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9817Y1 - 4륜 자전거용 의자의 위치조절장치 - Google Patents

4륜 자전거용 의자의 위치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9817Y1
KR200339817Y1 KR20-2003-0021375U KR20030021375U KR200339817Y1 KR 200339817 Y1 KR200339817 Y1 KR 200339817Y1 KR 20030021375 U KR20030021375 U KR 20030021375U KR 200339817 Y1 KR200339817 Y1 KR 2003398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hair
frame
sides
side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13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호
Original Assignee
김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호 filed Critical 김일호
Priority to KR20-2003-00213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98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98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98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2Saddles resiliently mounted on the frame; Equipment therefor, e.g.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03Cycles with four or more whee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riders, e.g. personal mobility type vehicles with four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70Comprising means for facilitating loading or unloading
    • B62B2203/74Comprising means for facilitating loading or unloading rolling means, e.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4륜 자전거용 의자의 위치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자전거의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프레임과, 의자가 장착되는 상판 및 상기 상판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양측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양측판이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으로 위치하도록 장착되는 브라켓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과 접촉되고 상기 브라켓의 양측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구름롤러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브라켓의 양측판 하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 양측판의 이격된 거리를 조절하는 잠금수단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운전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도록 의자의 승차 위치를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의자의 설치높이를 높이지 않아도 다양한 체형을 가진 운전자들이 편안하고 효과적인 주행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4륜 자전거용 의자의 위치조절장치{Place adjusting apparatus of a chair for a four wheeled-bicycle}
본 고안은 4륜 자전거용 의자의 위치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도록 의자의 승차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의자의설치높이가 높지 않아도 다양한 체형을 가진 운전자들이 편안하고 효과적인 주행을 하는데 적당한 4륜 자전거용 의자의 위치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4륜 자전거는 전륜과 후륜이 각각 한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운전시 균형을 잃고 넘어질 염려가 없는 관계로 숙련과정을 거치지 않은 아동이나 체력회복을 위한 환자 및 노약자 등이 이용하기에 적합하며, 특히 특별한 형태의 레저 및 오락을 즐기려는 젊은층 및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동호회를 중심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4륜 자전거에서는 2륜 자전거와 비교하여 의자의 설치 높이가 낮고 보다 앞쪽에 페달이 설치되며, 페달에 하중을 가할 때 신체를 지지할 수 있는 등받이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4륜 자전거는 상기 의자와 페달간의 설치위치가 수직하게 형성되지 않고 오히려 수평에 가깝게 형성되는 관계로 운전자가 페달을 조작할 때 자신의 체중을 최대한 싣기가 곤란하였다.
따라서, 4륜 자전거의 경우에는, 의자와 페달과의 간격이 운전자의 체형과 정확히 맞지 않더라고 자세만 적절히 조절하면 페달을 조작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었던 2륜 자전거와는 달리, 의자와 페달간의 설치거리가 운전자의 체형과 정확히 맞아야만 편안한 상태로 페달에 충분한 하중을 가하면서 운전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제조시에 수없이 다양한 체형에 맞도록 의자와 페달간 설치거리를 달리한 여러 제품을 생산하기가 쉽지 않고, 더욱이 하나의 4륜 자전거를 여러 사람들이 사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여러 사람들이 페달 조작시에 상당한 불편을 감수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 대부분의 4륜 자전거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편으로 어느 정도 운전자의 체중을 실을 수 있도록 의자의 설치높이를 높임으로써 의자와 페달간의 거리가 운전자의 체형에 정확히 맞지는 않더라도 자세를 조절하여 페달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처럼 의자의 설치높이를 일정 이상 높이면 여전히 운전상의 불편함이 존재하는 것은 물론, 자동차와 유사한 운전감을 느끼기가 어렵게 되고, 운전자의 무게중심이 높게 형성되는 관계로 운전시 전복사고의 위험성이 상시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게 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운전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도록 의자의 승차 위치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의자의 설치높이가 높지 않아도 다양한 체형을 가진 운전자들이 편안하고 효과적인 주행을 하는데 적당한 4륜 자전거용 의자의 위치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2 는 4륜 자전거에 채택된 본 고안을 하방향에서 바라본 입면도.
도 3a 는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3b 는 도 3a 의 변형된 형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a 및 4b 는 본 고안에 따른 퀵크램핑 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평방향 프레임 3 : 브라켓
5 : 구름롤러 7 : 잠금바
9 : 퀵크램핑 기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4륜 자전거용 의자의 위치조절장치는, 자전거의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프레임과, 의자가 장착되는 상판 및 상기 상판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양측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양측판이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으로 위치하도록 장착되는 브라켓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과 접촉되고 상기 브라켓의 양측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구름롤러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브라켓의 양측판 하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 양측판의 이격된 거리를 조절하는 잠금수단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브라켓의 일측판 및 타측판을 관통하고 상기 브라켓의 타측판에 고정되는 잠금바와, 상기 브라켓의 일측판에서 상기 잠금바에 설치되는 퀵크램핑 기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잠금바는 신축 가능하도록 수나사 형성된 일측바와 상기 수나사에 부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타측바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4륜 자전거용 의자의 위치조절장치(100)는 4륜 자전거에서 채택되어 사용되며, 의자의 위치를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절하면서 의자와 페달과의 간격을 운전자의 체형에 적합하게 맞출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의자의 설치위치가 낮게 되더라도 운전자가 편안한 가운데 충분한 하중을 실으면서 페달을 조작할 수 있는 효과적인 운전을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4륜 자전거용 의자의 위치조절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4륜 자전거에 채택된 본 고안을 하방향에서 바라본 입면도이고, 도 3a 은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3b 는 도 3a 의 변형된 형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자전거 프레임(1)과, 브라켓(3)과, 구름롤러(5)와, 잠금바(7)와 퀵크램핑 기구(9)를 포함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후방향의 프레임(1)은, 의자(20)가 장착되어 운전자의 하중을 그대로 전달하는 상기 브라켓(3) 및 구름롤러(5)를 흔들림 없이 안정되게 지지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전후방향 프레임(1)은 상기 브라켓(3) 및 구름롤러(5)를 양편에서 넓게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이격된 2개의 파이프가 나란히 설치된다.
만일, 상기 전후방향 프레임(1)이 하나의 파이프만으로 중앙에 설치되면, 상기 구름롤러(5)가 지지되는 지지축은 하나가 되고, 하나의 지지축만으로 지지된 상기 구름롤러(5)의 내부에는 운전자의 체중으로 인한 상당한 크기의 인장응력이 작용하여 장기적으로 볼때 상기 구름롤러(5)의 파손 또는 변형이 초래되며, 안정된 지지도 어렵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전후방향 프레임(1)은 구름롤러(5)의 길이방향으로 적당하게 이격된 2개의 파이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후방향 프레임(1)은 상기 구름롤러(5)와 접촉되는 각각의 파이프 상면이 도 3a 와 같이 완전한 구로 형성될 수 있지만, 도 3b 와 같이 소정의 평면(P)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원관 형태를 갖는 상기 구름롤러(5)와 역시 원관 형태를 갖는 상기 프레임(1)이 교차되어 접촉되는 경우 상기 구름롤러(5)와 프레임(1)은 매우 작은 면적으로 점접촉되고, 이때 접촉점에 집중되는 하중에 의해 장기적으로 상기 구름롤러(5) 표면은 심각한 마모 및 변형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기 전후방향 프레임(1) 상면을 소정의 평면(P)으로 가공하는지 여부는 소요되는 가공비용 및 상기 구름롤러(5)를 구성하는 소재가 무엇인지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3)은 상판(3a) 및 상기 상판(3a)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좌우의 양측판(3b,3c)으로 이루어진 구조물로써 상기 프레임(1)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3)은 상판(3a)에 의자(20)가 장착되고, 양측판(3b,3c)의 내측면은 상기 프레임(1) 양측면에 접촉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또한, 상기 구름롤러(5)는 상기 프레임(1)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양단이 상기 브라켓(3)의 양측판(3b,3c)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다.
여기서, 상기 구름롤러(5)는 양단의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원통형의 회전체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지지체의 양단이 상기 브라켓(3)의 양측판(3b,3c)에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체는 상기 프레임(1) 상면에 접촉되어 원활하게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름롤러(5)는 상기 프레임(1)과 직접 접촉되면서 운전자의 하중을 지지하기 때문에 안정된 지지를 위하여 상기 브라켓(3)의 전후로 2 개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구름롤러(5)는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과 넓지 않은 면적에 의하여 접촉되는 관계로 운전자의 하중이 가해질 때 파손되기 쉽다. 따라서, 상기 구름롤러(5)는 파손을 대비할 수 있는 금속성 소재나 최근 인라인 스케이트에 채택되는 특수 폴리우레탄과 같은 합성수지 등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운전자가 의자(20)에 전후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구름롤러(5)가 상기 프레임(1)과의 슬라이딩 마찰(sliding friction)에 의해 회전하면서 의자(20)가 전방향 또는 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운전자는 자신의 신체에 적합하게 의자(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잠금수단은 위치조절을 마친 의자(20)가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잠금바(7)와 퀵크램핑 기구(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잠금바(7)는 상기 브라켓(3)의 일측판(3b) 및 타측판(3c)을 관통하고 상기 브라켓(3)의 타측판(3c)에 고정된다.
이처럼 상기 잠금바(7)가 상기 브라켓(3)의 타측판(3c)에 고정되기 위하여 상기 잠금바(7)의 타단은 볼트(11a)로 형성되고, 이에 체결되는 너트(11b)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너트(11b)의 체결시 상기 브라켓(3)의 표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와셔(11c)도 구비된다.
이같이 상기 잠금바(7)에 볼트(11a) 및 너트(11b)가 형성 및 구비되면, 상기 브라켓(3)에 상기 잠금바(7)의 타단이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잠금바(7)에서 자체적으로 상기 브라켓(3)의 양측판(3b,3c)이 고정될 수 있는 구간을 소정정도 확장 또는 축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잠금바(7)는 수나사(15)가 형성된 일측바(7a)와, 상기 수나사(15)에 부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타측바(7b)로 구성되며, 이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잠금바(7)가 신축 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잠금바(7)가 신축 가능하도록 구성되면, 상기 브라켓(3) 및 프레임(1)의 좌우폭에 적절하게 잠금바(7)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퀵크램핑 기구(9)는 상기 브라켓(3)의 일측에서 상기 잠금바(7)에 설치되어, 상기 브라켓(3)의 양측판(3b,3c)의 이격된 거리 혹은 간격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퀵크램핑 기구(9)는 상기 잠금바(7) 일단에 편심 결합된 상태로 외주면이 상기 브라켓(3)의 일측판(3b) 외측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것처럼 상기 퀵크램핑 기구(9)와 브라켓(3)의 일측판(3b) 사이에서 잠금바(7)에 끼워지는 베이스(13)가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13)는 상기 퀵크램핑 기구(9)에 의해 가해지는 힘이 상기 브라켓(3)의 일측판(3b)에 보다 넓은 면적으로 작용하게 한다.
이에, 도 4a 및 4b 는 본 고안에 따른 퀵크램핑 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퀵크램핑 기구(9)는 편심회전에 의하여 잠금바(7)의 일단에 고정된 중심과 상기 베이스(13)에 접촉된 외주면까지의 거리(A,A')를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로써, 상기 브라켓(3) 양측판(3b,3c) 즉, 일측판(3b) 및 타측판(3c)의 상호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퀵크램핑 기구(9)의 회전에 의해 도 4a 와 같이 상기 브라켓(3) 일측판(3b) 및 타측판(3c)의 간격이 넓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브라켓(3)의 양측판(3b,3c)과 프레임(1) 양측면 사이에 여유틈이 생기게 되며, 이때 의자(20)에 힘을 가하게 되면 구름롤러(5)가 상기 프레임(1) 상면에서 구르면서 큰 저항 없이 브라켓(3)이 상기 프레임(1)을 따라 전후방향으로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한편, 퀵크램핑 기구(9)의 회전에 의해 도 4b 와 같이 상기 브라켓(3) 일측판(3b) 및 타측판(3c)의 간격이 좁혀진 상태에서는 브라켓(3)의 양측판(3b,3c)이 프레임(1) 양측면을 조이게 되며, 이로써 브라켓(3) 및 의자(20)가 프레임(1)에 고정된다.
이처럼, 상기 잠금바(7) 일단에 편심 설치된 퀵크램핑 기구(9)의 회전에 의해 상기 브라켓(3)을 상기 프레임(1)에 고정되도록 조이거나 상기 프레임(1)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풀어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4륜 자전거용 의자의 위치조절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도록 의자(2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 의자(20) 아래에 설치된 퀵크램핑 기구(9)의 레버를 잡고 브라켓(3) 양측판(3b,3c)의 이격거리가 넓혀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프레임(1)을 조이고 있던 브라켓(3)의 조임이 해제되면서 상기 프레임(1)에 대하여 느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의자(20)에 전후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구름롤러(5)가 상기 프레임(1) 상면을 타고 구르면서 브라켓(3)이 상기 프레임(1)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이동한다.
이로써, 의자(20)가 운전자의 체형에 맞게 상기 프레임(1)의 적절한 개소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퀵크램핑 기구(9)의 레버를 잡고 처음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브라켓(3) 양측판(3b,3c)의 간격이 좁혀지면서 상기 브라켓(3)의 양측판(3b,3c)이 프레임(1) 양측면에 강하게 밀착되어 표면마찰에 의해 슬라이딩이 방지되며, 이로써 브라켓(3) 및 의자(20)가 프레임(1)에 안정되게 고정된다.
이처럼, 본 고안은 상기 수평방향 프레임(1)을 따라 의자(20)를 전후방향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운전자의 체형에 적합하도록 의자(20) 및 페달간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4륜 자전거용 의자의 위치조절장치는 운전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도록 의자의 승차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편안한 자세로 페달에 충분한 하중을 실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의자를 낮은 위치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전복사고의 위험이 없는 안전한 운전을 할 수 있고, 실제 자동차와 가까운 운전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다양한 체형에 따라 의자와 페달간 설치위치가 다른 제품을 각각 생산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품의 생산성 향상 및 생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자전거의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프레임과;
    의자가 장착되는 상판 및 상기 상판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양측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양측판이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으로 위치하도록 장착되는 브라켓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과 접촉되고 상기 브라켓의 양측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구름롤러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브라켓의 양측판 하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 양측판의 이격된 거리를 조절하는 잠금수단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4륜 자전거용 의자의 위치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브라켓의 일측판 및 타측판을 관통하고 상기 브라켓의 타측판에 고정되는 잠금바와;
    상기 브라켓의 일측판에서 상기 잠금바에 설치되는 퀵크램핑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 자전거용 의자의 위치조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바는 신축 가능하도록 수나사 형성된 일측바와 상기 수나사에 부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타측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 자전거용 의자의 위치조절장치.
KR20-2003-0021375U 2003-07-03 2003-07-03 4륜 자전거용 의자의 위치조절장치 KR2003398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375U KR200339817Y1 (ko) 2003-07-03 2003-07-03 4륜 자전거용 의자의 위치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375U KR200339817Y1 (ko) 2003-07-03 2003-07-03 4륜 자전거용 의자의 위치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9817Y1 true KR200339817Y1 (ko) 2004-01-28

Family

ID=49342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1375U KR200339817Y1 (ko) 2003-07-03 2003-07-03 4륜 자전거용 의자의 위치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981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3406B2 (en) Angle adjusting device for bicycle saddle
WO2012144085A1 (ja) 三輪型足漕ぎ式車椅子
US3662747A (en) Circulation-stimulating machine
WO2022255333A1 (ja) 電動モビリティ
KR200339817Y1 (ko) 4륜 자전거용 의자의 위치조절장치
CN202180885U (zh) 脚踏童车
WO2014040273A1 (zh) 一种小车
KR200372403Y1 (ko) 로울러 스케이트보드
KR200471943Y1 (ko) 자전거용 안장
CN212995579U (zh) 一种可调靠背头枕角度的沙发
KR200395054Y1 (ko) 보드형 삼륜 자전거
CN203473103U (zh) 可调整车架长度及角度的自行车车架结构
JP7165281B1 (ja) サドル揺動装置
CN108634708B (zh) 一种儿童或残疾人用学步圈
CN211032871U (zh) 一种防摔儿童自行车
KR200309166Y1 (ko) 지지날개를 갖는 자전거 안장
KR100483061B1 (ko) 롤러보드
JP2706762B2 (ja) 椅 子
CN109803879A (zh) 滑行车
CN107953952B (zh) 一种可调角度的摩托车搁脚
KR20130005175U (ko) 보조 안장을 구비한 자전거 안장
KR20000013539U (ko) 자전거용 보조 휠 장치
JP6764633B2 (ja) 歩行機
KR20210071234A (ko) 탑승자세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KR200301206Y1 (ko) 롤러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