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526Y1 - 행진 방향 전환이 가능한 목마 - Google Patents

행진 방향 전환이 가능한 목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526Y1
KR920000526Y1 KR2019870013266U KR870013266U KR920000526Y1 KR 920000526 Y1 KR920000526 Y1 KR 920000526Y1 KR 2019870013266 U KR2019870013266 U KR 2019870013266U KR 870013266 U KR870013266 U KR 870013266U KR 920000526 Y1 KR920000526 Y1 KR 9200005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se
activity frame
marching
sw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32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2263U (ko
Inventor
쳉-밍 지안
Original Assignee
쳉-밍 지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쳉-밍 지안 filed Critical 쳉-밍 지안
Priority to KR20198700132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0526Y1/ko
Publication of KR8900022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2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5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5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5/00Rocking horses on runners adapted for progressive movement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행진 방향 전환이 가능한 목마
제1도는 본 고안의 외관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활동 프레임 부품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활동 프레임의 일부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링크로서 활동 프레임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본 고안의 링크로서 활동 프레임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제6도는 본 고안의 목마가 행진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목마(木馬) 2 : 활동프레임
3 : L자형 링크 4 : 텐션 스프링
5,6 : 상,하 받침대 7 : 스루우 보울트
8,9 : 워셔 10 : C자형 잠금쇠
11 : 연질 패킹 12 : 연결막대
13 : 걸림구멍 14 : 텐션 스프링
15 : 페달바아 51,52,61,62 : 구멍
100 ; 스윙바아 110 : 고리
20 : 걸림구 30 : 걸림구멍
본 고안은, 행진 방향 전환이 가능한 목마에 관한 것으로서, 그의 주된 특징은 목마의 양쪽 앞발의 안쪽 가장자리에 두개의 활동 프레임을 좌,우로 착설하고 ,또한 활동 프레임의 바닥부는 목마 스윙바아의 원호보다 약간 돌출시켜서 , 목마가 스윙하면서 행진하는 경우에, 스윙바아의 원호보다 약간 돌출된 활동 프레임의 바닥부가 지면에 먼저 접촉하도록 하여, 목마가 스윙하면서 앞쪽 방향으로 행진하는 관성에 의해 , 활동 프레임의 접지점을 원의 중심으로한 활동 프레임의 길이를 반경으로 하여 , 목마를 앞쪽 방향으로 약간의 거리만큼 활주(滑走)시키도록 함으로써, 주행의 목적을 달성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L자형 링크를 마련하여, 이 L자형 링크의 한쪽 끝단을 활동 프레임의 앞쪽 가장자리에 접촉시키고, 길게 연장한 다른쪽 끝단에는 페달바아(플레이트)를 형성하여, 페달바아를 밟으면 활동 프레임이 스윙바아에 형성된 고리를 중심으로 뒤로 밀리어 뒤쪽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함으로써 , 목마의 활동 프레임은 흔들리는 원호의 범위에서 돌출하지 않고, 지면에도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목마가 한쪽으로 행진(방향전환)하거나,또는 본래의 위치에서 흔들리도록 함으로써, 마치 배를 장대로 밀어서 방향전환을 하는 동작을 나타내도록 하여 흥미가 깊게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 수있는 목마는, 말의 머리부에 손잡이를 형성하고 목마의 앞, 뒷발의 바닥에 두개의 원호형상의 스윙바아를 마련하여, 왕복스윙의 작용을 갖게 함으로써, 아동이 목마를 타고 스윙을 하도록 힘을 가하면, 목마는 왕복 스윙운동을 시작하여 마치 승마를 하고 있는 것과 같은 즐거움을 주는 것이다.
그러나, 주지하는 바와같이 종래의 목마의 구조는, 단순히 본래의 위치에서 왕복 스윙을 행하는 것으로서, 앞쪽 방향으로의 행진, 또는 방향을 변환하여 행진하거나, 또는 뒤쪽 방향으로의 변환등은 불가능하여, 실제로 승마를 하고 있는 상태와 같은 생동감이 결여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일종의 「행진 방향 전환이 가능한 목마」를 제안함으로서, 목마의 앞발의 앞쪽에 착설되어 있는 활동 프레임의 조작에 의하여, 목마가 앞쪽 방향으로의 행진, 방향전환, 또는 본래의 위치에서 그대로 스윙동작을 할 수 있게 하여 종래의 목마보다도 실제감을 갖게 하고, 또한 여러명이 함께 앞쪽방향으로의 행진하는 속도의 유희를 즐기는데 제공할수 있는 동시에, 아동에게 동작의 선택과 조작에 대한 반응 능력의 훈련과 개발을 할 수도 있게하고, 또한 목마의 행진으로 간단한 전동원리를 이해시켜 「가르치고 즐기는」효과를 나타낼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하나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목마에 착설된 활동 프레임에서, 링크를 이용하여 두개의 활동 프레임을 모두 접어서 수납하거나 또는 모두 빼내든가, 또는 한쪽만을 수납하도록 하여 , 목마가 앞쪽방향으로 행진하거나, 본래의 위치에서 스윙하거나, 또는 방향을 전환하여 행진하는 등, 사용하는 아동의 흥취를 불러 일으키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구조에 대하여, 실시예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목마(1)의 앞쪽 발의 안쪽 가장자리에 활동 프레임(2)을 좌우로 하나씩 마련하고, 그 활동 프레임(2)의 길이는 목마의 스윙바아 (1 00)의 원호보다 약간 돌출(약 1~3cm)되도록 하여, 목마가 스윙되는 경우는 활동 프레임(2)을 지지점으로 하여 , 앞쪽 방향으로 작은 거리만큼 활주 시킬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스윙바아에 형성된 고리(110)에 회동이 가능한 L자형 링크(3)을 마련하여, 이 L자형 링크(3)의 한쪽 끝단은 활동 프레임(2)의 앞쪽 가장자리에 접촉되게 하고, 이 L자형 링크(3)의 다른쪽 끝단은 페달바아(15)에 접촉되게 함으로써, 페달바아 (15)를 형성하여 발을 딛는 것을 편리하게 한다.
또한, 스윙바아에 형성된 고리(110)에 회동이 가능한 L자형 링크(3)를 끼운 상태에서 L자형 링크(3)의 한쪽 끝단이 접촉된 페달바아(15)를 밟으면 L자형 리이(3)의 다른쪽 끝단이 앞쪽 가장자리에 접촉된 활동 프레임(2)로 뒤로 밀리는 원리를 이용하여, 활동 프레임(2)의 바닥부가 접지 또는 접지되지 않는 것을 조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활동 프레임(2)은 지면에 대하여 수직에서 뒤쪽 방향으로 경사가 2~5도 정도 되도록 하고, 각각 하나의 텐션 스프링(4)으로 제어되도록 하여 목마가 왕복 스윙하여 전진한 후에 활동 프레임(12)에 부착된 텐션 스프링(4)에 의해 본래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그 텐션 스프링(4)의 한쪽 끝단은 활동 프레임(2)의 중간 위치에 마련되어져 있는 걸림구멍(13)에 걸려있고, 다른쪽 끝단은 목마(1)의 앞쪽 발부에 형성된 걸림구 (1 20)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또 하나의 텐션 스프링(14)의 한쪽 끝단은 L자형 링크(3)에 형성된 걸림구멍(130)에 걸려있고, 다른쪽 끝단은 목마(1)의 앞쪽 발부에 형성된 걸림구(120)에 결합되어 있다.
텐션스프링(4),(14)은 목마(1)가 스윙하여 행진한 경우에, L자형 링크(3) 및 활동프레임(2)을 당겨 움직이지 않고도 단독으로 행하게 한 것으로, 방향 전환을 하거나, 또는 본래의 위치에서 스윙할 경우에 사용된다.
제2도, 제3도, 제4도에서 알수 있는 바와같이 ,활동 프레임(2)은 하나의 연결막대(12)에 의하여 상,하받침대(5),(6)가 연이어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하받침대(5),(6)의 양쪽 끝단에는 구멍(51),(52),(61),(62)을 각각 형성하여, 연결막대(12)의 양쪽끝단에 형성된 각각의 구멍에 상기 구멍(51),(52),( 61),(62)중 하나씩을 선택하여 워셔(8)이 끼워넣어진 스루우 보울트(7)를 구멍에 끼워 넣은 후에 워셔(9)를 끼워넣고 또한 C자형 잠금쇠(10)로 고정시킴으로써 축으로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다.
상,하 받침대(5),(6)의 양쪽 끝단에 형성된 구멍(51),(52),(61),(62)에 의해 활동 프레임(2)의 길이로 조정할 수 있고, 활동 프레임(2)의 길이로 목마의 행진 거리와 빠르기를 결정한다.
또한, 아래 받침대(6)의 바닥부에 하나의 고무 또는 플라스틱체로 제작한 연질패킹(11)을 부착하여, 활동 프레임(2)의 아래 받침대(6)가 지면과 접촉한 경우에 프리쿠션을 증가시키고, 행진시의 안전과 아래 받침대(6)가 지면에 접촉한 경우에 충격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 고안의 L자형 링크(3)는 활동 프레임(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목마(1)가 본래의 위치에서 스윙하는 경우에, 페달바아(15)를 밟으면 스윙바아(100)에 형성한 고리(110)를 중심으로 활동 프레임(2)은 뒤로 밀리어 L자형 링크(3)는 활동 프레임(2)을 계속하여 위로 올림으로써, 활동 프레임(2)이 지면에는 접촉하지 않는다.
반대로, 목마(1)를 행진시킬 경우에는 페달바아(15)를 밟지 않으므로써 활동 프레임(2)을 지면에 접촉시켜 목마(1)로 하여금 활주하여 전진시키고, 또한 목마(1)의 방향을 전환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한쪽의 페달바아(15)를 밟는 것만으로, 활동 프레임 (2)을 한쪽은 지면에서 떨어지고, 또 다른쪽은 접지 시키도록 하면된다.
이와같은 간단한 제어로 목마(1)는 행진, 방향전환, 또는 본래의 위치에서 스윙하도록 할수 있다.
제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 고안의 목마(1)가 행진하는 동작 원리는, 예를들어 목마(1)가 본래의 위치에서, 페달바아(15)를 밟은 상태로 스윙하는 경우는, 그의 활동 프레임(2)는 접지하지 않으므로, 목마(1)와 지면과의 접촉점은 스윙하는 원호상의 한점이고, 일단 페달바아(15)를 밟지 않으면 활동 프레임(2)의 아래 받침대(6)가 지면과 접촉하면, 그 전체적인 접촉점은 두점으로 한다.
이때에, 활동 프레임(2)과 지면이 형성하는 각도는 수직보다 2내지 5도정도로 뒤쪽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이므로, 목마가 앞쪽 방향으로 스윙하는 관성을 이용하여 목마로 하여금 활동 프레임(2)의 길이로 반경으로 이와같이 하여 목마를 앞쪽 방향으로 작은거리(S)만큼 행진 시킬수 있게 된다.
그 원리는, 마치 실제로 말이 질주하고 있는 경우는, 네개의 발이 교모하게 호흡이 맞는 것과 유사하고, 스키이를 타는 사람이 2개의 스틱을 정교하게 사용하여 활주하는 경우의 원리와 유사하다.
이와같이하여, 페달바아(15)를 밟지 않는 상태에서 계속하여 스윙을 되풀이 함으로써, 목마(1)로 하여금 계속하여 전진시키고, 또한 L자형 링크(3)로 활동 프레임 (2)의 높이와 낮춤을 제어함으로써,목마(1)가 행진하는 경우에도 또한 방향 전환 동작을 할 수 있게한 것이다.

Claims (2)

  1. 일종의 행진 방향 전환이 가능한 목마의 구조로서, 목마(1)의 양쪽 앞발의 사이에 상,하 받침대(5)(6)와 연결막대(12)로서 이루어진 활동 프레임(2)을 뒤쪽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또한 활동 프레임(2)의 하받침대(6)는 목마(1)의 스윙바아(100)의 원호보다 약간 돌축시켜,목마(1)가 왕복 요동(스윙)하는 것을 이용하여 전지하거나,또는 방향을 전환하거나, 또는 본래의 위치에서 요동할 수 있게 하고, 스윙바아(100)에 형성된 고리(110)를 통하여 회동 가능 L자형 링크(3)를 착설하여, 스위바아(100)를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게 하고, 연결막대(12)의 상,하단에 구멍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하 받침대(5),(6)에 구멍(51),(52),(61),(62)을 형성하여 스루우 보울트(7)를 끼워 C자형 잠금쇠(10)로 고정하여 활동상태를 나타내는 활동 프레임(2)의 길이를 조정할수 있고, 또한 활동 프레임(2)의 연결막대(12)상에는 텐션 스프링(4)을 착설하여 목마 (1)가 행진한 후에, 활동 프레임(2)을 본래의 위치로 되돌아 오도록 하여 계속 행진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링크(3)는 L자형으로 형성하여, 그 한쪽 끝단은 활동 프레임 (2)의 연결막대(12)의 앞쪽 가장자리에 접촉시킴과 아울러 다른쪽 끝단에는 페달바아 (플레이트)(15)를 형성하여, 다리부에 힘을 가하여 제어하는데 제공하고, 뒤쪽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동시키도록한 활동 프레임(2)에 또 하나의 텐션 스프링(14)을 연이어 접속하여 링크(3)의 복귀로 편리하게 하나의 독립된 시스템을 형성하고, 또한 링크(3)의 제어로 목마(1)로 하여금 행진중에 방향 전환의 동작을 가능하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진 방향 전환이 가능한 목마.
  2. 제1항에 있어서, 활동 프레임(2)은 지면에 대하여 수직보다 뒤쪽으로 약간의 각도로 경사져서 목마(1)가 행진할때에 들어 올려지는 일이 없이 한쪽으로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진 방향 전환의 가능한 목마.
KR2019870013266U 1987-07-10 1987-08-08 행진 방향 전환이 가능한 목마 KR9200005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3266U KR920000526Y1 (ko) 1987-07-10 1987-08-08 행진 방향 전환이 가능한 목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7402 1987-07-10
KR2019870013266U KR920000526Y1 (ko) 1987-07-10 1987-08-08 행진 방향 전환이 가능한 목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7402 Division 1987-07-10 1987-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263U KR890002263U (ko) 1989-03-28
KR920000526Y1 true KR920000526Y1 (ko) 1992-01-15

Family

ID=26627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3266U KR920000526Y1 (ko) 1987-07-10 1987-08-08 행진 방향 전환이 가능한 목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05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183A (ko) * 2018-09-10 2020-03-18 추형욱 주행 기능을 구비한 흔들목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183A (ko) * 2018-09-10 2020-03-18 추형욱 주행 기능을 구비한 흔들목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263U (ko) 198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67820A (en) Ambulatory rocking device
US11192569B2 (en) Seating/lying support
KR920000526Y1 (ko) 행진 방향 전환이 가능한 목마
US5466191A (en) Impulse driven rocking apparatus installed with elliptically-shaped springs
KR100900207B1 (ko) 유아용 승용놀이구
US3119626A (en) Traveling knee spring board
US4989856A (en) Safety rocking horse
US1250045A (en) Combined coaster and rocker.
KR102163186B1 (ko) 주행 기능을 구비한 흔들목마
US3417990A (en) Child's toy
US3311373A (en) Seesaw including gear 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US4834402A (en) Wooden horse able to move forwards and to change moving direction
US3348853A (en) Occupant-propelled rocker for children
US2604329A (en) Toy horse
JPH074848Y2 (ja) 移動するシーソー
KR910008000Y1 (ko) 동물형 아동용 승마 놀이구
US3492012A (en) Toy horse
US3898764A (en) Combination doll and marionette
US3712634A (en) Rideable galloping hobby horse with inflatable body
US2965385A (en) Walking simulated toy
US5615900A (en) Toy
JPH0636860Y2 (ja) 走行模型体
CN207683703U (zh) 一种骑行机械
US11071921B2 (en) Ride-on toy
CN2143518Y (zh) 跳跃式活动跳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