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0096Y1 - 덤프트럭 적재함용 자동 덮개장치 - Google Patents

덤프트럭 적재함용 자동 덮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0096Y1
KR200340096Y1 KR20-2003-0024266U KR20030024266U KR200340096Y1 KR 200340096 Y1 KR200340096 Y1 KR 200340096Y1 KR 20030024266 U KR20030024266 U KR 20030024266U KR 200340096 Y1 KR200340096 Y1 KR 2003400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upport shaft
loading box
dump truck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42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국철
Original Assignee
이국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42357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340096(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국철 filed Critical 이국철
Priority to KR20-2003-00242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00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00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00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Abstract

덮개의 위치에 따른 회전력의 차이를 감소시켜서 뒤틀림현상을 억제하고 덮개의 자중에 의한 회전력을 완화시키도록, 덤프트럭 적재함의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한쌍의 지지축과, 각각의 지지축의 한쪽 끝부분과 구동축이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구동장치와, 각각의 구동장치를 구동시킴에 따라 지지축과 함께 회전되어 적재함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덮개와, 각각의 덮개가 지지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뒤틀리지 않도록 덮개의 일측 모서리와 지지축 사이에 설치되는 한쌍의 뒤틀림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덤프트럭 적재함용 자동 덮개장치를 제공한다.
뒤틀림방지부는 구동장치 반대쪽 끝부분에서 덮개의 일측 모서리와 지지축을 일체로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의 반대쪽 끝부분에서 덮개의 일측 모서리와 지지축을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부와, 회전부가 소정의 각도 범위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회전부를 지지축에 지지시키는 회전지지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덤프트럭 적재함용 자동 덮개장치 {Auto Cover Equipment for Loading Box of Dump Truck}
본 고안의 덤프트럭 적재함용 자동 덮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덮개의 위치에 상관없이 비교적 균일한 힘으로 회전되고 회전 도중 덮개의 자중에 의하여 발생하는 회전력이 완화되므로 덮개에 가해지는 유동이나 충격이 감소되는 덤프트럭 적재함용 자동 덮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덤프트럭에는 운행시 적재함에 실린 각종 적재물이 도로에 낙하되는 방지하기 위하여 적재함의 개방된 윗면을 자동으로 개폐하도록 자동 덮개장치를 장착한다.
상기 덤프트럭 적재함용 자동 덮개장치는 주로 적재함의 개구된 윗면의 대략 절반 크기에 해당하는 면적을 갖는 크기로 한쌍의 덮개를 형성하고, 상기 덮개의 일측 모서리에 형성되는 지지축을 통하여 적재함의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지지축의 길이방향 한쪽 끝부분(앞쪽 끝부분)에 구동축이 연결되는 구동모터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킴에 따라 덮개가 회전하여 적재함의 윗면을 덮어 씌우거나 적재함의 양측면에 겹쳐져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덤프트럭 적재함용 자동 덮개장치는 덮개를 개폐시키기 위하여 구동모터를 구동시키면, 구동축과 연결되는 지지축의 앞쪽 끝부분보다 구동축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지축의 뒤쪽 끝부분에 회전력이 약하게 전달된다.
즉 상기 지지축에 비틀림모멘트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상기 덮개에 뒤틀림현상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덮개에 뒤틀림현상이 발생하면, 뒤쪽 끝부분의 개폐되는 힘이 약하므로 운행도중에 덮개가 쉽게 유동되어 수명이 감소되고 적재물이 낙하될 위험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덤프트럭 적재함용 자동 덮개장치는 덮개가 회전하는 도중에 자중으로 인하여 갑자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한 후 멈추게되므로 상기한 덮개와 지지축에 충격이 가해진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지축 및 덮개의 위치에 따른 회전력 차이를 감소시켜서 비교적 균일한 회전력으로 덮개를 개폐시키고 덮개의 자중로 인하여 발생하는 회전력을 완화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덤프트럭 적재함용 자동 덮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덤프트럭 적재함용 자동 덮개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덮개를 닫은 상태의 부분생략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덤프트럭 적재함용 자동 덮개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고정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덤프트럭 적재함용 자동 덮개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회전부 및 회전지지부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덤프트럭 적재함용 자동 덮개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회전부 및 회전지지부의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덤프트럭 적재함용 자동 덮개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중간회전부 및 중간지지부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덤프트럭 적재함용 자동 덮개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중간회전부 및 중간지지부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7는 본 고안에 따른 덤프트럭 적재함용 자동 덮개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회전부 및 회전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덤프트럭 적재함용 자동 덮개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중간회전부 및 중간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덤프트럭 적재함용 자동 덮개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의 덮개를 적용한 상태의 부분생략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덤프트럭 적재함용 자동 덮개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의 덮개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덤프트럭 적재함용 자동 덮개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의 덮개를 연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 확대도이다.
본 고안이 제안하는 덤프트럭 적재함용 자동 덮개장치는 덤프트럭 적재함의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한쌍의 지지축과, 상기 각각의 지지축의 한쪽 끝부분과 구동축이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구동장치와, 상기 각각의 구동장치를 구동시킴에 따라 상기 지지축과 함께 회전되어 상기 적재함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덮개와, 상기 각각의 덮개가 지지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뒤틀리지 않도록 상기 덮개의 일측 모서리와 지지축 사이에 설치되는 한쌍의 뒤틀림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뒤틀림방지부는 상기 구동장치 반대쪽 끝부분에서 덮개의 일측 모서리와 지지축을 일체로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반대쪽 끝부분에서 덮개의 일측 모서리와 지지축을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를 소정의 각도 범위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축에 지지시키는 회전지지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지지부는 3∼25˚의 범위에서 회전부가 지지축에 지지되어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상기 지지축의 비틀림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뒤틀림방지부는 상기 고정부와 회전부 사이에서 덮개의 일측 모서리와 지지축을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중간회전부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나이상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중간회전부는 회전가능한 한쪽 또는 양쪽 방향에 지지축과 일체로 형성되는 중간지지부를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덮개는 일측 모서리가 상기 뒤틀림방지부를 통하여 지지축과 연결되는 제1덮개와, 일측 모서리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축을 통하여 상기 제1덮개의 지지축 반대쪽 모서리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덮개와, 상기 제1덮개와 제2덮개를 서로 접철시키는 접철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덤프트럭 적재함용 자동 덮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덤프트럭 적재함용 자동 덮개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덤프트럭 적재함(2)의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한쌍의 지지축(6)과, 상기 각각의 지지축(6)의 한쪽 끝부분과 구동축(9)이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구동장치(8)와, 상기 각각의 구동장치(8)를 구동시킴에 따라 상기 지지축(6)과 함께 회전되어 상기 적재함(2)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덮개(10)와, 상기 각각의 덮개(10)가 지지축(6)과 함께 회전하면서 뒤틀리지 않도록 상기 덮개(10)의 일측 모서리와 지지축(6) 사이에 설치되는 한쌍의 뒤틀림방지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뒤틀림방지부(20)는 상기 구동장치(8) 반대쪽 끝부분에서 덮개(10)의 일측 모서리와 지지축(6)을 일체로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22)와, 상기 고정부(22)의 반대쪽 끝부분에서 덮개(10)의 일측 모서리와 지지축(6)을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부(24)와, 상기 회전부(24)를 소정의 각도 범위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축(6)에 지지시키는 회전지지부(26)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지지부(26)는 도 3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에 회전공간(27)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공간(27)을 통하여 덮개(10)의 일측 모서리와 지지축(6)을 일체로 연결시킨다.
상기에서 회전지지부(26)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24)가 지지축(6)에 지지되어 회전가능한 각도가(a) 3∼25˚범위를 유지하도록 회전공간(27)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회전공간(27)을 형성하면, 상기 덮개(10)를 개폐시키기 위하여 지지축(6)을 회전시키는 경우, 덮개(10)의 앞쪽부터 먼저 회전력이 작용하면서 지지축(6)이 비틀리거나 덮개(10)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지지축(6)은 상기 덤프트럭 적재함(2)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긴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적재함(2)의 양측에 각각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나이상씩 설치 고정되는 회전지지구(4)를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구동장치(8)는 덮프트럭의 앞쪽 끝부분 양측에 장착되며, 일반적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는 모터나 상기 모터에 감속기를 연결시킨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10)는 일반적으로 덤프트럭 적재함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적재함의 개구된 윗면을 대략 절반씩 나누어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덤프트럭 적재함용 자동 덮개장치의 덮개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뒤틀림방지부(20)는 도 5~도 6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24)와 고정부(22) 사이에서 덮개(10)의 일측 모서리와 지지축(6)을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중간회전부(28)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나이상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중간회전부(28)가 설치되는 지점의 지지축(6)에는 상기 중간회전부(28)가 한쪽 및/또는 양쪽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중간회전부(29)에 밀착되는 중간지지부(29)를 일체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상기 중간지지부(29)는 지지축(6)과 함께 회전하도록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덮개(10)를 닫는 경우(적재함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덮개(1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중간회전부(28)에 힘을 가하는 상태가 되고 덮개(10)를 여는 경우(적재함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중간회전부(28)의 표면에 마찰력을 가하는 상태가 되도록 중간회전부(28)와 서로 밀착된다.
상기와 같이 중간지지부(29)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덮개(10)가 회전하는 도중 자중에 의하여 지지축(6)보다 먼저 회전하려는 힘을 완화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덮개(10)는 개폐되는 도중 상향에서 하향(예를들어, 12시에서 1시 방향 또는 12에서 11시 방향)으로 회전방향이 바뀔 때에 뒤틀림현상이 해소되면서 뒷부분이 앞부분보다 순간적으로 빠르게 회전하려는 힘이 작용하지만, 상기 중간지지부(29)가 지지축(6) 및 덮개(10)의 길이방향 중간 지점에서 상기 덮개(10)의 뒷부분이 앞부분보다 빠르게 회전하려는 힘을 완화시키는 역활을 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이 제안하는 덤프트럭 적재함용 덮개장치의 덮개(10)는 도 9~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 모서리가 상기 뒤틀림방지부(20)를 통하여 지지축(6)과 연결되는 제1덮개(11)와, 일측 모서리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축(17)을 통하여 상기 제1덮개(11)의 지지축(6) 반대쪽 모서리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덮개(16)와, 상기 지지축(6)이 회전함에 따라 제1덮개(11)와 제2덮개(16)를 서로 접철시키는 접철장치(30)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접철장치(30)는 상기 연결축(17)의 한쪽 끝부분에 일체로 고정되는 회전스프로킷휠(32)과, 상기 적재함(2)의 앞쪽 끝부분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스프로킷휠(34)과, 상기 회전스프로킷휠(32)과 고정스프로킷휠(34)을 연결하는 체인(3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인(36)은 덮개(10)에 형성되는 긴장부(37)에 의하여 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이루어지는 덮개(10)를 설치하고 구동모터(8)를 작동시켜서 지지축(6)을 회전시키면, 상기한 제1덮개(11)가 회전하면서 상기한 고정스프로킷휠(34)에 감기는 체인(36)의 위치변화가 발생하며 체인(36)에 위치변화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한 회전스프로킷휠(32)이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연결축(17)이 회전되면서 제2덮개(16)가 접히거나 펴진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덤프트럭 적재함용 자동 덮개장치의 작동과정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덮개(10)가 적재함(2)의 윗면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구동장치(8)를 작동시키면, 상기 구동축(9)을 통하여 상기 지지축(6)에 회전력이 작용한다.
상기와 같이 지지축(6)에 회전력이 작용하면 상기 지지축(6)의 구동축(9)에 가까운쪽(회전부쪽)부터 회전하기 시작하고 이어서 상기 고정부(22)쪽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축(6)에 고정부(22)쪽까지 회전력이 작용하는 동안 상기 지지축(6)의 회전부(24)쪽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지지부(26)가 회전부(24)를 회전시키고 이와 거의 동시에 고정부(22)가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22)와 회전부(24)가 거의 동시에 회전이 이루어지면 서로 회전력이 차이가 감소되면서 상기 고정부(22)와 회전부(24)를 통하여 연결 설치되는 덮개(10)의 뒤틀림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10)는 자중에 의하여 지지축(6)의 반대쪽 모서리가 처진 상태로 회전한다.
상기와 같이 덮개(10)가 회전하는 도중, 상기 덮개(10)에 작용하는 자중의 방향이 바뀐다.
상기와 같이 덮개(10)의 자중의 방향이 바뀌면서 덮개(10)에 일정각도 만큼 회전력이 작용하나 상기 중간지지부(29)가 상기 중간회전부(28) 및/또는 상기 덮개(10)의 일측 모서리 중간부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덮개(10)에 작용하는 자중의 방향이 바뀌면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완화시킨다. 따라서 자중의 방향이 바뀜에 따라 덮개가 덜컹거리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한 덮개(10)는 지지축(6)에 의하여 계속 회전되어 덤프트럭(1) 적재함(2)의 바깥쪽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거의 균일한 힘으로 밀착되어 열린상태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지지축(6)이 역회전 되도록 구동장치를 구동시키면 상기 과정과 마찬가지의 과정을 거쳐서 덮개(10)가 원상태로 복귀된다.
상기에서 덮개(10)가 닫힐 때에 고정부(22)가 먼저 덤프트럭(1) 적재함(2)의 바깥쪽 측면에 접한 상태에서 회전부(24)가 적재함의 바깥쪽 측면에 접하기까지 지지축(6)이 계속 회전하여 고정부(22)와 회전부(24)를 적재함(2)의 측면에 밀착시키므로, 고정부(22)에 지지축(6)의 비틀림에 의한 탄성력이 작용하게 되어 덤프트럭(1)의 운행중에 발생하는 덜컹거림에 의하여 고정부(22)가 유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즉 고정부(22)가 적재함(2)의 측면에 접한 상태에서 지지축(6)이 추가로 회전하여 회전부(24)를 적재함(2)의 측면에 접하게 되므로, 고정부(22)에는 지지축(6)의 비틀림에 따른 탄성력이 작용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덤프트럭 적재함용 자동 덮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및 고안의 상세한 설명, 첨부한 도면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내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덤프트럭 적재함용 자동 덮개장치에 의하면, 덮개의 앞부분에 작용하는 회전력과 덮개의 뒷부분에 작용하는 회전력의 차이를 감소시켜서 위치에 상관없이 비교적 균일한 힘으로 덮개를 개폐시키므로 지지축에 과도한 비틀림하중이 작용하거나 덮개의 뒤틀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덮개를 닫은 상태로 적재물을 싣고 운행하는 경우 덮개 뒷부분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적재물의 낙하로 인한 교통사고나 도로의 훼손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덮개를 열고 운행하는 경우에도 지지축의 비틀림에 의한 탄성력에 의하여 덮개 뒷부분이 적재함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적재함과 덮개 뒷부분이 서로 부딪치는 것이 방지되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덤프트럭 적재함용 자동 덮개장치에 의하면, 덮개의 개폐작업시 자중로 인하여 발생하는 회전력을 완화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덮개가 안정감있고 부드럽게 개폐된다.

Claims (6)

  1. 덤프트럭 적재함의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한쌍의 지지축과,
    상기 각각의 지지축의 한쪽 끝부분과 구동축이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구동장치와,
    상기 각각의 구동장치를 구동시킴에 따라 상기 지지축과 함께 회전되어 상기 적재함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덮개와,
    상기 각각의 덮개가 지지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뒤틀리지 않도록 상기 덮개의 일측 모서리와 지지축 사이에 설치되는 한쌍의 뒤틀림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덤프트럭 적재함용 자동 덮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뒤틀림방지부는
    상기 구동장치 반대쪽 끝부분에서 덮개의 일측 모서리와 지지축을 일체로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반대쪽 끝부분에서 덮개의 일측 모서리와 지지축을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를 소정의 각도 범위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축에 지지시키는 회전지지부로 이루어지는 덤프트럭 적재함용 자동 덮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부는 3∼25˚의 범위내에서 회전부가 지지축에 지지되어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는 덤프트럭 적재함용 자동 덮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뒤틀림방지부는
    상기 고정부와 회전부 사이에서 덮개의 일측 모서리와 지지축을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중간회전부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나이상 형성하는 덤프트럭 적재함용 자동 덮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회전부는 회전가능한 한쪽 또는 양쪽 방향에 지지축과 일체로 형성되는 중간지지부를 밀착시켜서 상기한 덮개의 자중에 의한 회전력을 완화시키는 덤프트럭 적재함용 자동 덮개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일측 모서리가 상기 뒤틀림방지부를 통하여 지지축과 연결되는 제1덮개와, 일측 모서리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축을 통하여 상기 제1덮개의 지지축 반대쪽 모서리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덮개와, 상기 제1덮개와 제2덮개를 서로 접철시키는 접철장치로 이루어지는 덤프트럭 적재함용 자동 덮개장치.
KR20-2003-0024266U 2003-07-28 2003-07-28 덤프트럭 적재함용 자동 덮개장치 KR2003400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266U KR200340096Y1 (ko) 2003-07-28 2003-07-28 덤프트럭 적재함용 자동 덮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266U KR200340096Y1 (ko) 2003-07-28 2003-07-28 덤프트럭 적재함용 자동 덮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0096Y1 true KR200340096Y1 (ko) 2004-01-31

Family

ID=49423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4266U KR200340096Y1 (ko) 2003-07-28 2003-07-28 덤프트럭 적재함용 자동 덮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00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6247A (ko) 2018-01-12 2019-07-22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화물차량의 적재함 덮개용 감속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6247A (ko) 2018-01-12 2019-07-22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화물차량의 적재함 덮개용 감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2223B2 (en) Roof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roof opening type container
JP4844009B2 (ja) ラッゲージパネルの開閉装置
US7654600B2 (en) Vehicle tailgate movement assist mechanism using lever driven rotary damper
US5904391A (en) Tailgate gap cover
EP1843918A1 (en) Step for a vehicle
JP2019123501A (ja) ドアヒンジ
KR200340096Y1 (ko) 덤프트럭 적재함용 자동 덮개장치
KR200462915Y1 (ko) 화물차량의 화물덮개 장치
KR200333447Y1 (ko) 덤프트럭 적재함용 자동 덮개장치
CN107869295B (zh) 一种密封好的传动防潮密闭门自动启闭装置
KR200207984Y1 (ko) 차량용 적재함 덮개 개폐장치
KR200322048Y1 (ko) 덤프트럭적재함덮개장치
JP4902469B2 (ja) 跳ね上げ式扉の開閉補助装置
KR20030043887A (ko) 덤프트럭적재함덮개장치
KR100320876B1 (ko)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 힌지 구조
KR20010000020A (ko) 트럭의 윙바디 자동 개폐장치
KR970037238A (ko) 트럭적재함용 덮개의 자동개폐장치
KR200292469Y1 (ko) 날개형 구조체의 특장차 적재함
KR100209824B1 (ko) 화물차 적재함덮개의 자동개폐장치
KR200332753Y1 (ko) 화물차용 적재함 덮개장치
KR100489487B1 (ko) 윙바디트럭용 윙바디 구조
JP4322711B2 (ja) 天蓋開閉装置
KR100482678B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
GB2261022A (en) A hinge for a vehicle tailgate
JPH0710575U (ja) 開閉部材の作動緩衝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O072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100002726;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518

Effective date: 20100827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80912

Effective date: 20081107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10000326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518

Effective date: 20100827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81030

Effective date: 2009031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9100000038;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518

Effective date: 20100827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107

Effective date: 20090319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9200002692;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9200002708;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9100000664;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518

Effective date: 20100827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90320

Effective date: 2009093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9200007383;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9200002692;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518

Effective date: 20100827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9200007383;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518

Effective date: 20100827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9200002708;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518

Effective date: 20100827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410

Effective date: 20091231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91013

Effective date: 20091231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90410

Effective date: 20091231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0300000364;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0300000340;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0300000357;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0130000058;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0130000056;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0300000340;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80912

Effective date: 20081107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0300000364;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518

Effective date: 20100827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0300000357;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00129

Effective date: 20100513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00129

Effective date: 20100513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00129

Effective date: 20100513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129

Effective date: 2010051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0130000058;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518

Effective date: 20100827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0130000056;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518

Effective date: 20100827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518

Effective date: 20100827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00518

Effective date: 20100827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