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926Y1 - 평판자동커팅장치 - Google Patents

평판자동커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926Y1
KR200341926Y1 KR20-2003-0037023U KR20030037023U KR200341926Y1 KR 200341926 Y1 KR200341926 Y1 KR 200341926Y1 KR 20030037023 U KR20030037023 U KR 20030037023U KR 200341926 Y1 KR200341926 Y1 KR 2003419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plate
split
divided
plate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70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평
Original Assignee
김성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평 filed Critical 김성평
Priority to KR20-2003-00370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9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9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9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0Welding or cutting by means of a plasm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06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평판자동커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후길이방향을 가진 다수의 분할평판(10)이 좌우로 나열형성된 평판군 전체 또는 개별의 분할평판(10)을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롤러컨베어(110)와, 상기 평판군 좌우측단부의 분할평판(10)을 좌우외측으로 이송시키는 체인컨베어(120)가 구비되어 평판군 내 분할평판(10)을 외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분할이송부(100)와; 상기 분할이송부(100)에서 이송된 분할평판(10)의 네 모서리를 좌우한쌍의 상하측 롤러(210, 220, 230, 240)의 압입에 의해 라운딩시키는 코너링부(200)와; 상기 코너링부(200)를 거쳐 이송중인 분할평판(10)의 전후단을 인식하는 감지센서(310)가 구비되어 다음 공정을 대기 중인 분할평판(10)의 길이를 인식하면서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길이인식이송부(300)와; 상기 길이인식이송부(300)에서 인식 및 이송된 분할평판(10)을 클램프(410)에 의해 상측에서 눌러 고정시키면서 지정된 형상으로 플라즈마 절단시키고, 구분을 위해 열전사 마킹시키는 커팅및마킹부(400)와; 상기 커팅및마킹부(400)를 거쳐 전방으로 이송된 분할평판(10)을 집어서 들어올리고, 작업자가 라운딩이 미처리된 상기 분할평판(10)의 전후단부 모서리를 가공하고 나면 제자리로 돌려놓는 턴오버부(500)와; 상기 턴오버부(500)를 거쳐 가공완성된 분할평판(10)을 자성을 이용해 들어올리고 지정된 박스로 이송시키는 크레인이송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기술적 요지로 하여, 분할평판의 절단 및 이송공정 전체가 하나의 이송라인상에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고, 분할평판의 절단 및 이송공정 전체가 자동으로 이루어져 각 공정사이의 이송에 소요되던 불필요한 시간과 인력소모를 없애고 작업환경을 개선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구조의 평판자동커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평판자동커팅장치{a flat bar auto cutting apparatus}
본 고안은 평판자동커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후길이방향을 가진 다수의 분할평판을 좌우로 나열형성한 평판군 전체에서 외측에 위치한 분할평판부터 차례로 전방이송시키면서 상기 분할평판의 모서리를 라운딩시키는 코너링공정과 지정된 형상으로 절단시키고 구분시키는 커팅및마킹공정을 순차적으로 거치도록 하며, 상기의 과정을 거쳐 가공완성된 분할평판을 지정된 위치로 자동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상기 분할평판이 하나의 이송라인상에서 지정된 위치로 이송됨과 동시에 지정된 형상으로의 절단 및 모서리가공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의 평판자동커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구조물의 지지용으로 사용되는 보강재는 설치조건따라 T, I 등 다양한 단면형상을 가지나 주로 바의 형태로 제작되어 선박의 주판상에 배열 및 용접되며, 이러한 바형태의 보강재는 주로 광폭의 철판을 상기 보강재에서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는 지정된 평판바형상으로 절단시키고 서로 맞대어 용접시킴으로써제작된다.
철판을 다양한 형상의 보강재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가공하기 용이하도록 일정한 폭과 길이로 절단시킨 후, 목적한 형상을 제작하기 위해 미리 지정된 형상과 개선각도로 다시 절단시키는 공정을 거치게되며, 보강재로의 제작 또는 주판상에 설치 시 용접품질과 도장품질 개선 등을 고려한 코너링가공 등도 별도로 이루어져야 하며, 또한 다양한 형상으로 대량생산된 분할평판을 사용에 따라 구분하여 저장 및 이송시키는 공정도 별도로 이루어져야 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공정을 거치기 위해 공정에 따라 철판절단장치, 코너링장치, 이송장치 등을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였으며, 선박용 용접부재는 다른 기계요소들과 달리 매우 크고 무거워 상기 장치들간의 이송이 용이하지 않고, 공정 전체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없고 안전사고의 주의를 요하여 생산성이 높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분할평판이 하나의 이송라인상에서 이송되는 동안 절단 및 코너링가공됨에 따라 분할평판의 절단 및 이송공정 전체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의 평판자동커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분할평판의 절단 및 이송공정 전체가 자동으로 이루어져 이송에 따른 불필요한 시간과 인력소모를 줄이고 작업환경을 개선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구조의 평판자동커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 1 - 본 고안에 따른 평판자동커팅장치의 평면도.
도 2 - 분할이송부의 평면도.
도 3 - 도 2의 정단면도.
도 4 - 코너링부의 정면도.
도 5 - 도 4의 측면도.
도 6 - 길이인식이송부의 측면도.
도 7 - 도 6의 정단면도.
도 8 - 턴오버부의 정면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분할평판 100 : 분할이송부
110 : 롤러컨베어 111 : 메인롤러컨베어
112 : 사이드롤러컨베어 120 : 체인컨베어
121 : 메인체인컨베어 122 : 사이드체인컨베어
200 : 코너링부 210 : 하부고정롤러
220 : 하부이송롤러 230 : 상부고정롤러
240 : 상부이송롤러 300 : 길이인식이송부
310 : 감지센서 320 : 사이드푸셔
330 : 전방이송롤러 400 : 커팅및마킹부
410 : 클램프 500 : 턴오버부
510 : 집게부 520 : 암부
600 : 크레인이송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전후길이방향을 가진 다수의 분할평판(10)이 좌우로 나열형성된 평판군 전체 또는 개별의 분할평판(10)을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롤러컨베어(110)와, 상기 평판군 좌우측단부의 분할평판(10)을 좌우외측으로 이송시키는 체인컨베어(120)가 구비되어 평판군 내 분할평판(10)을 외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분할이송부(100)와; 상기 분할이송부(100)에서 이송된 분할평판(10)의 네 모서리를 좌우한쌍의 상하측 롤러(210, 220, 230, 240)의 압입에 의해 라운딩시키는 코너링부(200)와; 상기 코너링부(200)를 거쳐 이송중인 분할평판(10)의 전후단을 인식하는 감지센서(310)가 구비되어 다음 공정을 대기 중인 분할평판(10)의 길이를 인식하면서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길이인식이송부(300)와; 상기 길이인식이송부(300)에서 인식 및 이송된 분할평판(10)을 클램프(410)에 의해 상측에서 눌러 고정시키면서 지정된 형상으로 플라즈마 절단시키고, 구분을 위해 열전사 마킹시키는 커팅및마킹부(400)와; 상기 커팅및마킹부(400)를 거쳐 전방으로 이송된 분할평판(10)을 집어서 들어올리고, 작업자가 라운딩이 미처리된 상기 분할평판(10)의 전후단부 모서리를 가공하고 나면 제자리로 돌려놓는 턴오버부(500)와; 상기 턴오버부(500)를 거쳐 가공완성된 분할평판(10)을 자성을 이용해 들어올리고 지정된 박스로 이송시키는 크레인이송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 평판자동커팅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분할이송부(100)는, 평판군 전체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메인롤러컨베어(111), 좌우측 이송방향을 가지고 상기 메인롤러컨베어(111) 하측에서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평판군을 상기 메인롤러컨베어(111)의 좌우측단으로 이송시키는 메인체인컨베어(121), 상기 메인체인컨베어(121)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상기 메인체인컨베어(121) 좌우측단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평판군 외측단부의 분할평판(10)을 외측단부로 이송시키는 사이드체인컨베어(122), 상기 사이드체인컨베어(122)에 의해 이송된 상기 분할평판(10)을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사이드롤러컨베어(112);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너링부(200)는, 상기 분할이송부(100)의 좌우측 양단부에 병립설치되어 상기 분할이송부(100)의 좌측단부 및 우측단부로 이동된 분할평판(10) 각각을 제공받으며, 각각의 상기 코너링부(200)에 연결설치된 상기 길이인식이송부(300)로 상기 분할평판(10)을 제공하여 복수의 분할평판(10)을 동시에 절단가공시킴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코너링부(200)는, 전방으로 이송중인 상기 분할평판(10)의 하부 외측모서리가 위치하게되는 하부고정롤러(210), 상기 분할평판(10)의 타측모서리에 이격된 위치에서 좌우이동됨에 따라 상기 분할평판(10)을 상기 하부고정롤러(210)측으로 가압및해제시키는 하부이송롤러(220), 상기 하부고정롤러(210)와 하부이송롤러(220) 상측에 각각 연결설치되어 상하이동됨에 따라 상기 분할평판(10)의 상부모서리를 상측으로부터 가압및해제시키는 상부고정롤러(230) 및 상부이송롤러(2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길이인식이송부(300)에는, 전방으로 이송중인 상기 분할평판(10)을 피스톤및실린더작동에 의해 일측으로 밀어내는 사이드푸셔(320);가 설치되며,상기 길이인식이송부의 감지센서(310)는, 전후방으로 왕복이동하면서 상면으로부터의 높이차를 감지함에 따라 상기 분할평판(10)의 전후단을 인식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길이인식이송부(300)와 크레인이송부(600)에는, 상기 분할평판(10)을 연속적으로 전방이송시키는 전방이송롤러(330)가 전방으로 소정각도 기울여 설치되어 상기 분할평판(10)이 전방으로 이송되면서 일측으로 밀려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평판군을 형성한 분할평판 각각을 하나의 이송라인상에서 개별이송시키는 동안 지정된 형상으로 절단 및 코너링가공시키고, 가공완성 후에는 지정된 위치로 자동이송시킴에 따라 분할평판의 절단 및 이송공정 전체가 하나의 이송라인상에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분할평판의 절단 및 이송공정 전체가 자동으로 이루어져 각 공정사이의 이송에 소요되던 불필요한 시간과 인력소모를 없애고 작업환경을 개선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킨다는 다른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을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평판자동커팅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 3은 각각 분할이송부의 평면도와 정단면도이며, 도 4, 5는 각각 코너링부의 정면도와 측면도이고, 도 6, 7은 각각 길이인식이송부의 측면도와 정단면도이며, 도 8은 턴오버부의 정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평판자동커팅장치는 분할이송부(100), 코너링부(200), 길이인식이송부(300), 커팅및마킹부(400), 턴오버부(500), 크레인이송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분할평판이 상기 분할이송부(100), 길이인식이송부(300), 크레인이송부(600)가 형성하는 하나의 이송라인상에서 상기 코너링부(200), 커팅및마킹부(400), 턴오버부(500)를 순차적으로 거쳐 가공완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먼저 분할이송부(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분할이송부(100)는 전방 이송경로를 형성한 롤러컨베어(110)와, 좌우방 이송경로를 형성한 체인컨베어(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체인컨베어(120)는 상기 롤러컨베어(110)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롤러컨베어(110) 상에서 전방으로 이송중인 분할평판(10)을 들어올려 상기 롤러컨베어(110) 좌우측단부로 이송시킨다.
상기 분할평판(10)은 평판상태에서 전후방을 따라 등간격으로 절단형성되어 전후방으로 긴 평판바형상을 가지며, 상기와 같이 절단형성된 다수의 상기 분할평판(10)은 좌우로 나열되어 평판군을 이룬 상태 그대로 상기 분할이송부(100)로 이송된다.
상기 롤러컨베어(110)는 상기 평판군을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메인롤러컨베어(111)와, 상기 메인롤러컨베어(111) 상에서 상기 체인컨베어(120)에 의해 좌우외측으로 이송된 개별의 분할평판(10)을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사이드롤러컨베어(112)로 구성되며, 상기 체인컨베어(120)는 상기 메인롤러컨베어(111)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평판군을 상기 메인롤러컨베어(111)의 좌우측단으로 이송시키는 메인체인컨베어(121)와, 상기 메인체인컨베어(121) 좌우측단에 연결설치되며 상기 사이드롤러컨베어(112)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평판군을 상기 사이드롤러컨베어(112)의 외측단으로 이송시키는 사이드체인컨베어(122)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체인컨베어(121)는 좌측으로의 이송방향을 가지고 상기 메인롤러컨베어(111)의 롤러 사이에서 상측으로 상승해 상기 평판군 전체를 상기 메인롤러컨베어(111)의 좌측단으로 이송시켜 상기 평판군의 좌측단부에 위치한 분할평판(10)을 좌측의 상기 사이드체인컨베어(122)로 이송시킨 후, 이송방향을 우측으로 전환하여 남은 평판군 전체를 상기 메인롤러컨베어(111)의 우측단으로 이송시켜 상기 평판군의 우측단부에 위치한 분할평판(10)을 우측의 상기 사이드체인컨베어(122)로 이송시키며, 다시 우측으로 이송방향을 전환하여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상기 사이드체인컨베어(122)는 상기 메인롤러컨베어(111)의 좌우측에 설치된 사이드롤러컨베어(112)의 롤러 사이에서 상측으로 상승해 상기 메인체인컨베어(121)에서 이송된 상기 분할평판(10)을 상기 사이드롤러컨베어(112)의 외측단까지 이송시킨다.
상기 사이드롤러컨베어(112) 상에서 상기 분할평판(10)을 외측단까지 이송시키는 이유는 상기 사이드롤러컨베어(112)의 외측단이 상기 분할평판(10)의 가공 시 기준면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체인컨베어(120)가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동안 상기 롤러컨베어(110)는 전방 이송방향을 가짐으로써 상기 메인롤러컨베어(111)상에 놓인 평판군 내 분할평판(10)을 외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전방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분할이송부(100)에서 전방이송된 개별의 분할평판(10)은 코너링부(200)를 거치게 되는데, 상기 코너링부(200)는 상기 분할평판(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네 모서리를 좌우한쌍의 상하측 롤러(210, 220, 230, 240)의 압입에 의해 라운딩시키는 공정을 한다.
상기 코너링부(200)는 상기 분할이송부의 사이드롤러컨베어(112)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사이드롤러컨베어(112)가 설치된 상기 분할이송부(100)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 각각에서 이동된 분할평판(10)을 코너링시킨 후 다음 공정으로 제공하게 된다.
각각의 상기 코너링부(200)에는 이하 설명할 다음 공정단계들이 각각 연결설치되므로 상기 분할이송부의 사이드롤러컨베어(112)와 같은 구조에 상기 코너링부(200)를 포함한 다른 공정을 연결설치하면 그 갯수에 해당되는만큼 복수의 분할평판(10)을 동시에 절단가공시킴으로써 작업시간을 배가하여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코너링부(200)는 좌우 한쌍의 상부롤러와(230, 240), 좌우 한쌍의 하부롤러(210, 220)를 상기 분할평판(10)의 전단부에서 측면상의 네 모서리에 강한 압력으로 물린 후 전방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분할평판(10)의 네 모서리가 압입을 받으면서 전방으로 이송되어 상기 분할평판(10) 외측면의 네 모서리가 전후길이방향을 따라 둥글게 다듬어져 다음 공정으로 전방이송된다.
상기 코너링부의 상하부롤러(210, 220, 230, 240)는 전방으로 이송중인 상기 분할평판(10)의 하부 외측모서리가 자연히 놓여져 위치하게되는 하부고정롤러(210), 상기 분할평판(10)의 타측모서리에 이격된 위치에서 좌우이동됨에 따라 상기 분할평판(10)을 상기 하부고정롤러(210)측으로 가압및해제시키는 하부이송롤러(220), 상기 하부고정롤러(210)와 상측에서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하부고정롤러(210)의 상기 분할평판(10)을 상부 외측모서리 상측에서 상기 하부고정롤러(210)측으로 가압및해제시키는 상부고정롤러(230), 상기 하부이송롤러(220)와 상부고정롤러(230)와 상호 연결설치되어 좌우,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분할평판(10)의 상부 타측모서리를 물게되는 상부이송롤러(240)로 구성된다.
상기 코너링부(200) 전방에는 길이인식이송부(300)가 설치되어 코너링가공을 거친 분할평판(10)이 상기 길이인식이송부의 전방이송롤러(330)상에 놓여지게 되며, 상기 길이인식이송부(300)에는 전방이송롤러(330)와 감지센서(310)가 구비되어 상기 코너링부(200)를 통과하는 분할평판(10)이 자연스럽게 전방이송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다음 공정을 대기 중인 분할평판(10)의 길이를 인식하면서 전방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길이인식이송부의 전방이송롤러(330)는 상기 분할이송부의 사이드롤러컨베어(112)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코너링부(200)를 사이에 두고 좌우측 상기 사이드롤러컨베어(112)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길이인식이송부(300)의 전방이송롤러(330) 상에는 이송중인 분할평판(10)의 전후단을 인식하는 감지센서(310)가 구비되며, 상기 감지센서(310)가 전후방으로 왕복이동하면서 상기 분할평판(10)과 상기 전방이송롤러(330) 상면의 높이차를 감지함에 따라 상기 분할평판(10)의 전후단을 인식하여 상기 분할평판(10)을 길이 및 형상을 인식하게 된다.
상기 길이인식이송부(300) 전방에 설치된 커팅및마킹부(400)(이하설명)에서 직사각형 초기형상을 가진 분할평판(10)이 다양한 형상과 개선각도로 절단되어 다수로 분할되고 절단된 부분이 전방으로 먼저 이송되면서 상기 길이인식이송부(300)의 전방부에는 지정된 형상으로 절단을 대기하고 있는 상기 분할평판(10)의 나머지가 남아있게 된다.
상기 길이인식이송부의 감지센서(310)는 상기 전방이송롤러(330) 상에 있는 상기 분할평판(10)의 나머지 길이 및 형상을 인식하여 상기 커팅및마킹부(400)에서 다음에 이루어질 절단의 전개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길이인식이송부(300)은 상기 분할평판(10)의 형상을 감지하는 것이 주요한 기능이므로, 상기 분할이송부의 사이드롤러컨베어(112)의 외측단상에 상기 분할평판(10)의 외측단을 위치시키고자 한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분할평판(10) 형상감지의 안정된 기준면으로 상기 전방이송롤러(330)의 외측단을 두고, 상기 전방이송롤러(330)상의 상기 분할평판(10)을 상기 전방이송롤러(330)의 외측단으로 밀어내는 사이드푸셔(320)가 구비된다.
상기 사이드푸셔(320)는 상기 길이인식이송부의 전방이송롤러(330)를 따라 다수가 설치되며, 상기 분할평판(10) 내측에 위치한 피스톤 및 실린더의 반복적인 작동에 의해 상기 전방이송롤러(330) 상에 놓인 상기 분할평판(10)의 내측면을 밀어 상기 분할평판(10)의 외측면을 상기 전방이송롤러(330)의 외측단에 맞추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길이인식이송부(300)는 상기 분할평판(10)의 외측면을 상기 전방이송롤러(330)의 외측단에 맞추기 위해 상기 전방이송롤러(330) 내측단부를 전방으로 소정각도 기울여 설치함으로써 상기 분할평판(10)이 상기 전방이송롤러(330) 상에서 전방으로 이송되는 동안 자연히 외측으로 밀려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길이인식이송부(300)에서 인식 및 이송된 분할평판(10)은 상기 커팅및마킹부(400)에서 플라즈마절단공정과 열전사마킹공정을 거치게 되며, 상기 길이인식이송부(300)의 전방에는 상기 분할평판(10)의 전후부를 상측에서 눌러 고정시키는 한쌍의 클램프(410)가 구비되어 상기 클램프(410)에 의해 상기 분할평판(10)을 고정시키면서 구분을 위해 먼저 열전사 마킹시킨 후 지정된 형상으로 플라즈마 절단시켜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절단 및 마킹에는 기존에 공지된 일반적인 플라즈마 절단장치와 열전사 마킹장치의 구조를 사용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커팅및마킹부(400)를 거쳐 전방으로 이송된 분할평판(10)은 상기 코너링부(200)에서 완전히 코너링되지 못한 상기 분할평판(10)의 전후단부와 상기 커팅및마킹부(400)에서 절단됨에 따라 거칠게 형성된 상기 분할평판(10)의 모서리를 다듬는 등의 마무리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는 상기 분할평판(10)상에 균등하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각기 다른 형상의 분할평판(10)에 부분적으로 발생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마지막으로 가공상태를 확인함과 동시에 직접 상기 분할평판(10)의 전후단부 모서리를 매끈하게 가공하는 공정이다.
상기 커팅및마킹부(400)의 전방에는 상기 분할평판(10)을 집을 수 있도록 암부(520)와 집게부(510)가 구비된 턴오버부(500)가 설치되어 상기 커팅및마킹부(400)를 거쳐 지정된 형상으로 절단된 분할평판(10)를 상기 집게부(510)로 집은 후 상기 암부(520)를 90°회전하여 들어올리고, 작업자가 상기 분할평판(10)의 전후단부 모서리를 가공하고나면 상기 암부(520)가 다시 -90° 회전하여 제자리로 돌려놓는다.
상기 턴오버부의 암부(520)가 상기 분할평판(10)을 90°회전시켜 들어올린 상태에서 상기 집게부(510)가 상기 암부(520)의 단부상에서 축회전가능하여 작업자는 안전하고 용이하게 상기 분할평판(10)의 가공상태를 확인하고 전후단부 모서리를 가공할 수 있다.
상기 턴오버부(500)를 거쳐 가공완성된 분할평판(10)은 전방의 크레인이송부(600)로 이송되며, 상기 크레인이송부(600)는 상기 길이인식이송부(300)의 전방이송롤러(330)가 연장된 형태로 좌우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좌우측 전방이송롤러(330) 사이에는 상기 가공완성된 분할평판(10)을 종류별로 수용하는 다수의 박스가 놓여져, 상기 좌우측 전방이송롤러(330)를 가로질러 상측에 설치된 거더(girder)를 따라 자석을 좌우이동시키고 상기 거더 좌우단부에 설치된 컬럼(column)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분할평판(10)을 자성을 이용해 들어올리고 지정된 박스로 이송시킨다.
상기와 같이 평판군을 형성한 분할평판 각각을 하나의 이송라인상에서 개별이송시키는 동안 지정된 형상으로 절단 및 코너링가공시키고, 가공완성 후에는 지정된 위치로 자동이송시킴에 따라 분할평판의 절단 및 이송공정 전체가 하나의 이송라인상에서 연속적이며 또한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평판군을 형성한 분할평판 각각을 하나의 이송라인상에서 개별이송시키는 동안 지정된 형상으로 절단 및 코너링가공시키고, 가공완성 후에는 지정된 위치로 자동이송시킴에 따라 분할평판의 절단 및 이송공정 전체가 하나의 이송라인상에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할평판의 절단 및 이송공정 전체가 자동으로 이루어져 각 공정사이의 이송에 소요되던 불필요한 시간과 인력소모를 없애고 작업환경을 개선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킨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전후길이방향을 가진 다수의 분할평판(10)이 좌우로 나열형성된 평판군 전체 또는 개별의 분할평판(10)을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롤러컨베어(110)와, 상기 평판군 좌우측단부의 분할평판(10)을 좌우외측으로 이송시키는 체인컨베어(120)가 구비되어 평판군 내 분할평판(10)을 외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분할이송부(100)와;
    상기 분할이송부(100)에서 이송된 분할평판(10)의 네 모서리를 좌우한쌍의 상하측 롤러(210, 220, 230, 240)의 압입에 의해 라운딩시키는 코너링부(200)와;
    상기 코너링부(200)를 거쳐 이송중인 분할평판(10)의 전후단을 인식하는 감지센서(310)가 구비되어 다음 공정을 대기 중인 분할평판(10)의 길이를 인식하면서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길이인식이송부(300)와;
    상기 길이인식이송부(300)에서 인식 및 이송된 분할평판(10)을 클램프(410)에 의해 상측에서 눌러 고정시키면서 지정된 형상으로 플라즈마 절단시키고, 구분을 위해 열전사 마킹시키는 커팅및마킹부(400)와;
    상기 커팅및마킹부(400)를 거쳐 전방으로 이송된 분할평판(10)을 집어서 들어올리고, 작업자가 라운딩이 미처리된 상기 분할평판(10)의 전후단부 모서리를 가공하고 나면 제자리로 돌려놓는 턴오버부(500)와;
    상기 턴오버부(500)를 거쳐 가공완성된 분할평판(10)을 자성을 이용해 들어올리고 지정된 박스로 이송시키는 크레인이송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자동커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이송부(100)는,
    평판군 전체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메인롤러컨베어(111), 좌우측 이송방향을 가지고 상기 메인롤러컨베어(111)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평판군을 상기 메인롤러컨베어(111)의 좌우측단으로 이송시키는 메인체인컨베어(121), 상기 메인체인컨베어(121)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상기 메인체인컨베어(121) 좌우측단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평판군 외측단부의 분할평판(10)을 외측단부로 이송시키는 사이드체인컨베어(122), 상기 사이드체인컨베어(122)에 의해 이송된 상기 분할평판(10)을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사이드롤러컨베어(112);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자동커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링부(200)는,
    상기 분할이송부(100)의 좌우측 양단부에 병립설치되어 상기 분할이송부(100)의 좌측단부 및 우측단부로 이동된 분할평판(10) 각각을 제공받으며, 각각의 상기 코너링부(200)에 연결설치된 상기 길이인식이송부(300)로 상기 분할평판(10)을 제공하여 복수의 분할평판(10)을 동시에 절단가공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자동커팅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링부(200)는,
    전방으로 이송중인 상기 분할평판(10)의 하부 외측모서리가 위치하게되는 하부고정롤러(210), 상기 분할평판(10)의 타측모서리에 이격된 위치에서 좌우이동됨에 따라 상기 분할평판(10)을 상기 하부고정롤러(210)측으로 가압및해제시키는 하부이송롤러(220), 상기 하부고정롤러(210)와 하부이송롤러(220) 상측에 각각 연결설치되어 상하이동됨에 따라 상기 분할평판(10)의 상부모서리를 상측으로부터 가압및해제시키는 상부고정롤러(230) 및 상부이송롤러(2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자동커팅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인식이송부(300)에는,
    전방으로 이송중인 상기 분할평판(10)을 피스톤및실린더작동에 의해 일측으로 밀어내는 사이드푸셔(32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자동커팅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인식이송부의 감지센서(310)는,
    전후방으로 왕복이동하면서 상면으로부터의 높이차를 감지함에 따라 상기 분할평판(10)의 전후단을 인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자동커팅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인식이송부(300)와 크레인이송부(600)에는,
    상기 분할평판(10)을 연속적으로 전방이송시키는 전방이송롤러(330)가 전방으로 소정각도 기울여 설치되어 상기 분할평판(10)이 전방으로 이송되면서 일측으로 밀려짐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자동커팅장치.
KR20-2003-0037023U 2003-11-27 2003-11-27 평판자동커팅장치 KR2003419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023U KR200341926Y1 (ko) 2003-11-27 2003-11-27 평판자동커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023U KR200341926Y1 (ko) 2003-11-27 2003-11-27 평판자동커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926Y1 true KR200341926Y1 (ko) 2004-02-14

Family

ID=49424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7023U KR200341926Y1 (ko) 2003-11-27 2003-11-27 평판자동커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9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2844B1 (ko) * 2018-07-12 2018-11-27 주재남 건설용 판재 절단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2844B1 (ko) * 2018-07-12 2018-11-27 주재남 건설용 판재 절단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682547U (zh) 货物拆垛输送装车系统
CN104759935A (zh) 板料多工位输送装置
KR200341926Y1 (ko) 평판자동커팅장치
CN116605635A (zh) 板材上料系统及板材下料生产线
CN210942419U (zh) 瓷砖包装机
JPS63315440A (ja) シート材コンベア
CN114803358B (zh) 一种直线往复式双rgv柔性物流生产线
CN108421925B (zh) 一种碗型罐生产线
CN215709949U (zh) 一种高效率的单工位码垛机
CN108163251A (zh) 瓷砖自动包装方法
CN210709515U (zh) 一种流水线
CN109623955B (zh) 人造板连续压机在线规格锯切设备及在线规格锯切方法
CN220033243U (zh) 板材上料系统及板材下料生产线
JP3346071B2 (ja) 板材加工設備
CN213386353U (zh) 一种木材搬运装置
JPH09132326A (ja) パレタイジング装置
CN217142749U (zh) 一种管道沟槽自动加工生产线
JPS58141819A (ja) 材料供給装置用板材搭載装置
JPH08157045A (ja) トップローラチェーン式搬送装置
KR200343554Y1 (ko) 형강재 자동절단장치
CN218637950U (zh) 一种自动化型材分拣系统
JP2001213518A (ja) 鋼板の搬送方法および装置
JP5495803B2 (ja) 平鋼のnc切断ライン
CN214213061U (zh) 一种待加工零件运输设备
CN216178282U (zh) 一种油压减震器检修线全自动化拆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