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347B1 - 점핑 자전거 - Google Patents

점핑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7347B1
KR101437347B1 KR1020110113190A KR20110113190A KR101437347B1 KR 101437347 B1 KR101437347 B1 KR 101437347B1 KR 1020110113190 A KR1020110113190 A KR 1020110113190A KR 20110113190 A KR20110113190 A KR 20110113190A KR 101437347 B1 KR101437347 B1 KR 101437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rear wheel
buffer
bicycle
s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3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8371A (ko
Inventor
이기두
Original Assignee
이기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두 filed Critical 이기두
Priority to KR1020110113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347B1/ko
Publication of KR20130048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8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18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by movement of rider's sad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2Saddles resiliently mounted on the frame; Equipment therefor, e.g. springs
    • B62J1/06Saddles capable of parallel motion up and dow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9/00Children's cycles
    • B62K9/02Tr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3/00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 B62L3/02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for control by a hand 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핑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페달에 의하지 않고, 운전자 상체의 상하요동을 프레임 구조에 의해 후륜지지대를 좌우 운동으로 구동력을 얻어 자전거를 전진시켜, 승마운동 효과와 유사한 건강상의 이익을 얻을 수 있고, 어린 아이나 장애인, 노인 등 다리의 근육이 발달되지 않은 사람도 이용이 가능한 점핑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자전거의 구동작동이 페달에 가하는 답력에 의하지 않고, 프레임 상체의 상하 운동에 의한 하중이 요동지지대와 후륜지지대에 의해 후륜(320)에 전달되어 자전거가 전진하게 됨으로써, 운전자는 다리 근육이 발달되지 않은 어린 아이나 다리근육이 약한 노인이나, 환자, 장애인이라도 이동의 수단과 운동의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고, 다양한 완충수단을 부가적으로 가짐으로서, 승마운동과 같은 점핑운동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하부링크(130)의 복귀력을 제공하여 리듬감에 의한 연속성으로 추진력이 부족하던 것을 보충할 수 있으며, 조향케이블(515)등을 이용하여, 고삐를 이용해 말을 타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서서 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어린아이와 노인과 환자, 장애인 등 남녀노소 누구나 승마운동을 손쉽게 즐길 수 있다.

Description

점핑 자전거 {Jumping bicycle}
본 발명은 점핑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자전거 구동장치인 페달에 의하지 않고, 운전자가 체중과 상체의 상하요동에 의하여 안장에 가하는 하중에 의한 프레임의 운동이 후륜지지대를 요동운동으로 작동시켜 후륜이 회전하며 전진하는 구동력을 얻고, 완충기의 탄발로 구동작동을 완충하고,프레임의 요동을 증폭시켜 승마운동 효과와 유사한 건강상의 이익을 얻을 수 있고, 어린 아이나 장애인, 노인 등 다리의 근육이 발달되지 않은 사람도 이용이 가능한 점핑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는 종래 이동의 편리성과 운동효과를 위하여 많이 애용되는 운송 및 레저 스포츠용 기계로서, 레저와 운동 및 이동에 맞추어 다양한 형태의 자전거가 개발되고 있으며, 점핑 자전거도 승마운동효과로 일반적인 자전거타기만으로 얻을 수 없는 운동효과를 더 얻을 수 있어서 다양한 형태의 점핑 자전거가 개발되고 있다.
한편, 자전거를 이용하기 어려운 다리 근육이 충분히 발육되지 않은 유아나 폐달을 돌리기 어려운 환자나 장애인, 노인의 경우에는 자전거 이용이 어렵고, 출퇴근 시간에 자전거를 이용하는 일반인의 경우에도 과도한 힘을 사용하지 않고 운동효과를 얻는 효율적인 자전거를 원한다고 할 수 있다.
한국특허 공고번호 특1995-0001817호 시소형 어린이 자전거는 안장의 시소운동을 뒷바퀴의 구동운동으로 바꾸는 자전거이며, 본 발명에 가까운 개념이지만 본 발명은 전후 시소형 보다 상하요동운동으로 뒷바퀴를 좌우 요동시켜 전진하는 방식으로 시소형 어린이 자전거와는 다른 방식이고, 본 발명의 상하요동은 완충수단의 작동으로 관성적 요동이 반복되어 인위적요동과 자연적인 요동이 합쳐져서 높은 효율성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덜 힘들이고 주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한국공고 특허 등록번호 제10-0929975호 승마형 자전거는 안장부 아래의 회동부가 벌어지고 오므라지면서 안장부의 높낮이가 오르내리는 효과로 승마효과를 얻는 것이 본 발명과 유사한 개념이지만, 앞뒤 두 바퀴로 운행하는 자전거이기 때문에 균형잡기 어려운 다리근육이 발전하지 않은 어린이나 장애인 등의 경우에는 사용하기 불편하고, 구동력이 래칫의 작동에 의하기 때문에 구동력이 작아서 작은 구동력을 보충하기 위해서 페달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스프링의 완충효과에 의한 승마효과 외에는 일반자전거와 같은 페달 구동형이라서 본 발명과는 구별된다고 볼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9-0043309호 승마형 자전거는 안장부 아래의 스프링에 의한 승마효과 안장부의 회동링크에 결합되어 안장의 상하이동에 의해 회동되는 구동 스프라킷이 고정되는 회전하우징의 내측으로 구동력발생수단이 있으나, 구동력이 부족하여 페달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이 발명도 스프링에 의한 승마효과 외에는 일반자전거와 같은 페달 구동형이라서 본 발명과는 구별된다고 볼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908317호 점핑자전거도 상기의 특허들과 같이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한 점핑효과에 의한 승마운동과 유사한 효과를 얻는데 발명의 특징이 있고, 구동장치는 페달을 사용하고 있다.
점핑 자전거 또는 승마형 자전거로 구분할 수 있는 선행기술들은 페달로 구동하는 자전거에 스프링에 의한 요동의 효과로 승마운동의 효과를 보고자 하는 자전거로서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자전거를 이용하기 어려운 유아나, 환자, 장애인, 노인 등이나, 힘을 과도하게 사용하지 않고, 승마운동과 같은 건강에 도움이 되는 작동과 동시에 이동의 편리성을 원하는 사람들이 이용하기에는 여전히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자전거의 높이가 높지 않아서 타기 쉽고, 삼륜 또는 사륜으로 차량과 같이 안정되어 균형을 잡는 능력이 없어도 이용이 가능하고, 완충효과와 링크작동에 의하여 승마운동의 효과를 최대화하고 구동에 강한 다리의 근력이 필요한 페달을 사용하지 않고 이용하는 자전거를 제공하여 승마운동 효과에 의한 심신의 건강향상과 체력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페달을 작동하기 어려운 유아나 환자, 장애인, 노인 등이 체력향상과 이동의 편리성을 얻을 수 있으며, 이동 편리성과 완충효과와 링크작동에 의한 승마운동의 효과를 원하는 일반인의 경우 등에도 이용할 수 있는 점핑 자전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삼륜 또는 사륜 자전거에 있어서, 다른 부품들과 연결부를 구비하는 메인링크(110)와, 상기 메인링크(110)에 연결된 상부링크(120)와, 후륜과 연결되는 2개의 좌우 하부링크(130)를 포함하는 프레임(100); 상기 상부링크(120) 상단에 설치되는 안장대(200); 상기 안장대(200) 하단에 설치되어, 안장의 상하 움직임을 하부링크(130)와 연결된 후륜(320)의 좌우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것으로서, 하부링크(130) 좌우 상단에 연결되며, 역 Y자 형상을 갖는 요동지지대(300); 상기 하부링크(130)와 후륜(3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요동지지대(300)의 움직임을 후륜(320)에 전달하여 자전거를 전진하도록 하는 후륜지지대(350); 상기 메인링크의 조향축연결부(116)에 연결되며, 그 하단에 전륜(420)이 연결되는 조향축(410); 상기 조향축(410)과 연결된 조향핸들(510)과 제동핸들부(520)를 구비하는 핸들부(500); 및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링크와 하부링크의 전단부 사이를 연결하며,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완충작동을 하는 완충수단(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링크(120)는 동물, 식물 또는 무생물의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장대(200)는 등받이(2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핸들부(500)는 조향케이블(5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향케이블(515)의 양단을 연결하는 조향케이블연결봉(5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륜지지대(350)는 그 선단이 하부링크의 후륜지지대연결부(135)에 좌우 회전이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그 후단은 후륜(320)을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후륜축(355)을 구비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수단(600)은 그 상단이 상부링크(120)와 연결되고, 하단은 메인링크(110)와 연결되며, 그 내부에 완충재(611), 완충재하우징(612) 및 완충로드(614) 를 포함하는 상부링크완충대(61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수단(600)은 상부링크와 양측 하부링크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메인링크완충대(62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요동지지대(300)는 요동하부링크(314)와 연결되는 고리 모양의 요동상단연결부(632)와, 그 양쪽의 하단이 요동하부연결부(315)와 연결되는 고리 모양의 요동하단연결부(633)를 포함하며, 요동지지대링크(312)가 벌어지는 각도를 제한하고, 탄성력으로 복귀를 촉진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역 V자 형상의 요동완충대(6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승마형 자전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점핑 자전거에 의하면, 다수의 링크로 다관절의 작동을 하는 프레임과 완충장치로 구동작동과 완충작동이 가능하여 리드미컬한 상하 요동운동으로부터 구동력을 얻는 점핑 자전거를 구현한다.
일반적인 자전거와 같이 페달이 없고, 체중과 상체의 상하 들썩임을 이용하여 완충기에 의한 완충요동에 편승한 상체운동으로 구동력을 얻음으로써, 다리 근육이 발달되지 않은 어린 아이나 다리 근육이 약한 환자, 장애인, 노인 등도 이용이 가능하고, 이용에 피로감이 적고, 과격한 운동을 하지 않고도 구동할 수 있어서 땀이 많이 나면 불편한 출근이나 등하교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로 하여금 이동으로 인한 이점과 다이어트나 체력보강을 위한 운동에 승마운동이 갖는 건강상의 이점을 더 얻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부링크에 말이나 강아지, 백조 등의 동물 형상과 백합 등 식물 형상, 빗자루 구름, 물결 등의 무생물의 형상을 적용할 수 있어서 이용자의 취향, 기호에 맞추어 심리적 만족감을 충족시킬 수 있고, 연극, 뮤지컬, 거리행사 등의 소품으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부링크에 발판을 구비하여 서서 타는 자전거를 구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완충수단에 의하여 하부링크가 외부로 벌어지는 각도가 제한되고, 열린 각에서 완충수단의 탄성력에 의한 압력에 의하여 복귀압력을 얻어서 종래의 서서 타는 삼륜 자전거의 구동의 불편한 단점을 극복하게 하는 특징이 있다.
삭제
본 발명은 핸들에 승마의 고삐와 같은 역할을 하는 조향 케이블과, 수상스키와 유사한 자세가 가능하도록 하는 조향케이블 연결봉을 구비하여, 운전자의 자세를 자유롭게 하고, 운전의 레저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핑 자전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점핑 자전거의 작동방식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좌측 도면은 안장대가 아래로 내려간 경우의 자전거 상태로서, 후륜(320)이 V자 형태로 된 것을 나타내며, 우측 도면은 점핑시 위로 다시 복원된 경우의 자전거 상태로, 후륜바퀴가 역V자 형태인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상기 점핑 자전거의 동작 상태에 따른 자전거의 움직임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요동지지대(300)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상기 요동지지대(300)의 역Y자 하단부에 요동완충대(630)가 더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점핑 자전거의 상부링크를 동물의 형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점핑 자전거의 메인 바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점핑 자전거의 상부링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점핑 자전거의 하부링크(130)와 후륜지지대(350)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점핑 자전거의 하부링크가 링핀으로 연결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점핑 자전거의 후륜지지대 대신 스위블캐스터를 적용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점핑 자전거의 상부링크완충대(6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점핑 자전거의 메인완충대(62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 안장대(200)의 정면 및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상기 안장대에 등받이를 지니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상기 점핑 자전거가 짧은 조향축을 갖는 경우로서 발로 조향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상기 점핑 자전거의 조향축에 조향케이블로 연장하여 케이블상핸들을 지니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조향케이블을 서로 연결하는 조향케이블연결봉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제시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는 제한되지 않는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핑 자전거의 사시도로서, 삼륜 자전거에 있어서, 후륜이 2개이고, 전륜이 1개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나, 전륜이 2개로 형성되어 4륜으로 구성된 경우도 가능하다.
전체 프레임은 핸들축 하단에 다른 부품들과 연결부를 구비하는 메인링크(110)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링크(110)에 연결된 안장대와 연결된 상부링크(120)와, 후륜과 연결되는 2개의 좌우 하부링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요동지지대(300)는 그 상단이 요동지지대연결부(311)로서 상기 상부링크(120)에 연결되고, 그 하단은 한 쌍의 요동상부링크(312)로서 하부링크(130)의 좌우 하부링크(130)의 내측 또는 외측 측면에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역 Y자 형상으로 안장대(200) 하단에 설치된다.
후륜지지대(350)는 상기 프레임(100) 상의 각각 하부링크(130)와 후륜(320)을 연결하며, 요동지지대(300)와 연결되어, 상기 요동지지대(300)의 움직임에 따라, 후륜(320)을 V자형 또는 역V자형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핸들(500)은 상기 프레임(100)의 전방에 설치되어 전륜의 조형 및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메인링크(110)를 통해 조향축(410)과 연결된 조향핸들(510)과 제동핸들부(520)를 구비한다.
완충수단(600)은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링크와 하부링크의 전단부 사이를 연결하며, 탄성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완충작동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점핑 자전거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점핑 자전거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안장대(200)가 요동지지대(300)와 연결되어, 탄성에 의해 완충작용을 하면서, 이러한 동력이 하부링크에 연결된 U자 형태의 후륜지지대(350)로 전달되어 후륜의 바퀴 형태를 상기와 같이 정렬하도록 하여, 이러한 바퀴상태가 V자(도 2(a) 참조)와 역V자(도 2(b) 참조) 형태로 정렬하는 것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후륜(320)이 좌우 방향으로 전환시 지면과 마찰력이 발생하여 회전하게 되어 앞으로 전진하게 되며, 자전거가 페달 없이도 승마 유사 동작만으로 앞으로 전진할 수 있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점핑 자전거의 안장이 아래로 수축한 경우(도 3(a) 참조)와 탄성에 의해 위로 다시 올라온 경우(도 3(b) 참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탑승자의 체중과 운동으로 아래로 안장이 수축하게 되면, 요동지지대(300)와 완충수단(600)이 수축하게 되고, 완충수단의 탄발력으로 인한 탄성에 의해 상부링크(120)와 안장이 다시 위로 올라오게 되며(도 3(b) 참조), 이를 반복함으로써, 점핑 자전거가 앞으로 전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요동지지대는 안장대의 상하운동을 후륜에서의 좌우운동으로 전환해주는 핵심 역할을 하는 구조로서, 도 4는 요동지지대(300) 동작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요동지지대(300)는 2개의 요동족(310)과 요동지지대연결부(311)가 역Y자 형상으로 배치된 구조이며, 요동지지대연결부(311)의 상단은 상부링크(120)를 안장대(200)의 상부링크연결부(214)에 끼워서 상하 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운전자의 상체의 상하운동이 상기 안장대(200)와 상부링크연결부(214)를 통과하는 상부링크(미도시)의 상하요동작동이 되고, 상부링크의 하부에 지지된 요동지지대(300)에 의하여 상기 상하운동이 좌우운동으로 바뀌는 바, 상기 요동지지대(300)의 요동지지대연결부(311) 하부에 연결된 좌우 한 쌍의 요동족(310)이 좌우 개폐작동을 하게 되어 요동족(310) 각각의 하단에 연결된 좌우대칭인 좌우의 하부링크(130)가 내외로 개폐작동하여 하부링크(130)의 후단에 설치된 후륜지지대(350)를 외측으로 밀고 내측으로 당김으로써, 후륜지지대(350)의 후단의 후륜축(35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좌우 한 쌍의 후륜(320)이 좌우 지그재그로 방향을 바꾸어 양쪽 후륜이 V자형 또는 역V자형으로 반복적으로 동작하면서, 지면과의 마찰력이 발생하여 구동력을 얻게 되는 것이다.
도 5(a)는 상기 요동지지대의 역Y자 하단부에 요동완충대(630)가 더 설치된 것을 나타낸다.
상기 요동완충대(630) 상부는 상단연결부(632)로 연결되고, 하부는 하부연결부(633)를 통해 요동지지대의 요동하부연결부(315)와 연결되어, 요동지지대의 동작에 더 탄성을 줄 수 있게 된다.
상기 요동완충대(630)는 스프링으로써 전체적인 모양은 V자를 뒤집어 놓은 모양이고, 상단은 상단연결부(632)를 고리 모양의 상단연결부(632)를 형성하여 상부링크와 연결되며, 양쪽의 하단은 고리모양의 요동하단연결부(633)를 형성하여 요동하부연결부(315)에 지지하여 요동지지대(300)의 요동상부링크(312)가 벌어지는 각도를 제한하고, 오므라드는 복귀 시에는 탄성력으로 복귀를 촉진하는 작동을 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요동지지대연결부(311)의 하단은 가로방향의 요동상부링크(312)와 그 좌우 양단부에 좌우 한 쌍 요동족연결부(313)가 형성되어 좌우 한쌍의 요동족(310)이 내외 측 방향에 상호 대칭으로 힌지결합되어 안장대(200)의 상하운동을 후륜(320)의 좌우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관절형태로 형성된다.
요동족연결부(313)의 좌우 하단에는 요동족(310)이 연결되고, 상기 요동족(310)의 하단에는 요동하부연결부(315)에 의하여 요동하부링크(314)와 힌지결합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후륜지지대(350)와 연결을 위한 요동하부링크(314)가 힌지 결합되는 형태를 가진다.
이로서, 요동지지대(300)는 안장대(200)로부터 상부링크(120)에 상하로 작동하는 상하운동이 요동상부링크(312)에서 좌우 개폐작동으로 바뀌어 하부링크(130)를 내외 측으로 개폐시키는 작동을 한다.
도 6은 상기 상부링크가 동물형상으로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안장대 하단의 상부링크를 동물 형상화함으로써, 실제 자전거를 타는 사람이 동물을 타는 듯한 효과를 주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후륜지지대(350)가 아닌 일반적으로, 유모차나 장롱 등의 바퀴 연결구조인 스위블 캐스터(353)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상기 요동지지대와 상부링크, 하부링크 등을 연결하여 점핑 자전거로서 기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메인링크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7은 프레임 중 메인링크(110)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부링크와 연결되는 상부링크연결부(113)과, 좌우의 하부링크와 연결되는 좌우의 메인링크_하부링크연결부(115)와, 상부링크 완충대(610)와 연결되는 완충대연결부(117) 등을 가짐으로써, 프레임에서 다른 부품들과 주요한 연결부를 가진다.
수직방향의 상부바(111)와 수평방향의 하부바(112)가 힌지구조의 중간연결부(114)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상부바(111)는 선단에 조향축(410)이 좌우회전 가능하도록 조향축연결부(116)와 연결된다.
둔각으로 꺾인 중간부(114)에는 상하 운동이 가능하게 좌우 관통구멍으로 상부링크연결부(113)가 형성된 구조이다.
하부바(112)의 중간의 후방 측면에는 완충대연결부(117)가 형성되어 상부링크 완충대(610)와 메인완충대(620)와 연결된다.
상기 메인링크_하부링크연결부(115)의 좌우 양단에는 수직방향의 관통구멍으로 링핀(132)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하부링크(130)의 메인링크연결부(133)과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부링크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점핑 자전거의 상부링크(120)의 3가지 종류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8(a)는 일반적인 점핑 자전거의 상부링크로서, 메인링크와 연결되는 메인링크 연결부(122)와, 2가지 완충대와의 연결을 위한 상부링크완충대연결부(124)와 메인완충대연결부(125)를 포함한다(도 12 및 도 13 참조).
도 8(b)는 상부링크가 동물형상을 하는 경우로서, 운전자의 취향과 승마의 느낌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말 등 동물의 형상이나 자동차 현상, 물결이나 구름 모양 등을 조형한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어서, 예를 들어, 말의 형태의 점핑자전거를 타는 경우에는 말을 타는 것과 같은 레저의 즐거움을 느끼기 적합하고, 공연, 연극, 거리행사의 소품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노인시설, 유아시설, 레저파크의 놀이기구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특수 형상의 상부링크(120)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그 구조는 도 8(a)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하부링크(13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선단에는 메인연결부(133)가 형성되어 링핀(132)을 통해 메인링크(110)의 메인링크_하부링크연결부(115)에 연결된다.
또한, 완충부재인 메인완충대(620)와 연결을 위한 메인완충대연결부(136)가 상기 하부링크 선단부의 하단에 설치된다.
상기 하부링크 후단은 수직방향의 관통구멍으로 U자 형태의 후륜연결부(135)를 통해 후륜지지대(350)가 연결되어, 후륜이 V자 및 역V자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후륜지지대(350)에 관해 살펴보면,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륜지지대(350)의 선단은 하부링크(130)의 후륜지지대연결부(135)와 힌지구조로 하부링크(130)와 연결된다. 또한, 후륜지지대의 후단에 후륜(320)을 지지하는 후륜축(355)을 구비하여 후륜이 회전가능하록 설치된다. 상기 후륜지지대(350)는 후륜의 비틀림 하중을 지지하도록 U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륜지지대연결부(135)의 외측으로 U자형의 후륜지지대가 후륜의 중심부와 후륜지지대(350)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후륜지지대가 후륜의 중심부와 연결되도록 하부링크는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점핑 자전거의 하부링크가 링핀으로 연결된 실시예를 보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하부링크(130)의 선단의 링핀(132) 하단에 하부링크(130)와의 연결을 위한 메인링크_하부링크연결부(115)가 설치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완충대연결부(136)가 설치된다.
도 11은 점핑 자전거에 본 발명의 후륜지지대(350) 대신, 통상의 킥보드나, 유모차에 설치되는 스위블 캐스터(353)를 채용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스위블캐스터(353)와 후륜(320)이 연결되되, 구동 효율상 캐스터의 축이 앞으로 기울어진 후륜축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링크의 선단은 상기 본 발명의 점핑 자전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도 10 내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링크(130)가 링핀(132)을 개재하여 메인링크(110)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하부링크와 메인링크에 전달되는 노면의 요철과 자전거의 좌우회전에 의한 불규칙한 흔들림에 유연하게 반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구조이며, 이들 구조에 추가적으로 완충수단(600)이 설치되면, 지지력과 탄성력이 생겨, 마치 동물의 골격근처럼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하부링크(130)는 직선형으로 할 수도 있고, 미관과 역학적 안정성 및 승차할 때 밟고 오르는 편의를 위하여 여러 번 휘거나, 꺾는 굴곡 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에 한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완충수단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완충수단(600)은 크게 상부링크완충대(610), 메인완충대(620)로 구성될 수 있는 바,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점핑 자전거의 상부링크완충대(61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점핑 자전거의 메인완충대(620)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2의 상부링크완충대(61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12(a)를 참조하면, 상부링크완충대(610)의 상단은 상부링크(120)와 상부링크 연결부(615)로 연결되고, 하단은 완충하부연결부(616)를 통해 메인링크(110)와 연결된다.
상부링크(120)가 하강할 때는 완충재(611)의 압축으로 완충작용을 하고, 상부링크120)가 상승할 때는 상승압력을 가중함과 동시에 하부링크(130)의 좌우 개폐링크운동에 제한과 촉진의 작동을 한다.
도 12(b) 도면은 상부링크 완충대의 부품을 상세히 도시한 것으로서, 완충재하우징(612) 내에 완충속대(613)와 완충로드(614)를 중심축으로 하여, 완충재(611)가 끼워져 있어, 완충작용을 하며, 완충상부연결부(615) 및 완충하부연결부(616)를 통해 각각 상부링크와 메인링크와 연결된다. 상기 완충수단의 완충재에 의해 압축과 수축으로 압축력을 비축하며 완충하고, 신장하며 압축력을 방출하여 탄성력을 발휘하여, 하부링크(130)의 각도가 벌어질 때 압축되면서 벌어지는 각도를 제한하고, 각도가 수축하면서 복귀할 때 탄성력으로 복귀를 돕는 작동을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완충재(611)는 스프링, 공기, 유압유 및 다공질완충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하지 않고, 당업자가 변형, 수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메인완충대(620)에 대해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메인링크완충대(620)는 상부는 상부링크와 스프링의 고리로 형성된 메인링크 완충대 상부링크연결부(622)을 통해 연결되고, 하단은 좌우 하부링크(130)의 앞쪽에 메인링크 완충대 하부링크연결부(624)를 통해 하부링크와 연결되고, 그 내부는 상기 상부링크 완충대와 마찬가지로, 완충재를 포함함으로써, 상하 진동 등을 완충하는 역할을 하여, 전체 자전거 프레임의 구조적 안정성과 균형을 잡아주어, 승마운동의 효과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점핑 자전거는 프레임(100)의 링크작동에 대하여 3 가지의 완충수단(상부링크완충대(610), 메인완충대(620) 및 요동완충대(630))을 구비할 수 있으며, 완충작동에 의하여 동물의 근육과 같이 리듬감 있는 작동을 하여 하부링크(130)가 내측으로 복귀할 때 상부링크완충대(610), 메인완충대(620) 및 요동완충대(630)의 탄성력으로 운전자가 튀어 오르는 느낌을 즐길 수 있어서 운전자로 하여금 본 발명의 점핑 자전거의 리드미컬한 승마운동과 유사한 효과를 얻게 하는 완충수단(6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안장대(200)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점핑 자전거의 안장대를 보인 정면 및 측면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안장대(200)은 좌대(210)와 좌대(210)의 하단에 좌대연결부(212)가 결합되고, 그 하단엔 안장링크(213)이 사각형 형상으로 내부가 천공된 상부링크 연결부(214)와 연결된다. 상기 상부링크연결부(214)는 그 내부의 천공부분을 상부링크가 관통하도록 연결된다.
도 15는 안장대에 등받이(218)가 더 추가된 형태로 제작된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좌대(210)에는 등받이(218)와 팔걸이(219)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좌대(210)에 후술할 조향케이블상핸들(426)의 고정용 고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조향핸들은 일반적인 형태의 조향핸들을 구비할 수 있으나, 도 16은 특히 본 발명의 특징인 조향핸들부를 나타낸 것으로, 조향케이블(515)을 갖는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전륜(430)을 제동하기 위하여 조향축(410)와 후륜지지대(350, 미도시) 및 조향핸들(510)에 제동핸들부(520)가 고정되는데, 상기 제동핸들부(520)는 제동핸들(524)과, 제동케이블(523), 전륜(420)과 후륜(320)에 고정되어 설치된 제동휠(522)을 포함한다.
한편, 프레임(100) 전방의 핸들(500)은 일반적인 자전거 핸들과 같이 조향축(410) 상에 조향핸들(510)이 형성되어 조향핸들바(514)의 양단에 조향핸들그립(미도시)이 구비된다.
도 17은 조향케이블(515)을 구비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안장대 하단에서 전방으로 설치되어, 마치 말 꼬삐로 방향을 조정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줄 수 있다.
한편, 도 18은 조향케이블연결봉(517)을 구비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상기 좌우의 조향케이블(515)의 종단을 서로 연결하여, 한 손으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향케이블연결봉(517)이 더 구비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안장대(200)와 핸들(500), 요동지지대(300)와 전륜(420)과 후륜(320) 등의 신속한 위치 또는 각도 조절이나 분해와 고정을 위해서 조임쇠로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프레임(100)상의 메인 바(110)와 각 링크에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별도의 설명을 생략하지만, 주요부품과 결합을 하기 위한 수단(예컨대 평면부, 관통부, 절개부 등)을 형성하고, 회전 및 링크운동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베어링, 부싱이나 결합용 부품으로 스크류, 볼트, 너트류, 핀류와, 이와 동등한 기능의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안장대(200)나 핸들(500), 요동지지대(300) 등의 신속한 각도 조절이나 분해와 고정을 위해서 조임쇠로 고정한 것을 구비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한편, 도시에는 생략하지만 프레임(100) 상에 자전거를 임의의 장소에 고정하기 위하여 잠금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또, 도시에는 생략하나, 본 발명은 야간에 사용할 수 있도록 조명기를 구성할 수 있다. 조명등이 상부링크(120) 또는 메인링크(110)의 선단에 설치될 수 있으며, 조향축(410)에 설치되어 전륜(420)의 회전에 의하여 작동하는 발전기가 생산하는 전력이 전선 케이블에 인가하여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작동하는 조명기의 전등이 켜지는 구조이다. 이 경우 발전기가 생산하는 전력을 저장하도록 상부링크(120)의 내부에 축전지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시에는 생략하나, 본 발명은 전륜(420)과 후륜(320)의 흙받이를 설치할 수 있다. 전륜과 후륜의 흙받이는 조향축(410)과 후륜지지대(350)상에 전륜과 후륜을 감싸도록 설치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 또는 수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 범위에 속해야 할 것이다.
110 : 메인링크 111 : 상부바
112 : 하부바 113 : 메인링크_상부링크연결부
114 : 중간연결부 115 : 메인링크_하부링크연결부
116 : 조향축연결부 117 : 완충대연결부
120 : 상부링크
122 : 메인링크연결부 123 : 요동연결부
124 : 상부링크완충대연결부 125 : 메인완충대연결부
130 : 하부링크
132 : 링핀 133 : 메인링크연결부
134 : 요동지지대연결부 135 : 후륜지지대연결부
136 : 메인완충대연결부
200 : 안장대
210 : 좌대 212 : 좌대연결부
213 : 안장지지대 214 : 상부링크연결부
216 : 조향핸들고리 218 : 등받이
219 : 발판
300 : 요동지지대 310 : 요동족
311 : 요동지지대연결부 312 : 요동상부링크
313 : 요동족연결부 314 : 요동하부링크
315 : 요동하부연결부
320 : 후륜
350 : 후륜지지대 353 : 스위블캐스터
355 : 후륜축
400 : 피동수단 410 : 조향축
420 : 전륜
500 : 핸들부
510 : 조향핸들 515 : 조향케이블
517 : 조향케이블연결봉
520 : 제동핸들부 521 : 제동기
523 : 제동케이블 524 : 제동핸들
600 : 완충수단
610 : 상부링크완충대 611 : 완충재
612 : 완충재하우징 613 : 완충속대
614 : 완충로드 615 : 완충상부연결부
616 : 완충하부연결부
620 : 메인링크완충대
622 : 메인링크 완충대 상부링크연결부 623 : 메인연결부
624 : 메인링크 완충대 하부링크연결부
630 : 요동완충대
632 : 요동상단연결부 633 : 요동하단연결부

Claims (10)

  1. 삼륜 또는 사륜 자전거에 있어서, 다른 부품들과 연결부를 구비하는 메인링크(110)와, 상기 메인링크(110)에 연결된 상부링크(120)와, 후륜과 연결되는 2개의 좌우 하부링크(130)를 포함하는 프레임(100);
    상기 상부링크(120) 상단에 설치되는 안장대(200);
    상기 안장대(200) 하단에 설치되어, 안장의 상하 움직임을 하부링크(130)와 연결된 후륜(320)의 좌우운동으로 전환시키는 것으로서, 하부링크(130) 좌우 상단에 연결되며, 역 Y자 형상을 갖는 요동지지대(300);
    상기 하부링크(130)와 후륜(3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요동지지대(300)의 움직임을 후륜(320)에 전달하여 자전거를 전진하도록 하는 후륜지지대(350);
    상기 메인링크의 조향축연결부(116)에 연결되며, 그 하단에 전륜(420)이 연결되는 조향축(410);
    상기 조향축(410)과 연결된 조향핸들(510)과 제동핸들부(520)를 구비하는 핸들부(500); 및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링크와 하부링크의 전단부 사이를 연결하며,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완충작동을 하는 완충수단(6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핑 자전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링크(120)는 동물, 식물 또는 무생물의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점핑 자전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대(200)는 등받이(218)를 더 포함하는 점핑 자전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500)는 조향케이블(5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핑 자전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케이블(515)의 양단을 연결하는 조향케이블연결봉(51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핑 자전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지지대(350)는 그 선단이 하부링크의 후륜지지대연결부(135)에 좌우 회전이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그 후단은 후륜(320)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후륜축(35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핑 자전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600)은 그 상단이 상부링크(120)와 연결되고, 하단은 메인링크(110)와 연결되며, 그 내부에 완충재(611), 완충재하우징(612) 및 완충로드(614)를 포함하는 상부링크완충대(6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핑 자전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600)은 상부링크와 양측 하부링크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메인링크완충대(6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핑 자전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지지대(300)는 요동하부링크(314)와 연결되는 고리 모양의 요동상단연결부(632)와, 그 양쪽의 하단이 요동하부연결부(315)와 연결되는 고리 모양의 요동하단연결부(633)를 포함하며, 요동상부링크(312)가 벌어지는 각도를 제한하고, 탄성력으로 복귀를 촉진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역 V자 형상의 요동완충대(630)를 더 포함하는 점핑 자전거.
KR1020110113190A 2011-11-02 2011-11-02 점핑 자전거 KR101437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190A KR101437347B1 (ko) 2011-11-02 2011-11-02 점핑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190A KR101437347B1 (ko) 2011-11-02 2011-11-02 점핑 자전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371A KR20130048371A (ko) 2013-05-10
KR101437347B1 true KR101437347B1 (ko) 2014-09-04

Family

ID=48659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190A KR101437347B1 (ko) 2011-11-02 2011-11-02 점핑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3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28607A (zh) * 2018-06-11 2018-09-14 重庆中铃兆虎机车制造有限公司 三轮车减震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982B1 (ko) 2004-11-10 2006-05-30 이진우 삼륜차
KR20070084934A (ko) * 2006-02-22 2007-08-27 주식회사 슬로비 삼륜 캐스터 스케이트
KR20090043309A (ko) * 2007-10-29 2009-05-06 지마인터내셔날 주식회사 승마형 자전거
KR20100023170A (ko) * 2008-08-21 2010-03-04 (주)로봇과학클럽 삼륜 점핑 자전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982B1 (ko) 2004-11-10 2006-05-30 이진우 삼륜차
KR20070084934A (ko) * 2006-02-22 2007-08-27 주식회사 슬로비 삼륜 캐스터 스케이트
KR20090043309A (ko) * 2007-10-29 2009-05-06 지마인터내셔날 주식회사 승마형 자전거
KR20100023170A (ko) * 2008-08-21 2010-03-04 (주)로봇과학클럽 삼륜 점핑 자전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371A (ko) 2013-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0940B1 (en) Pedestrian cycle
US9381395B2 (en) Stationary articulated bicycle
US7311319B1 (en) Therapeutic scooter system
JP3956175B2 (ja) 揺動機構を備えた車輪のついた杖
US20040227317A1 (en) Eccentric scooter having cushioning device
US11192569B2 (en) Seating/lying support
US20210009228A1 (en) Squat bicycle
KR101437347B1 (ko) 점핑 자전거
JP3118971U (ja) 歩行補助用三輪車
CN201989911U (zh) 多功能健身车
US5466191A (en) Impulse driven rocking apparatus installed with elliptically-shaped springs
CN217593760U (zh) 可变换骑行姿态的模拟骑行装置及vr模拟骑行装置
KR101599637B1 (ko) 헬스형 승마자전거
KR101599638B1 (ko) 헬스형 승마자전거의 안장
JP3505656B2 (ja) 開脚三輪歩行車
CN107323586B (zh) 一种双驱动健身三轮车
CN2504177Y (zh) 可用脚控制方向的微型自行车
KR101599639B1 (ko) 헬스형 승마자전거의 핸들바
CN215475531U (zh) 一种能够调节把手宽度的儿童自行车
CN103961842B (zh) 运动用自行车支撑台
US20160362157A1 (en) Body motion powered ride-on vehicle
CN100480129C (zh) 可脚控的自行车
TWI394677B (zh) Stationed bike with movable folding seat
US3103761A (en) Riding toy vehicle for dolls
TW200902365A (en) An eccentric wheel exercise b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