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3186B1 - 주행 기능을 구비한 흔들목마 - Google Patents

주행 기능을 구비한 흔들목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3186B1
KR102163186B1 KR1020180107663A KR20180107663A KR102163186B1 KR 102163186 B1 KR102163186 B1 KR 102163186B1 KR 1020180107663 A KR1020180107663 A KR 1020180107663A KR 20180107663 A KR20180107663 A KR 20180107663A KR 102163186 B1 KR102163186 B1 KR 102163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cking bar
horse
rocking
ground
rea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9183A (ko
Inventor
추형욱
Original Assignee
추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형욱 filed Critical 추형욱
Priority to KR1020180107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186B1/ko
Publication of KR20200029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9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5/00Rocking horses on runners adapted for progressive movement
    • A63G15/02Rocking horses on runners adapted for progressive movement with divided runn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9/00Toy animals for riding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 기능을 구비한 흔들목마에 관한 것으로, 서로 분리되는 앞몸체와 뒷몸체가 연결축을 중심으로 정해진 각도 범위로 회동하도록 결합되고 뒷몸체의 상부에 부착된 안장에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앞몸체에 설치된 손잡이가 뒤로 당겨지면 앞몸체의 저부에 부착된 호형의 앞흔들바의 전방 단부가 지상을 향해 들림과 동시에 후방 단부가 지면을 찍는 작동을 하고 뒤로 당겨진 손잡이가 다시 앞으로 밀리면 상기 앞흔들바의 전방 단부가 지면을 향해 다시 내려옴과 동시에 상기 앞흔들바의 후방 단부가 지면을 찍고 앞으로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뒷몸체의 저부에 부착된 호형의 뒷흔들바가 상기 앞흔들바의 후방 단부와 밀착되도록 전진하여 이동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전방으로 주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손잡이를 뒤로 당겼다가 다시 앞으로 밀 때마다 앞몸체가 뒷몸체를 앞으로 당기는 힘에 의해 뒷몸체가 앞몸체 쪽으로 전진하여 이동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흔들목마가 전방으로 주행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실제로 승마를 하고 있다는 생동감을 느끼면서 지루함 없이 주행감을 만끽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행 기능을 구비한 흔들목마{Rocking horse with driving function}
본 발명은 흔들목마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주행 기능을 구비한 흔들목마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흔들목마는 목재나 합성수지재 등으로 제작된 몸체에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앞몸체의 머리 부분에 돌출되도록 설치된 손잡이를 잡고 사용자의 몸을 전후로 흔들면 몸체의 저부에 부착된 호형의 흔들바가 형성하는 원호를 따라 몸체가 전후로 왕복하면서 흔들려 사용자가 마치 승마를 하고 있는 즐거움을 주는 놀이기구의 일종이다.
하지만 통상의 흔들목마는 흔들바를 따라 몸체가 전후로 왕복하면서 흔들리기만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실제로 승마를 하고 있다는 생동감을 느끼기 어렵고, 몸체가 이동할 수 있는 범위가 흔들바가 형성하는 원호의 길이를 기준으로 제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지루함을 쉽게 느끼는 단점이 있다.
KR 20-1989-0002263 Y1 KR 20-1996-0004835 Y1 KR 20-1986-0002584 Y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분리되는 앞몸체와 뒷몸체가 연결축을 중심으로 정해진 각도 범위로 회동하도록 결합되고 뒷몸체의 상부에 부착된 안장에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앞몸체에 설치된 손잡이가 뒤로 당겨지면 앞몸체의 저부에 부착된 호형의 앞흔들바의 전방 단부가 위로 들림과 동시에 후방 단부가 지면을 찍는 작동을 하고 뒤로 당겨진 손잡이가 다시 앞으로 밀리면 상기 앞흔들바의 전방 단부가 지면을 향해 다시 내려옴과 동시에 상기 앞흔들바의 후방 단부가 지면을 찍고 뒷몸체를 앞으로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뒷몸체의 저부에 부착된 호형의 뒷흔들바가 상기 앞흔들바의 후방 단부와 밀착되도록 전진하여 이동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전방으로 주행하는 주행 기능을 구비한 흔들목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행 기능을 구비한 흔들목마는, 목마의 머리부와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 저부의 앞쪽과 뒷쪽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앞다리부와 지지부가 하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판상의 목마 형상이고 상기 앞다리부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호형의 앞흔들바가 상기 몸통부의 저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머리부에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몸통부의 뒷쪽 부위에 축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앞몸체와; 목마의 허리부와 엉덩이부 및 상기 엉덩이부의 저부에 뒷다리부가 하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판상의 목마 형상이고 상기 뒷다리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호형의 뒷흔들바가 상기 엉덩이부의 저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허리부에 안장이 설치되어 있는 뒷몸체; 및 상기 앞몸체와 상기 뒷몸체의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축구멍에 삽입되는 연결축의 양측 단부를 고정하고 서로 분리되는 상기 앞몸체와 상기 뒷몸체를 상기 축구멍에 삽입되는 연결축을 중심으로 정해진 각도 범위로 회동하도록 결합하는 한 쌍의 연결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가 뒤로 당겨지면 상기 앞흔들바의 전방 단부가 상향으로 들림과 동시에 상기 앞흔들바의 후방 단부가 지면을 찍는 작동을 하고 뒤로 당겨진 상기 손잡이가 다시 앞으로 밀리면 상기 앞흔들바의 전방 단부가 지면을 향해 다시 내려옴과 동시에 상기 앞흔들바의 후방 단부가 지면을 찍고 상기 뒷몸체를 앞으로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뒷흔들바가 상기 앞흔들바의 후방 단부와 밀착되도록 전진하여 이동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전방으로 주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행 기능을 구비한 흔들목마에 있어서, 상기 앞흔들바의 후방 단부에는 지면을 찍는 작동에 기인하는 충격 또는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보호패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행 기능을 구비한 흔들목마에 있어서, 상기 안장의 앞쪽 단부에는 상기 손잡이가 뒤로 당겨질 때 함께 뒤로 당겨지는 상기 머리부의 이동을 안내하고 그 이동거리를 한정하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홈에는 상기 머리부가 이동 중 상기 안장에 가하는 충격을 줄이고 사용자의 신체나 다른 물체가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행 기능을 구비한 흔들목마에 있어서, 상기 앞몸체와 상기 뒷몸체가 상기 연결축을 중심으로 정해진 각도 범위로 회동 혹은 회동 불가하도록 선택하는 스토퍼가 상기 연결판에 회동하도록 축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가 상기 앞몸체의 몸통부 뒷쪽 부위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고정홈에 걸리면 상기 앞몸체와 상기 뒷몸체는 회동할 수 없게 되고, 상기 스토퍼가 상기 뒷몸체의 허리부 앞쪽 단부에 형성된 회동홈에 걸리면 상기 앞몸체와 상기 뒷몸체는 회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행 기능을 구비한 흔들목마에 있어서, 상기 앞몸체와 상기 뒷몸체는 상기 앞몸체의 몸통부 뒷쪽 단부에 상기 축구멍을 중심으로 하도록 형성된 반원형 돌부와 상기 뒷몸체의 허리부 앞쪽 단부에 형성된 반원형 요부가 요철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축을 중심으로 정해진 각도 범위로 회동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손잡이를 뒤로 당겼다가 다시 앞으로 밀 때마다 앞몸체가 뒷몸체를 앞으로 당기는 힘에 의해 뒷몸체가 앞몸체 쪽으로 전진하여 이동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흔들목마가 전방으로 주행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실제로 승마를 하고 있다는 생동감을 느끼면서 지루함 없이 주행감을 만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행 기능을 구비한 흔들목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도.
도 3은 도 1의 연결판이 제거되고 스토퍼가 고정홈에 위치한 측면도.
도 4는 도 1의 연결판이 제거되고 스토퍼가 회동홈에 위치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행 기능을 구비한 흔들목마의 주행 작동을 위해 손잡이가 뒤로 당겨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행 기능을 구비한 흔들목마의 주행 작동을 위해 손잡이가 앞으로 밀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에 따른 주행 기능을 구비한 흔들목마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기술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주행 기능을 구비한 흔들목마(100)는 앞몸체(110)와 뒷몸체(120), 한 쌍의 연결판(130) 및 스토퍼(140)로 구성된다.
상기 앞몸체(110)는 목마의 머리부와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 저부의 앞쪽과 뒷쪽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앞다리부와 지지부가 하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판상의 목마 형상이다.
상기 앞몸체(110)는 상기 앞다리부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호형의 앞흔들바(111)가 상기 몸통부의 저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머리부에 손잡이(11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몸통부의 뒷쪽 부위에 축구멍(113)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앞흔들바(111)의 후방 단부에는 지면을 찍는 작동에 기인하는 충격 또는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보호패드(111a)(예컨대, 고무패드, 실리콘재질의 판상패드 등)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앞몸체(110)의 몸통부 뒷쪽 부위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스토퍼(140)가 걸리는 오목한 고정홈(1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앞몸체(110)의 몸통부 뒷쪽 단부에는 상기 축구멍(113)을 중심으로 하는 반원형 돌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뒷몸체(120)는 목마의 허리부와 엉덩이부 및 상기 엉덩이부의 저부에 뒷다리부가 하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판상의 목마 형상이다.
상기 뒷몸체(120)는 상기 뒷다리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호형의 뒷흔들바(121)가 상기 엉덩이부의 저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허리부에 안장(12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장(122)의 앞쪽 단부에는 상기 손잡이(112)가 뒤로 당겨질 때 함께 뒤로 당겨지는 상기 앞몸체(110) 머리부의 이동을 안내하고 그 이동거리를 한정하는 안내홈(12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홈(122a)에는 상기 앞몸체(110) 머리부가 이동 중 상기 안장(122)에 가하는 충격을 줄이고 사용자의 신체(예컨대, 허벅지나 손가락 등)나 다른 물체(예컨대, 머리부의 이동을 방해하는 막대기 등)가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재(122b)(예컨대, 스펀지, 압축스프링을 내장한 플렉시블 관체 등)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뒷몸체(110)의 허리부 앞쪽 단부에는 상기 스토퍼(140)가 걸리는 오목한 회동홈(1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뒷몸체(120)의 허리부 앞쪽 단부에는 상기 회동홈(123)의 아래쪽에서 상기 반원형 돌부(115)와 요철 결합하는 반원형 요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연결판(130)은 상기 앞몸체(110)와 상기 뒷몸체(120)의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축구멍(113)에 삽입되는 연결축(131)의 양측 단부를 고정하고 서로 분리되는 상기 앞몸체(110)와 상기 뒷몸체(120)를 상기 축구멍(113)에 삽입되는 연결축(131)을 중심으로 정해진 각도 범위로 회동하도록 결합한다.
상기 앞몸체(110)와 상기 뒷몸체(120)는 상기 앞몸체(110)의 몸통부 뒷쪽 단부에 상기 축구멍(113)을 중심으로 하도록 형성된 반원형 돌부(115)와 상기 뒷몸체(120)의 허리부 앞쪽 단부에 형성된 반원형 요부(124)가 요철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축(131)을 중심으로 정해진 각도 범위로 회동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스토퍼(140)는 스토퍼 손잡이(141)를 돌리는 작동에 의해 상기 앞몸체(110)와 상기 뒷몸체(120)가 상기 연결축(131)을 중심으로 정해진 각도 범위로 회동 혹은 회동 불가하도록 선택하고, 상기 연결판(130)에 회동하도록 축 결합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140)가 상기 앞몸체(110)의 몸통부 뒷쪽 부위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고정홈(114)에 걸리면 상기 앞몸체(110)와 상기 뒷몸체(120)는 회동할 수 없게 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140)가 상기 뒷몸체(110)의 허리부 앞쪽 단부에 형성된 회동홈(123)에 걸리면 상기 앞몸체(110)와 상기 뒷몸체(120)는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주행 기능을 구비한 흔들목마(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사용자는 상기 스토퍼 손잡이(141)를 돌려 흔들목마(100)의 주행이 불능하게 선택하거나 주행 가능하게 선택할 수 있다.
먼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140)가 상기 앞몸체(110)의 몸통부 뒷쪽 부위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고정홈(114)에 걸리면 상기 앞몸체(110)와 상기 뒷몸체(120)는 회동할 수 없는 상태로 서로 결합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뒷몸체(120)에 설치된 안장(122)에 앉은 상태에서 상기 앞몸체(110)의 머리부에 돌출되도록 설치된 손잡이(112)를 잡고 사용자의 몸을 전후로 흔들면 상기 앞몸체(110)의 앞흔들바(111)와 상기 뒷몸체(120)의 뒷흔들바(121)가 형성하는 원호를 따라 흔들목마(100)가 전후로 왕복하면서 흔들려 사용자가 마치 승마를 하고 있는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4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140)가 상기 뒷몸체(110)의 허리부 앞쪽 단부에 형성된 회동홈(123)에 걸리면 상기 앞몸체(110)와 상기 뒷몸체(120)는 회동할 수 있는 상태로 서로 결합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뒷몸체(120)에 설치된 안장(122)에 앉은 상태에서 상기 앞몸체(110)의 머리부에 돌출되도록 설치된 손잡이(112)를 뒤로 당기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앞흔들바(111)의 전방 단부가 상향으로 들림과 동시에 상기 앞흔들바(111)의 후방 단부가 지면을 찍는 작동을 한다.
이때, 도 5의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안내홈(122a)에 설치된 완충부재(122b)가 축소되면서 상기 앞몸체(110) 머리부가 이동 중 상기 안장(122)에 가하는 충격을 줄이고 사용자의 신체(예컨대, 허벅지나 손가락 등)나 다른 물체(예컨대, 머리부의 이동을 방해하는 막대기 등)가 끼이는 것을 방지한다.
이후, 연속해서 사용자가 뒤로 당겨진 상기 손잡이(112)를 다시 앞으로 밀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앞흔들바(111)의 전방 단부가 지면을 향해 다시 내려옴과 동시에 상기 앞흔들바(111)의 후방 단부가 지면을 찍고 상기 뒷몸체(120)를 앞으로 당기는 힘에 의해 도 5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뒷흔들바(121)가 상기 앞흔들바(111)의 후방 단부와 밀착되도록 전진하여 이동한다.
이때, 도 6의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안내홈(122a)에 설치된 완충부재(122b)가 원위치로 확장되면서 상기 앞몸체(110) 머리부가 이동 중 상기 안장(122)에 가하는 충격을 줄이고 사용자의 신체(예컨대, 허벅지나 손가락 등)나 다른 물체(예컨대, 머리부의 이동을 방해하는 막대기 등)가 끼이는 것을 방지한다.
이처럼, 사용자가 손잡이(112)를 뒤로 당겼다가 다시 앞으로 밀 때마다 앞몸체(110)가 뒷몸체(120)를 앞으로 당기는 힘에 의해 뒷몸체(120)가 앞몸체(110) 쪽으로 전진하여 이동하는 동작을 반복하면 상기 흔들목마(100)가 전방으로 주행하고, 이때 사용자는 실제로 승마를 하고 있다는 생동감을 느끼면서 지루함 없이 주행감을 만끽할 수 있다.
100: 흔들목마 110: 앞몸체
111: 앞흔들바 111a: 보호패드
112: 손잡이 113: 축구멍
114: 고정홈 115: 반원형 돌부
120: 뒷몸체 121: 뒷흔들바
122: 안장 122a: 안내홈
122b: 완충부재 123: 회동홈
124: 반원형 요부 130: 연결판
131: 연결축 140: 스토퍼
141: 스토퍼 손잡이

Claims (5)

  1. 목마의 머리부와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 저부의 앞쪽과 뒷쪽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앞다리부와 지지부가 하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판상의 목마 형상이고 상기 앞다리부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호형의 앞흔들바가 상기 몸통부의 저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머리부에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몸통부의 뒷쪽 부위에 축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앞몸체와;
    목마의 허리부와 엉덩이부 및 상기 엉덩이부의 저부에 뒷다리부가 하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판상의 목마 형상이고 상기 뒷다리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호형의 뒷흔들바가 상기 엉덩이부의 저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허리부에 안장이 설치되어 있는 뒷몸체; 및
    상기 앞몸체와 상기 뒷몸체의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축구멍에 삽입되는 연결축의 양측 단부를 고정하고 서로 분리되는 상기 앞몸체와 상기 뒷몸체를 상기 축구멍에 삽입되는 연결축을 중심으로 정해진 각도 범위로 회동하도록 결합하는 한 쌍의 연결판;
    으로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가 뒤로 당겨지면 상기 앞흔들바의 전방 단부가 상향으로 들림과 동시에 상기 앞흔들바의 후방 단부가 지면을 찍는 작동을 하고 뒤로 당겨진 상기 손잡이가 다시 앞으로 밀리면 상기 앞흔들바의 전방 단부가 지면을 향해 다시 내려옴과 동시에 상기 앞흔들바의 후방 단부가 지면을 찍고 상기 뒷몸체를 앞으로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뒷흔들바가 상기 앞흔들바의 후방 단부와 밀착되도록 전진하여 이동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전방으로 주행하고,
    상기 앞몸체와 상기 뒷몸체가 상기 연결축을 중심으로 정해진 각도 범위로 회동 혹은 회동 불가하도록 선택하는 스토퍼가 상기 연결판에 회동하도록 축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가 상기 앞몸체의 몸통부 뒷쪽 부위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고정홈에 걸리면 상기 앞몸체와 상기 뒷몸체는 회동할 수 없게 되고, 상기 스토퍼가 상기 뒷몸체의 허리부 앞쪽 단부에 형성된 회동홈에 걸리면 상기 앞몸체와 상기 뒷몸체는 회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기능을 구비한 흔들목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앞흔들바의 후방 단부에는 지면을 찍는 작동에 기인하는 충격 또는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보호패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기능을 구비한 흔들목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앞몸체와 상기 뒷몸체는 상기 앞몸체의 몸통부 뒷쪽 단부에 상기 축구멍을 중심으로 하도록 형성된 반원형 돌부와 상기 뒷몸체의 허리부 앞쪽 단부에 형성된 반원형 요부가 요철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축을 중심으로 정해진 각도 범위로 회동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기능을 구비한 흔들목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의 앞쪽 단부에는 상기 손잡이가 뒤로 당겨질 때 함께 뒤로 당겨지는 상기 머리부의 이동을 안내하고 그 이동거리를 한정하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홈에는 상기 머리부가 이동 중 상기 안장에 가하는 충격을 줄이고 사용자의 신체나 다른 물체가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기능을 구비한 흔들목마.
  5. 삭제
KR1020180107663A 2018-09-10 2018-09-10 주행 기능을 구비한 흔들목마 KR102163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663A KR102163186B1 (ko) 2018-09-10 2018-09-10 주행 기능을 구비한 흔들목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663A KR102163186B1 (ko) 2018-09-10 2018-09-10 주행 기능을 구비한 흔들목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183A KR20200029183A (ko) 2020-03-18
KR102163186B1 true KR102163186B1 (ko) 2020-10-08

Family

ID=69999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663A KR102163186B1 (ko) 2018-09-10 2018-09-10 주행 기능을 구비한 흔들목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1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9654A (ko) 2021-05-26 2022-12-05 주식회사 쿠키즈 조립식 흔들 목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8016A (ja) * 2005-02-09 2006-08-24 Gakunan Mokko Shokai:Kk 乗り物用玩具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2584Y1 (en) 1984-12-17 1986-10-08 Ka Jae Hui Vehicle for children
KR920000526Y1 (ko) 1987-07-10 1992-01-15 쳉-밍 지안 행진 방향 전환이 가능한 목마
JPH05189U (ja) * 1991-06-24 1993-01-08 和太郎 荒木 揺動木馬
KR0130694Y1 (ko) 1994-07-25 1998-12-15 전성원 자동차의 제동력 증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8016A (ja) * 2005-02-09 2006-08-24 Gakunan Mokko Shokai:Kk 乗り物用玩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183A (ko) 202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5893B2 (en) Children's riding device
US20050181699A1 (en) Mountable interactive toy animal
KR20070113202A (ko) 밸런스 건강기
KR102163186B1 (ko) 주행 기능을 구비한 흔들목마
CN111556724A (zh) 移动和探索椅子
US20080070710A1 (en) Multi-Purpose Rocking Toy
US4333642A (en) Toy
US5466191A (en) Impulse driven rocking apparatus installed with elliptically-shaped springs
US2627419A (en) Animal simulating toy vehicle and exerciser
US3119626A (en) Traveling knee spring board
KR100900207B1 (ko) 유아용 승용놀이구
US7717799B2 (en) Glider teeter-totter
US7300328B2 (en) Mountable interactive toy animal
US2095871A (en) Hobbyhorse
CN108126346B (zh) 一种集运动、娱乐于一体的健身器
US1730168A (en) Child's amusement device
US3738671A (en) Rider-actuated toy
EP3056183A2 (en) Exercis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071921B2 (en) Ride-on toy
US2232958A (en) Hobbyhorse
Swift Centered riding 2: further exploration
KR101842364B1 (ko) 무동력 승마 운동 기구
US1984591A (en) Exercising and amusement device
US1992127A (en) Hobbyhorse
US4218844A (en) Model fig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