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2477Y1 - 블로어유니트소음차단장치 - Google Patents

블로어유니트소음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2477Y1
KR200342477Y1 KR2019980028479U KR19980028479U KR200342477Y1 KR 200342477 Y1 KR200342477 Y1 KR 200342477Y1 KR 2019980028479 U KR2019980028479 U KR 2019980028479U KR 19980028479 U KR19980028479 U KR 19980028479U KR 200342477 Y1 KR200342477 Y1 KR 2003424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insulation
upper body
blower unit
air
side pass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84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5093U (ko
Inventor
김재형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800284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2477Y1/ko
Publication of KR200000150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0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24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24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57Ventilation unit, e.g. combined with a radi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Noise redu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블로어유니트에 의해 공기가 차실내로 공급될 때 발생되는 소음이 차실내로 전달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로어유니트 소음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차단장치는 상부체 양측면통로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하부체 출구로 배출될 때 발생되는 소음이 상기 양측면통로를 통해 차실내로 전달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체 양측면통로 하부에 복수개의 차음판들이 다단식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인데, 상기 차음판들은 중앙에 통로를 가질 수 있도록 상부체 양측벽에 수평으로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 1,2 차음판과, 상기 제 1,2 차음판 사이 중앙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부체 후방 내측벽에 설치되는 제 3 차음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로어유니트 소음 차단장치{NOISE CUT-OFF DEVICE FOR BLOWER UNIT}
본 고안은 자동차 공조장치에서 차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어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가 차실내로 공급될 때 발생되는 소음이 차실내로 전달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자동차 공조장치는 블로어유니트에 설치된 휠이 회전하여 공기를 차실내로 공급할 때 상기 공기 유로상에 설치된 열교환기가 상기 공기를 열교환시켜 차실내를 냉,난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공기를 차실내로 공급하는 블로어유니트(1)는 도 1 과 같이 하부체(2) 상부에 상부체(3)가 조립된다.
상기 하부체(2)는 상부가 개구되어 상부체(3)와 연통되고 일측면에 상부체(3)에서 유입된 공기가 차실내로 공급될 수 있도록 출구(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에는 모터(5)와 상기 모터(5)의 회전동력으로 외부 공기를 강제로 유입시키는 휠(6)이 설치된다.
상기 상부체(3)는 하부가 개구되어 상기 하부체(2)와 연통되고 상부와 양측면에 각각 상통로(7) 및 측면통로(8)가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게 한다. 그리고 상부 양측에는 한 쌍의 도어(9)가 설치되어 상기 상통로(7)와 측면통로(8)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게 되고, 하부에는 상기 공기 중에 혼합된 먼지 등을 여과시킬 수 있도록 필터(10)가 설치된다.
따라서 외기를 차실내로 공급할 때는 상기 도어(9)가 양측면통로(8)를 차단하고 상통로(7)를 개방하게 되면, 모터(5)의 동력에 의해 상기 휠(6)이 회전하여 외부 공기를 강제 유입시킨다. 이와 같이 블로어유니트(1)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10)를 지나 하부체(2) 출구(4)를 통해 배출되어 유로상에 설치된 열교환기를 지나 차실내로 공급된다.
그리고 차실내의 내기를 열교환시킬 때는 상기 도어(9)가 양측면통로(8)를 개방하게 되는 데, 상기 양측면통로(8)는 차실내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휠(6)의 회전에 따라 차실내의 공기는 상기 개방된 양측면통로(8)를 통해 블로어유니트(1)로 유입되어 상기 필터(10)를 통과한 다음 하부체(2) 출구(4)를 통해 배출되어 열교환기에서 열교환 된 후 다시 차실내로 공급되어 차실내를 냉,난방시키게된다.
이와 같이 블로어유니트(1)는 상통로(7)와 양측면통로(8)를 통해 외부공기를 차실내로 공급하고 내부공기를 순환시켜 차실내의 공기를 조절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상통로(7) 또는 양측면통로(8)를 통해 블로어유니트(1)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휠(6)과 충돌할 뿐만 아니라 상부체(3)와 하부체(2) 내측벽에 부딪치기 때문에 심한 소음을 유발시킨다.
따라서 상기 소음은 유로를 통해 차실내로 전달된다. 특히, 상기 소음은 상부체(3) 양측면통로(8)가 개방되어 차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킬 때 상기 개방된 양측면통로(8)를 통해 차실내로 전달되기 때문에 차실내로 전달되는 소음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여 차실내 시끄럽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과제는 블로어유니트에 의해 공기가 차실내로 공급될 때 발생되는 소음이 차실내로 전달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로어유니트 소음 차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소음 차단장치는 상부체 양측면통로 하향에 차음판을 다단식으로 설치하여 소음이 상기 차음판을 지그재그식으로 통과하도록 하여 소음의 전달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일반적인 블로어유니트 상부체를 단면한 정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블로어유니트 상부체를 단면한 정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블로어유니트 상부체를 단면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차음판 12 : 제 1 차음판
13 : 제 2 차음판 14 : 제 3 차음판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블로어유니트 상부체를 단면한 정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블로어유니트 상부체를 단면한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블로어유니트(1)는 통상에서와 같이 도어(9)의 조작에 따라 상부체(3) 상통로(7)와 양측면통로(8)가 선택적으로 개폐되고, 하부체(2)에 설치된 모터(5)와 휠(6)에 의해 상기 상통로(7)와 양측면통로(8)를 통해 차 외부공기 또는 차 내부공기를 유입시켜 필터(10)를 통과시킨 후 하부체(2) 출구(4)를 통해 배출시킨다.
이러한 블로어유니트(1)에 있어서, 본 고안 블로어유니트 소음 차단장치는 도 2,3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체(3) 양측면통로(8)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하부체(2) 출구(4)로 배출될 때 발생되는 소음이 상기 양측면통로(8)를 통해 차실내로 전달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체(3) 양측면통로(8) 하부에 복수개의 차음판(11)들이 다단식으로 설치된다.
상기 차음판(11)들은 중앙에 공기가 흐르는 유로를 가질 수 있도록 상부체(3) 양측벽에 수평으로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 1,2 차음판(12)(13)과, 상기 제 1,2 차음판(12)(13) 사이 중앙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부체(3) 후방 내측벽에 설치되는 제 3 차음판(14)을 포함한다.
상기 제 3 차음판(14)은 공기가 지그재그식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양측 단부가 상기 제 1,2 차음판(12)(13) 중앙부분에 위치되게 폭을 가진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기능을 설명한다.
자동차 내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상기 블로어유니트(1) 상부체(3)의 도어(9)가 양측면통로(8)를 개방하게 되면, 휠(6)의 회전에 의해 차실내의 공기가 양측면통로(8)를 통해 블로어유니트(1)로 유입되어 배출된 후 다시 차실내로 공급됨을 계속적으로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순환된 공기가 상기 양측면통로(8)를 통해 유입되고 블로어유니트(1)를 통과할 때 심한 소음이 발생된다.
이때 발생된 소음은 상기 양측면통로(8)로 향하게 되는 데, 상기 양측면통로(8) 하부에 다단식으로 설치된 차음판(11)들이 상기 소음을 차단하게 된다.
더 자세하게는, 상기 소음이 양측면통로(8)를 전달될 때 하부에 설치된 제 3 차음판(14)의 저항을 받아 제 3 차음판(14) 양측으로 전달되고, 이후에 제 1,2 차음판(12)(13)의 저항을 받아 다시 제 1,2 차음판(12)(13) 외측단부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소음이 제 3 차음판(14)과 제 1,2 차음판(12)(13)의 저항에 의해 지그재그식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소음이 감소되어 상기 양측면통로(8)로 전달되는 소음을 대부분 차단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다단식으로 설치되는 차단판에 의해 차실내로 공급되는 소음을 대부분 차단하여 차실내에 소음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Claims (3)

  1. 하부체 상부에 상부체가 조립되어, 상기 하부체에 수납된 모터에 의해 휠이 회전하여 상부체 장착된 도어 조작에 따라 상부체 상통로 또는 양측면통로를 통해 유입되어 에어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하부체 출구를 통해 차실내에 공급하여 차실내를 냉,난방할 수 있게 하는 블로어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 양측면통로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하부체 출구로 배출될 때 발생되는 소음이 상기 양측면통로를 통해 차실내로 전달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체 양측면통로 하부에 복수개의 차음판들이 다단식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어유니트 소음 차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판들은 중앙에 통로를 가질 수 있도록 상부체 양측벽에 수평으로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 1,2 차음판과;
    상기 제 1,2 차음판 사이 중앙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부체 후방 내측벽에 설치되는 제 3 차음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어유니트 소음 차단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차음판은 폭 양단부가 상기 제 1,2 차음판 중앙부분에 위치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어유니트 소음 차단장치.
KR2019980028479U 1998-12-31 1998-12-31 블로어유니트소음차단장치 KR2003424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479U KR200342477Y1 (ko) 1998-12-31 1998-12-31 블로어유니트소음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479U KR200342477Y1 (ko) 1998-12-31 1998-12-31 블로어유니트소음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093U KR20000015093U (ko) 2000-07-25
KR200342477Y1 true KR200342477Y1 (ko) 2004-05-20

Family

ID=49343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8479U KR200342477Y1 (ko) 1998-12-31 1998-12-31 블로어유니트소음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24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9214A1 (en) * 2018-08-10 2020-02-13 Psa Automobiles Sa Automotive air ventilation unit with noise absorbing screen at interior air intak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9214A1 (en) * 2018-08-10 2020-02-13 Psa Automobiles Sa Automotive air ventilation unit with noise absorbing screen at interior air intak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093U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4482B1 (ko) 공기조화장치의케이스와이를이용한공기조화장치
KR100723974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US6062298A (en) Case of air conditioning system
KR101094845B1 (ko) 차량용 공기 조화 장치
US20090133422A1 (en) Air conditioner
KR200342477Y1 (ko) 블로어유니트소음차단장치
US20020000313A1 (en) Compact air conditioner for automobiles
JP2000219029A (ja) キャビン
KR20070068568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덕트 분지 구조
KR100621458B1 (ko) 자동차용 트리플 존 공기조화장치
KR10200923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545272B1 (ko) 자동차용공조유니트
KR101171111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모드도어 구조
KR101511505B1 (ko)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KR200151004Y1 (ko) 차량용 공기 조화 케이스
KR20090064822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20056999A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
KR20210108762A (ko) 차량용 리어 공조장치
KR2013002987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0116693Y1 (ko) 공기조화장치
KR200156659Y1 (ko) 자동차용 히터 케이스
KR200312666Y1 (ko) 차량리어쿨링유닛
KR20040073858A (ko) 공조유니트
KR20120090215A (ko) 자동차용 공조 장치
KR100601833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