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9700Y1 - 기능성매트 - Google Patents

기능성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9700Y1
KR200339700Y1 KR20-2003-0034818U KR20030034818U KR200339700Y1 KR 200339700 Y1 KR200339700 Y1 KR 200339700Y1 KR 20030034818 U KR20030034818 U KR 20030034818U KR 200339700 Y1 KR200339700 Y1 KR 2003397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mat
sheets
sheet
we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8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강익
Original Assignee
마루와벅스프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루와벅스프리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마루와벅스프리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348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97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97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97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8Interconnection of layers by mechanical means
    • B32B7/09Interconnection of layers by mechanical means by stitching, needling or s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formed of particles, e.g. chips, powder or gran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3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formed of particles, e.g. chips, granules,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1/00Floor coverings
    • B32B2471/04M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직포로 이루어진 시트를 중합시켜 그 중합부분에 입상을 한 다수의 기능성물질을 지지함과 동시에 일방의 시트로부터 풀려 나온 위브(부직포내의 실밥)의 끝부분을 타방의 시트의 위브에 기계적으로 봉합시키는 것으로서, 시트의 마주하는 면에서 실리카겔과 같은 기능성물질을 고정한 기능성 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능성 매트{functional mat}
본 고안은 침구류와 같은 생활용품 등의 구성소재 등에 사용되어 습기 또는 탈취제거 및 유해물질 제거에 있어 우수한 기능을 발휘하는 기능성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습기가 많은 여름철에는 수면을 취하는 침대나 요의 사용시 신체에서 나는 땀으로 인해 불쾌한 느낌을 주거나 건강상 해로운 영향을 끼치는 경우가 많다 한편, 건조한 겨울에는 실내의 적절한 습기의 부족으로 인하여 호흡기등에 안좋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특히 이러한 현상은 실내의 밀폐성이 높은 경우에 폐해가 발생되기 쉽다. 즉, 쾌적한 실내환경을 위해 습도조절및 오염물질의 제거의 필요성이 널리 알려져 있다.
그 때문에 최근에는 실리카겔 또는 숯으로 대표되는 흡습제나 활성탄으로 대표되는 탈취제등을 내장한 기능성 매트가 침대,요와 같은 침구류에 함께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2가지 유형이 종래부터 알려지고 있다.
우선, 첫번째 유형으로는 통기성을 가진 부직포단 등의 시트가 2장겹쳐 봉합되어 있어 양 시트사이에는 복수의 보자기모양을 한 수용부가 봉합실에 의해 경계를 이룸과 동시에 각 수용부내에 입상(알갱이)의 실리카겔등의 흡습물질이 봉합되어 있다. 그래서 매트를 통과하는 실내공기 중의 습기를 흡수하도록 되어 있다.
두번째 유형으로는 통기성을 가진 부직포로 이루어진 매트가 2장 겹쳐 있어, 그 중합(겹쳐진)부분에 입상을 한 다수의 실리카겔을 층상으로 끼어 지지한 형태로마주하는 양매트사이가 접착제 의해 접합되어 있다.그래서 상기 첫번째 유형과 마찬가지로 매트를 통과하는 실내공기 중의 습기를 흡수하도록 되어 있다.
앞서 기술한 종래의 각각의 유형의 제품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첫번째 유형의 경우에는 매트에 신체를 접촉하게 되면 매트에 압력이 가해지는 결과,체형에 따라 수용부에서 실리카겔이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어, 매트사용 후 요철이 생기게 되는 결과, 외관상 안좋아 보이고, 이러한 요철은 곧 기능성물질이 특정 부위로 편중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는 바, 해당 물질이 매트표면 전체로서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점이 있다.
두번째 유형의 경우에는 접착에 의해 기능성 물질의 다양한 기능이 큰 폭으로 감퇴하는 문제가 있다. 즉 실리카겔과 같은 기능성물질은 그 표면에 다수의 미세한 공극을 통해 수분흡수 등의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다. 그러나 접착에 의해 양매트사이를 접합한 경우에는 그 접착제가 소재의 표면에 부착해서 상기의 미세한 공극을 막아버린다. 따라서, 접착제에 의해 공극이 막힌 물질에 의해 수분흡수가 충분하지 못하게 되어 기능이 큰폭으로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 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실리카겔등의 기능성물질을 내장한 기능성 매트에 있어서, 그 소재의 효능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소정의 크기로 잘라진 실시형태의 기능성매트의 사시도
제2도는 일부를 확대해 보인 기능성매트의 단면도
제3도는 기능성매트의 제조공정을 설명하는 개략도
제4도는 바늘부분을 표시하는 부분 정면도
제5도는 동일한 부분의 저면도
(부호의설명)
12…상위시트 13…하위시트 14,15…접합면 16…기능성물질로서의 실리카겔 17,18…위브 27…니들(needle) 28…계지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능성매트에 관한 청구항 1의 고안은, 부직포로 구성된 매트를 겹쳐서, 그 겹친 부분에 입상을 한 다수의 기능성물질(실리카겔 등)을 사이에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한쪽의 매트로부터 뽑아낸 위브(부직포내의실밥)의 끝부분을 다른 매트의 위브에 기계적으로 재봉하는 것으로 상기 양매트의 마주보는 면 사이에서 상기 소재를 고정시키는 것을 요지로 한다.
즉, 기능성매트에 관한 본원 청구항1의 고안에서는 매트의 중합부분은 마주하는 양시트의 구성소재인 위브 한쌍이 기계적으로 재봉됨으로써 봉합되는 것이기 때문에 입상을 한 다수의 기능성물질이 그 기능이 저하됨 없이 시트사이에 고정되어 유지된다. 또, 매트의 겹쳐진 부분을 봉합하기 위해 별도의 봉합재료를 준비해야 할 필요가 없다.
도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기능성물질 16은 상, 하 양매트 2,3 사이에 있어서 층상을 이루고 있어 마주하는 양시트 12, 13의 마주보는 면 14,15사이에 연속적으로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했다. 그래서 이들 기능성물질 16은 상, 하 양측으로부터 끼여져 지지되어 있는 상태로서, 상하 양시트 12,13의 마주보는 면 14, 15사이에는 도2에 있어서, 확대시켜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시트 12, 13의 구성소재인위브 17, 18에 의해 상호봉합되어 있다. 즉 양 시트 12, 13의 겹쳐진 부분에는 기능성물질 16을 상하 양측으로부터 끼여 지지한 상태에서, needle punch를 다수의 위치에 연속적으로 설치된 라인(line)을 통과하도록 하고, 각 punch에서 상하 양시트 12, 13의 위브 17, 18 한쌍이 기계적으로 재봉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각 위브 17, 18에 의한 마주보는 면 14, 15사이가 봉합되어, 상하 양시트 12, 13에서 상기 기능성물질 16은 층상을 이룬 채로 고정되어 안정된 구조를 이룬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능성매트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도3~도5에 따라 설명한다. 도3은 상기 기능성매트의 제조라인을 간략히 표시한 것이고 제조라인의 상류(도면에 있어서 좌측)에는 윗부분 시트12를 풀어낸 상측 롤러 19와 아랫부분 시트 13을 풀어내는 하측롤러 20이 각각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제조라인의 하류(도면에 있어서 우측)에는 감는 롤러 21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들 각 롤러 19, 20, 21은 도시되지 않은 구동제어기구에 의해 회전구동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측롤러 20의 하류에는 동(同) 롤러20으로부터 풀려 나오는 하측 매트 13의 반송경로의 윗부분에 깔대기 22가 설치되어 있다. 깔대기 22내에는 입상을 한 다수의 기능성물질 16이 설치되어 미리 저장되어 있다. 그래서, 이 깔때기 22의 아래를 상기 하측시트 13이 통과할 때 그 하측시트 13의 위로 기능성물질 16을 층상으로 뿌리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측롤러 19로부터 풀어낸 상측시트 12는 안내롤러 23에 의해 경사지게 아래로 유도하여 상하일체의 협압(挾壓)롤러 24, 25사이를 통과할 때에 상기 기능성물질이 뿌려진 하측시트 13 위로 겹쳐지게 된다. 즉, 이 협압롤러 24, 25사이를 통과할 때, 상하 양시트 12, 13은 기능성물질 16을 상하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운 상태로 겹쳐진다. 다시 말해 이 시점에는 상하양시트 12, 13의 대향면 14, 15사이는 봉합되어 있지 않다.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양시트 12, 13의 반송경로에 있어서 상하 양쪽 협압롤러 24, 25와 감는롤러 21의 거의 중간위치에는 needle punch용의 펀칭장치 26이 배치되어 있다. 이 펀칭장지 26에는 상기 양시트 12, 13의 반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도4, 도5에 나타난 needle 27이 펀칭장치 26이 구동되면 일제히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진다. 즉 상기 기능성물질 16을 사이에 끼울 수 있도록 겹쳐진 상하 양시트 12, 13은 이 펀칭장치 26의 아래를 통과할 때에 상기 각 needle 27에 의해 다수개소(箇所)에 연속적으로 펀칭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4 및 도5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needle 27의 측면에는 복수의 계지조(係止爪) 28이 돌출되어 있다. 그로 인해 이 needle이 상하 이동할 때에는 각 계지조 28에 의해 각시트 12, 13의 내부로부터 위브 17, 18의 끝부분(端部)이 풀려나와, 기능성물 16을 사이에 두고, 반대편의 시트 12, 13내의 위부 17, 18에 연결(係止)되게 한다. 즉 needle 27이 도3에 실선으로 표시된 위의 위치로부터 양시트 12, 13의 겹쳐진 부분을 관통하여 아래로 하강할 때에는 상기 계지조 28에 의해 상측시트 12 내부로부터 위브 17의 끝부분이 풀려 나와, 그 풀려 나온 위17의 끝부분이 하측 시트 13내의 위브 18에 연결(係止)되어 진다. 또 상기 needle 27이 양시트 12, 3을 관통한 아래 위치로부터 위로 상승할 때에는 상기 계지조 28에 의해 하측 매트 13내로부터 위브 18이 플려나와, 그 풀려나온 위브 18의 끝부분이 상측시트 12내부의 위브 17에 연결(係止)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펀칭장치 26에 의해 상하 양시트 12, 13은 각 펀칭구멍에서 양 시트 12,13의 위브 17, 18쌍이 기계적으로 재봉되는 것에 의해 마주하는 대향면 14, 15사이가 봉합되어진다. 그리고, 봉합된 상하 양시트 12, 13에 의해 기능성매트 11이 구성되어, 차례로 감는롤러 21에 감겨진다. 이후, 감겨진 기능성매트 11은 적절히 선택된 크기로 절단되어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능성매트를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서 다음과 같은 기능 및 작용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기능성매트에 있어서 입상을 한다수의 기능성물질은 상호마주하는 양시트 12,13상에서 층상을 이룸과, 동시에 시트 12, 13의 대향면 14, 15사이 전체에 연속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다. 따라서, 기능성매트의 전면에 연속적으로 습기제거기능 등을 발휘하는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고, 침구류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는 신체로부터 방출되는 습기를 양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주위의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또, 상기 기능성물질은 위브 17, 18에 의해 상호마주하는 대향면 14, 15사이를 봉합된 양시트 12, 13에 의해 층상을 이룬채로 고정되어 끼여진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기능성물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기능성물질이 특정부분으로 편중되는 일이 없어 상기 습기제거기능 등을 발휘하는 면적이 감소되는 일은 없다.
또, 상하 양시트 12, 13은 접착제를 사용하는 일이 없어, 각시트 12, 13의 위브 17, 18쌍이 기계적으로 재봉되어지고, 대향면 14, 15사이가 기능성소재를 낀 상태로 봉합되어 있다. 따라서, 기능성물질의 미세관공극이 접착에 의해 막혀져 습기제거능력이 저하되는 일도 없다.
또, 상기 양시트 12, 13의 대향면 14, 15는 각 시트 12, 13의구성소재인 위브 17 , 18에 의해 상호간에 봉합되어 있다. 따라서, 봉합소재로서 별도의 봉합실을 준비할 필요가 없고, 제조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또, 상기 상하 양시트 12, 13은 상측시트 12내부로부터 풀려나온 위 17의 끝부분이 하측시트 14내부의 위브18에 연결하는 한편, 하측 시트14내부로부터 풀려나온 위18의 끝부분이 상측시트 12 내부의 위브17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기능성물질을 끼워 지지한 상하 양시트의 12, 13의 겹쳐진 부분을 견고하게 봉합할 수 있다.
또, 기능성물질은 상하 양시트 12, 13의 대향면 14, 15사이는 다수의 needle punch를 사용하여 위브 17, 18에 의해 접합면이 고르게 봉합되여 있다. 따라서, 사용시에는 기능성물질을 어느 위치에서 절단해도 기능성물질이 각 절단부위로부터 흘러내리는 일은 거의 없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관한 기능성매트를 구체화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기능성매트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상하 한쌍의 시트 12, 13을 겹쳐 놓은 것이고, 양시트 12, 13의 대향면 14, 15 사이에는 도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입상을 한 다수의 기능성물질16이 사이에 들어가 있다.
예를 들어 기능성물질16으로서 실리카겔을 사용할 수 있는 바, 본 물질을 대상으로 설명한다. 실리카겔은 각각의 입자가 도시하지 않은 다수의 미세관통공(극)을 가지고 있고, 다습한 환경에서 표면흡착 또는 모세관현상에 의해 공기중의 수분을 흡수하고, 건조한 환경에서는 흡수했던 수분을 방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주변 환경의 습기제거 및 방질(放質)에 있어서 양호한 환경을 만들 것이 예상되며, 본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실리카겔은 미세공간용적이 0.5 ~ 1.0㎖/g 및 표면적이 650~350㎡/g의 범위 내의 것을 채택하고 있다. 또, 적절한 습기제거 기능을 발휘하는 데 있어서 상기 미세관통공(극)은 30~120옴스트롱의 것이 선호된다.
도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기능성물질16은 상, 하 양시트 2,3 사이에 있어서 층상을 이루고 있어 마주하는 양시트 12, 13의 마주보는 면 14,15사이에 연속적으로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했다. 그래서 이들 기능성물질16은 상, 하 양측으로부터 끼여져 지지되어 있는 상태로서, 상하 양시트 12,13의 마주보는 면 14, 15사이에는 도2에 있어서, 확대시켜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시트 12, 13의 구성소재인 위브 17, 18에 의해 상호봉합되어 있다.
붙여 본 고안은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기능성물질16을 상하 2장의 시트 12, 13에 끼워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지만, 1장의 시트를 접어서 겹치는 부분을 만들고 그 겹친 부분에 기능성물질16을 끼여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매트는 3장 이상을 겹치지 않고, 기능성물질16을 내장한 겹쳐진 부분은 1개만이 아니라 여러 개로 만드는 방법도 선호된다.
또, 실시형태에서는 기능성물질16을 끼여 지지한 상하양매트 12, 13의 몸체로서 매트를 구성했지만, 각 매트 12, 13의 외측면에 보형재(保形材)나 완충재(緩衝材)등을 접합시켜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침대 또는 요와 같은 침구류와 함께 사용되는 형태로 구체화했지만, 바닥용 카페트 또는 벽면부착용의 매트로서 건물용 내장재에 구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형태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청구항 기재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대해서 그 효과를 함께 기재한다.
청구항1 기재의 기능성 매트에 있어서, 입상을 한 다수의 기능성 물질이 층상을 이루어, 그 겹쳐진 부분 전체에 연속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기능성 매트
이 구성에 의하면, 기능성 매트의 전면에 연속해서 기능성 물질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잇는 면적을 폭넓게 확대할 수 있으면, 수면중 신체의 움직임에 따른 요철을 방지할 수 있다.
기능성 매트에 관한 본원 청구항 1의 고안에 의하면 매트의 겹쳐진 부분에 있어서, 마주하는 양시트의 대향면 사이에 실리카겔과 기능성물질이 위치함으로써, 지지된 상태를 확실하고도 견고하게 유지하면서도 그 기능성을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기능성매트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1)

  1. 부직포로 이루어진 매트를 중합시켜 그 중합부분에 입상의 다수의 실리카겔을 지지함과 동시에 일방의 매트로부터 끌어낸 위브의 끝부분을 타방의 매트 위브에 기계적으로 봉합시킨 것으로, 상기의 매트의 대향면들 사이에 그 기능성물질을를 고정시킨 기능성매트
KR20-2003-0034818U 2003-11-06 2003-11-06 기능성매트 KR2003397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818U KR200339700Y1 (ko) 2003-11-06 2003-11-06 기능성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818U KR200339700Y1 (ko) 2003-11-06 2003-11-06 기능성매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8382A Division KR20050043471A (ko) 2003-11-06 2003-11-06 기능성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9700Y1 true KR200339700Y1 (ko) 2004-01-24

Family

ID=49342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818U KR200339700Y1 (ko) 2003-11-06 2003-11-06 기능성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970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9639B1 (ko) 흡수성 복합체, 흡수성 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채용한 흡수성 물품
US8333827B2 (en) Adsorption filter material, especially a permeable barrier layer composite with an adsorbent, and the use thereof
WO2002090106B1 (fr) Feuille de separation resistante a l'eau et hautement permeable et produit absorbant utilisant cette feuille
KR200339700Y1 (ko) 기능성매트
KR20050043471A (ko) 기능성매트
JP3002100B2 (ja) 建物内のコンクリート壁面用積層粉炭シート布
JP2004314311A (ja) 吸放湿性不織布構造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調湿剤
JP2001334596A (ja) 機能性マット
JP4205239B2 (ja) ガス吸着シート
JP2001322196A (ja) 通気性及び吸水性を有する防水シート
JP3210735U (ja) 吸湿マット
KR890002209Y1 (ko) 공지청정기용 탈취필터
JP3212263U (ja) 吸湿畳
JP2000079656A (ja) 機能性マットの製造方法
JP2002355525A (ja) シート状吸放湿性材料
JP6361353B2 (ja) 消臭フィルター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
JP2018202343A (ja) 衣服用吸湿シート体
JP3840649B2 (ja) 通気性袋生地の製造方法
JP2005023446A (ja) 機能性マット
JP2019023400A (ja) 機能性壁紙及び機能性壁紙の製造方法
JPH0889744A (ja) 調湿性エラストマーシート素材
JP2003118024A (ja) 炭化物層を有する積層体
JP2001009955A (ja) 防湿性抗菌消臭積層材及び製造方法
JP2017006365A (ja) 機能性マット及び機能性マットの製造方法
JP3048481U (ja) 調湿シート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