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3453B1 - 엘리베이터 승강장 출입구의 문턱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승강장 출입구의 문턱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453B1
KR102033453B1 KR1020180126835A KR20180126835A KR102033453B1 KR 102033453 B1 KR102033453 B1 KR 102033453B1 KR 1020180126835 A KR1020180126835 A KR 1020180126835A KR 20180126835 A KR20180126835 A KR 20180126835A KR 102033453 B1 KR102033453 B1 KR 102033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bolt
sleeve
deck plate
formwork
insta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희
Original Assignee
윤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병희 filed Critical 윤병희
Priority to KR1020180126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4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9/00Mining-hoist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장 출입구 바닥에 설치되어 승강장 출입구의 문턱을 구성하는 씰을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데크플레이트 공법에 의한 건축 시공에 있어서; 슬래브를 설치하기 위하여 데크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데크플레이트 설치단계;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의 출입구에 해당하는 부위에 설치되는 데크플레이트의 측판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앵커볼트를 설치하거나 또는 앵커볼트를 결합할 수 있는 슬리브를 설치하는 앵커볼트 사전설치단계; 상기 데크플레이트 위에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고 양생하는 슬래브 형성단계; 양생된 슬래브에 매립되어 있는 상기 앵커볼트 또는 슬리브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승강장 문턱의 씰(SILL)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승강장 출입구의 문턱 시공방법{Method for Construction Threshold of Gate for Elevator Cabi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출입구 바닥에 설치되어 승강장 출입구의 문턱을 구성하는 씰을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 기술의 발달로 고층 및 초고층 빌딩이 크게 늘어나면서 공동주택인 아파트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고층건물에서는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는 매우 중요한 운송수단이다. 그러나 엘리베이터의 증가로 엘리베이터 설치공사 기간의 증가로 건축공사에서 전체적인 건축공정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엘리베이터 설치 작업은 굴뚝같은 수직통로에 작업자가 들어가서 직접 설치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매우 위험한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위험한 작업인 관계로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려는 설치작업자가 해마다 줄어들고 있으며 고령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향후 몇 년 안에 설치작업자의 부족으로 엘리베이터 설치를 함에 있어서 작업자가 공급될 때 까지 기다리는 작업 대기시간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엘리베이터 설치작업 순서는 1)건축물의 점검, 2)엘리베이터 기계실과 승강로 피아노선 중심선 잡기, 3)기계실 기기 설치, 4)승강로 작업용 리프트 설치, 5)승강로 가이드레일 설치, 6)엘리베이터 승강장 출입문 설치, 7)엘리베이터 카틀 조립, 8)균형추 조립, 9)와이어로프 체결, 10)엘리베이터 승강장 출입문 조정 11)엘리베이터 카조립, 12)엘리베이터 전기장치 조립, 13)엘리베이터 조정시운전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이 설치공정에서 엘리베이터 출입문의 설치기간은 매우 길고, 출입문 공정 중에서도 엘리베이터 출입문 문턱 설치공사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엘리베이터 출입문의 문턱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건축물의 구조가 콘크리트 구조이든지 철골빔 구조이든지 간에 건축물 구조물에 고정되는 1차 지지대가 있어야 하고, 2차 지지대는 엘리베이터 문턱을 이루는 알루미늄 씰과 조립되는 구조로 된다.
엘리베이터 승강장 씰은 엘리베이터에 오르고 내리는 사람이나 물건의 하중을 견뎌야 하는 견고함이 요구된다. 씰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씰 설치의 높이에 대한 먹표시와 씰의 중심선을 맞추는 작업과 수평도를 맞추는 작업이 먼저 진행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구조는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콘크리트 RC 구조로서 거푸집을 이용하여 양생한 다음 거푸집을 제거하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철골빔 구조 위에 데크 플레이트를 올린 다음 바닥을 콘크리크로 타설하는 방식이다. 이 두 가지 방식은 1차 지지대를 콘크리트에 앵커볼트로 고정하거나 또는 철골빔에 용접으로 고정하여야 한다.
즉 종래기술에 의하면, 앙카볼트를 매립하기 위해서 콘크리트 구조체를 전동 드릴로 뚫어서 구멍을 내고, 그 구멍 안에 앙카볼트를 매립하고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켜야 한다. 그 고정된 앙카볼트 위에 1차 지지용 ㄱ자 앵글 브래킷을 조립하고, 1차 지지용 앵글 브래킷과 엘리베이터 문턱을 구성하는 씰과 고정되는 2차 지지용 앵글을 1차 지지용 브래킷과 조립한다.
종래기술에 의한 작업방식을 좀 더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씰 브래킷 설치 부품인 앵커의 위치를 바닥 마감에서 160mm 내리거나 120mm 피치인 곳에 수평인 먹을 2개 평행하게 표시하고, 설치 부품 개수만큼의 앵커 구멍을 뚫을 위치를 표시한다.
2) 앵커볼트를 끼우고 설치부품의 기울어짐이 없도록 누름판을 넣고 조인다.
3) 씰 브래킷을 설치부품과 볼트로 임시 고정한다. 좌우 2개소에서 씰 레벨 맞추기를 먼저 실시한다.
4) 씰을 브래킷에 얹고 볼트로 고장한다. 센터 맞추기는 레벨을 맞춘 다음 실시한다.
5) 브래킷을 해머로 치면서 상하전후로 이동시켜서 피아노선에서 15mm 이격되는 지점에 위치시킨 다음, 씰 중심 맞추기를 좌우 2개의 씰 브래킷으로 설치한다.
6) 씰의 높이 및 전후방향이 측정되면 씰 고정 볼트를 풀어서 좌우 중심을 맞춘다.
7) 필요시 다른 설치부품을 씰에 맞추고 볼트 또는 용접으로써 고정시킨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건물의 각 층의 콘크리트 골조나 철골조가 완공되어야 하고, 옥탑(옥상)의 엘리베이터 기계실이 완공된 이후에 최상층의 기계실에서 건물의 가장 낮은 부분인 피트까지 엘리베이터의 중심선을 잡는 피아노선을 내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출입문의 문턱을 설치하는 작업을 시작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기술로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것은 건물 골조가 완공된 이후에 행하게 되는 것으로서 절대적인 엘리베이터 설치기간이 필요하고, 건축공정도 그 만큼의 정상적인 공정을 따라가기 때문에 공기 단축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무엇보다도 종래의 방법은 건축 콘크리트 골조가 완공된 이후에 공사를 하게 되기 때문에 씰을 설치하기 위해서 건축 구조물이 콘크리트 옹벽에 앙카볼트 설치를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앙카볼트 설치를 위해서 콘크리트 옹벽에 드릴링으로 콘크리트 천공 작업이 필요하고, 천공 작업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 콘크리트 폐기물 발생, 콘크리트 천공으로 인한 발생되는 콘크리트 먼지 등으로 작업자의 건강문제 등이 발생하였었다.
엘리베이터 설치 작업은 수직의 굴뚝같은 승강로에서 행해지므로 매우 위험하여 엘리베이터 설치를 하고자 하는 작업자가 해마다 줄고 있다. 설치작업자가 줄어들면서 설치공법의 단순화는 필수적이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98-0004464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7-0058050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승강장 출입문을 설치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끝부분인 건물 바닥이 시작되는 지점에 엘리베이터 출입문 문턱을 설치하기 위한 시공방법의 개선안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문턱의 시공 및 설치를 함에 있어서 일부 공정을 선행함으로써 공기의 단축은 물론이고 엘리베이터의 설치비용을 절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타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은, 데크플레이트 공법에 의한 건축 시공에 있어서; 슬래브를 설치하기 위하여 데크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데크플레이트 설치단계;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의 출입구에 해당하는 부위에 설치되는 데크플레이트의 측판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앵커볼트를 설치하거나 또는 앵커볼트를 결합할 수 있는 슬리브를 설치하는 앵커볼트 사전설치단계; 상기 데크플레이트 위에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고 양생하는 슬래브 형성단계; 양생된 슬래브에 매립되어 있는 상기 앵커볼트 또는 슬리브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승강장 문턱의 씰(SILL)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출입구의 문턱 시공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앵커볼트는 일부분이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측판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바닥판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포스트에 용접이나 결속선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앵커볼트는 베이스판에 용접으로 고정한 다음, 상기 베이스판을 상기 데크플레이트에 마련된 설치홈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상기 데크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철근콘크리트 공법에 의한 건축 시공에 있어서; 슬래브를 설치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설치하는 거푸집 설치단계;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의 출입구에 해당하는 부위에 설치되는 측벽 거푸집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앵커볼트를 결합할 수 있는 슬리브를 설치하는 앵커볼트 사전설치단계;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고 양생하는 슬래브 형성단계;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고 양생된 슬래브에 매립되어 있는 상기 앵커볼트 또는 슬리브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승강장 문턱의 씰(SILL)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출입구의 문턱 시공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앵커볼트 사전설치단계는 스터드볼트 형태로 된 앵커볼트를 차후에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내주면에 암나사가 마련된 슬리브를 상기 거푸집의 측벽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슬리브는;
상기 슬리브가 끼워져 용접으로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거푸집의 측벽 배면에 밀착되는 매립판; 상기 거푸집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앵글; 및 상기 슬리브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앵글과 슬리브를 고정하는 슬리브고정볼트;에 의해 거푸집 내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승강장 출입문의 씰을 설치하기 위한 문턱의 고정부 플레이트를 엘리베이터 설치공사 투입 전에 선행하여 공사하게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설치기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전체적으로 공기단축과 원가절감을 달성하게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천공 작업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 콘크리트 폐기물 발생 및 콘크리트 천공으로 인한 발생되는 콘크리트 먼지 등으로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는 문제를 모두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출입구의 문턱 시공방법에 따른 문턱 부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출입구의 문턱 시공방법에 따른 문턱 부위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출입구의 문턱 시공방법에 따른 문턱부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파생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출입구의 문턱 부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출입구의 문턱 시공방법에 의한 시공과정을 단계별로 표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출입구의 문턱 시공방법에 따른 문턱 부위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출입구의 문턱 시공방법에 따른 문턱부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출입구의 문턱 시공방법에 의한 거푸집 설치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출입구의 문턱 시공방법에 의한 시공과정을 단계별로 표시한 단면도이다.
건축공사는 건물의 기초를 이루는 바닥 매트의 타설을 시작으로 하여 바닥의 철근과 건물의 옹벽을 이루는 구조체를 형성할 수직철근을 배근하면서 상층부로 상승하는 과정을 밟는다. 건물 옹벽 구조체는 수직철근과 수평철근을 연결, 배근하여 건물의 지탱하는 구조로 시공된다. 이때 건물 슬래브 바닥도 건물의 옹벽과 기둥의 철근과 체결시켜서 바닥의 구조를 지탱하게 하고 최종적으로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바닥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에서 건물의 각 층의 바닥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에 이르러 낭떠러지 같이 끝나게 된다. 이 건물 바닥 슬래브의 끝에 엘리베이터 문턱을 구성하는 씰(SILL)이 설치되고, 이 씰 위에 엘리베이터 문설주를 포함하고 있는 문틀이 볼트로써 고정 설치된다. 엘리베이터 출입문인 승강장문은 씰 위에 올라타서 슬라이딩되면서 열리고 닫히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씰(SILL)과, 이 씰을 슬래브를 연결하는 지지구조체를 포함한 구성을'문턱'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장문의 씰을 옥탑(옥상)의 기계실 축조 또는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최상층 골조의 완성과 상관없이 씰을 선행으로 설치하는 공법을 제안한다. 이 선행공법은 건물 각 층 바닥의 슬래브 시공 시에 건축 구조물인 바닥 슬래브를 형성하는 철근 콘크리트 바닥 구조체에 미리 씰을 지지하는 지지용 브래킷이나 앵커볼트 등을 체결, 매입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건물 바닥의 구조체는 크게 철근 콘크리트와 데크 플레이트 시공방식의 두 가지로 구분된다. 철근 콘크리트 공법은 옹벽과 기둥의 철근과 연결되어 바닥 슬래브(1)를 만들어내는 방법이고, 데크 플레이트 공법은 철근 구조용 에이치빔(5) 위에 데크 플레이트(4)를 깔고, 승강로와 만나는 끝부분에는 앵글 철판으로 마감하고 그 데크 플레이트(4) 위에다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이다(도 1, 8 참조).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각 도면을 인용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실시예는 데크플레이트 공법에 따른 건축시공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이다.
데크플레이트 설치단계는 슬래브(2)를 설치하기 위하여 데크플레이트(4)를 설치하는 단계(도 7(a) 참조)로서 종래의 공정에 포함되어 있는 단계이다. 이후 앵커볼트 사전설치단계가 시행된다.
앵커볼트 사전설치단계(도 7(b) 참조)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의 출입구에 해당하는 부위에 설치되는 데크플레이트(4)의 측판(4a)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앵커볼트(30)를 설치하거나 또는 앵커볼트(30)의 설치를 위한 철물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의 상세한 내용은 후술된다.
이후, 데크플레이트(4) 위에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고 양생하는 슬래브 형성단계(도 7(c) 참조)가 이루어진다. 그렇게 되면 씰(10)을 설치하기 위한 기초가 슬래브(1) 내부에 매립되어 있게 된다.
엘리베이터 시공자는 양생된 슬래브(1)에 매립되어 있는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승강장 문턱(3)의 씰(10, SILL)을 설치하게 된다(도 7(d) 참조).
이 결과로 위험한 작업공간에서 슬래브(1) 측면에 앵커볼트(30)를 설치하기 위한 작업, 즉 각 층마다 콘크리트에 구멍을 몇 개씩이나 천공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앵커볼트 사전설치단계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 단계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데크플레이트의 측판(4a)에 구멍(4b)을 내거나 설치홈(4c)을 따낸 다음 여기에 앵커볼트(30)가 끼워진다. 앵커볼트(30)는 앵커볼트 설치기구(50)에 의해 데크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된다. 앵커볼트(30)의 후단은 데크플레이트(4)의 바닥판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포스트(51)에 용접이나 또는 결속선으로 고정된다. 앵커볼트(30)의 후단은 배근되어 있는 철근(6)에 용접이나 결속선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다만 앵커볼트(30)를 설치하고자 하는 지점에 철근(6)이 없는 경우에는 포스트(51)를 설치하면 될 것이다. 이후 콘크리트가 타설 및 양생되면 앵커볼트(30)의 선단은 슬래브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고 후단은 슬래브(1) 내부에 묻히게 된다.
씰(10)은 앵커볼트(30) 및 브래킷조립체(20)에 의해 정확한 위치와 높이로 슬래브(1) 측벽 전방에 고정된다.
브래킷조립체(20)는 엘(L)자 형태로 절곡되어 있으며, 슬래브(1) 측에 고정되는 제1브래킷(21)과, 역시 엘(L)자 형태로 절곡되어 있으며 씰(10) 측에 고정되는 제2브래킷(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브래킷(21)의 가로판(21a)에는 앵커볼트공(21c)이 타공되어 있으며, 세로판(21b)에는 장공 형태의 제1연결공(21d)이 타공되어 있다. 제2브래킷(22)의 세로판(22a)에는 장공 형태의 제2연결공(22c)이 타공되어 있고, 횡판(22b)에는 씰고정볼트공(22d)이 타공되어 있다. 씰고정볼트(34)의 헤드는 씰의 레일(12)에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진다. 씰고정볼트(34)는 씰의 레일(12)에 끼워진 다음에는 회전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씰(10)과 제2브래킷(22)은 씰고정볼트(34)에 너트(35)를 체결함으로써 서로 고정된다. 보통 씰(10)은 건물의 바닥마감판(2)의 높이와 같은 높이로 설치된다.
씰(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보통 3곳에 앵커볼트(30)가 설치된다. 그러나 엘리베이터의 규모나 용도에 따라 앵커볼트(30)의 개수는 늘어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브래킷(21)은 너트(31)를 앵커볼트(30)에 체결함으로써 슬래브(1)에 고정된다. 제1,2브래킷(21,22)은 브래킷 연결볼트와 너트(32,33)에 의해 연결된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 파생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은 앵커볼트(30)를 슬래브에 사전에 설치하기 위한 앵커볼트 설치기구(50)가 다양한 방식으로 대체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실시예들은 앵커볼트(30)의 설치를 위한 철물을 제안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데크플레이트의 측판(4a)에는 유(U)자 형태로 설치홈(4c)을 마련한다. 이 설치홈(4c)은 데크플레이트 제작공장에서 사전에 만들어질 수도 있고, 설치현장에서 그라인더, 산소용접기 또는 절단톱으로써 따냄으로써 마련할 수도 있다.
베이스판(60)의 전면에는 제1브래킷(21)이 용접으로 고정된다. 베이스판(60)의 후면에는 앵커볼트(30)가 용접으로 고정된다. 앵커볼트(30)를 설치홈(4c)에 끼운 다음 너트를 체결하게 되면 제1브래킷(21)이 데크플레이트의 측판(4c)에 고정 설치된다. 설치홈(4c)은 베이스판(60)에 의해 가려지게 되므로, 이후에 콘크리트 타설시에도 몰탈이 새나오지 못하게 된다. 이로써 제2브래킷(22, 도 3 참조)만을 제1브래킷(21)에 연결하고 씰(10)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이전 실시예에서의 베이스판(60)도 생략하고, 제1브래킷(21)을 직접 데크플레이트(4)에 설치하는 것을 제안한다. 제1브래킷의 가로판(21a)에는 앵커볼트(30)를 용접으로 고정시킬 수도 있고(도 5의 좌측), 볼트공을 만든 다음 앵커볼트(30)를 끼울 수도 있다(도 5의 우측). 데크플레이트의 측판(4c) 뒤로 돌출되는 앵커볼트(30)에 너트를 체결하고 조이면 제1브래킷(21)이 데크플레이트(4) 내지 슬래브(1)에 고정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베이스판(60)의 일면에 앵커볼트(30)를 용접으로 고정하고 이 앵커볼트(30)를 설치홈(4c)에 끼우고 돌출된 앵커볼트에 제1브래킷(21)을 체결하게끔 되어 있다. 베이스판(60)은 데크플레이트(4)에 용접으로 고정할 수 있다. 베이스판(60)의 후면에는 슬래브(1)와의 고정력을 강화하기 위한 돌출부재(미도시됨)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앵커볼트 사전설치단계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철근콘크리트 공법에 따른 건축시공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이다.
거푸집 설치단계(도 11(a) 참조)는 슬래브를 설치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로서 종래의 공정에 포함되어 있는 단계이다. 이후 앵커볼트 사전설치단계가 시행된다(도 11(b) 참조).
앵커볼트 사전설치단계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의 출입구에 해당하는 부위에 설치되는 거푸집중 측벽거푸집(7a)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앵커볼트(30)를 결합할 수 있는 슬리브(53)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본 실시에에서는 콘크리트 몰탈의 양생 후 거푸집(7)이 철거되므로 이전 실시예와는 조금 다른 방식이 사용된다. 이 단계의 상세한 내용은 후술된다.
이후, 거푸집(7) 위에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고 양생하는 슬래브 형성단계(도 11(c) 참조)가 이루어지며, 그 결과 씰(10)을 설치하기 위한 기초가 슬래브(1) 내부에 매립되어 있게 된다.
엘리베이터 시공자는 양생된 슬래브(1)에 매립되어 있는 슬리브(53)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승강장 문턱의 씰(10, SILL)을 설치하게 된다(도 11(d) 참조). 슬리브(53)는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단관을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거푸집(7)이 양생후 제거되므로 거푸집(7)에 앵커볼트(30)를 설치하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앵커볼트(30)를 차후에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내주면에 암나사가 마련된 단관, 즉 슬리브(53)를 채용하고 있다. 즉 거푸집 제거시 슬리브(53)의 단부가 슬래브(1)의 측벽면으로부터 노출됨으로써 여기에 스터드 볼트(30') 형태로 된 앵커볼트(30)를 끼우도록 하고 있다.
엘(L)자 형태의 앵글(52)을 거푸집(7) 내부에 고정시킨다. 거푸집(7)에 못으로 고정시킬 수도 있고 배근된 철근(6)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매립판(55)에 슬리브(53)가 용접으로 고정된다. 매립판(55)의 앞면에는 마스킹테잎(56)이 설치될 수 있다. 마스킹테잎(56)은 슬리브(53) 내부로 콘크리트 몰탈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매립판(55)은 그의 앞면이 거푸집의 측면판(7a) 후면에 밀착되도록 거푸집(7) 내에 고정된다. 거푸집(7) 내로 돌출 연장된 슬리브(53)와 앵글(52)은 슬리브고정볼트(54)에 의해 고정된다.
양생후 거푸집(7)이 제거되면 매립판(55)이 슬래브(1)의 측면에 노출되어 있게 되며, 작업자는 마스킹테잎(56)을 제거하고 앵커볼트(30)를 슬리브(53)에 끼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브래킷조립체(20), 즉 제1,2브래킷(21,22)을 앵커볼트(30)에 설치하고 씰(10)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후의 내용은 이전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부호에 대한 설명은 이전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면 된다.
위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통상의 기술적 상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위의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슬래브 2 : 바닥마감판
3 : 문턱 4 : 데크플레이트
5 : 에이치빔 6 : 철근
7 : 거푸집 10 : 씰(SILL)
20 : 브래킷조립체 21,22 : 제1,2브래킷
30 : 앵커볼트 50 : 앵커볼트 설치기구
51 : 포스트 52 : 앵글
53 : 슬리브 55 : 매립판
56 : 마스킹테잎 60 : 베이스판

Claims (6)

  1. 데크플레이트 공법에 의한 건축 시공에 있어서;
    슬래브를 설치하기 위하여 데크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데크플레이트 설치단계;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의 출입구에 해당하는 부위에 설치되는 데크플레이트의 측판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앵커볼트를 설치하거나 또는 앵커볼트를 결합할 수 있는 슬리브를 설치하는 앵커볼트 사전설치단계;
    상기 데크플레이트 위에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고 양생하는 슬래브 형성단계;
    양생된 슬래브에 매립되어 있는 상기 앵커볼트 또는 슬리브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승강장 문턱의 씰(SILL)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앵커볼트는 일부분이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측판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바닥판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포스트에 용접이나 결속선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출입구의 문턱 시공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볼트는 베이스판에 용접으로 고정한 다음, 상기 베이스판(60)을 상기 데크플레이트에 마련된 설치홈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상기 데크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출입구의 문턱 시공방법.
  4. 철근콘크리트 공법에 의한 건축 시공에 있어서;
    슬래브를 설치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설치하는 거푸집 설치단계;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의 출입구에 해당하는 부위에 설치되는 측벽 거푸집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앵커볼트를 결합할 수 있는 슬리브를 설치하는 앵커볼트 사전설치단계;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고 양생하는 슬래브 형성단계;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고 양생된 슬래브에 매립되어 있는 상기 앵커볼트 또는 슬리브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승강장 문턱의 씰(SILL)을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앵커볼트 사전설치단계는, 스터드볼트 형태로 된 앵커볼트를 차후에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내주면에 암나사가 마련된 슬리브(53)를 상기 거푸집의 측벽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53)는, 상기 슬리브(53)가 끼워져 용접으로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거푸집의 측벽 배면에 밀착되는 매립판(55); 상기 거푸집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앵글(52); 및 상기 슬리브(53)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앵글(52)과 슬리브(53)를 고정하는 슬리브고정볼트;에 의해 상기 거푸집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출입구의 문턱 시공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180126835A 2018-10-23 2018-10-23 엘리베이터 승강장 출입구의 문턱 시공방법 KR102033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835A KR102033453B1 (ko) 2018-10-23 2018-10-23 엘리베이터 승강장 출입구의 문턱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835A KR102033453B1 (ko) 2018-10-23 2018-10-23 엘리베이터 승강장 출입구의 문턱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3453B1 true KR102033453B1 (ko) 2019-10-17

Family

ID=68424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835A KR102033453B1 (ko) 2018-10-23 2018-10-23 엘리베이터 승강장 출입구의 문턱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45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95775A (zh) * 2020-04-07 2020-07-10 中铁十二局集团建筑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夹心保温板外墙座浆封堵施工方法
CN111561151A (zh) * 2020-05-25 2020-08-21 上海宝冶集团有限公司 一种钢筋桁架楼承板与现浇混凝土梁的转角板
CN112854804A (zh) * 2021-01-12 2021-05-28 闫全义 一种既有钢筋砼柱头结构及其制造方法
KR102468582B1 (ko) * 2022-06-16 2022-11-17 이주환 고층천정의 소화배관 연결용 달대볼트 시공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pc슬래브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6462A (ja) * 1993-06-03 1994-12-20 Shinano Sangyo Kk アンカーボルト埋設工法及び該工法の施工に使用するガイドプレート
KR980004464A (ko) 1996-06-27 1998-03-30 배순훈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렌즈홀더 커버 조립장치
KR20070058050A (ko) 2005-12-01 2007-06-07 주식회사 코오롱 방오도료용 피리티온 금속염의 분진 발생 차단 포장팩
JP2009084029A (ja) * 2007-10-02 2009-04-23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乗場敷居装置
KR20100037696A (ko) * 2008-10-02 2010-04-12 이근식 매입형 앵커 및 그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6462A (ja) * 1993-06-03 1994-12-20 Shinano Sangyo Kk アンカーボルト埋設工法及び該工法の施工に使用するガイドプレート
KR980004464A (ko) 1996-06-27 1998-03-30 배순훈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렌즈홀더 커버 조립장치
KR20070058050A (ko) 2005-12-01 2007-06-07 주식회사 코오롱 방오도료용 피리티온 금속염의 분진 발생 차단 포장팩
JP2009084029A (ja) * 2007-10-02 2009-04-23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乗場敷居装置
KR20100037696A (ko) * 2008-10-02 2010-04-12 이근식 매입형 앵커 및 그 설치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95775A (zh) * 2020-04-07 2020-07-10 中铁十二局集团建筑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夹心保温板外墙座浆封堵施工方法
CN111395775B (zh) * 2020-04-07 2021-09-24 中铁十二局集团建筑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夹心保温板外墙座浆封堵施工方法
CN111561151A (zh) * 2020-05-25 2020-08-21 上海宝冶集团有限公司 一种钢筋桁架楼承板与现浇混凝土梁的转角板
CN112854804A (zh) * 2021-01-12 2021-05-28 闫全义 一种既有钢筋砼柱头结构及其制造方法
KR102468582B1 (ko) * 2022-06-16 2022-11-17 이주환 고층천정의 소화배관 연결용 달대볼트 시공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pc슬래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3453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출입구의 문턱 시공방법
US9624681B2 (en) Guardrail stanchion and system
KR20090047575A (ko) 지중 수직터널 구조물용 슬립폼 및 이를 이용한 지중수직터널 구조물의 시공방법
JP2007204219A (ja) エレベータ用昇降路建物の構築方法
JP5417018B2 (ja) 既設建物へのエレベーターの設置工法
US8056237B1 (en) Guardrail stanchion and system
JP3204708U (ja) 昇降足場装置
KR101203134B1 (ko)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분절구조
JP2006299660A (ja) 仮受け工法及び仮受け構造体
KR20210141194A (ko) 공동주택, 오피스 엘리베이터 기계실 공구분할과 기계실 지붕보에 매다는 구조로 기계실 바닥을 탑다운으로 시공하는 골조공사 방법 및 장치
EP1108675A2 (en) Working method and protection system for passenger conveyer
KR20210068283A (ko) 공동주택 엘리베이터 기계실 바닥 골조공사 방법 및 장치
KR100901016B1 (ko) 건축물의 외벽 비계 안전 브라켓
CN112627543A (zh) 核心筒电梯井钢梁安装用井道内提升架及钢梁施工方法
JP2004003186A (ja) 軌道ガイドを配設した建築構造物
JP5746984B2 (ja) 手摺の補修方法
JP5366042B2 (ja) ユニット式エレベータ
JPH06305657A (ja) エレベーターとそのエレベーターシャフト
JP2003056186A5 (ko)
KR20020062245A (ko) 철근콘크리트건물의 조립식 철골계단 연결구조 및 그시공방법
KR102386983B1 (ko) 외벽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그 시공 방법
KR100464594B1 (ko)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조립식 계단의 시공방법
CN116477445B (zh) 一种钢结构井道电梯整体预装配的施工方法
KR100683506B1 (ko) 계단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CN215670931U (zh) 用于钢结构电梯的操作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