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647B1 - 모바일기기용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케이스의 포밍 방법 및 그 케이스 - Google Patents

모바일기기용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케이스의 포밍 방법 및 그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647B1
KR101449647B1 KR1020120129524A KR20120129524A KR101449647B1 KR 101449647 B1 KR101449647 B1 KR 101449647B1 KR 1020120129524 A KR1020120129524 A KR 1020120129524A KR 20120129524 A KR20120129524 A KR 20120129524A KR 101449647 B1 KR101449647 B1 KR 101449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case
vibrator
progressive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9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5527A (ko
Inventor
최상묵
Original Assignee
신한정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정밀(주) filed Critical 신한정밀(주)
Priority to KR1020120129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647B1/ko
Publication of KR20140065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26Making machine elements housings or supporting parts, e.g. axle housings, engine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2Die forging; Trimming by making use of special dies ; Punching during fo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9/00Forging presses
    • B21J9/02Special design or construction
    • B21J9/022Special design or construction multi-stage forging pres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용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케이스의 포밍 방법 및 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공장소나 회의장, 공연장에서 음향신호 발생으로 타인의 집중을 방해한다. 이러한 피해가 없도록 휴대전화나 스마트폰 등 모바일기기에 착신되는 통화나 메시지를 즉시로 알리기 위하여 장착되는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케이스의 포밍 방법 및 그 케이스에 있어서
(a) 제1 및 제2 금속패널 준비단계; (b-1) 제1금속패널를 가공하여 브리지와 함께 케이스 바디용 제1성형부의 윤곽을 형성하는 프로그레시브 제1윤곽따내기 단계; (b-2) 제1금속패널의 제1성형부를 단조 가공하여 일방이 개구된 수용부를 갖는 케이스 바디를 가공하는 프로그레시브 제1메인포징(main forging) 단계; 및 (b-3) 상기 (b-2)단계와 동시에 개구부 둘레 내주면에 단턱부를 형성하기 위한 프로그레시브 제1서브포징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모바일기기용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케이스의 포밍 방법 및 그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바일기기용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케이스의 포밍 방법 및 그 케이스{FORMING METHOD FOR VIBRATION CASE AND CASE THEREOF}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용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케이스의 포밍 방법 및 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전화나 스마트폰 등 모바일기기에 착신되는 통화나 메시지를 즉시로 알리기 위하여 장착되는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케이스의 포밍 방법 및 그 케이스에 있어서
케이스바디와 장착되는 캡이 하나의 케이스로 형성되어 있어서 내부의 진동모터에 의하여 서로 분리되거나 파손되어 소음이 발생하거나 모바일기기의 고장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바이브레이터를 감싸는 케이스와 그 캡의 장착의 보장을 위하여 케이스 바디를 가공하는 제1메인포징 단계와 동시에 개구부 둘레 내주면에 단턱부를 형성하기 위한 프로그레시브 제1서브포징 단계를 도입함으로써,
별도의 공정없이 케이스 바디와 캡이 안전하게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됨과 동시에 바디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케이스에 바이브레이터를 삽입한 후 캡과 장착할 때 케이스 바디와 캡이 유효하게 커링 장착될 수 있어 보다 견고하고 내구성이 향상된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술의 발달로 모바일기기가 점점 작아지고 얇아짐에 따라 장착되는 모바일기기용 바이브레이터도 충분한 진동을 발생시키면서 동시에 작고, 얇고, 가벼워야 한다는 요청을 받고 있다.
이러한 요청에 의하여 진동모터의 소형화와 강한 진동성을 견고하게 뒷받침해줄 수 있는 진동모터의 케이스도 같이 발전하고 있다. 이에 진동모터의 케이스도 같이 발달하여 진동모터를 안전하게 구비되게 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지는바,
회전형 모터를 이용한 진동모터와 상하부 금형 다이의 구조를 개선하여 편평도를 높인 모터 등 여러 가지의 종류로 구비된 모터를 장착하는 케이스는 크기와 구성도만 맞게 하여 제작되어 지고 있다. 이로 인하여 모터가 장착되는 케이스의 내구성이나 케이스의 견고함을 무시하여 모터와 케이스가 진동 중에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종래의 배경이 되는 관련된 기술로써,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63256호(등록일자 2012년10월19일)의 “휴대 정보기기용 진동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스,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태를 이루는 몸체 중의 열린 일단이 고정 설치되며 전원이 인가될 수 있는 코일, 상기 코일의 열린 타단 주변에 설치되는 진동부, 상기 진동부를 상기 케이스에 진동 가능하게 고정하고 있는 탄성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휴대 정보기기용 진동발생 장치에 있어서, 전체 코일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지만 공통의 중심축으로부터의 반경을 달리하여 반경이 작은 쪽이 반경이 큰 쪽의 내측에 설치되며, 전원에 연결되었을 때에는 인접한 둘 사이에는 전류 방향이 서로 반대인 관계가 있는 복수의 코일로 이루어지고, 진동부는, 하단이 가장 내측 코일의 열린 타단 입구를 통해 가장 내측 코일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중심부자석과, 하단이 복수의 코일 가운데 인접한 두 코일 사이 공간에 위치하도록 중심부자석 주변에 동심적으로 설치되는 고리모양의 하나 이상의 중간부자석과, 하단이 가장 외측 코일의 외측인 아래쪽으로 신장되어 가장 외측 코일 외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고리모양의 주변부자성체, 이들 자석 및 주변부자성체의 상단을 커버하면서 연결하는 상부 요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인접한 자석 및 주변부자성체 사이에는 자극 극성이 서로 다르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등록고안은 케이스와 브라켓에 진동발생 장치의 일부가 서로 장착되어 하나의 진동발생 장치를 이룬다. 이 진동발생 장치가 진동에 의하여 작동할 때 케이스와 브라켓의 연결부위가 견고하지 못해 서로 분리되거나 오래되지 않아 브라켓이 떨어져 나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케이스와 브라켓을 용접하거나 따로 결합하는 공정이 추가되어야 해서 하나의 공정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투입되는 제작 환경을 보아 작업효율성과 단가경쟁력에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 실용신안등록 제20-0340021호(등록일자 2004년01월15일)의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다이와 하부다이가 상하운동하며 일련의 연속적인 공정의 드로잉 작업에 의해 중심부에 수용부가 형성된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를 성형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소재의 양측단부에 가이드홈을 형성시키는 피어부와; 상기 피어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케이스틀을 형성시키는 노칭부와; 상기 노칭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일체로 움직이며 상기 케이스틀 중심에 수용부를 형성시키는 드로잉부와; 상기 드로잉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드로잉부에서 최종적으로 형성된 수용부의 상면을 편평하게 하는 압착부와; 상기 압착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압착부로부터 편평하게 된 수용부 상면에 홀을 형성시키는 피어싱부와; 상기 피어싱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피어싱부에서 형성된 홀을 다듬는 교정부와; 상기 교정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틀 내부에 케이스외경을 형성시키는 외경성형부와;상기 외경성형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틀에서 케이스외경을 분리시키는 트리밍부;를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 성형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일련의 연속적으로 형성된 장치가 동시에 움직이며 제품을 제조하게 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다단계의 드로잉부와 압착부, 피어싱부로 인해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의 중심부에 형성된 수용부의 편평도가 월등히 개선되어, 진동모터의 수명과 진동력이 영구히 지속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고안은 케이스와 브라켓에 진동발생 장치의 일부가 서로 장착되어 하나의 진동발생 장치를 이룬다. 이 진동발생 장치가 진동에 의하여 작동할 때 케이스와 브라켓의 연결부위가 견고하지 못해 서로 분리되거나 오래되지 않아 브라켓이 떨어져 나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케이스와 브라켓을 용접하거나 따로 결합하는 공정이 추가되어야 해서 하나의 공정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투입되는 제작 환경을 보아 작업효율성과 단가경쟁력에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등록 제10-0729708호(등록일자 2007년06월12일)의 “휴대폰 단말기의 쉴드켄을 프레스 공정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스테인레스나 티타늄(titanium) 강판소재를 프레스상, 하부 금형에 의해 소정의 외형을 절단하는 단계, 외형을 갖춘 강판소재를 단계별 드로잉에 의해 테두리단과 분리벽을 돌출하여 차폐구역을 형성하는 단계, 테두리단과 분리벽의 상부면에 펀칭에 의해 핑거스트립 형성을 위한 다수의 엠보싱돌기를 가공하는 단계, 엠보싱돌기를 절단과 굽힘 가공으로 핑거스트립을 돌출시키는 단계, 차폐구역에 인쇄회로 기판의 소자의 방열구멍과 테두리단에 휴대폰 단말기의 키패드부위와 나사체결로 접지효과를 갖는 체결구멍을 천공하는 단계, 테두리단의 필요없는 부분을 절단하는 단계에 의해 연속적으로 쉴드캔을 제조하는 방법에 특징이 있다.
하지만 상기 등록특허는 케이스 제조공정에서 케이스와 캡의 장착을 유도할 수 있는 단턱부가 없어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게 됨으로써 추가적인 비용과 시간이 투입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추가적인 다단의 프레스 공정에 의해서 제조원가가 증가하여 단가경쟁력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 별도의 공정으로 케이스와 캡의 결합을 성형하기 위해 원재를 절단, 절곡, 용접 등과 같은 다수의 가공 공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작업 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와, 또한 용접에 의하여 접합된 각 모서리 부분의 결합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고, 이로 인한 제품의 불량률이 높아져 경제적인 손실을 부담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 특허등록 제10-0511362호(등록일자 2005년08월23일)의 “진동모터의 지지구조 및 고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모터의 지지구조는 무게 중심이 편심된 로터와, 상기 로터의 베어링에 삽입되는 샤프트와, 상기 코일에 대항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마그넷과, 상기 로터의 하면에 원주 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는 커뮤테이터와, 상기 커뮤테이터에 접촉되는 최소한 한 쌍의 브러쉬와, 상기 한 쌍의 브러쉬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하측은 외부로 드러나 전기 선로와 접촉되며,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동심원 형상을 하는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와, 상기 제 1 단자 및/또는 제 2 단자가 고정되기 위한 몰드로서 베이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록특허에 따른 진동 모터의 지지 구조는 진동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진동모터에서 발생된 진동이 감쇠되는 중간 매개체가 없으므로, 진동모터에서의 진동전달이 극대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모터의 지지 구조는 그 견고성으로 인하여 오랜 시간이 지난다 할 지라도, 안정성이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의 부품이 사용되는 것을 지양하고, 솔더 크림이 도포된 상태에서 적온의 가열 작업만으로 진동 모터가 고정됨으로써, 제작 공정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소요되는 부품의 수가 줄어들 수 있어 제조원가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는 상측 하우징과 하측 하우징과의 결합을 위하여 다른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고 용접이나 가열 작업등 다른 공정으로 인하여 내부의 진동 모터가 파손되거나 손상될 위험이 있고, 하우징과의 결합 과정을 경시하여 내부의 진동모터는 이상이 없지만 상측 하우징과 하측 하우징과의 분리에 의하여 모터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 프로그레시브 공정에 여러 단계를 거치며 제작되는 케이스를 성형하던 것을 제1금속패널를 가공하여 브리지와 함께 케이스 바디용 제1성형부의 윤곽을 형성하는 프로그레시브 제1윤곽따내기 단계와 제1금속패널의 제1성형부를 단조 가공하여 일방이 개구된 수용부를 갖는 케이스 바디를 가공하는 프로그레시브 제1메인포징(main forging) 단계를 동시에 개구부 둘레 내주면에 단턱부를 형성하기 위한 프로그레시브 제1서브포징 단계를 도입함으로써 케이스 바디와 캡의 결합을 커링 장착할 수 있어 추가적인 공정없이 제품을 생산함으로써 제품의 생산성 및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모바일기기용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케이스의 포밍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1서브포징 단계에서 단턱부만이 케이스 바디의 개구부 내주면에 점진적으로 형성되어 한번의 공정으로 단턱부를 생성하지 않고, 복수의 단계를 거쳐 단턱부가 안정적으로 형성되고, 동시에 케이스 바디의 수용부 중앙에 지지 융기부의 점진적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불량률을 낮추고 제품의 신뢰성과 공정의 단계를 줄임으로써 제품의 생산성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모바일기기용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케이스의 포밍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제1메인포징 단계에서는 상기 융기부 내측에 복수의 미세요철의 형성이 이루어져 있어 융기부의 상단 혹은 하단에 장착되어 지는 바이브레이터의 일부분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바이브레이터와 케이스 및 캡과의 장착이 견고하고 보다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모바일기기용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케이스의 포밍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제2금속패널을 가공하여 브리지와 함께 캡용 제2성형부의 윤곽을 형성하는 프로그레시브 제2윤곽따내기 단계와 제2성형부를 단조 가공하여 중앙에 지지돌기부를 형성하는 프로그레시브 제2메인포징단계를 진행하고,
동시에 캡용 제2성형부 테두리에 결합 플렌지를 형성하기 위한 프로그레시브 제2서브포징 단계가 더 진행되어 캡의 플렌지 높이를 케이스 바디의 단턱부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도록 하여 권취(curling) 처리되어 장착할 수 있어서 케이스 내부의 바이브레이터의 보전을 보다 신뢰할 수 있고, 케이스와 캡과의 장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모바일기기용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케이스의 포밍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케이스의 포밍 방법은
(a) 제1 및 제2 금속패널 준비단계;
(b-1) 제1금속패널을 가공하여 브리지와 함께 케이스 바디용 제1성형부의 윤곽을 형성하는 프로그레시브 제1윤곽따내기 단계;
(b-2) 제1금속패널의 제1성형부를 단조 가공하여 일방이 개구된 수용부를 갖는 케이스 바디를 가공하는 프로그레시브 제1메인포징(main forging) 단계; 및
(b-3) 상기 (b-2)단계와 동시에 개구부 둘레 내주면에 단턱부를 형성하기 위한 프로그레시브 제1서브포징(sub forging)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케이스의 포밍 방법은
상기 (b-3)제1서브포징 단계는 단턱부만이 케이스 바디의 개구부 내주면에 점진적으로 형성되며, 최종적으로 외주면은 매끈하고,
상기 (b-2)제1메인포징 단계에서는 케이스 바디의 수용부 중앙에 지지 융기부의 점진적 성형이 이루어지고,
상기 (b-2)제1메인포징 단계에서는 상기 융기부 내측에 복수의 미세요철 형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케이스의 포밍 방법은
(c-1) 제2금속패널를 가공하여 브리지와 함께 캡용 제2성형부의 윤곽을 형성하는 프로그레시브 제2윤곽따내기 단계;
(c-2) 제2금속패널의 제2성형부를 단조 가공하여 중앙에 지지 돌기부를 형성하는 프로그레시브 제2메인포징(main forging) 단계; 및
(c-3) 상기 (c-2)단계와 동시에 테두리에 결합 플렌지를 형성하기 위한 프로그레시브 제2서브포징 단계;
가 더 진행되며,
상기 (c-3)제2서브포징에서는 가공 완성된 캡의 노출면을 플렌지에 대하여 상승시키는 서포트가 형성되며,
(c-3)제2서브포징단계에서의 완성된 플렌지의 높이는 (b-3)제1서브포징 단계에서의 완성된 케이스 바디의 단턱부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케이스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 하면을 막고 있는 저면부와,
상기 측벽부와 저면부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수용부,
상기 측벽부의 상부에 구비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 둘레 측벽부 내주면 상부에 형성된 단턱부와,
상기 저면부 중앙에 형성된 융기부와,
상기 융기부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미세요철이
일체로 형성된, 프로그레시브 프레스 가공에 의한 바디; 및
노출면과,
상기 노출면 둘레의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단턱부에 결합되는 플렌지와,
상기 플렌지에 대하여 상기 노출면이 더 높게 지지·연결하는 서포트가
일체로 형성된, 프로그레시브 프레스 가공에 의한 캡;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캡의 플렌지 높이는 상기 바디의 단턱부 높이보다 낮고,
바이브레이터의 바디 수용부 안치 후, 상기 캡의 플렌지가 상기 단턱부에 결합되도록 한 후 상기 단턱부의 상단은 내측으로 권취(curling)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케이스의 포밍 방법 및 그 케이스는 (a) 제1 및 제2 금속패널 준비단계와 (b-1) 제1금속패널을 가공하여 브리지와 함께 케이스 바디용 제1성형부의 윤곽을 형성하는 프로그레시브 제1윤곽따내기 단계, (b-2) 제1금속패널의 제1성형부를 단조 가공하여 일방이 개구된 수용부를 갖는 케이스 바디를 가공하는 프로그레시브 제1메인포징(main forging) 단계 및 (b-3) 상기 (b-2)단계와 동시에 개구부 둘레 내주면에 단턱부를 형성하기 위한 프로그레시브 제1서브포징(sub forging) 단계를 거치면서 일방이 개구된 수용부를 갖는 케이스 바디에 단턱부가 형성되는 공정이 점진적으로 같이 이루어지면서 제작공정을 줄이고, 단턱부의 형성이 점진적으로 형성되어 불량률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으면서 캡과 커링장착할 수 있도록 생산효율성 또한 확보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공정의 단계를 줄이면서 단가경쟁력이 우수하며, 시간이 단축됨으로 인하여 작업효율성이 향상되어 시장경쟁력이 우수한 케이스를 제작하는 방법과 그 케이스를 제공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케이스의 포밍 방법 및 그 케이스의 성형 공정을 나타내는 대략적인 흐름관계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케이스의 포밍 방법 및 그 케이스의 금속패널의 성형 공정단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케이스의 포밍 방법 및 그 케이스의 성형 공정단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케이스의 분리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b-1), (b-2), (b-3)단계에서 각 단계는 여러 공정 중에 포함되어 있는 한 단계에 있고, 이 단계는 한 가지의 단계별로 진행되는 것이 아닌 복수의 단계로 진행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단계들이 진행되어지면서 복수의 단계가 모여 하나의 공정을 이루고 있다. 각 단계에서 “동시에”라는 의미는 복수의 단계들 중 각 단계들이 서로 일부 중첩될 수 있고, 또는 모두가 중첩될 수 있다는 의미이며 서로 꼭 동시에 같은 단계를 밟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예를 들어 (b-1)의 단계가 A,B,C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면, (b-2)와 (b-3)단계가 C단계와 중첩될 수 있고, B-C단계와 중첩될 수 있고, A-B-C 단계와 모두 중첩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케이스의 포밍 방법(M) 및 그 케이스(C)를 설명함에 있어서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도시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 좌우, 전후를 나누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케이스(C)의 포밍 방법은
(a) 제1 금속패널 준비단계;
(b-1) 제1금속패널을 가공하여 브리지(30)와 함께 케이스 바디(10)용 제1성형부의 윤곽을 형성하는 프로그레시브 제1윤곽따내기 단계;
(b-2) 제1금속패널의 제1성형부를 단조 가공하여 일방이 개구된 수용부(40)를 갖는 케이스 바디(10)를 가공하는 프로그레시브 제1메인포징(main forging) 단계; 및
(b-3) 상기 (b-2)단계와 동시에 개구부(13) 둘레 내주면에 단턱부(14)를 형성하기 위한 프로그레시브 제1서브포징(sub forging)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케이스의 포밍 방법에서, 상기 (a)단계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판상의 제1 및 제2 금속패널(S)에 브리지(30)를 가공하거나 상기 금속패널에 성형부를 중심으로 그 주변에 노칭(notching) 또는 블랭킹(blanking) 가공, 또는 이들 모두에 의하여 노칭홀 또는 블랭킹홀, 또는 노칭홀 및 블랭킹홀을 천공하여 금속패널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성형부의 드로잉 가공이나 포징 가공 시 금속패널의 성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케이스의 포밍 방법에서, 상기 (b-1)단계는
상기 제 1 금속패널을 가공하여 브리지(30)와 함께 케이스 바디(10)용 제 1 성형부의 윤곽을 형성하는 프로그레시브 제 1 윤곽따내기 단계이다.
또 상기 (b-2)단계는 상기 제 1 금속패널의 제 1 성형부를 단조 가공하여 일방이 개구된 수용부(40)를 갖는 케이스 바디(10)를 가공하는 프로그레시브 제 1 메인포징단계이다.
본 발명에 따른 (b-1)단계 또는 (b-2)단계, 또는 두 단계 모두에서는 케이스 내부에 복수의 미세요철(17) 형성이 이루어지도록 제1펀치 또는 제2펀치, 또는 모두의 펀치 하단부에 너링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너링부(미도시)에 의하여 케이스 내부에 복수의 미세요철(17)이 형성되는데 이 미세요철(17)부분에 접착재료의 투입흡수량이 더욱 많아지고 미끄러지기 쉬운 판 형상에서 마찰력이 있는 미세요철(17)부분이 생성됨으로 인하여 바이브레이터와의 연결부위가 더욱 견고하게 접착되어 질 수 있다.
종래에는 케이스가 연결부위 없이 매끈하게 제작되어 바이브레이터의 부품들과 제작 시 접착이 어려웠다. 접착이 되더라도 바이브레이터의 특성상 자주 진동이 발생하여 케이스와 바이브레이터가 오래되지 않아도 분리되어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케이스 내부에 복수의 미세요철(17)이 형성되어 마찰력을 높이고 접착재료의 투입흡수량을 더욱 높여 새로운 공정은 줄이고 보다 견고하게 케이스와 바이브레이터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b-2)단계인 제 1 메인포징단계에서는 케이스 바디(10)의 수용부(40) 중앙에 지지 융기부(16)의 점진적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케이스 바디(10)의 하단면과 맞닿는 다이에 돌출부가 본래의 융기부(16)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융기부(16)를 유도할 수 있다.
즉, 융기부(16)를 낮게 유도하는 포밍단계를 거쳐 다음 단계에서 융기부(16)를 형성하기 위하여 한번에 많은 응력을 집중하지 않아 불량률을 줄이면서 확고하게 융기부(16)의 자리를 잡을 수 있다.
또 (b-3)단계인 제 1 서브포징단계에서 상기 (b-2)단계를 모두 포함하여 본래의 융기부(16) 높이와 같이 바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b-3)단계는 상기 (b-2)단계와 동시에 개구부(13) 둘레 내주면에 단턱부(14)를 형성하기 위한 프로그레시브 제 1 서브포징 단계가 포함되어 있어 공정을 줄이면서 점진적으로 단턱부(14)를 형성하여 케이스의 생산과정에서 완성품의 불량률을 줄이고 제작시간이 단축되어 작업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케이스의 포밍 방법에서 캡(20)의 성형과정은
(a) 제 2 금속패널 준비단계,
(c-1) 제 2 금속패널을 가공하여 브리지(30)와 함께 캡(20)용 제 2 성형부의 윤곽을 형성하는 프로그레시브 제 2 윤곽따내기 단계,
(c-2) 제 2 금속패널의 제 2 성형부를 단조 가공하여 중앙에 지지 돌기부(24)를 형성하는 프로그레시브 제 2 메인포징(main forging) 단계,
(c-3) 상기 (c-2)단계와 동시에 테두리에 결합 플렌지(22)를 형성하기 위한 프로그레시브 제 2 서브포징 단계가 더 진행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c-3) 제 2 서브포징단계에서는 가공 완성된 캡(20)의 노출면(21)을 플렌지(22)에 대하여 상승시키는 서포트(23)가 형성되며, 상기 완성된 플렌지(22)의 높이는 (b-3) 제 1 서브포징 단계에서의 완성된 케이스 바디(10)의 단턱부(14)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단턱부(14)의 외측에서 커링하여 캡(20)을 감쌀 수 있다.
상기 단턱부(14)보다 낮은 플렌지(22)의 높이로 인하여 커링에 의한 결합이 가능하여 바이브레이터를 장착한 후 캡(20)과 케이스 바디(10)의 견고한 장착을 별도의 용접(아크, 레이저) 등과 같은 다수의 번거로운 작업 공정에서 탈피하여 작업 단순화를 통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케이스의 포밍 방법은
[a]에서 제1 및 제2 금속패널 준비단계
[b-1]에서 제1 또는 제2 금속패널을 가공하여 브리지(30)와 함께 케이스 바디(10)용 제1성형부의 윤곽을 형성하는 프로그레시브 제1 또는 제2 윤곽따내기 단계
[b-2]에서 제1 또는 제 2금속패널의 제1 또는 제2 성형부를 단조 가공하여 일방이 개구된 수용부(40)를 갖는 케이스 바디(10)를 가공하는 프로그레시브 제1 또는 제2 메인포징(main forging) 단계
[b-3]은 상기 (b-2)단계와 동시에 개구부(13) 둘레 내주면에 단턱부(14)를 형성하기 위한 프로그레시브 제1 또는 제2 서브포징 단계를 거쳐 생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공정에 따라 제작된 모바일기기용 바이브레이터의 케이스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케이스는 크게 바디(10)와 캡(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바디(10)는 측벽부(11)와, 상기 측벽부(11) 하면을 막고 있는 저면부(12)와, 상기 측벽부(11)의 상부에 구비된 개구부(13)와, 상기 개구부(13) 둘레 측벽부(11) 내주면 상부에 형성된 단턱부(14)와, 상기 저면부(12) 중앙에 형성된 융기부(16)와, 상기 융기부(16)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미세요철(17)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벽부(11)는 단턱부(14)와 개구부(13)를 모두 포함하고 있고, 외측면이 매끈하게 이루어져 있는 얇은 두께로 이루어진 바디(10)의 측면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저면부(12)는 복수개의 고정홈(18)이 형성되어 있어 바이브레이터 장착 공정 중에 움직이지 않고 안정된 고정이 이루어져 작업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고정홈(18)은 1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고정홈(18)은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디(10)의 내측 바닥면에는 1개 이상의 방향제시홈(15)이 관통된 형상으로 뚫려 있어 바이브레이터 장착 공정 중에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되어 제작되어 질 수 있다.
또 상기 융기부(16) 내측에는 형성된 복수의 미세요철(17)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융기부(16)와 융기부(16)의 미세요철(17)에 접착재료가 투입되어 바이브레이터 연결부위에 접촉면적을 늘릴 수 있고 마찰력이 형성되도록 하여 보다 견고하게 바이브레이터와 바디(10)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10)의 개구부(13) 둘레 측벽부(11) 내주면에 단턱부(14)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단턱부(14)에 플렌지(22)가 안전하고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바디(10)의 개구부(13) 둘레 외단면에 분리홈(19)이 더 형성되어 있어 바디(10) 내부에 장착된 바이브레이터와 연결된 외부전선 등이 교통할 수 있고, 각 외부선들의 입출입 구분이 쉽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5 참조)
또 상기 캡(20)의 노출면(21) 중앙 하단면에 돌기부(2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부(24) 내측 면에 복수의 미세요철(17)이 형성되어 있어 바이브레이터의 연결부위가 상기 돌기부(24)에 놓여져 투입되는 접착재료가 충분해지고 마찰력이 형성되어 더욱 견고하게 바이브레이터의 연결부위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돌기부(24)는 상기 바디(10)의 하단면에서부터 솟아 오른 형태인 융기부(16)와는 달리 노출면(21)의 상단이 편평하게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20)의 노출면(21)은 상기 바디(10)와 상응하도록 형성되어 바디(10)의 개구부(13)를 덮어서 장착할 수 있고, 상기 캡(20)의 노출면(21)이 서포트(23)와 연결되어 플렌지(22)가 구비되어 질 수 있다.
상기 플렌지(22)는 상기 바디(10)의 단턱부(14)에 결착되고, 결착된 후 결착되지 않은 단턱부(14)의 상단은 상기 캡(21)의 상단면의 높이보다 낮거나 높을 수 있다. 더 바람직하기로는 결착되지 않은 단턱부(14)의 상단은 상기 캡(21)의 상단면보다 같거나 높을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결착되지 않은 단턱부(14)의 상단은 상기 캡(21)의 상단면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캡(20)의 플렌지(22) 높이는 상기 바디(10)의 단턱부(14) 높이보다 낮고, 바이브레이터의 바디(10) 내로 안치 후, 상기 캡(20)의 플렌지(22)가 상기 단턱부(14)에 결합되도록 한 후 상기 단턱부(14)의 상단은 내측으로 권취(curling) 처리되도록 하여 바디(10)와 캡(20)의 공정에 추가적인 공정없이 바디(10)와 캡(20)의 결합을 쉽게 유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캡(20)과 바디(10)의 권취 결합으로 인하여 캡(20)과 바디(10)에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이 강하게 이루어져도 쉽게 분리되거나 떨어지지 않아 내구성이 높아지고, 따로 용접(아크, 레이저) 등과 같은 다수의 번거로운 작업 공정에서 탈피하여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케이스의 포밍 방법(M) 및 그 케이스(C)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M : 모바일기기용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케이스의 포밍 방법
S: 제 1 및 제 2 금속패널 C: 케이스
10: 바디 11: 측벽부
12: 저면부 13: 개구부
14: 단턱부 15: 방향제시홈
16: 융기부 17: 미세요철
18: 고정홈 19: 분리홈
20: 캡 21: 노출면
22: 플렌지 23: 서포트
24: 돌기부 30: 브리지
40: 수용부
S100 : (a)단계 S200 : (b)단계
S300 : (c)단계 S400 : (d)단계

Claims (6)

  1. (a) 제1 및 제2 금속패널 준비단계;
    (b-1) 제1금속패널을 가공하여 브리지와 함께 케이스 바디용 제1성형부의 윤곽을 형성하는 프로그레시브 제1윤곽따내기 단계;
    (b-2) 제1금속패널의 제1성형부를 단조 가공하여 일방이 개구된 수용부를 갖는 케이스 바디를 가공하는 프로그레시브 제1메인포징(main forging) 단계; 및
    (b-3) 상기 (b-2)단계와 동시에 개구부 둘레 내주면에 단턱부를 형성하기 위한 프로그레시브 제1서브포징 단계;
    를 포함하고,
    (c-1) 제2금속패널을 가공하여 브리지와 함께 캡용 제2성형부의 윤곽을 형성하는 프로그레시브 제2윤곽따내기 단계;
    (c-2) 제2금속패널의 제2성형부를 단조 가공하여 중앙에 지지 돌기부를 형성하는 프로그레시브 제2메인포징(main forging) 단계; 및
    (c-3) 상기 (c-2)단계와 동시에 테두리에 결합 플렌지를 형성하기 위한 프로그레시브 제2서브포징 단계;
    가 더 진행되며,
    상기 (b-2)제1메인포징 단계에서는 케이스 바디의 수용부 중앙에 지지 융기부의 점진적 성형이 이루어지고,
    상기 (b-2)제1메인포징 단계에서는 상기 융기부 내측에 복수의 미세요철 형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케이스의 포밍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3)제1서브포징 단계는 단턱부만이 케이스 바디의 개구부 내주면에 점진적으로 형성되며, 최종적으로 외주면은 매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케이스의 포밍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2)제1메인포징단계는 케이스 바디의 수용부 중앙에 지지 융기부의 점진적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케이스 바디의 하단면과 맞닿는 다이에 돌출부가 본래의 융기부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융기부를 유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케이스의 포밍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3)제2서브포징 단계에서는 가공 완성된 캡의 노출면을 플렌지에 대하여 상승시키는 서포트가 형성되며,
    (c-3)제2서브포징단계에서의 완성된 플렌지의 높이는 (b-3)제1서브포징 단계에서의 완성된 케이스 바디의 단턱부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케이스의 포밍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2)제1메인포징단계에서 케이스 내부에 미세 요철을 형성하는 펀치의 하단부에는 너링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케이스의 포밍 방법.
  6.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 하면을 막고 있는 저면부와,
    상기 측벽부와 저면부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수용부,
    상기 측벽부의 상부에 구비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 둘레 측벽부 내주면 상부에 형성된 단턱부와,
    상기 저면부 중앙에 형성된 융기부와,
    상기 융기부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미세요철이
    일체로 형성된, 프로그레시브 프레스 가공에 의한 바디; 및

    노출면과,
    상기 노출면 둘레의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단턱부에 결합되는 플렌지와,
    상기 플렌지에 대하여 상기 노출면이 더 높게 지지·연결하는 서포트가
    일체로 형성된, 프로그레시브 프레스 가공에 의한 캡;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캡의 플렌지 높이는 상기 바디의 단턱부 높이보다 낮고,
    바이브레이터의 바디 수용부 안치 후, 상기 캡의 플렌지가 상기 단턱부에 결합되도록 한 후 상기 단턱부의 상단은 내측으로 권취(curling)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케이스.
KR1020120129524A 2012-11-15 2012-11-15 모바일기기용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케이스의 포밍 방법 및 그 케이스 KR101449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524A KR101449647B1 (ko) 2012-11-15 2012-11-15 모바일기기용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케이스의 포밍 방법 및 그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524A KR101449647B1 (ko) 2012-11-15 2012-11-15 모바일기기용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케이스의 포밍 방법 및 그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527A KR20140065527A (ko) 2014-05-30
KR101449647B1 true KR101449647B1 (ko) 2014-10-14

Family

ID=50892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9524A KR101449647B1 (ko) 2012-11-15 2012-11-15 모바일기기용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케이스의 포밍 방법 및 그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6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485Y1 (ko) 2000-07-19 2001-01-15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모터용 하우징
JP2001170563A (ja) 2000-10-20 2001-06-26 Tokyo Parts Ind Co Ltd 摺動ロスの少ない軸固定型扁平振動モータ
KR200340021Y1 (ko) 2003-10-20 2004-01-28 박광표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 성형장치
KR101034457B1 (ko) * 2009-09-23 2011-05-17 성신아이앤텍 주식회사 진동모터 케이스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485Y1 (ko) 2000-07-19 2001-01-15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모터용 하우징
JP2001170563A (ja) 2000-10-20 2001-06-26 Tokyo Parts Ind Co Ltd 摺動ロスの少ない軸固定型扁平振動モータ
KR200340021Y1 (ko) 2003-10-20 2004-01-28 박광표 휴대폰 진동모터 케이스 성형장치
KR101034457B1 (ko) * 2009-09-23 2011-05-17 성신아이앤텍 주식회사 진동모터 케이스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527A (ko)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5359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ing device
CN107396267B (zh) 微型发声器
JP4681954B2 (ja) 積層鉄心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鉄心
JP6649733B2 (ja) ステータ、モータおよびポンプ装置
CN204929238U (zh) 微型发声器
KR101596190B1 (ko) 마이크로 스피커 어셈블리의 조립방법
CN103561368A (zh) 传感信号输出装置
CN109195077B (zh) 扬声器
JP2003037895A (ja) スピーカ
CN102724610A (zh) 电声换能器及其制造方法
JP2002247689A (ja) スピーカ
CN101583067A (zh) 电声变换器
KR101449647B1 (ko) 모바일기기용 바이브레이터를 위한 케이스의 포밍 방법 및 그 케이스
JP2003037892A (ja) スピーカ
JP2004128822A (ja) スピーカ装置
WO2006095561A1 (ja) スピー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885013B2 (ja) 電気音響変換器
KR100669025B1 (ko) 세탁기용 모터의 코어 및 그 제조방법
JP2006254038A (ja) スピーカの製造方法
JP2011182488A (ja) モータコア及びその組付け方法
CN111464924A (zh) 发声器
KR102132134B1 (ko) 스피커 모듈 하우징, 스피커 모듈 및 발성장치
CN102273231B (zh) 多功能微型扬声器
CN201601821U (zh) 微型动圈式发声器
US20080174202A1 (en) Method of Producing Core, and Stator Co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