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3867Y1 -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867Y1
KR200343867Y1 KR20-2003-0038959U KR20030038959U KR200343867Y1 KR 200343867 Y1 KR200343867 Y1 KR 200343867Y1 KR 20030038959 U KR20030038959 U KR 20030038959U KR 200343867 Y1 KR200343867 Y1 KR 2003438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oil
stirring chamber
crushing blade
coo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89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달
Original Assignee
김호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달 filed Critical 김호달
Priority to KR20-2003-00389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8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8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867Y1/ko
Priority to CNA2004100496357A priority patent/CN1628915A/zh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2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by fermentation of natural products, e.g. of vegetable material, animal waste material or biom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C05F9/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02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with agitation means; with heat exchan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hysi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고정 파쇄날과 유동 파쇄날을 가지는 교반실에, 오일 히터와 냉각 쿨러 및 냉각기를 형성하여, 교반실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파쇄하면서 음식물쓰레기의 온도를 상승시켜,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와 같이 음식물쓰레기의 수분제거로 발생된 가스(기체)를 냉각 쿨러와 냉각기를 통하여 2중으로 냉각시켜, 양질의 응축수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며, 처리장치에 의해 발생된 음식물쓰레기의 슬러지를, 양질의 사료나 퇴비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식쓰레기 처리장치{arrangement equipment for food waste}
본 고안은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일반 가정의 주방이나 각종의 요식업소 또는 대형 식당 등에서 다량으로 산출되는 음식쓰레기를 자동으로 처리하여 양질의 사료로 사용하거나 유기질 비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환경의 오염을 방지함은 물론 귀중한 자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음식쓰레기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각종의 요식업소 또는 대형 식당 등에서는 먹다 남은 음식 쓰레기가 다량으로 산출되어 그대로 버리거나 사료나 퇴비 등으로 사용하므로서 환경을 오염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하였으며, 악취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이를 처리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음식물을 처리할 수 있는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음식물을 처리장치는 각각 규격이 아주 대형으로 되거나 아니면 소형으로 구성되어 대형의 식당이나 요식업소 등지와 가정용으로 대별되어 양쪽에 동시에 사용할 수 없으므로 호환성이 저조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고장의 발생율이 매우 높으므로 사용수명이 저조한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 이외에도 종래의 음식쓰레기의 처리장치는 음식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이 완전한 자동 처리가 어려워 각각의 작동이분할하여 이루어지므로 작동상에 호환성이 저조한 등 이의 개선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정 파쇄날과 유동 파쇄날을 가지는 교반실에, 오일 히터와 냉각 쿨러 및 냉각기를 형성하여, 교반실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파쇄하면서 음식물쓰레기의 온도를 상승시켜,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악취를 제거하고, 상기와 같이 음식물쓰레기의 수분제거로 발생된 가스(기체)를 냉각 쿨러와 냉각기를 통하여 2중으로 냉각시켜, 양질의 응축수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며, 처리장치에 의해 발생된 음식물쓰레기의 슬러지를, 양질의 사료나 퇴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서 교반실의 구성을 표시한 구성도
도3은 본 고안에서 오일 히터를 표시한 내부 정면도
도4는 본 고안에서 교반실의 구성을 표시한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서 회전 드럼과 파쇄날을 표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고정 파쇄날 2; 유동 파쇄날 3; 회전 드럼 4; 오일 히터
5; 오일 탱크 6; 교반실 파쇄날 7; 교반실 8; 가스 배출구
9; 냉각 쿨러 10; 가스 이송관 11; 오일 유입구
12; 오일 배출구 13; 구동축 14; 구동 모터 15;오일 펌프
16; 투입구 17; 배출구 18; 브라켓트 19; 높이 조절봉
20; 냉각기 21; 물탱크 22; 순환펌프 23;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24; 투입구 덮게 25; 구동 풀리 26; 폐가스 최종 배출구
27; 응축수 배출구 28; 컨트롤 박스
본 고안은 고정 파쇄날(1)과 유동 파쇄날(2)이 형성된 회전 드럼(3)과, 오일 히터(4)가 형성된 오일 탱크(5) 내측으로 교반실 파쇄날(6)을 가지는 교반실(7)을 형성하고, 상기의 교반실(7)에는 가스 배출구(8) 형성하여 냉각 쿨러(9)가 형성된 가스 이송관(10)결합하여서 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상기의 회전 드럼(3)의 상측으로는 오일 유입구(11)와 오일 배출구(12)를 형성한 구동축(13)을 형성하여 구동 모터(14)와 연결하여, 구동모터(14)의 동작으로 구동축(13)에 연결된 회전 드럼(3)이 회전하면서, 회전 드럼(3)에 고정된 파쇄날(1)(1')(2)이 동일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상기의 오일 탱크(5)는, 오일 탱크(5) 하측으로 오일 펌프(15)를 형성하여, 오일 탱크(5)에 내입되는 오일을 가열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의 교반실(7)에는 처리할 음식쓰레기를 투입하는 투입구(16)와 처리된 음식쓰레기의 슬러지를 배출하는 배출구(17)를 형성한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의 유동 파쇄날(2)은, 회전 드럼(3)에 형성된 브라켓트(18)에 높이 조절봉(19)을 형성하여, 높이 조절봉(19) 하측의 유동 파쇄날(2)의 높이가 조절 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의 교반실(7) 하측으로 냉각기(20)를 가지는 물탱크(21)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에서 오일 탱크(5)의 오일과 물탱크(21)에 유입되는 냉각수는 순환을 위하여 순환 펌프(22)가 형성된 것이다.
미설명 부호 "41"은 커버, "42"는 배출구 덮게. "43"은 냉각수 통, "44"는 오일리스 베어링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파쇄날(1)(2)(6)이 형성된 교반실(7)과 교반실(7)에서 발생하는 가스(기체)를 배출하여, 냉각 쿨러(9)를 통하여 응축수(액체)로 변환시키는, 음식 쓰레기 처리장치(23)의 사용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교반실(7)에 형성된 투입구(16)에 처리할 음식쓰레기를 투입하고 투입구 덮게(24)를 밀봉한 상태에서, 구동 모터(14)를 가동하여 풀리(25)로 연결된 구동축(13)을 회전하여, 회전 드럼(3)이 교반실(7) 내에서 회전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회전 드럼(3)이 교반실(7)에서 회전할 때, 회전 드럼(3)에 형성된 파쇄날(1)과 교반실(7)의 교반실 파쇄날(6)이 교차되면서, 투입된 음식쓰레기가 파쇄 및 교반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교반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교반실(7) 외측으로 형성된 오일 탱크(5)를 오일 히터(15)로 가열하므로, 교반실(7)의 외측으로 오일 탱크(5)에 내입된 오일이 가열되어, 교반실(7)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교반실(7)을 가열하는 오일 탱크(5)는, 오일 유입구(11)를 통해 오일 탱크(5)에 내입되어 온도의 상승으로 수분을 증발시키고, 온도가 상승한 오일은 오일 펌프(15)에 의해 오일 배출구(12)로 배출되는 방식으로 순환 작용을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교반실(7)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음식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이 고온으로 인하여 기체 상태로 증발하며서, 교반실(7)에 형성된 가스 배출구(8)로 배출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가스 배출구(8)로 유입된 폐증기 형식의 가스는, 가스 이송관(10)으로 이송되어, 냉각 쿨러(9)에 의해서 냉각되어 기체가 액체로 변하면서, 가스에 포함된 음식쓰레기의 악취는 폐가스 최종 배출구(26)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가스 이송관(10)에서 액체로 변하여 이동하는 응축수는, 교반실(7)에 하측으로 형성된 물탱크(21)의 냉각기(20)를 경유하여 재차 냉각되면서, 처리장치(23)의 응축수 배출구(27)로 배출되는 것이며, 고온의 가스로 인해 물탱크(20)에 위치하는 냉각수의 온도가 상승되지 않도록, 물탱크(21)의 냉각수는 순환 펌프(23)에 통해 순환되어, 항상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회전 드럼(3)의 유동 파쇄날(2)은 높이 조절봉(19)에 의해서 교반실(7) 내에서 높낮이를 조절하여, 유동 파쇄날(2)이 교반실(7)과 접하는 간격을 조절하여, 교반실(7) 바닥에 위치한 음식물쓰레기를 파쇄 및 교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유동 파쇄날(2)은 회전 드럼(3)에 브라켓트(18)에 고정된 높이 조절봉(19)이 상. 하로 높이조절이 되면서, 높이 조절봉(19)에 고정된 유동 파쇄날(2)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상기와 같은 일련의 작동은 컨트롤박스(28)의 회로 구성에 의해 전자동으로 행해질 수 있으며, 각각의 작동 부위에 일련의 동작 또는 다음의 진행 신호를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리미트스위치나 근접 스위치 또는 센서 등을 설치하는 것은 본 고안에서 임의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음식쓰레기의 수분이 교반실(7)에서 증발되어 기체 상태에서 냉각 쿨러(9)에 의해 온도의 감소로 인해 액체로 변하여, 물탱크(21)의 냉각기(20)를 경유하면서 재차 냉각되므로, 처리장치(23)에서 발생된 음식물쓰레기의 악취는 탈취되면서 외부로 배출되고 양질의 응축수를 생성하므로,음식쓰레기에 포함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교반실(7)에서 배출되는 슬러지의 경우, 교반실(7)에서 충분히 파쇄되어 입자형태로 변하면서, 음식물에 포함된 영양소를 포함하고 있어, 양질의 사료 및 퇴비로 재활용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음식 쓰레기를 처리하여 가축의 사료나 각종 식물의 퇴비 및 유기질 비료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음식쓰레기의 매립이나 폐기 등의 처리로 인하여 발생하는 재반비용을 절감하며, 응축수의 악취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서, 환경공해의 방지에도 일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고정 파쇄날(1)과 유동 파쇄날(2)이 형성된 회전 드럼(3)과, 오일 히터(4)가 형성된 오일 탱크(5) 내측으로 교반실 파쇄날(6)을 가지는 교반실(7)을 형성하고;
    상기의 교반실(7)에는 가스 배출구(8) 형성하여 냉각 쿨러(9)가 형성된 가스 이송관(10)결합하며;
    상기의 회전 드럼(3)의 상측으로는 오일 유입구(11)와 오일 배출구(12)를 형성한 구동축(13)을 형성하여 구동 모터(14)와 연결하여, 구동 모터(14)의 동작으로 구동축(13)에 연결된 회전 드럼(3)이 회전하면서, 회전 드럼(3)에 고정된 파쇄날(1)(1')(2)이 동일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의 오일 탱크(5)는, 오일 탱크(5) 하측으로 오일 히터(4)와 오일 펌프(15)를 형성하여, 오일 탱크(5)에 내입되는 오일을 가열과 함께 오일이 순환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의 교반실(7)에는 처리할 음식쓰레기를 투입하는 투입구(16)와 처리된 음식쓰레기의 슬러지를 배출하는 배출구(17)를 형성하며;
    상기의 유동 파쇄날(2)은, 회전 드럼(3)에 형성된 브라켓트(18)에 높이 조절봉(19)을 형성하여, 높이 조절봉(19) 하측의 유동 파쇄날(2)의 높이가 조절 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의 교반실(7) 하측으로 냉각기(20)를 가지는 물탱크(21)를 형성하여서 된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KR20-2003-0038959U 2003-12-15 2003-12-15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KR2003438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959U KR200343867Y1 (ko) 2003-12-15 2003-12-15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CNA2004100496357A CN1628915A (zh) 2003-12-15 2004-06-22 食物垃圾的处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959U KR200343867Y1 (ko) 2003-12-15 2003-12-15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3867Y1 true KR200343867Y1 (ko) 2004-03-10

Family

ID=34858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8959U KR200343867Y1 (ko) 2003-12-15 2003-12-15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43867Y1 (ko)
CN (1) CN162891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71195B (zh) * 2018-07-05 2020-10-23 内蒙古大学 一种剩饭处理机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28915A (zh) 2005-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8305B1 (ko) 음식물 쓰레기 소멸기
KR100199548B1 (ko) 유기성 폐기물 발효건조장치 및 그 방법
KR200343867Y1 (ko)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KR102611495B1 (ko) 발효처리부 및 건조부 일체형 음식물쓰레기 감량장치
JP2004249279A (ja) 台所用食べ物屑処理装置
KR102151917B1 (ko) 복합효소를 이용한 가압식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
JP2003245636A (ja) 除湿発酵式有機廃棄物処理機
KR102077517B1 (ko) 친환경 밀폐 이동형 잉여 및 폐기 농수산물 분쇄 처리장치
KR20110005621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9990038997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10050190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332911B1 (ko) 진공건조식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214056Y1 (ko) 음식물쓰레기의고속진공발효건조기
KR100862756B1 (ko) 수평분쇄이송탈수식 소형 음식물잔반처리기
JP2006051483A (ja) 有機廃棄物の複合加熱による乾燥処理装置
KR100512256B1 (ko) 대용량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868479B1 (ko) 응결 배수구조가 적용된 투입도어를 갖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10108585A (ko) 슬러지 건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슬러지 건조 시스템
KR2010011683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0882750B1 (ko)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JP3470474B2 (ja) 固形有機質廃棄物の高温好気発酵処理装置
KR10234218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3246102B2 (ja) 生ゴミ処理機
KR200393351Y1 (ko) 침출수 및 악취 제거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239820B1 (ko) 고속건조나 고속발효 건조기에 있어서 내용물의 혼합 분쇄 방법 및 그 건조 또는 발효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