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6624Y1 - 차량 진입 방지구 - Google Patents

차량 진입 방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624Y1
KR200336624Y1 KR20-2003-0030006U KR20030030006U KR200336624Y1 KR 200336624 Y1 KR200336624 Y1 KR 200336624Y1 KR 20030030006 U KR20030030006 U KR 20030030006U KR 200336624 Y1 KR200336624 Y1 KR 2003366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vehicle
hole
hook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00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왕진
Original Assignee
박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왕진 filed Critical 박왕진
Priority to KR20-2003-00300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66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6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6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에 설치하여 차량이 진입을 방지시키는 방지구를 분리되게 구성하여 때에 따라 방지구를 분리하여 도로에 차량을 진입할 수 있게 한 차량 진입 방지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원통형의 차량 진입 방지구에 있어서, 차량 진입 방지구를 상부 몸체와 하부 고정구로 분리 구성하여 걸고리가 형성된 결합봉으로 결합되게 구성하되, 상기 몸체는 통상의 차량 진입 방지구의 형태로 구성하여 하부 일측에 걸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걸고리에 인접되게 그 하단과 반대쪽에 결합공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구는 상기 몸체의 하부에 끼워지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의 둘레에 고정공이 형성된 플랜지를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 주면의 일측과 그 반대쪽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의 내측에 관통공을 관통하게 파이프를 부착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의 관통공과 상기 몸체의 결합공이 일치되게 몸체를 돌출부에 끼우고 결합공과 관통공에 결합봉이 끼워져 결합되게 구성한다.

Description

차량 진입 방지구{Check of entering car}
본 고안은 도로에 차량이 통행할 수 없게 하는 차량 진입 방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도로에 설치하여 차량이 진입을 방지시키는 방지구를 분리되게 구성하여 때에 따라 방지구를 분리하여 도로에 차량을 진입할 수 있게 한 차량진입 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진입 방지구는 횡단보도와 인도 경계선, 공원입구, 자전거전용도로의 경계부분과 그 외 인도의 보행자를 보호해야할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다.
종래의 차량 진입 방지구는 대부분이 상당한 강도를 가진 원통형상의 금속 및 석재 구조물로 제작되어 도로에 삽입 고정 시공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차량 진입 방지구는 시공 후에 차량이 진입해야 할 경우가 있어도 고정 설치되어 있어 차량이 진입할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차량 진입 방지구를 상하부가 분리되게 구성하여 유사시 차량이 진입해야 할 경우 차량 진입 방지구의 상부를 분리시켜 차량이 통과할 수 있게 한 차량 진입 방지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 은 도 2의 A-A선 단면설명도.
도 4 는 도 2의 B-B선 단면설명도.
도 5 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차량 진입 방지구, 2: 몸체,
3: 고정구, 4: 결합봉,
21,41: 걸고리, 22,22' : 결합공,
31: 돌출부, 32: 고정공,
33: 플랜지, 34,34': 관통공,
35: 파이프
본 고안은 원통형의 차량 진입 방지구에 있어서, 차량 진입 방지구를 상부 몸체와 하부 고정구로 분리 구성하여 걸고리가 형성된 결합봉으로 결합되게 구성하되, 상기 몸체는 통상의 차량 진입 방지구의 형태로 구성하여 하부 일측에 걸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걸고리에 인접되게 그 하단과 반대쪽에 결합공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구는 상기 몸체의 하부에 끼워지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의 둘레에 고정공이 형성된 플랜지를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 주면의 일측과 그 반대쪽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의 내측에 관통공을 관통하게 파이프를 부착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의 관통공과 상기 몸체의 결합공이 일치되게 몸체를 돌출부에 끼우고 결합공과 관통공에 결합봉이 끼워져 결합되게 구성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진입 방지구의 요지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진입 방지구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진입 방지구의 사시도이며, 도 3 은 도 2의 A-A선 단면설명도이고, 도 4 는 도 2의 B-B선 단면설명도이며,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진입 방지구의 사용상태 단면설명도이다.
본 고안은 원통형의 차량 진입 방지구(1)에 있어서, 차량 진입 방지구(1)를 상부 몸체(2)와 하부 고정구(3)로 분리 구성하고, 걸고리(41)가 형성된 결합봉(4)으로 결합되게 구성한다.
상기 몸체(2)는 통상의 차량 진입 방지구(1)의 형태로 구성하여 하부 일측에 걸고리(21)를 형성하고, 상기 걸고리(21)에 인접되게 그 하단과 반대쪽에 결합공(22)(22')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구(3)는 상기 몸체의 하부에 끼워지는 돌출부(31)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의 둘레에 고정공(32)이 형성된 플랜지(33)를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31) 주면의 일측과 그 반대쪽에 관통공(34)(34')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31)의 내측에관통공(34)(34')을 관통하게 파이프(35)를 부착 형성한다.
상기 돌출부(31)의 관통공(34)(34')과 상기 몸체(2)의 결합공(22)(22')이 일치되게 몸체(2)를 돌출부(31)에 끼우고 결합공(22)(22')과 관통공(34)(34')에 결합봉(4)이 끼워져 결합되게 구성한다.
미설명부호 5는 자물쇠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진입 방지구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진입 방지구의 설치를 설명하면 도로에 차량 진입 방지구(1)를 설치할 위치에 앵커볼트 등을 설치하고 앵커볼트 등을 고정구(3)의 고정공(32)에 끼우고 너트 등으로 나사결합하면 도로에 고정구(3)가 고정되는 것이다.
도로에 고정구(3)가 고정 설치되면 고정구(3)의 돌출부(31) 주면에 형성된 관통공(34)(34')과 몸체(2)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공(22)(22')이 일치되게 몸체(2)의 하단을 돌출부(31)에 끼워 맞춘다.
몸체(2)가 돌출부(31)에 결합되면 걸고리(41)가 형성된 결합봉(4)을 결합공(22)을 통해 관통공(34)과 파이프(35) 그리고 관통공(34') 결합공(22')으로 관통되게 끼워 결합한다.
결합봉(4)을 끼운 후 결합봉(4)의 걸고리(41)와 몸체(2)의 걸고리(21)에 자물쇠(5)를 채움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진입 방지구가 설치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돌출부(31) 내측에 파이프(35)를 부착한 것은 결합봉(4)을 끼우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진입 방지구(1)는 도로에 차량이 진입하지 못하게 설치하여 놓다가 유사시 차량이 통행해야 할 경우 자물쇠(5)를 풀고 결합봉(4)을 제거하고 몸체(2)를 고정구(3)로부터 분리시키면 도로표면에 높이가 낮은 고정구(3)만 부착되어 있으므로 차량이 그 위를 통하여 통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태양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진입 방지구는 차량 진입 방지구를 몸체와 고정구로 분리 구성하여 차량 진입의 통제 및 해제를 임의대로 할 수 있고 몸체부분이 별도 구성되므로 몸체가 파손되었을 때 몸체만 교체해주면 되므로 경제적이 이득도 있는 등 여러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원통형의 차량 진입 방지구에 있어서,
    차량 진입 방지구를 상부 몸체와 하부 고정구로 분리 구성하여 걸고리가 형성된 결합봉으로 결합되게 구성하되, 상기 몸체는 통상의 차량 진입 방지구의 형태로 구성하여 하부 일측에 걸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걸고리에 인접되게 그 하단과 반대쪽에 결합공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구는 상기 몸체의 하부에 끼워지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의 둘레에 고정공이 형성된 플랜지를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 주면의 일측과 그 반대쪽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의 내측에 관통공을 관통하게 파이프를 부착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의 관통공과 상기 몸체의 결합공이 일치되게 몸체를 돌출부에 끼우고 결합공과 관통공에 결합봉이 끼워져 결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입 방지구.
KR20-2003-0030006U 2003-09-22 2003-09-22 차량 진입 방지구 KR2003366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006U KR200336624Y1 (ko) 2003-09-22 2003-09-22 차량 진입 방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006U KR200336624Y1 (ko) 2003-09-22 2003-09-22 차량 진입 방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6624Y1 true KR200336624Y1 (ko) 2003-12-18

Family

ID=49421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006U KR200336624Y1 (ko) 2003-09-22 2003-09-22 차량 진입 방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662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8760Y1 (ko) 탄성 볼라드
KR20080079361A (ko) 가로등 등주의 연결구조
KR100873011B1 (ko) 다기능 탄성 볼라드
KR100490960B1 (ko) 건축 부대시설용 볼라드
KR200336624Y1 (ko) 차량 진입 방지구
KR101356110B1 (ko) 도로를 따라 설치되는 가드레일 포스트 설치구조
KR100977090B1 (ko) 차량 진입 방지용 볼라드
KR200453540Y1 (ko) 지주에 보호커버 및 반사판이 설치된 휀스
KR101499015B1 (ko) 휀스 포스트
KR200292771Y1 (ko) 빠짐방지 기능을 가진 맨홀
KR100557279B1 (ko) 맨홀뚜껑
KR200406222Y1 (ko) 난간의 결합 구조
KR200390643Y1 (ko) 볼트/너트 보호용 캡
KR101359792B1 (ko) 매립형 와셔부재 및 이를 이용한 부재고정기구와 부재고정구조
KR200294884Y1 (ko) 상하수도 배관공사용 안전커버
KR0112850Y1 (ko) 도로 시설물용 기둥 보호카버
KR100669814B1 (ko) 난간의 결합 구조
KR100740212B1 (ko) 가스관 보호커버
KR200384948Y1 (ko) 이탈방지용 맨홀 뚜껑
JPH0113759Y2 (ko)
KR200165588Y1 (ko) 셔터용 자물쇠고리{.}
KR200401490Y1 (ko) 조립형 가드휀스
KR200441277Y1 (ko) 가로등의 단자함 커버 설치구조
KR200220939Y1 (ko) 건널목 차단기
KR200259317Y1 (ko) 시내도로의 개구리주차 방지용 도로 경계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