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0955Y1 - 콘크리트 매설용 지지구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매설용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0955Y1
KR200340955Y1 KR20-2003-0033599U KR20030033599U KR200340955Y1 KR 200340955 Y1 KR200340955 Y1 KR 200340955Y1 KR 20030033599 U KR20030033599 U KR 20030033599U KR 200340955 Y1 KR200340955 Y1 KR 2003409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upport
buried
plywood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35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무경
Original Assignee
(주)무진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무진기업 filed Critical (주)무진기업
Priority to KR20-2003-00335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09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09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09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1/5806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ross-section having an open profile
    • E04B1/58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ross-section having an open profile of substantially I - or H -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매설용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에 마감재 시공을 하기 위하여 건물의 천장을 형성하는 공사시에 콘크리트 내부에 매설되며, 지지구의 상단부 양측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콘크리트에 결속력이 높게 매설되고, 하단부에 양측에는 레일턱이 형성되어 합판에 부착하는 작업이 용이한 콘크리트 매설용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콘크리트 매설용 지지구는 하단부에 레일턱이 형성되어 있고 에어타카 등의 기계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합판에 부착이 신속하여 작업자의 작업능률 향상과 더불어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지지구의 상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에 결속력이 높게 매설됨과 동시에 마감재의 시공을 용이하고 편리하며, 제작단가가 저렴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매설용 지지구{AN APPARATUS FOR MARKING THE BRACKET OF FITTING IN THE CONCRET}
본 고안은 콘크리트 매설용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에 마감재 시공을 하기 위하여 건물의 천장을 형성하는 공사시에 콘크리트 내부에 매설되며, 지지구의 상단부 양측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콘크리트에 결속력이 높게 매설되고, 하단부에 양측에는 레일턱이 형성되어 합판에 부착하는 작업이 용이한 콘크리트 매설용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천장을 형성할 때 전기배선 등이 콘크리트에 매설되는데 이 설비 시설의 파손을 막고 콘크리트에 다른 충격을 가하지 않으면서 마감재를 시공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인서트를 천장을 형성하는 공사시에 콘크리트에 매설하여 인서트에 브라켓, 마감패널 부착구, 엠바 및 장식패널 등의 마감재를 부착하였다.
즉, 도 1은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인서트의 사시도 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인서트(10)는 둥근 형상의 머리부(12)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으로는 삽입부(14)가 형성되어 외측으로 열십자 형상으로 돌출부(16)가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부(16)에는 못(18)이 삽지되어 있다. 즉, 머리부(12)의 지름보다 삽입부(14)의 지름이 적으므로 콘크리트(42)에 매설되었을 때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도 2a는 인서트가 콘크리트에 매설되기 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b는 인서트가 콘크리트에 매설된 후 마감재를 설치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를 참조로 하여 천장을 형성하는 공사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건물 외벽을 거푸집으로 형성을 하고 건물의 내부에 받침대(44)를 세우고, 받침대(44)의 상단으로 다수개의 합판(46)으로 공간을 막은 후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인서트(10)를 적당한 간격으로 필요한 개수만큼 현장의 작업자가 하나씩 망치로 합판(46)에 부착한다. 그런 다음 철근(40)을 대략 바둑판 형상으로 엮어서 설치하고, 콘크리트(42)를 타설한다. 이때, 인서트(10)를 합판(46)에 고정시키지 않으면 콘크리트(42) 타설시에 인서트(10)는 유실되거나 처음에 설치된 곳에 위치될 수 없을 것이다.
도 2b를 보면, 콘크리트(42)가 타설되고 양생된 후 합판(46)을 모두 떼어내면 천장에는 인서트(10)가 군데군데 매설된 상태로 남게 되며, 이후에 마감재를 시공하게 된다.
즉, 인서트(10)의 머리부(12) 내부에는 너트(15)가 삽지되어 있는데 외부에 구비되어 있는 볼트(30)를 삽입부(14)로 삽입시켜 너트(15)에 체결하며, 체결된 볼트(30)에 다시 브라켓(32)을 체결하고, 브라켓(32)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34)로 마감패널 부착구(36)가 체결되며, 부착구(36)에 엠바(38)가 체결되고 엠바(38)의 하단으로 다시 석고 보드와 같은 장식패널(39)이 부착됨으로써 천장의 마감공사를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브라켓(32)이 설치가 되는 것은 주변에 설치되는 다른 마감패널 부착구(36)와 방향과 위치를 맞추기 위해서 설치되는 것이다. 즉, 인서트(10)의 매설과정에서 마감패널 부착구(36)가 부착될 정확한 위치를 선정하여 시공하기가 현실적으로 굉장히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브라켓(32)이 설치됨으로써 인서트(10)의 매설 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를 수용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인서트(10) 설치는 현장의 작업자가 망치를 이용하여 하나씩 부착해야 됨으로 작업 시간의 낭비가 초래됨과 동시에 작업 능률의 저하가 발생되었다.
또한, 천장의 외부로 인서트(10)의 못(18)이 돌출되어 있으므로 마감재 시공을 하는 작업자들의 안전사고 위험이 굉장히 높으며, 이로 인하여 건물의 천장 높이가 조금씩 낮게 형성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인서트(10)에 마감재를 설치하는 과정이 매우 복잡하며, 인서트(10)의 구조가 복잡하여 이를 제작하는 제작비용 또한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합판에 부착이 신속하여 작업자의 작업능률 향상과 더불어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콘크리트와 결속력이 높게 매설됨과 동시에 마감재의 시공이 용이하고 편리하며, 제작단가가 저렴한 콘크리트 매설용 지지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의 인서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종래의 인서트가 콘크리트에 매설되기 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b는 종래의 인서트가 콘크리트에 매설된 후 마감재를 설치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매설용 지지구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구가 콘크리트에 매설되기 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구가 콘크리트에 매설된 후 마감재를 설치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매설용 지지구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종래의 인서트 12 : 머리부
14 : 삽입부 16 : 돌출부
18 : 못 20 : 본 고안의 지지구
21 : 공간부 22 : 걸림턱
24 : 레일턱 26 : 홈
28 : 핀 30 : 볼트
31 : 나사못 32 : 브라켓
34 : 볼트 36 : 마감패널 부착구
38 : 엠바 39 : 장식패널
40 : 철근 42 : 콘크리트
44 : 받침대 46 : 합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콘크리트가 함입되어 지지구가 콘크리트에 단단히 결합되도록 지지구의 상단부 양측 걸림턱 하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기구를 이용하여 지지구를 합판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단부 양측에는 상기 걸림턱보다 넓은 레일턱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구는 콘크리트와 결속력을 한층 더 높이도록 안쪽 내면에 다수개의 홈이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콘크리트 매설용 지지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매설용 지지구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콘크리트(42)가 함입되어 지지구(20)가 콘크리트(42)에 단단히 결합되도록 지지구(20)의 상단부 양측 걸림턱(22) 하부에는 공간부(21)가 형성되며, 기구를 이용하여 지지구(20)를 합판(46)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단부 양측에는 상기 걸림턱(22)보다 넓은 레일턱(24)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구(20)의 재질은 PVC와 같은 합성수지재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지지구(20)의 재질을 나무를 사용하여 제작한다면 나무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면 갈라지거나 썩어버리게 됨으로 마감재를 지지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반면, PVC와 같은 합성수지재는 반영구적으로 사용되어도 갈라지거나 썩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지지구(20)는 운반이 가능할 정도의 길이로 제작이 되어서 현장에서 필요한 크기로 절단되어 사용된다.
도 4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구가 콘크리트에 매설되기 전을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구가 콘크리트에 매설된 후 마감재가 시공되는 것을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여 천장을 형성하는 공사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건물 외벽을 거푸집으로 형성을 하고 건물의 내부에 받침대(44)를 세우고, 받침대(44)의 상단으로 다수개의 합판(46)으로 공간을 막은 후 본 고안의 콘크리트 매설용 지지구(20)를 적당한 간격으로 필요한 개수만큼 적정 위치에 위치시켜 작업자가 에어타카와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합판(46)에 부착한다. 그런 다음 철근(40)을 대략 바둑판 형상으로 엮어서 설치하고, 콘크리트(42)를 타설한다.
도 4b를 보면, 콘크리트(42)가 타설되고 양생된 후 합판(46)을 모두 떼어내면 천장에는 본 고안의 콘크리트 매설용 지지구(20)가 군데군데 매설된 상태로 남게 되며, 이후에 마감재를 시공하게 된다.
즉, 콘크리트(42)는 지지구(20)의 걸림턱(22)과 레일턱(24)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부(21)로 함입되어 아주 튼튼하게 지지구(20)를 결속한다.
이때, 지지구(20)를 합판(46)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사용된 에어타카의 핀(28)은 굉장히 약하기 때문에 합판(46)을 떼어내는 과정에서 대부분 떨어지게 되며, 만약 천장의 외부로 돌출되어 남아 있는 에어타카의 핀(28)은 아주 손쉽게 작업자가 처리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콘크리트(42)에 매설되어 있는 지지구(20)의 몸체에 브라켓(32)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을 통하여 전기드릴과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나사못(31)으로 고정을 시키며, 타측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34)로 마감패널 부착구(36)가 체결되고, 이 부착구(36)에 엠바(38)가 체결되며 엠바(38)의 하단으로 다시 석고 보드와 같은 장식패널(39)이 부착됨으로써 천장의 마감공사를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브라켓(32)을 지지구(20)의 몸체에 고정시키는 나사못(31)은 통상적으로 얇은 철판도 뚫고 들어가도록 제작이 된다. 따라서, 브라켓(32)의 부착은 손쉽게 이루어진다.
또한, 브라켓(32)이 설치가 되는 것은 주변에 설치되는 다른 마감패널 부착구(36)와 방향과 위치를 맞추기 위해서 설치되는 것이다. 즉, 지지구(20)의 매설과정에서 마감패널 부착구(36)가 부착될 정확한 위치를 선정하여 시공하기가 현실적으로 굉장히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지지구(20)에 부착되는 브라켓(32)은 회전반경이 자유스럽고, 좌우로 이동시켜 부착이 가능함으로 종래의인서트(10) 보다 매설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한층 더 폭넓게 수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매설용 지지구의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42)가 함입되어 지지구(20)가 콘크리트(42)에 단단히 결합되도록 지지구(20)의 상단부 양측 걸림턱(22) 하부에는 콘크리트가 함입되는 공간부(21)가 형성되며, 기구를 이용하여 지지구(20)를 합판(46)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단부 양측에는 상기 걸림턱(22)보다 넓은 레일턱(2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구(20)는 콘크리트(42)와 결속력을 한층 더 높이도록 안쪽 내면에 다수개의 홈(26)이 형성되어 있다.
즉, 지지구(20)에 다수개의 홈(26)이 형성되어 있으면 다수개의 작은 공간부가 형성됨으로 콘크리트(42)와 결속력이 한층 더 높은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의 기능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콘크리트 매설용 지지구(20)는 레일턱(24)이 형성되어 있어 에어타카와 같은 기구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합판(46)에 고정시키는 작업 과정이 매우 간편하여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향상됨과 더불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구(20)는 걸림턱(22)과 레일턱(24) 사이에 공간부(2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42)에 결속력이 높게 매설되며, 본 고안의 지지구(20)에 사용되는 에어타카의 핀(28)은 아주 쉽게 처리가 됨으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없다.
또한, 브라켓(32), 마감패널 부착구(36), 엠바(38) 및 장식패널(39) 등의 마감재 설치가 매우 용이하여 작업능률의 향상과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제작단가가 저렴한 장점이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고안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고안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개시된 고안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고안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고안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콘크리트 매설용 지지구는 하단부에 레일턱이 형성되어 있고 에어타카 등의 기계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합판에 부착이 신속하여 작업자의 작업능률 향상과 더불어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지지구의 상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에 결속력이 높게매설됨과 동시에 마감재의 시공을 용이하고 편리하며, 제작단가가 저렴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2)

  1. 콘크리트 매설되어 부착구 브라켓의 부착 위치를 표시하는 콘크리트 매설용 지지구에 있어서,
    콘크리트(42)가 함입되어 지지구(20)가 콘크리트(42)에 단단히 결합되도록 지지구(20)의 상단부 양측 걸림턱(22) 하부에는 콘크리트가 함입되는 공간부(21)가 형성되며,
    기구를 이용하여 지지구(20)를 합판(46)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단부 양측에는 상기 걸림턱(22)보다 넓은 레일턱(2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매설용 지지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20)는 콘크리트(42)와 결속력을 한층 더 높이도록 안쪽 내면에 다수개의 홈(26)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매설용 지지구.
KR20-2003-0033599U 2003-10-27 2003-10-27 콘크리트 매설용 지지구 KR2003409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599U KR200340955Y1 (ko) 2003-10-27 2003-10-27 콘크리트 매설용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599U KR200340955Y1 (ko) 2003-10-27 2003-10-27 콘크리트 매설용 지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0955Y1 true KR200340955Y1 (ko) 2004-02-05

Family

ID=49424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3599U KR200340955Y1 (ko) 2003-10-27 2003-10-27 콘크리트 매설용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095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0723A (en) Foundation footing construction method, particularly as serve to efficiently precisely emplace wall anchors
US20070267552A1 (en) Post stand and related method of installation
WO2005060421A2 (en) Concrete anchor float
WO2013074062A1 (en) Guardrail stanchion and system
KR102033453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출입구의 문턱 시공방법
KR100579440B1 (ko) 거푸집-철근 일체형 피씨패널 및 그 조립구조
US8056237B1 (en) Guardrail stanchion and system
KR101068636B1 (ko) 데크플레이트 고정용 자동 해체형 고정핀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슬래브의 시공방법
KR200340955Y1 (ko) 콘크리트 매설용 지지구
KR100693374B1 (ko) 천장패널 설치용 인서트
CN113846858A (zh) 一种建筑施工过程中水平洞口的防护体系及施工方法
JPH07331830A (ja) コンクリート建築物における手摺の取付方法およびそ の取付装置
KR101913638B1 (ko) 슬라브 거푸집 체결용 고정핀 타격장치
KR100863003B1 (ko) 난간 설치 구조 및 시공 방법
KR20110108902A (ko)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JPH11323970A (ja) 塀、花壇、擁壁、門柱等の施工方法
KR100737995B1 (ko) 천장 마감재 설치용 인서트
KR100378639B1 (ko) 거푸집 고정구
JPH06316939A (ja) 建築工事用位置決め治具及びこれを用いた建築工法
KR200249907Y1 (ko) 거푸집의 레벨 조절장치
US20030121231A1 (en) Article of manufacture for centering reinforcing steel in reinforced masonry walls
KR20180075447A (ko) 건물의 외벽체 또는 바닥면 보수방법
KR200492369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지지장치
JPH11141033A (ja) 構築用パネル体とその連結方法
JP5771467B2 (ja) 建物ユニット位置決め構造および建物ユニット位置決め方法ならびにユニットガイドの設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