(23)가 고정되게 씌워져서 구성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승용놀이구.
KR1020080062807A 2007-07-03 2008-06-30 유아용 승용놀이구 KR1009002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66464 2007-07-03
KR1020070066464 2007-07-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624A KR20090004624A (ko) 2009-01-12
KR100900207B1 true KR100900207B1 (ko) 2009-06-02

Family

ID=40226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2807A KR100900207B1 (ko) 2007-07-03 2008-06-30 유아용 승용놀이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18313B2 (ko)
JP (1) JP2011501979A (ko)
KR (1) KR100900207B1 (ko)
CN (1) CN101778658B (ko)
WO (1) WO200900528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49381B2 (ja) * 2014-06-30 2015-07-15 株式会社アガツマ 乗用玩具
US9656682B2 (en) * 2014-10-10 2017-05-23 Eli Ahlemeier Motorized stroller system and apparatus
AU2021202656A1 (en) * 2020-04-30 2021-11-18 Headstart International Pty Ltd Ride-on toy for children
KR102347193B1 (ko) * 2020-09-01 2022-01-07 김영두 캐릭터 변신 세발 자전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96373U (ko) 1977-12-16 1979-07-07
JPH09313739A (ja) * 1996-05-31 1997-12-09 Kazuo Saito 走行遊戯具
KR200300401Y1 (ko) 2002-08-09 2003-01-14 박점옥 승마용 완구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02838A (en) * 1922-10-12 1924-07-29 E & N Mfg Company Child's vehicle
US2738199A (en) * 1953-11-05 1956-03-13 Edwin H Rand Mechanical animal
US3096990A (en) * 1958-10-24 1963-07-09 Thoren Robert Edward Strinding toy horse
US3229995A (en) * 1964-04-24 1966-01-18 Charles K Grieder Frame construction for galloping hobby horses
DE1578596B1 (de) * 1965-08-24 1971-01-14 Fritz Kerstholt Reitspiel- und Sportgeraet
US3999771A (en) * 1975-11-28 1976-12-28 Lohr Raymond J Galloping riding horse
JP2001120843A (ja) * 1999-10-25 2001-05-08 Etsuko Mizutani 子供用玩具乗物補助装置
KR200179498Y1 (ko) * 1999-11-17 2000-04-15 주식회사자미나 공중곡예 강아지완구의 도약스프링 장력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96373U (ko) 1977-12-16 1979-07-07
JPH09313739A (ja) * 1996-05-31 1997-12-09 Kazuo Saito 走行遊戯具
KR200300401Y1 (ko) 2002-08-09 2003-01-14 박점옥 승마용 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18313B2 (en) 2012-02-21
US20100190410A1 (en) 2010-07-29
CN101778658B (zh) 2012-04-11
WO2009005289A2 (en) 2009-01-08
WO2009005289A3 (en) 2009-03-19
CN101778658A (zh) 2010-07-14
KR20090004624A (ko) 2009-01-12
JP2011501979A (ja) 201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5893B2 (en) Children&#39;s riding device
KR100900207B1 (ko) 유아용 승용놀이구
US4037833A (en) Riding toy for children
CN102764506B (zh) 可骑乘的仿四足动物奔跑玩具
JPS60171064A (ja) 娯楽用擬似体歩行乗物
CN205391709U (zh) 平衡板
JP3203714U (ja) 揺動遊戯具
KR100809003B1 (ko) 유아용 승용놀이구
CN2394524Y (zh) 滚球车
US11071921B2 (en) Ride-on toy
US3298702A (en) Mobile exercising and amusement device
KR101437347B1 (ko) 점핑 자전거
US5615900A (en) Toy
KR20130134593A (ko) 아동용 승용놀이구
CN102627136B (zh) 一种可骑行与行走的木马
KR920000526Y1 (ko) 행진 방향 전환이 가능한 목마
TWM603784U (zh) 滑行車
JP3094332U (ja) キックボード
CN201076745Y (zh) 可骑行走的儿童动物玩具
KR200273649Y1 (ko) 어린이용 승좌형 놀이구
KR200340905Y1 (ko) 승용유희기구
US3348853A (en) Occupant-propelled rocker for children
JP3187991U (ja) シーソー型揺動遊具
KR200478883Y1 (ko) 텐션 승용놀이구
TWI531400B (zh) 多功能玩具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