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0021Y1 -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0021Y1
KR200340021Y1 KR20-2003-0032818U KR20030032818U KR200340021Y1 KR 200340021 Y1 KR200340021 Y1 KR 200340021Y1 KR 20030032818 U KR20030032818 U KR 20030032818U KR 200340021 Y1 KR200340021 Y1 KR 2003400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ntinuously
outer diameter
piercing
vibration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28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표
Original Assignee
박광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표 filed Critical 박광표
Priority to KR20-2003-00328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00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00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00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4Casings; Enclosures;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4/00Special deep-drawing arrangements in, or in connection with, presses
    • B21D24/005Multi-stage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8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tubes or other hollow bod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06Cast metal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다이와 하부다이가 상하운동하며 일련의 연속적인 공정의 드로잉 작업에 의해 중심부에 수용부가 형성된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를 성형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소재(10)의 양측단부에 가이드홈(20)을 형성시키는 피어부(100)와; 상기 피어부(100)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케이스틀(30)을 형성시키는 노칭부(200)와; 상기 노칭부(200)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일체로 움직이며 상기 케이스틀(30) 중심에 수용부(40)를 형성시키는 드로잉부(300)와; 상기 드로잉부(300)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드로잉부(300)에서 최종적으로 형성된 수용부(40)의 상면을 편평하게 하는 압착부(400)와; 상기 압착부(400)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압착부(400)로부터 편평하게 된 수용부(40) 상면에 홀(41)을 형성시키는 피어싱부(500)와; 상기 피어싱부(500)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피어싱부(500)에서 형성된 홀(41)을 다듬는 교정부(600)와; 상기 교정부(600)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틀(30) 내부에 케이스외경(50)을 형성시키는 외경성형부(700)와; 상기 외경성형부(700)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틀(30)에서 케이스외경(50)을 분리시키는 트리밍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 성형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일련의 연속적으로 형성된 장치가 동시에 움직이며 제품을 제조하게 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다단계의 드로잉부와 압착부, 피어싱부로 인해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의 중심부에 형성된 수용부의 편평도가 월등히 개선되어, 진동모터의 수명과 진동력이 영구히 지속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 성형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for vibration motor case of portable telephone }
본 고안은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부 금형 다이의 구조를 개선하여 편평도가 월등히 개선된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에는 수신여부나 알림, 경고 등을 위한 것, 안테나의 유동을 위한 것, 상부플립의 개폐 등을 위해서 소형 진동모터가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소형 진동모터는 휴대폰뿐만 아니라 소형 전자제품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의 진동모터는 일반적으로 실린더형과 코인형(편평형)이 있는데, 근래에는 소형화, 경량화 추세에 발맞춰 주로 실린더형보다 코인형의 진동모터가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그 분야에 대한 연구도 활발한 편이다.
일반적으로 코인형 진동모터(1)는, 중심부에 샤프트(2)를 삽입 고정시키기 위한 수용부(3a)가 형성된 하부케이스(3)와, 상기 하부케이스(3) 상면에 형성된 고정자(4)와, 상기 샤프트(2)에 연결된 회전베어링(5a)과 상기 회전베어링(5a)을 중심으로 연결된 브라켓(5b)과 상기 브라켓(5b)에 부착된 자성체(5c)와 상기 자성체(5c) 사이에 형성되어 편심을 유도하는 웨이트(weight)(5d)로 구성된 회전자(5)와, 상기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상부케이스(6)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고정자(4)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 전류를 통하는 도체가 자기장 속에 있으면 힘(유도전자기력)이 발생되는 원리에 의해 상기 회전자(5)에 형성된 자성체(5c)와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회전자(5) 전체가 회전되게 되며, 상기 웨이트(5d)에 의해 편심 회전되어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진동모터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사출성형장치에 의해 상기 하부케이스(3) 중심부에 형성된 수용부(3a)를 형성시키거나, 하부케이스(3) 원재료판에 예비홀을 표시하고, 상부에서 단조압착하여 수용부(3a)를 형성시키는 단조장치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에 의해 성형된 수용부(3a)는 끝단부가 편평하지 않고 내측으로 경사지거나 단면이 울퉁불퉁하여 전체적으로 편평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진동모터의 수명과 진동력을 위해 상기 수용부(3a)에 의해 삽입 고정되는 샤프트(2)가 회전자(5)가 편심 회전되는 동안 유동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게 하는 것이 중요한데 상기 수용부(3a)의 편평도가 불량한 경우에는 상기 회전베어링(5a)의 마모가 빨리 진행되고, 샤프트(2) 내에서 유동하게 되어 진동모터의 수명과 진동력에 심각한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베어링(5a)이 상기 하부케이스(3)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회전베어링(5a)의 결합과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하부케이스(3)와 상기 회전베어링(5a) 사이에 일반적으로 와셔를 삽입하게 되는데, 상기 수용부(3a)의 편평도가 불량한 경우에는 와셔의 마모가 빨리 진행되어 모터의 수명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연속적인 공정에 의해 생산성이 향상되고 다단계의 드로잉부와 압착부, 피어싱부에 의해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의 중심부에 형성된 수용부의 편평도가 월등히 개선된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 성형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 - 종래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에 대한 단면도.
도 2 -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 성형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3 -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 성형장치의 측단면도.
도 4 -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 성형장치에 의한 케이스와 수용부의 성형 순서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 코인형 진동모터 2 : 샤프트
3 : 하부케이스 3a : 수용부
4 : 고정자 5 : 회전자
5a : 회전베어링 5b : 브라켓
5c : 자성체 5d : 웨이트
6 : 상부케이스 10 : 소재
20 : 가이드홈 30 : 케이스틀
40 : 수용부 41 : 홀
50 :케이스외경 60 : 상부프레임
70 : 하부프레임 100 : 피어부
200 : 노칭부 300 : 드로잉부
310 : 상판드로잉부 311 : 버링다이
312 : 상부펀치 320 : 하판드로잉부
321 : 스트립퍼 322 : 하부펀치
400 : 압착부 500 : 피어싱부
510 : 스트립퍼 520 : 피어싱펀치
600 : 교정부 700 : 외경성형부
800 : 트리밍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상부다이와 하부다이가 상하운동하며 일련의 연속적인 공정의 드로잉 작업에 의해 중심부에 수용부가 형성된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를 성형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소재의 양측단부에 가이드홈을 형성시키는 피어부와; 상기 피어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케이스틀을 형성시키는 노칭부와; 상기 노칭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일체로 움직이며 상기 케이스틀 중심에 수용부를 형성시키는 드로잉부와; 상기 드로잉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드로잉부에서 최종적으로 형성된 수용부의 상면을 편평하게 하는 압착부와; 상기 압착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압착부로부터 편평하게 된 수용부 상면에 홀을 형성시키는 피어싱부와; 상기 피어싱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피어싱부에서 형성된 홀을 다듬는 교정부와; 상기 교정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틀 내부에 케이스외경을 형성시키는 외경성형부와; 상기 외경성형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틀에서 케이스외경을 분리시키는 트리밍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 성형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그리고 상기 드로잉부는, 소재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외경을 결정짓는 버링다이와, 상기 버링다이 내부에 형성되어 상하운동하는 상부펀치로 이루어진 상판드로잉부와; 소재 하부에 형성되고, 스트립퍼와, 상기 스트립퍼 내부에 형성되어 소정 높이까지 상부로 돌출되게 상하운동하는 하부펀치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부의 내경과 높이를 결정짓는 하판드로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드로잉부는, 상기 상부펀치와 상기 하부펀치의 지름이 점차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가 소정 크기의 직경과 높이를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피어싱부는, 소재 상부에 형성되고, 스트립퍼와, 상기 스트립퍼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홀을 형성시키는 피어싱펀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일련의 연속적으로 형성된 장치가 동시에 움직이며 제품을 제조하게 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다단계의 드로잉부와 압착부, 피어싱부로 인해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의 중심부에 형성된 수용부의 편평도가 월등히 개선되어, 진동모터의 수명과 진동력이 영구히 지속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 성형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 성형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 성형장치에 의한 케이스와 수용부의 성형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 성형장치는 피어부(100), 노칭부(200), 드로잉부(300), 압착부(400), 피어싱부(500), 교정부(600), 외경성형부(700), 트리밍부(80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본 고안의 구성요소들은 상부프레임(60)과 하부프레임(70)에 결합되어 전반적으로 펀치식으로 탄성적으로 작용을 하고, 전체적으로 상부프레임(60)은 상하유동되며 하부프레임(70)은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형성된다. 소재(10)는 하부프레임(70) 상면에 놓여져 이송되며, 상부프레임(60)의 하향이동과 동시에 상부프레임(60)에 결합된 상기 구성요소가 하향되고 하부프레임(70)에 결합된 상기 구성요소가 상향되어 소재(10)의 절단, 드로잉, 피어싱, 트리밍 등의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소재(10)의 공급이나 각 공정으로의 소재(10)의 연속적인 이송공정은 공지의 기술인 바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피어(pier)부(1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피어부(100)는, 길이 방향으로 긴 소재(10)의 양측단부에 가이드홈(20)을 형성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소재(10)의 각 공정장치로의 이송을 원활히 하기 위함이다. 상기 피어부(100)는 상기 상부프레임(60)에 결합되며, 상부프레임(60)이 하강했을때 상기 하부프레임(70) 상단부까지 약간 침투되어 상기 하부프레임(70)상에 놓여져 있는 소재(10)에 구멍을 뚫게 된다. 이때 상기 피어부(100)에 대응되는 위치의 하부프레임(70)상에는 상기 피어부(100)의 침투된 부분이 어느 정도 들어올 수 있도록 함몰된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피어부(100) 외부에는 원통형상의 스트립퍼(stripper)가 더 형성되어 상기 상부프레임(60)이 지속적으로 하강과 상승운동을 할 때 함께 움직이며, 하강 시에는 스트립퍼와 하부프레임(70)이 맞물려 소재(1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며, 또한 소재(10)를 프레임상에서 털어내어 다음 장치로의 이송이 원활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노칭(notching)부(200)는, 상기 피어부(100)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소재(10)에 케이스틀(30)을 형성시키기 위해 소정 형상으로 절단시키는 부분이다. 상기 노칭부(200)는 상기 피어부(100)와 단면의 형상만을 달리할 뿐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다음으로 상기 드로잉부(3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드로잉(drawing)부(300)는 상기 노칭부(200)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상부프레임(60)의 상하움직임과 일체로 움직이며, 상기 케이스틀(30) 중심에 수용부(40)를 형성시키는 부분이다. 여기에서 상기 수용부(40)는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의 중심부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회전자의 고정을 위한 샤프트가 삽입되어 지는 부분이다.
상기 드로잉부(300)는, 상기 상부프레임(60)에 결합되어 소재(10)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판드로잉부(310)와 상기 하부프레임(70)에 결합되어 소재(10)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하판드로잉부(320)로 구성된다. 상기 상판드로잉부(310)는 상기 상부프레임(60)상에 아래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판드로잉부(320)는 상기 하부프레임(70) 내부에 삽입되어져 있는 형상이다.
상기 상판드로잉부(310)는, 상기 수용부(40)의 외경을 결정짓는 버링다이(burring die)(311)와, 상기 버링다이(311) 내부에 형성되어 상하운동하는 상부펀치(31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버링다이(31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상부펀치(312)가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수용부(40)의 외경을 결정짓게 된다. 상기 버링다이(311)는 상기 상부프레임(60)상에 고정되어 상부프레임(60)의 상하운동과 동일하게 운동한다. 상기 상부펀치(312)는 상기 버링다이(311)와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40)의 상면을 때릴 때 펀칭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상부펀치(312)는 하강시 후술할 하부펀치(322)가 소정 높이 만큼 상부프레임(60)하단부까지 침투되므로 여기에 대응되는 위치까지 하강하게 되어 소재(10)를 아래위에서 때리면서 드로잉공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하판드로잉부(320)는 스트립퍼(321)와 상기 스트립퍼(321) 내부에 형성되어 소정 높이까지 상부로 돌출되게 상하운동하는 하부펀치(322)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부(40)의 내경과 높이를 결정짓게 된다.
상기 스트립퍼(321)는 상기 하부프레임(70)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프레임(70)과 스트립퍼푸쉬핀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상부프레임(60)이 상승시 상기 스트립퍼푸쉬핀이 상기 스트립퍼(321)를 밀어서 소재(10)를 하부프레임(70) 상에서 털어내는 역할과 펀칭시에는 상기 스트립퍼(321)와 상부프레임(60)이 맞물려 소재(1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드로잉부(300)는 상기 상부펀치(312)와 하부펀치(322)의 지름이 점차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다단계적인 드로잉작업을 거칠 수 있게 되어 소정 크기의 직경과 높이를 가진 수용부(4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압착부(400)는, 상기 드로잉부(300)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드로잉부(300)에서 최종적으로 형성된 수용부(40)의 상면을 편평하게 하는 부분이다. 상기 압착부(400)는 상기 드로잉부(300)와 그 구성이 동일하며, 다만 상기 수용부(40)의 상면을 압착하기 위해 펀치력이 상기 드로잉부(300)보다 다소 강하게 형성되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피어싱부(500)는, 상기 압착부(400)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압착부(400)로 부터 편평하게 된 수용부(40) 상면에 홀(41)을 형성시키는 부분이다. 상기 피어싱부(500)는 소재(10) 상부에 형성되고, 스트립퍼(510)와 상기 스트립퍼(510)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40)의 홀(41)을 형성시키는 피어싱펀치(5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피어싱부(500)는 상기 상부프레임(60)에 결합되며, 상부프레임(60)이 하강했을때 상기 피어싱펀치(520)가 상기 하부프레임(70) 상단부까지 약간 침투되어 상기 하부프레임(70)상에 놓여져 있는 소재(10)에 형성된 수용부(40) 상면에 구멍을 뚫게 된다. 이때 상기 피어싱펀치(520)에 대응되는 위치의 하부프레임(70)상에는 상기 피어싱펀치(520)의 침투된 부분이 들어올 수 있도록 함몰된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피어싱펀치(520) 외부에는 원통형상의 스트립퍼(510)(stripper)가 더 형성되어 상기 상부프레임(60)이 지속적으로 하강과 상승운동을 할 때 함께 움직이며, 하강시에는 스트립퍼(510)와 하부프레임(70)이 맞물려 소재(1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며, 또한 소재(10)를 프레임상에서 털어내어 다음 장치로의 이송이 원활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교정부(600)는, 상기 피어싱부(500)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피어싱부(500)에서 형성된 홀(41)을 다듬어 교정을 하는 부분으로 그 구성은 상기 드로잉부(300)와 동일하다. 즉 상하부펀치가 서로 부딪쳐 상기 수용부(40)의 내면과 외면을 다시 한번 매끄럽게 다듬고, 상부펀치에 의해서는 상기 수용부(40) 상면이 경사지지 않도록 편평하게 형성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외경성형부(700)는, 상기 교정부(600)에 연속하여 형성되고상기 케이스틀(30) 내부에 케이스외경(50)을 형성시키는 부분이다. 상기 피어부(100), 노칭부(200), 드로잉부(300), 압착부(400), 피어싱부(500), 교정부(600)까지 연속적으로 거치면서 형성된 제품은 케이스틀(30)과 그 중심에 수용부(40)가 형성된 형상이며, 상기 외경성형부(700)에 의해 케이스외경(50)의 절단예정홈을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외경성형부(700)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상기 드로잉부(300)와 동일하며, 다만 버링다이(311)의 외경이 케이스외경(50)과 동일하게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외경성형부(700)는 상기 케이스외경(50)의 절단면을 매끄럽게 형성시키기 위해서 다수개로 형성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트리밍부(800)는, 상기 외경성형부(700)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틀(30)에서 케이스외경(50)을 절단하여 분리시키게 되어 제품이 완성되게 된다. 상기 트리밍부(800)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상기 피어싱부(500)와 동일하게 형성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의 소재(10)가 되는 금속판을 상기 하부프레임(70) 상면에 소정 위치시킨다. 소재(10)는 일반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연속적으로 일렬로 배열된 각 장치를 통과하도록 한다. 소재(10)의 이송은 금형장치 외부에 있는 페달이나 롤러 등에 의해 당겨지면서 이송되게 된다.
첫 번째 장치로써 소재(10)는 피어부(100)를 통과하게 되는데, 상기 피어부(100)에 의해 소재(10)의 양측단부에 가이드홈(20) 즉 구멍이 형성된다. 이는 소재(10)가 비뚤어지지 않고 제위치를 찾도록 해주며, 소재(10)의 이송을 원활하게 한다. 상기 피어부(100)를 통과한 소재(10)는 노칭부(200)를 통과하게 되는데, 상기 노칭부(200)에 의해 소재(10)에 케이스틀(30)을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노칭부(200)를 통과한 소재(10)는 드로잉부(300)를 통과하게 되는데, 상기 드로잉부(300)는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하부펀치(312),(322)가 점차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최종적으로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 중심부에 형성된 수용부(40)를 다단계의 연속적인 드로잉 작업에 의해 형성시키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수용부(40)는 소재(10)의 두께 등으로 인해 아직 상면 모서리가 둥그스름하게 형성되어 있는데, 케이스의 편평도를 개선하기 위해서 상기 압착부(400)에 의해 상면을 압착하여 편평하게 만든다. 상기 압착부(400)를 통과한 소재(10)는 피어싱부(500)를 통과하게 되는데, 상기 피어싱부(500)는 상기 드로잉부(300)와 압착부(400)에 의해 형성된 수용부(40)의 상면에 샤프트가 수용될 홀(41)을 형성시키게 된다. 그 다음에는 교정부(600)를 거쳐 상기 수용부(40)를 매끈하게 다듬게 된다.
상기 교정부(600)까지 완성된 소재(10)는 그 다음 외경성형부(700)를 통과하게 되는데, 상기 외경성형부(700)는 상기 케이스틀(30) 내부에 케이스외경(50)을 형성시키며, 최종적으로 트리밍부(800)에 의해 상기 케이스틀(30) 내에서 케이스외경(50)을 분리시키면 수용부(40)의 편평도가 개선된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가 완성되게 된다.
상기 각 장치는 동시에 움직이게 되며, 소재(1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각 장치를 거친 소재(10)가 이송되면서 점차적으로 완제품에 이르게 된다. 본 고안에서 각 장치는 필요에 따라 그 개수를 다양하게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는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일련의 연속적으로 형성된 장치가 동시에 움직이며 제품을 제조하게 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다단계의 드로잉부와 압착부, 피어싱부로 인해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의 중심부에 형성된 수용부의 편평도가 월등히 개선되어, 진동모터의 수명과 진동력이 영구히 지속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상부다이와 하부다이가 상하운동하며 일련의 연속적인 공정의 드로잉 작업에 의해 중심부에 수용부가 형성된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를 성형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소재(10)의 양측단부에 가이드홈(20)을 형성시키는 피어부(100)와;
    상기 피어부(100)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케이스틀(30)을 형성시키는 노칭부(200)와;
    상기 노칭부(200)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일체로 움직이며 상기 케이스틀(30) 중심에 수용부(40)를 형성시키는 드로잉부(300)와;
    상기 드로잉부(300)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드로잉부(300)에서 최종적으로 형성된 수용부(40)의 상면을 편평하게 하는 압착부(400)와;
    상기 압착부(400)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압착부(400)로부터 편평하게 된 수용부(40) 상면에 홀(41)을 형성시키는 피어싱부(500)와;
    상기 피어싱부(500)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피어싱부(500)에서 형성된 홀(41)을 다듬는 교정부(600)와;
    상기 교정부(600)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틀(30) 내부에 케이스외경(50)을 형성시키는 외경성형부(700)와;
    상기 외경성형부(700)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틀(30)에서 케이스외경(50)을 분리시키는 트리밍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 성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잉부(300)는,
    소재(10)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40)의 외경을 결정짓는 버링다이(311)와, 상기 버링다이(311) 내부에 형성되어 상하운동하는 상부펀치(312)로 이루어진 상판드로잉부(310)와;
    소재(10) 하부에 형성되고, 스트립퍼(321)와, 상기 스트립퍼(321) 내부에 형성되어 소정 높이까지 상부로 돌출되게 상하운동하는 하부펀치(322)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부(40)의 내경과 높이를 결정짓는 하판드로잉부(3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 성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잉부(300)는,
    상기 상부펀치(312)와 상기 하부펀치(322)의 지름이 점차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40)가 소정 크기의 직경과 높이를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 성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어싱부(500)는,
    소재(10) 상부에 형성되고, 스트립퍼(510)와, 상기 스트립퍼(510)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40)의 홀(41)을 형성시키는 피어싱펀치(5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 성형장치.
KR20-2003-0032818U 2003-10-20 2003-10-20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 성형장치 KR2003400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818U KR200340021Y1 (ko) 2003-10-20 2003-10-20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818U KR200340021Y1 (ko) 2003-10-20 2003-10-20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0021Y1 true KR200340021Y1 (ko) 2004-01-28

Family

ID=49423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2818U KR200340021Y1 (ko) 2003-10-20 2003-10-20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0021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457B1 (ko) 2009-09-23 2011-05-17 성신아이앤텍 주식회사 진동모터 케이스 제조방법
KR101342902B1 (ko) * 2013-06-25 2013-12-23 이형민 자동차 에이비에스 유닛용 어퍼 케이스의 제조 장치
KR101342903B1 (ko) * 2013-06-25 2013-12-23 이형민 자동차 에이비에스 유닛용 어퍼 케이스의 제조 방법
KR101342904B1 (ko) * 2013-06-25 2013-12-23 이형민 자동차 에이비에스 유닛용 어퍼 케이스의 제조 장치
KR101350904B1 (ko) * 2013-06-25 2014-01-16 이형민 자동차 에이비에스 유닛용 어퍼 케이스의 제조 방법
KR101449647B1 (ko) 2012-11-15 2014-10-14 신한정밀(주) 모바일기기용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케이스의 포밍 방법 및 그 케이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457B1 (ko) 2009-09-23 2011-05-17 성신아이앤텍 주식회사 진동모터 케이스 제조방법
KR101449647B1 (ko) 2012-11-15 2014-10-14 신한정밀(주) 모바일기기용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케이스의 포밍 방법 및 그 케이스
KR101342902B1 (ko) * 2013-06-25 2013-12-23 이형민 자동차 에이비에스 유닛용 어퍼 케이스의 제조 장치
KR101342903B1 (ko) * 2013-06-25 2013-12-23 이형민 자동차 에이비에스 유닛용 어퍼 케이스의 제조 방법
KR101342904B1 (ko) * 2013-06-25 2013-12-23 이형민 자동차 에이비에스 유닛용 어퍼 케이스의 제조 장치
KR101350904B1 (ko) * 2013-06-25 2014-01-16 이형민 자동차 에이비에스 유닛용 어퍼 케이스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2922B2 (ja) ラック軸の製造方法
KR200340021Y1 (ko)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 성형장치
US5263353A (en) Punch and die apparatus for producing flat stamped contact devices having improved contact edge surfaces
KR20050051624A (ko) 스냅링의 제조방법 및 스냅링 가공금형
CN101102858A (zh) 用于对离合器盘和最终产品进行冲压和去毛刺的装置和方法
KR101968097B1 (ko) 배선용 압착단자 및 그 배선용 압착단자의 제조방법
KR100523564B1 (ko) 포밍장치를 이용한 정류자 금구 제조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30860A (ko) 판재를 이용한 스트러트 베어링 케이스 제조방법
CN113872000B (zh) 一种外导体压接装置
EP314704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ging heterogeneous material
KR100536212B1 (ko) 적층 코아 제조 장치
KR20050118941A (ko) 전자부품 등의 측벽홀의 천공을 위한 금형천공장치
CN201639075U (zh) 电连接器的驱动构件
KR101034457B1 (ko) 진동모터 케이스 제조방법
KR102284221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 장치
CN212494927U (zh) 一种铝板曲面成型装置
KR100189567B1 (ko) 베이스 링의 성형 금형장치 및 성형방법
KR100717383B1 (ko) 타원 요크 제조용 금형장치
CN107030193A (zh) 带有冲孔机构的拉伸模具
KR100323241B1 (ko) 통신기기용 부져의 요크 제조방법과 그 제조장치 및 요크
KR101624588B1 (ko) 박형 금속 재료를 이용한 베어링부를 갖는 소형 모터 케이스의 제조 방법
CN207564107U (zh) 一种金属板条的压断、弯曲一体化生产线
JP4867502B2 (ja) プレス加工装置
CN220406805U (zh) 应用于调节偏心件的生产装置
CN214022867U (zh) 一种偏心冲压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2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