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730Y1 - 자동차용 송풍기의 모터 냉각장치_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송풍기의 모터 냉각장치_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730Y1
KR200341730Y1 KR2019980028792U KR19980028792U KR200341730Y1 KR 200341730 Y1 KR200341730 Y1 KR 200341730Y1 KR 2019980028792 U KR2019980028792 U KR 2019980028792U KR 19980028792 U KR19980028792 U KR 19980028792U KR 200341730 Y1 KR200341730 Y1 KR 2003417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ooling
cooling duct
blower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87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5377U (ko
Inventor
박창호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800287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730Y1/ko
Publication of KR200000153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3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7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7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57Ventilation unit, e.g. combined with a radiator
    • B60H1/00471The ventilator being of the radial type, i.e. with radial expulsion of th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14Cooling of electronic units in air str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04D29/582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584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cooling or heating the machi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송풍기를 구성하는 모터를 냉각하기 위한 모터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모터측에 일체로 연결되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컴팩트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송풍기 케이스에 모터를 결합하면서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모터 냉각장치는, 송풍기 모터(2)의 일측에 접촉상태로 냉각덕트(27)가 설치되고; 상기 냉각덕트의 하단부 일측은 송풍기 모터의 하부 플랜지 캡(25)의 외주면 일측에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냉각덕트의 내부 통로가 플랜지 캡을 통하여 모터의 내부와 통하며; 상기 냉각덕트의 상단은 송풍기 모터의 상단부 둘레로 형성된 결합플랜지(22)의 저면에 위치함으로써 냉각덕트의 내부 통로의 상단부가 상기 결합플랜지의 삽입공(24)을 통하여 삽입되어 아래로 돌출되는 송풍기 케이스(1)측 냉각관(11)과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냉각덕트(27)는 하단부의 폭이 상단부의 폭보다 좁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컴팩트한 구조로 설치되어 있어 다른 부품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고, 냉각덕트(27)의 지지상태가 견고하므로 진동 또는 충격을 받거나 다른 물체나 운전조작시에 간섭이 된다 하더라도 냉각덕트(27)가 이탈되지 않는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송풍기의 모터 냉각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용 송풍기의 모터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컴팩트화함으로써 설치공간 및 부품수를 줄일 수 있음과 아울러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고,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음과 아울러 구성요소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송풍기의 모터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송풍기는 에어 인테이크 덕트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증발기 또는 히터쪽으로 공급함으로써 실내로 냉풍 또는 온풍을 송풍하는 장치로서, 송풍기 케이스와, 상기 송풍기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는 모터와, 그리고 상기 모터의 축에 축착되어 모터의 구동에 따라 송풍기 케이스 내에서 회전함으로써 공기를 송풍하는 원심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에어컨을 장시간 가동할 경우 송풍기 모터도 장시간 구동하여야 함에 따라 모터는 많은 열을 발생하기 때문에 모터가 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냉각시켜야만 한다.
송풍기 모터를 냉각하기 위하여 종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터 냉각장치가 채용되었다. 이 모터 냉각장치는, 송풍기 케이스(91) 내부로 통하도록 송풍기 케이스(91)의 토출구측 하부로 돌출설치되는 송풍기 케이스측 냉각관(92)과, 송풍기 모터(93)의 하우징 내부로 통하도록 모터 하우징의 외주면 일측에 돌출설치되는 모터측 냉각관(94)과, 그리고 상기 냉각관들(92,94)을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된 냉각튜브(9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냉각튜브(95)는 앵글형으로 형성되고, 모터(93)를 송풍기 케이스(91)에 지지하기 위하여 송풍기 모터(93)의 외주면 둘레로 설치되어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99)들에 의하여 송풍기 케이스(91)에 고정되는 플랜지(96)와 간섭되지 않도록 냉각튜브(95)의 모터(93)측에 결합되는 부분은 길게 되어 있어 있다. 냉각튜브(95)의 긴 쪽에는 벨로우즈부가 설치됨으로써 굴곡이 가능하며, 양쪽 냉각관(92,94)에 결합되는 냉각튜브(95)의 양단부 끝이 확대된 형태를 가짐으로써, 냉각튜브(95)를 냉각관들(92,94)에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모터 냉각장치에 따르면, 모터(93)를 구동하면 모터축에 축착되어 송풍기 케이스(91) 내부에서 회전하는 원심팬(97)에 의하여 송풍되는 바람이 냉각관(92), 냉각튜브(95) 및 냉각관(94)를 차례로 통과하여 모터(93)의 내부에 유입되므로 모터(93)의 냉각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송풍기의 모터 냉각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냉각튜브(95)가 앵글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한다.
둘째, 냉각튜브(95)가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양단부 끝이 확대되어 냉각관들(92,94)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자동차 주행중 진동이나 충격을 받을 경우 냉각관들(92,94)으로부터 냉각튜브(95)의 결합부가 분리될 뿐만 아니라 틈새가 발생하여 공기가 누설될 우려가 있고, 더욱이 냉각튜브(95)가 인스트루먼트 패널 하부로 돌출됨으로써 가속기 페달이나 브레이크 페달을 답지할 때 냉각튜브(95)가 간섭되어 냉각튜브(95)가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셋째, 조립시 냉각튜브(95)를 결합하는 조립공수를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냉각튜브(95) 자체로 인하여 송풍기의 제조원가 상승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송풍기 모터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컴팩트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송풍기 케이스에 모터를 결합하면서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성을 높일 수 있는 모터 냉각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모터 냉각장치를 나타내는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모터 냉각장치가 설치된 송풍기 유니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 모터 냉각장치가 설치된 송풍기 유니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송풍기 케이스 2 : 모터
11 : 냉각관 21 : 원심팬
22 ; 결합플랜지 24 : 삽입공
25 : 플랜지 캡 27 : 냉각덕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송풍기의 모터 냉각장치는, 송풍기 모터의 일측에 접촉상태로 냉각덕트가 설치되고; 상기 냉각덕트의 하단부 일측은 송풍기 모터의 하부 플랜지 캡의 외주면 일측에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내부 통로가 플랜지 캡을 통하여 모터의 내부와 통하며; 상기 냉각덕트의 상단은 송풍기 모터의 상단부 둘레로 형성된 결합플랜지의 저면에 위치함으로써 냉각덕트의 내부 통로의 상단부가 상기 결합플랜지를 통하여 삽입되어 아래로 돌출되는 송풍기 케이스측 냉각관과 결합되어 있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덕트는 설치공간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하단부의 폭이 상단부의 폭보다 좁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직삼각형 형태를 역으로 세운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송풍기의 모터 냉각장치에 따르면, 냉각덕트가 모터의 일측에 상단부의 폭보다 하단부의 폭이 좁게 이루어진 형태로 설치되면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는다. 또한 냉각덕트의 하단부가 모터의 하부 플랜지 캡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모터의 상부 플랜지를 송풍기 케이스에 고정할 때 송풍기 케이스측 냉각관을 결합플랜지의 삽입공을 통하여 아래로 돌출되도록 하여 냉각덕트의 내부 통로의 상단부에 삽입하여 결합하면 되므로 조립이 간단하다. 그리고, 냉각덕트가 모터의 하부에 결합된 플랜지 캡에 일체로 연결되어 지지상태가 견고하므로 가속기 페달이나 브레이크 페달을 답지할 때 설사 냉각덕트가 간섭된다 하더라도 냉각덕트가 이탈되는 일은 없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부호 1은 송풍기 케이스로서, 송풍기 케이스(1)의 토출구측 저면에는 냉각관(11)이 아래로 돌출설치된다.
참조부호 2는 송풍기 케이스(1)의 하부에 지지되어 송풍기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되는 원심팬(21)을 회동하기 위한 송풍기 모터로서, 상단부 둘레로 설치되는 결합플랜지(22)가 송풍기 케이스(1)의 저면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23)에 의하여 체결됨으로써 송풍기 케이스(1)의 하부에 지지될 수 있다.
모터(2)를 송풍기 케이스(1)에 결합될 때 냉각관(11)이 모터(2)의 결합플랜지(22)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결합플랜지(22)에는 냉각관(11)이 삽입되어 아래로 돌출될 수 있도록 삽입공(2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모터(2)의 하부에는 플랜지 캡(25)이 설치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모터(2)의 외주면 일측에 접촉상태로 냉각덕트(27)가 설치된다. 냉각덕트(27)는 모터(2)의 결합플랜지(22)의 하부 위치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냉각덕트(27)는 하단부의 폭이 상단부의 폭보다 좁게 이루어진다. 예컨대 냉각덕트(27)가 대략 직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직각을 이루는 양쪽 변이 모터(2)의 외주면 및 모터(2)의 결합플랜지(22)의 저면에 접촉하는 형태로 설치되면, 냉각덕트(27)의 설치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냉각덕트(27)의 지지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냉각덕트(27)의 하단부 일측은 송풍기 모터(2)의 하부 플랜지 캡(25)의 외주면 일측에 일체로 연결된다. 따라서, 냉각덕트(27)의 내부 통로는 플랜지 캡(25)을 통하여 모터(2)의 내부와 서로 통하게 된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모터(2)의 저면 및 하우징 외주면에는 통상의 방열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각덕트(27)의 내부 통로의 상단은 모터(2)의 결합플랜지(22)의 저면에서 결합플랜지(22)의 삽입공(24)과 대응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결합플랜지(22)의 삽입공(24)을 통하여 아래로 돌출되는 냉각관(11)이 냉각덕트(27)의 내부 통로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냉각덕트(27)의 내부 통로는 송풍기 케이스(1)의 내부와 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송풍기 케이스(1)의 내부, 냉각덕트(27)의 내부 통로 및 모터(2)의 내부는 차례로 통하면 송풍기 모터(2)를 구동하면 원심팬(21)에 의하여 송풍기 케이스(1)의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가 냉각관(11), 냉각덕트(27)의 내부 통로 및 플랜지 캡(25)을 차례로 통과하여 모터(2)의 내부로 공급되므로 모터(2)의 냉각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모터 냉각장치를 설치할 경우, 냉각덕트(27)가 모터(2)의 플랜지 캡(25)에 일체로 지지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별도의 구성요소나 조립을 요하지 않는다. 즉, 모터(2)를 송풍기 케이스(1)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결합플랜지(22)의 삽입공을 통하여 송풍기 케이스(1)의 냉각관(11)이 냉각덕트(27)의 통로의 상단부에 삽입되도록 결합플랜지(22)를 송풍기 케이스(1)에 대고 결합플랜지(22)를 송풍기 케이스(1)에 체결수단(23)들에 의하여 체결하는 것 만으로 모터(2) 및 모터 냉각장치의 설치가 완료된다. 즉, 모터(2)를 송풍기 케이스(1)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별도로 조립하지 않아도 모터 냉각장치가 자동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모터 냉각장치는 냉각덕트(27)가 모터(2)의 플랜지 캡(25)에 일체로 연결되어 지지되어 있으므로 자동차 주행중 진동이나 충격을 받아도 냉각덕트(27)가 분리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지지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냉각덕트(27)가 최소한의 공간을 차지하도록 컴팩트하게 이루어져 있으므로 인스트루먼트 패널 하부로 모터 냉각장치가 돌출되지 않고, 이에 따라 가속기 페달이나 브레이크 페달 답지시 냉각덕트(27)가 간섭되지 않으며 설사 가속기 페달이나 브레이크 페달 답지시에 냉각덕트(27)가 간섭된다 하더라도 냉각덕트(27)의 지지상태가 견고하므로 냉각덕트(27)가 분리 또는 이탈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모터(2) 냉각장치에 있어서는, 최소한의 공간을 차지하도록 컴팩트한 구조로 설치되어 있어 다른 부품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컴팩트한 구조로 되어 있고 냉각덕트(27)의 하단부가 송풍기 모터(2)의 플랜지 캡(25)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진동이나 충격에도 냉각덕트(27)의 지지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물체나 운전조작시의 간섭이 배제되며, 설사 냉각덕트(27)가 간섭된다 하더라도 냉각덕트(27)가 이탈되지 않으므로 모터 냉각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냉각덕트(27)의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냉각덕트(27)와, 냉각관(11) 및 플랜지 캡(25)과의 연결부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송풍효율을 높일 수 있고, 따라서 냉난방 효율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모터 냉각장치를 구성하는 별도의 부품 및 조립공수를 요하지 않으므로 자동차의 조립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2)

  1. 송풍기 모터(2)의 일측에 접촉상태로 냉각덕트(27)가 설치되고;
    상기 냉각덕트의 하단부 일측은 송풍기 모터의 하부 플랜지 캡(25)의 외주면 일측에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냉각덕트의 내부 통로가 플랜지 캡을 통하여 모터의 내부와 통하며;
    상기 냉각덕트의 상단은 송풍기 모터의 상단부 둘레로 형성된 결합플랜지(22)의 저면에 위치함으로써 냉각덕트의 내부 통로의 상단부가 상기 결합플랜지의 삽입공(24)을 통하여 삽입되어 아래로 돌출되는 송풍기 케이스(1)측 냉각관(11)과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송풍기의 모터 냉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덕트(27)는 하단부의 폭이 상단부의 폭보다 좁게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송풍기의 모터 냉각장치.
KR2019980028792U 1998-12-31 1998-12-31 자동차용 송풍기의 모터 냉각장치_ KR2003417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792U KR200341730Y1 (ko) 1998-12-31 1998-12-31 자동차용 송풍기의 모터 냉각장치_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792U KR200341730Y1 (ko) 1998-12-31 1998-12-31 자동차용 송풍기의 모터 냉각장치_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377U KR20000015377U (ko) 2000-07-25
KR200341730Y1 true KR200341730Y1 (ko) 2004-04-21

Family

ID=49424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8792U KR200341730Y1 (ko) 1998-12-31 1998-12-31 자동차용 송풍기의 모터 냉각장치_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73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377U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6303B1 (en) Vehicle cockpit module
US5883451A (en) Device for supporting an electric motor driving a turbine
KR200341730Y1 (ko) 자동차용 송풍기의 모터 냉각장치_
JPH0921399A (ja) 送風機
JPS623610Y2 (ko)
KR100297495B1 (ko) 차량용 에어컨의 구동장치
KR100369016B1 (ko) 자동차의 히터유닛 실링 구조
KR200232361Y1 (ko) 패키지에어컨실외기용배플
KR100544328B1 (ko) 자동차냉각장치의팬쉬라우드어셈블리고정장치
KR200312146Y1 (ko) 에어컨 실내기의 팬모터 설치구조
JP4285265B2 (ja) 放熱器の冷却装置
KR100471489B1 (ko) 자동차의 냉각수단 마운팅 구조
JP3263239B2 (ja) 自動車用空調装置
JP3336915B2 (ja) 空調用コンデンサ、空調用コンデンサの支持構造および車両用冷却装置
JPS6210859B2 (ko)
KR20020009721A (ko) 공기조화기의 송풍팬
KR100323940B1 (ko) 차량용 에어컨의 압축기 방진장치
KR100822166B1 (ko) 차량용 공기조화기의 모터 고정 장치
JP2002276978A (ja) 床置型空気調和装置
KR20220125403A (ko) 배관용 매스댐퍼
KR100519449B1 (ko) 열교환기의냉각장치
JPS6225365Y2 (ko)
JPH11180134A (ja) 自動車のクーリングユニット構造
KR200157030Y1 (ko) 자동차 대쉬판넬의 에어콘 블로워 체결구조
KR0123495Y1 (ko) 상용차용 라디에이터 지지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