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8784Y1 - 식재가 가능한 석축 - Google Patents

식재가 가능한 석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8784Y1
KR200338784Y1 KR20-2003-0028451U KR20030028451U KR200338784Y1 KR 200338784 Y1 KR200338784 Y1 KR 200338784Y1 KR 20030028451 U KR20030028451 U KR 20030028451U KR 200338784 Y1 KR200338784 Y1 KR 2003387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tone
fill
filling material
fil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84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복
Original Assignee
(주) 녹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녹지원 filed Critical (주) 녹지원
Priority to KR20-2003-00284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87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87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87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토사의 유실과 침식 발생의 우려가 높은 호안의 제방 및 절개지를 보호하기 위해 석축을 시공할 때 옹벽의 적층부위마다 각종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여 환경에 친화적인 분위기를 제공함과 아울러 공정의 단축과 견고성을 높일 수 있게한 식재가 가능한 석축에 관한 것으로,
즉, 호안의 제방 또는 절개지의 경사면에 성토층을 형성한 다음 성토층의 바닥면을 파내어 석축의 하중을 분산 지탱하는 기단을 만들고, 상기 성토층의 경사면으로부터 약간의 간격을 가진 지점의 기단위에 표면이 판판한 견칫돌을 성토층의 경사면에 근접된 구배를 가지도록 쌓은 후 그 사이의 공간부에는 자갈을 주로하여 소량의 숯과 분변토를 분산되게 한 채움재로 채워 견칫돌에 수평을 이루도록 하며, 상기 견칫돌에는 자중이나 외압에 의해 견칫돌이 밀려나지 않도록 채움재의 층에 일단이 고정되게 설치한 앵커부재의 타측단을 고정되게 하여 한 층의 견칫돌을 축조 하였고, 상기 견칫돌이 축조된 상부측에 하부의 견칫돌과 동일 기울기에서 약간의 간극을 유지되게 또 한층의 견칫돌을 쌓은 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채움재와 앵커부재를 시공하는 공정을 반복한 후 최상층의 상부면을 콘크리트 패널로 복개되게 하여 축조를 완료하게 됨으로써, 옹벽의 적층부위마다 각종 식물을 식재 또는 자생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공정의 단축과 견고성을 높이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식재가 가능한 석축{Reinforceing stone wall having a possible planting trees}
본 고안은 식재가 가능한 석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사의 유실과 침식 발생의 우려가 높은 호안의 제방 및 절개지를 보호하기 위해 석축을 시공할 때 옹벽의 적층부위마다 각종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여 환경에 친화적인 분위기를 제공함과 아울러 공정의 단축과 견고성을 높일 수 있게한 식재가 가능한 석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안의 제방이나 경사가 급격한 절개지에서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 1에서와 같이, 견칫돌(1)의 사이에 콘크리트와 자갈이 혼합된 채움재(2)를 사용하여 축조한 석축이 보편화되었다.
상기 콘크리트로 채움된 석축의 경우에는 전체가 하나의 암석덩어리로 되어 비교적 양호한 견고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반면 석축의 양측에 인접되어 있는 지표면을 상호 격리되게 하면서 식물이 생육할 수 없는 흉물덩어리로 되었고, 특히 호안의 제방을 콘크리트 석축으로 축조한 경우에는 수생식물의 생육이 불가능해지면서 수서곤충 및 물고기의 서식환경을 파괴하는 결과가 초래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콘크리트를 채움재로한 석축 또는 콘크리트로 된 석축 등은 자연환경을 저해 및 훼손하는 역기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 근래에는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제방 또는 절개지의 토사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자연석을 이용한 호안공법의 일예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0-19039호(공개번호)는 하상에 20cm 두께로 쇄석을 축조한 그 위에 대략 4, 50cm 간격을 두고 생버드나무가지를 깔아 호안토양에 심고, 이 생버드나무가지 위로 생버드나무가지가다치지 않도록 다시 쇄석을 축조하고 그 위에 상기와 같은 요령으로 다시 생버드나무가지를 심는 것을 호안의 상한선 까지 반복하는 식생호안공법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식생호안공법의 경우에는 호안의 특성상 급류나 폭우의 영향으로 인한 쇄석의 유실에 대응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비책이 부족할 뿐 아니라 쇄석층에 비례하는 만큼 호안토양으로부터 식물이 착상되는 표면과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어 수서식물이나 초목의 자생을 방해하는 역할을 하므로 오히려 생태계를 교란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자연석을 이용한 석축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콘크리트 채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견고하게 축조함과 아울러 해당 지역의 생태환경에 적합한 종의 초목이 자생할 수 있도록 토양과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식재가 가능한 석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호안의 제방 또는 절개지의 경사면에 설계치에 맞는 성토층을 형성한 다음 성토층의 바닥면을 파내어 석축의 하중을 분산 지탱하는 기단을 바닥면에 근사한 높이로 형성하고, 상기 성토층의 경사면으로부터 약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지점의 기단에는 표면이 판판한 견칫돌을 성토층의 경사면에 근접된 구배를 가지도록 쌓은 후 그 사이의 공간부에는 자갈을 주로하여 소량의 숯과 분변토를 분산되게 한 채움재로 채워 견칫돌에 수평을 이루도록 하며, 상기 견칫돌에는 자중이나 외압에 의해 견칫돌이 밀려나지 않도록 채움재의 층에일단이 고정되게 설치한 앵커부재의 타측단을 고정되게 하여 한 층의 견칫돌을 축조 하게되며, 상기 견칫돌이 축조된 상부측으로 하부의 견칫돌과 동일 기울기에서 약간의 간극을 유지되게 또 한층의 견칫돌을 쌓은 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채움재와 앵커부재를 시공하는 공정을 반복한 후 최상층의 상부면을 콘크리트 패널로 복개되게 하여 축조를 완료하게 됨으로써, 옹벽의 적층부위마다 각종 식물을 식재 또는 자생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함과 아울러 공정의 단축과 견고성을 높이게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콘크리트 공법으로 축조된 석축의 일예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식재가 가능한 석축의 축조상태를 내타낸 단면 구성도이고,
도 3은 상기 석축의 견칫돌 고정구조를 발췌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석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기단 20 : 견칫돌
30 : 채움재 31 : 망사재
32 : 직포 40 : 앵커부재
41 : 앵커볼트
S : 성토층 ㄴ' : 경사면
G : 간극
이하, 본 고안의 식재가 가능한 석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식재가 가능한 석축의 축조상태를 내타낸 단면 구성도이고, 도 3은 상기 석축의 견칫돌 고정구조를 발췌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석축의 다른 실시예로서, 본 고안의 석축은 토사의 붕괴나 유실이 우려되는 호안의 제방 또는 절개지의 경사면을 선정하여 마련된 성토층(S)에 축조된다.
상기 성토층(S)의 바닥면에는 축조하기 위한 석축의 하중을 분산 지탱하도록 바닥면으로부터 적당 깊이 만큼 묻히도록 기단(10)이 형성되어 있다.
기단(10)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된 것이 바람직하나 암석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기단(10)을 형성한 후 성토층(S)의 경사면(S')으로부터 약간의 간격을유지하는 지점의 기단에는 표면이 판판한 견칫돌(20)을 성토층의 경사면에 동일 내지 유사한 구배를 이루도록 쌓고, 상기 견칫돌(20)에 마주하는 성토층(S)의 경사면(S') 사이의 공간부에는 자갈을 주로하여 수분 함수율이 높은 소량의 숯과 자양분을 제공하는 분변토 등을 분산되게 혼합한 채움재(30)를 견칫돌(20)에 수평을 이루는 선상정도 까지 채운다.
성토층의 바닥면에 접하도록 채워지는 채움재(30)의 하부에는 지반의 약화 및 하중 등의 외부요인에 의해 채움재가 성토층의 지반으로 밀려드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유연성과 투수성을 갖는 망사재(31)를 깔아주며, 성토층(S)의 경사면(S') 전부분에도 채움재를 지반으로부터 격리되게 하는 투수성 직포(32)와 상기 망사재를 부설하는 것이 좋다.
상기 채움재를 충진한 상태에서 견칫돌(20)이 자중이나 외압에 의해 시공 계획된 열(Line)로부터 밀려나지 않도록 채움재의 층에 일단이 고정되게 설치한 앵커부재(40)의 타측단을 고정되게 하여 한 층의 견칫돌을 축조 하게된다.
앵커부재(40)는 철재의 와이어 또는 환봉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며, 견칫돌에 고정되는 부위는 앵커볼트(41)를 인써트 시켜 고정되게 하되 채움재(30)에 고정되는 부위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앵커볼트를 이용한 방식과 채움재에 매립되는 망사재(31)에 걸려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한 층의 견칫돌(20)이 축조된 상부측에는 하부층의 견칫돌(20)과 동일 기울기에서 인접된 부위에 초목을 식목하거나 자연적으로 착생되도록 약간의 간극(G)을 유지되게 또 한 층의 견칫돌을 쌓은 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견칫돌(20)과 채움재(30)와 앵커부재(40)를 시공하는 공정을 반복하며, 원하는 높이로 견칫돌을 축조한 후에는 최상층의 상부면을 콘크리트 패널로 복개되게 하여 성토층(S)의 지표면과 균형을 이루도록 축조를 완료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석축은 자연석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구조적인 작용으로 내구성을 유지토록 하였으며, 각각의 견칫돌(20)에 의해 구성된 옹벽의 간극(G) 마다 그 내부위 채움재(30)의 구성성분인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숯과 분변토 등에 유통되고 상기 채움층은 직포(32) 또는 망사재(31)를 통해 성토층의 토양과 유기적인 작용을 하면서 수분이나 자양분의 공급이 가능하게 되어 식물의 식생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호안의 제방에 본 고안의 석축을 축조하였을 경우에는 물이 잔류되는 부분에는 수생식물이나 수서식물의 착생이 용이하여 해당지역의 환경에 맞는 식물의 생육이 가능하고, 대기로 노출된 견칫돌의 간극에는 바람이 실려온 씨앗 또는 인위적으로 심은 초목을 식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식재가 가능한 석축은 콘크리트 채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견고하게 축조함과 아울러 해당 지역의 생태환경에 적합한 종의 초목이 자생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여 환경을 친화적으로 변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시공에 따른 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Claims (3)

  1. 토사의 붕괴나 유실이 우려되는 호안의 제방 또는 절개지의 경사면을 선정하여 성토층(S)을 마련하고 이에 견칫돌을 쌓아 석축을 축조함에 있어서,
    상기 성토층(S)의 바닥면에 축조하기 위한 석축의 하중을 분산 지탱하도록 바닥면으로부터 적당 깊이 만큼 묻히도록 시공된 기단(10)과, 상기 기단(10) 위에 설치되어 성토층(S)의 경사면(S')으로부터 약간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그 경사면에 동일 내지 유사한 구배를 이루는 판판한 견칫돌(20)과, 상기 견칫돌(20)에 마주하는 성토층(S)의 경사면(S') 사이의 공간부에 채워지는 자갈을 주로하여 소량의 숯과 분변토 등을 분산되게 혼합하여 된 채움재(30)와, 상기 채움재를 충진한 상태에서 견칫돌(20)이 밀려나지 않도록 설치되어 채움재의 층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되 그 타단이 견칫돌이 고정된 앵커부재(40)와, 상기 한 층의 견칫돌(20)이 축조된 상부측에 하부층의 견칫돌(20)과 동일 기울기 범위에서 또 한 층의 견칫돌을 적층 시공할 때 각 견칫돌의 인접된 부위에 형성되어 초목을 식재할 수 있는 간극(G)을 포함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가 가능한 석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토층(S)의 바닥면에 접하도록 채워지는 채움재(30)의 하부에 지반의 약화 및 하중 등의 외부요인에 의해 채움재가 성토층의 지반으로 밀려드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유연성과 투수성을 갖는 망사재(31)가 설치되고, 성토층(S)의 경사면(S') 전부분에도 채움재를 지반으로부터 격리되게 하는 투수성직포(32)와 상기 망사재가 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가 가능한 석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재(40)는 철재의 와이어 또는 환봉으로 되고, 견칫돌에 고정되는 부위는 앵커볼트(41)를 인써트 시켜 고정되게 하되 채움재(30)에 고정되는 부위는 채움재에 매립되는 망사재(31)에 걸려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가 가능한 석축.
KR20-2003-0028451U 2003-09-04 2003-09-04 식재가 가능한 석축 KR2003387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451U KR200338784Y1 (ko) 2003-09-04 2003-09-04 식재가 가능한 석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451U KR200338784Y1 (ko) 2003-09-04 2003-09-04 식재가 가능한 석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1673A Division KR100531213B1 (ko) 2003-09-04 2003-09-04 식재가 가능한 석축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8784Y1 true KR200338784Y1 (ko) 2004-01-24

Family

ID=49342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8451U KR200338784Y1 (ko) 2003-09-04 2003-09-04 식재가 가능한 석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87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154B1 (ko) * 2004-05-13 2004-10-20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하천제방의 보호시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154B1 (ko) * 2004-05-13 2004-10-20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하천제방의 보호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5641B1 (ko) 씨앗부착 부직포식생포대를 이용한 환경복원공법
KR100920027B1 (ko) 토목섬유 보강 커튼 월 구조 및 녹화공법
CN108221861A (zh) 一种防止水土流失的生态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JP3416097B2 (ja) 生態安定化ブロック
KR100531213B1 (ko) 식재가 가능한 석축의 시공방법
CN207987862U (zh) 一种绿色生态护坡水岸结构
KR100487405B1 (ko) 식물자생용 돌붙임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338784Y1 (ko) 식재가 가능한 석축
JPH10195898A (ja) 植生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植生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工
KR100884017B1 (ko) 자연환경 복원형 경사면의 시공방법
KR100515136B1 (ko) 식생 블럭 및 그를 이용한 식생 옹벽 및 호안 시공방법
KR100960601B1 (ko) 사면 보호용 생태블록
KR100381254B1 (ko) 트렌치를 이용한 하천의 식생호안 시공방법
KR100526753B1 (ko) 생태복원을 위한 자연형 하천의 비탈면 축조구조
CN208379542U (zh) 一种低水位护岸砌块构筑结构
JP3785155B2 (ja) 生物生息空間を有するブロック及びそのブロックを用いたブロック壁構造
KR100427226B1 (ko) 환경친화형 돌망태 공법
JP2849634B2 (ja) 護岸緑化用植生ブロック及び緑化護岸
KR101105407B1 (ko) 수분 전도체를 갖는 자연 친환경 옹벽 구조물
JP2001123467A (ja) 環境共生型緑化用擁壁ブロック
KR100514086B1 (ko) 친환경 구축력 옹벽
CN208430484U (zh) 消落带边坡绿色防护结构
KR200185859Y1 (ko) 생태 안정화 블록
CN218842992U (zh) 一种用于渠道的生态护坡结构
KR20010090091A (ko) 녹화토를 이용한 돌망태와 그 제조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