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3239Y1 - 카메라의충전식리모콘 - Google Patents

카메라의충전식리모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239Y1
KR200343239Y1 KR2019980011370U KR19980011370U KR200343239Y1 KR 200343239 Y1 KR200343239 Y1 KR 200343239Y1 KR 2019980011370 U KR2019980011370 U KR 2019980011370U KR 19980011370 U KR19980011370 U KR 19980011370U KR 200343239 Y1 KR200343239 Y1 KR 2003432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mote control
charging
strobe
remot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13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1588U (ko
Inventor
조세훈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800113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239Y1/ko
Publication of KR200000015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15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2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2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38Releasing-devices separate from shu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카메라의 충전식 리모콘은 리모콘부와 및 리모콘부의 장착 여부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환되는 리모콘 장착 감지부를 포함하는 스트로보부로 이루어져, 리모콘 장착 감지부에 의한 리모콘부의 장착 또는 분리 상태에 따라 리모콘 장착 감지부의 동작 상태가 변환되어 스트로보부의 충전 신호가 리모콘부로 인가되거나 차단될 수 있도록 한다. 리모콘 장착 감지부를 통해 스트로보부의 충전 신호가 인가되면 리모콘부는 리모콘 촬영을 위한 구동 신호로 이용하므로, 리모콘 작동을 위한 별도의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전원 소모에 따른 경비를 절감할 수 있고, 전지 장착을 위한 별도의 장착실 등이 필요 없으므로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언제라도 리모콘 촬영을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카메라의 충전식 리모콘
이 고안은 카메라의 리모콘(remocon)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카메라의 충전 가능한 리모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카메라 리모콘은 카메라의 렌즈 캡이나, 본체 일부 또는 카메라 이동용 끈 등과 같이 카메라 일부에 부착 가능할 수 있거나, 또는 별도로 휴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피사체를 리모콘으로 촬영할 경우, 먼저, 카메라의 동작 상태를 리모콘 모드로 전환한 후 촬영하고자 하는 장소에서 리모콘을 작동시킨다.
그러므로 리모콘에서 출력되는 촬영 신호가 카메라 본체로 수신되어, 피사체의 촬영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카메라 본체로부터 분리해야 하는 리모콘을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카메라 전원을 이용할 수 없으므로 별도의 전원을 공급해야 한다.
따라서 리모콘 내부에 소형 전지를 내장하여 리모콘 동작에 필요한 구동 전원을 공급받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편리성을 위하여 리모콘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온/오프 스위치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미세한 전원이 리모콘 내부로 방전되어, 리모콘 전원의 손실을 초래한다. 따라서 일정 시간이 경과할 경우 이와 같은 방전 현상에 의해 리모콘의 구동 전원이 모두 소모되거나 전원 레벨이 정상 상태에서 미달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리모콘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카메라의 구동 전원을 위한 휴대용 건전지는 구입이 용이하고 또한 여분의 건전지를 휴대하는 경우가 많으나, 리모콘을 위한 별도의 휴대용 전원을 휴대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따라서, 누설 전류로 인하여 리모콘이 작동되지 않아 리모콘 촬영을 실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소형 전지를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장착실과 이 장착실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캡을 필요로 한다.
그로 인해, 리모콘 제조시 어려움이 발생하고 제조 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가 발생하며, 리모콘의 소형화 설계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이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리모콘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디자인의 제약을 줄이는 것이다.
또한 이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리모콘 촬영을 위한 구동 전원이 항상 충전되어, 언제라도 리모콘 촬영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충전식 리모콘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2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충전식 리모콘의 카메라 장착도이고,
도 3a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부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부의 저면도이고,
도 3c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부의 좌측면도이고,
도 3d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부의 우측면도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 고안에 따른 카메라의 충전식 리모콘은 리모콘의 구동 전원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이 고안에 따른 카메라의 충전식 리모콘은 별도의 충전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카메라의 스트로보 장치를 이용하여 충전 동작을 실행하는 것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충전식 리모콘에 대하여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충전식 리모콘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2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충전식 리모콘의 카메라 장착도이고, 도 3a 내지 도 3b는 여러 방향에서 본 카메라의 리모콘부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로 하여 이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부(B+)에 플래시 빛을 발광하는 스트로보부(1)가 연결되고, 스트로보부(1)에 플래시 동작 제어부(2)가 연결된다. 그로 인해, 전원부(B+)의 전원이 공급되면 스트로보부(1)의 충전 동작이 이루어지고, 플래시 동작 제어부(2)에서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스트로보부(1)의 방전 동작이 이루어져 카메라의 플래시가 자동으로 작동된다.
스트로보부(1)에는 리모콘부(3)가 연결된다.
플래시 동작 제어부(2)는 리모콘부(3)의 장착 또는 분리 상태를 판단하여, 카메라의 동작 상태를 일반 촬영 모드 또는 리모콘 촬영 모드로 제어한다.
스트로보부(1)에는, 전원부(B+)에 발진 제어부(10)가 연결되고, 발진 제어부(10)에는 발진부(11)가 연결되며, 발진부(11)에 리모콘 장착 감지부(15)가 연결된다.
리모콘 장착 감지부(15)에는 발진 제어부(10)와 연결된 충전 완료 감지부(13)와 스트로보 충전부(12)가 연결되고, 스트로보 충전부(12)는 충전 완료 감지부(12)와 방전부(14)가 연결된다.
그로 인해, 전원부(B+)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발진 제어부(10)는 발진부(11)의 동작을 제어하여, 카메라의 플래시 발광 동작에 필요한 전압을 발진시킨다. 또한, 발진부(11)와 리모콘 장착 감지부(15)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리모콘 장착 감지부(15)는 발진부(11)에서 출력되는 발진 전압을 스트로보 충전부(12)로 출력하여, 스트로보 충젼부(12)의 충전 동작을 실행한다.
스트로보 충전부(12)에 스트로보 충전완료 감지부(13)가 연결되어 충전 여부에 따른 해당 신호를 발진부(11)로 출력하고, 스트로보 충전부(12)가 충전 완료되면 발진부(11)의 동작을 중지시켜 더 이상의 충전 동작을 중지한다. 그리고 스트로보 충전부(12)에는 방전부(14)가 연결되어 플래시 동작 제어부(2)에서 인가되는 방전 신호에 따라 스트로보 충전부(12)의 전하를 방전한다.
이 때 스트로보 충전부(12)는 충전 커패시터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스트로보 충전완료 감지부(13)는 트랜지스터나 네온 램프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 방전부(14)는 크세논 방전관 등을 이용한다.
리모콘부(3)에는, 리모콘 접속부(31)가 스트로보부(1)의 리모콘 장착 감지 감지부(15)와 연결된다. 그로 인해, 카메라 본체(100)에 리모콘부(3)의 장착 여부에 따라 리모콘 장착 감지부(15)의 동작 상태가 변환되어, 리모콘부(3)로 스트로보부(1)의 충전 신호를 공급하거나 차단한다.
리모콘 접속부(31)는 리모콘 충전부(32)와 연결되어, 리모콘 접속부(31)를 거쳐 인가되는 스트로보부(1)의 충전 신호가 충전될 수 있도록 하고, 리모콘 충전부(32)는 리모콘 구동신호 출력부(33)와 연결되어 있다.
그로 인해, 리모콘 충전부(32)의 충전 여부에 따라 리모콘 촬영을 실행할 수 있는 리모콘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리모콘 구동신호 출력부(33)는 리모콘 동작 제어부(34)와 연결되고, 리모콘 동작 제어부(34)는 발광부(35)와 연결된다.
그로 인해, 리모콘 동작 제어부(34)는 리모콘 구동신호 출력부(33)의 신호를 발광부(35)로 출력하여, 리모콘 촬영을 실행한다.
이 때, 리모콘 충전부(32)는 충전 커패시터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발광부(35)는 적외선 발광 장치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리모콘부(3)는 카메라 본체(100)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고, 도 3a내지 도3d에 도시한 것처럼 리모콘 동작 제어부(34)는 리모콘부(3)의 후면에 장착될 수도 있고, 리모콘 접속부(31)와 발광부(46)는 리모콘부(3)의 양측면에 각각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리모콘 접속부(31)에 접점(311)가 형성되어 리모콘부(3)의 충전을 위해 카메라 본체(100)에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도시하지 않음)와 접촉된다.
이 때, 커넥터에 리모콘 접속부(31)의 접점(311)이 연결되면, 내부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 등으로 인하여, 리모콘 장착 감지부(15)의 동작 상태가 변화하여 카메라 본체(100)에 리모콘부(3)의 장착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그러면, 이 고안의 동작을 다음에 상세히 설명한다.
전원부(B+)의 전원이 공급되고 플래시 동작 제어부(2)에서 스트로보부(1)의 충전 신호가 입력되면, 스트로보부(1)의 충전 동작을 실행한다.
따라서 스트로보부(1)의 발진 제어부(10)에 의해 발진부(11)의 동작이 이루어져 스트로보 충전부(12)에 충전되는 전압을 발생시킨다. 그로 인해, 스트로보 충전부(12)에 충전 동작이 시작된다. 그리고 스트로보 충전완료 감지부(13)는 스트로보 충전부(12)의 충전 상태를 체크하여, 충전 동작이 완료되면 발진 제어부(10)와 플래시 동작 제어부(2)로 충전 완료 신호를 출력하여, 스트로보 발광을 위한 충전 동작을 중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발진부(11)의 동작은 중지되고, 플래시 동작 제어부(2)는 스트로보촬영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피사체의 촬영 동작과 함께 방전부(14)를 작동시켜 플래시의 발광 동작을 실행한다.
이 때, 일반적인 촬영 동작을 위해 리모콘부(3)가 카메라 본체(100)에 장착되어 있을 경우, 리모콘 장착 감지부(35)는 스트로보부(1)의 스트로보 충전부(12)로 인가되는 충전 전류가 리모콘부(3)로 인가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다.
그러므로, 스트로보 충전 완료 감지부(13)는 리모콘부(3)의 리모콘 접속부(31)를 통해 리모콘 충전부(32)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리모콘 충전부(32)의 충전 상태를 체크한다.
리모콘 충전부(32)의 충전 상태가 저충전 상태로 정상적인 리모콘 촬영을 실행할 수 없는 상태일 경우엔 스트로보부(1)의 발진부(11)에서 발진되는 충전 전압은 리모콘 장착 감지부(15)를 거쳐, 리모콘부(3)로 인가된다.
또한 스트로보부(1)의 동작 상태가 스트로보 충전부(12)를 위한 충전 상태가 아닐 경우에도, 리모콘 장착 감지부(15)에 의해 리모콘부(3)의 리모콘 충전부(32)의 충전 상태가 저전압 상태로 판정되면, 리모콘 장착 감지부(15)는 스트로보 충전완료 감지부(13)를 통해 발진 제어부(10)로 발진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므로 발진 제어부(10)에 의해 발진부(11)가 작동하여, 발진된 전압은 미충전 상태인 리모콘 충전부(32)로 인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리모콘 장착 감지부(15)의 동작에 의해, 리모콘부(3)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전원이 충전된다.
다음에, 리모콘부(3)의 충전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스트로보부(1)의 리모콘 장착 감지부(15)에 의해 감지된 리모콘부(3)의 상태가 카메라 본체(100)에 장착된 상태로 감지되면, 리모콘 장착 감지부(15)는 리모콘부(3)의 리모콘 접속부(31)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로 인해, 스트로보부(1)의 충전 동작을 위해 발진부(11)가 작동하여 충전 전류가 출력되면, 리모콘 장착 감지부(15)를 통해 스트로보부(1)의 충전부(12)와 리모콘 접속부(31)를 거쳐 리모콘 충전부(32)로 동시에 인가된다.
즉, 리모콘 장착 감지부(15)를 거쳐 충전을 위한 접점(311)이 형성되어 있는 리모콘 접속부(31)를 통해 인가되어 리모콘 충전부(32)에 충전된다. 충전 동작에 의해 리모콘 충전부(32)의 충전 상태는 리모콘 촬영 동작을 위한 설정 상태까지 충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리모콘 충전부(32)의 충전 상태가 설정 상태까지 이루어지면, 리모콘 구동 신호 출력부(33)는 리모콘 촬영을 위하여, 발광부(35)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런 상태에서, 만약 사용자가 리모콘 촬영을 위해 카메라 본체(100)에서 리모콘부(3)를 분리할 경우, 카메라 본체(100)에 형성되어 있는 리모콘 장착 감지부 (15)는 리모콘부(3)의 리모콘 접속부(31)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그로 인해 리모콘부(3)의 충전 동작은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리모콘 장착 감지부(35)는 리모콘부(3)의 분리 상태에 해당하는 전기 신호를 플래시 동작 제어부(2)로 출력하므로, 플래시 동작 제어부(2)는 카메라의 제어 상태를 리모콘 촬영을 위한 리모콘 촬영 모드로 변화시킨다,
이와 같은 촬영 모드가 리모콘 모드로 변환된 상태에서,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리모콘 동작 제어부(34)가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면, 즉, 리모콘 촬영을 위한 신호가 인가되면, 리모콘 구동 신호 출력부(33)의 리모콘 구동 신호는 리모콘 동작 제어부(34)를 통해 발광부(35)로 인가된다.
그로 인해, 발광부(35)는 리모콘 촬영을 위해 촬영 신호가 포함된 적외선을 카메라 본체(100)에 장착된 수광부(도시되지 않음)로 입사되어 리모콘부(3)를 이용한 피사체 촬영이 이루어진다.
리모콘 촬영을 위해 리모콘부(3)를 작동시킬 경우, 별도의 전지없이 플래시 발광을 위해 충전되는 스트로보부(1)의 충전 전류를 이용하여 리모콘 촬영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작하는 이 고안의 효과는 리모콘 작동을 위한 별도의 전원이 필요 없으므로, 전원 소모에 따른 경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리모콘부에 전원 장착실을 별도로 설계할 필요가 없으므로, 리모콘부의 디자인을 간소할 수 있고, 디자인의 제약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언제나 리모콘부의 상태는 리모콘 촬영을 위한 충전 상태를 유지하므로, 언제라도 리모콘 촬영을 실행할 수 있다.

Claims (1)

  1. 플래시 발광을 위해 충전 및 발광 동작이 이루어지는 스트로보부;
    상기 스트로보부의 충전 신호가 공급되어 충전 동작이 이루어지는 리모콘부; 및
    상기 스트로보부와 연결되고 상기 리모콘부와의 착탈 가능하여, 상기 리모콘부의 착탈 상태에 따라 전환 상태가 변환되어 상기 스트로보부에서 인가되는 충전신호의 공급 상태를 제어하는 리모콘 장착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모콘부는,
    상기 스트로보부를 통해 인가되는 충전 신호가 충전되는 충전부;
    상기 충전부와 연결되어 상기 충전부의 충전 상태에 따라 피사체를 리모콘으로 촬영할 수 있는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리모콘 구동 신호 출력부;
    피사체 촬영을 위한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리모콘 구동 신호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구동 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리모콘 동작 제어부; 및
    상기 리모콘 동작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리모콘 동작 제어부를 통해 인가되는 구동 신호에 의해 피사체의 촬영신호를 발사하는 발광부
    를 포함하는 충전식 리모콘을 갖는 카메라.
KR2019980011370U 1998-06-29 1998-06-29 카메라의충전식리모콘 KR2003432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370U KR200343239Y1 (ko) 1998-06-29 1998-06-29 카메라의충전식리모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370U KR200343239Y1 (ko) 1998-06-29 1998-06-29 카메라의충전식리모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588U KR20000001588U (ko) 2000-01-25
KR200343239Y1 true KR200343239Y1 (ko) 2004-05-31

Family

ID=49425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1370U KR200343239Y1 (ko) 1998-06-29 1998-06-29 카메라의충전식리모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32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588U (ko) 2000-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87253A1 (en) Photographic illuminating device and camera
US4510419A (en) Grip-type photographic flash discharge device
KR200343239Y1 (ko) 카메라의충전식리모콘
US20100052926A1 (en) Projection display device
US20110101224A1 (en) "Power supply and night vision device using the power supply"
KR100953009B1 (ko) 리모콘 송신기
US6442346B1 (en) Flash apparatus with one-time-use camera
US5270764A (en) Remote controlled camera system providing indication of flash capability
JPH0593948A (ja) 遠隔操作対応カメラ
EP0505287B1 (en) Video light apparatus for video cameras
JP2699931B2 (ja) カメラの電池パック組込み構造
JP2000275707A (ja) ストロボ装置
KR101609709B1 (ko) 석궁 화살용 너크
KR200291846Y1 (ko) 휴대가 용이한 무선조종 자동차완구
JP2641508B2 (ja) 電源切換装置
JP3257364B2 (ja) 常備灯
JP4630679B2 (ja) 閃光装置
JPH0536980U (ja) カメラ装置
JP2004069913A (ja) リモコン装置付きカメラ
JP3389654B2 (ja) フラッシュ撮影システム
KR0157519B1 (ko) 자동 충전 완료 플래시 장치
KR100504825B1 (ko) 플래시 기능을 내장한 휴대용 단말기
JP2885347B2 (ja) テレビカメラ用レンズの給電装置
JPH08160534A (ja) カメラ
JPH10284260A (ja) 保安灯および保安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