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256Y1 - 파워 스티어링 오일 리저버의 누유방지 캡 - Google Patents

파워 스티어링 오일 리저버의 누유방지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256Y1
KR200335256Y1 KR20-2003-0029027U KR20030029027U KR200335256Y1 KR 200335256 Y1 KR200335256 Y1 KR 200335256Y1 KR 20030029027 U KR20030029027 U KR 20030029027U KR 200335256 Y1 KR200335256 Y1 KR 2003352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low
cap
power steering
reservoir
flow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90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희
Original Assignee
경창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창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창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290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2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2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2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B65D51/164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the element being a valve
    • B65D51/16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the element being a valve formed by a slit or narrow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62Details, componen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Supply Devices, Intensifiers, Converters, And Telemo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일의 누유 방지용 파워 스티어링 오일 리저버용 캡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파워 스티어링 오일 리저버용 캡은, (1)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동공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와, 공기 유동공과 연통하도록 되어 있는 공기 유동홈을 포함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내측 캡과, (2) 공기 유동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바닥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유부에 삽입되는 통상부(筒狀部)를 포함하는 외측 캡과, (3) 상기 내측 캡의 공기 유동공을 폐쇄하는 제1 상태와 상기 내측 캡의 공기 유동공을 개방하는 제2 상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한 탄성 개구 폐쇄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워 스티어링 오일 리저버의 누유방지 캡{Cap for Leakage-Prevention of Power Steering Oil Reservoir}
본 고안은 차량의 파워 스티어링 오일을 저장하는 리저버의 상부에 씌워지는 캡 및 그러한 캡을 포함하는 리저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저버내에 저장되어 있는 파워 스티어링 오일이 누유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파워 스티어링(power steering)은 차량에 있어서 운전자가 적은 힘으로도 스티어링 휠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시스템으로서, 엔진으로 유압 펌프를 구동해서 리저버에 저장되어 있는 오일을 이용하여 유압 회로를 구동시키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파워 스티어링은 조작력을 작게 할 수 있어 조향 기어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 노면 충격에 의한 킥백(kick back)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시미 모션(shimmy motion)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 있어서, 오일을 저장하여 두는 리저버(reservoir)는 그 내부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서의 오일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종래의 리저버에서는 리저버에 오일을 주입하기 위한 주유부에 장착되는 캡에 공기가 빠질 수 있는 에어홀을 제공하는 기술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리저버 캡을 채용하면 상기 에어홀을 통하여 리저버내의 오일이 누유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오일 누유때문에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주위의 오염을 포함한 자동차 본네트 내부의 오염 및 작동상의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누유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으나 복잡하고 실제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들이 많았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파워 스티어링 오일이 누유되지 않는 파워 스티어링 오일 리저버용 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실제 적용하기 편리하고 제작하기도 용이한 파워 스티어링 오일 리저버용 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누유방지 캡이 파워 스티어링 오일 리저버에 조립되는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정상 상태에서의 누유방지 캡의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3은 리저버내의 압력이 소정의 기준치와 상이하여 내측 캡의 공기유동공이 개방되는 제2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파워 스티어링 오일 저장용기 2: 덮개부재
3: 내측캡 4: 외측캡
5: 본체 31: 중앙 공기 유동 개구
33: 환형 공기 유동홈 35: 절결부
41: 탄성부 43: 주위 공기 유동 개구
51: 주유부 53: 주유구
60: 탄성 개구 폐쇄 부재
본 고안에 의한 파워 스티어링 오일 리저버용 캡은, (1)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동공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와, 공기 유동공과 연통하도록 되어 있는 공기 유동홈을 포함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내측 캡과, (2) 공기 유동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바닥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유부에 삽입되는 통상부(筒狀部)를 포함하는 외측 캡과, (3) 상기 내측 캡의 공기 유동공을 폐쇄하는 제1 상태와 상기 내측 캡의 공기 유동공을 개방하는 제2 상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한 탄성 개구 폐쇄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상태는 정상 상태(normal state)일 때이며, 제2 상태는 상기 리저버 내의 압력이 소정의 값보다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압력 변화가 발생한 상태이다. 여기서 소정의 값이란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원활한 작동을 위한 리저버내의 압력값이다. 이 값은 차량이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동할 수 있다.
외측 캡의 공기 유동 개구는 바닥부의 주변부에 적어도 한 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내측 캡의 공기 유동공은 몸체부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플랜지부에는 상기 공기 유동공을 동심으로 적어도 하나의 대략 원형인 릿지(ridge)가 제공된다. 릿지에는 공기 유동을 위한 절결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파워 스티어링 오일 리저버용 캡(1)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리저버용 캡(1)은 덮개 부재(2)와, 내측 캡(3)과, 외측 캡(4)을 포함하며, 리저버 본체(5)의 주유부(51)에 체결된다.
내측 캡(3)은 몸체부(37)와 플랜지부를 포함하는데, 몸체부(37)에는 공기 유동공(31)이 관통하고 있고, 플랜지부에는 공기 유동공(31)을 동심으로 하여 원형 릿지(ridege)가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릿지는 한 개가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릿지의 개수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릿지 사이에는 공기 유동홈(33)이 제공되며, 공기 유동공(31)과 공기 유동홈(33)이 연통되도록 하기 위한 절결부(35)가 릿지에 각각 제공된다.
특히, 내측 캡(3)의 공기 유동공(31)의 상부에는 공기 유동공(31)을 폐쇄할 수 있는 탄성 개구 폐쇄 부재(60)가 제공된다. 이 탄성 개구 폐쇄 부재(6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저버(5) 내의 공기 압력에 따라서 탄성 변형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공기 유동공(31)을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외측 캡(4)은 파워 스티어링 오일의 주유공(53)에 삽입되는 통상부(47; 筒狀部)를 포함하며, 통상부(47)에는 내측 캡(3)의 몸체부(37)가 삽입되는 삽입 개구(45)가 형성되어 있다. 통상부(47)는 바닥부(41)를 포함하는데, 바닥부(41)는 어느 정도 탄성을 가지는 고무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바닥부(41)에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기 유동 개구(43)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리저버(5)내의 압력 변화에 따라 바닥부(41)의 형상이 변화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압력 변화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 재질로 제작하더라도 바닥부(41)의 공기 유동 개구(43)와 내측 캡(3)의 공기 유동공(1)이 서로 연통할 수만 있다면 무방하다.
리저버의 본체(5)에는 파워 스티어링 오일이 저장되며, 그 상부에는 오일 주입을 위한 주유부(51)가 제공된다.
도 2에는 제1 상태 즉 리저버(5) 내의 압력이 정상상태일 때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정상 상태에서는 리저버(5)내의 압력이 높지 않으므로 바닥부(41)의 개구(43)를 통한 공기의 유동이 거의 없거나 많지 않고, 따라서 탄성 개구 폐쇄 부재(60)는 공기 유동공(31)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도 3에는 제2 상태 즉, 리저버(5)내의 압력이 증대되었을 때의 상태일 때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리저버(5)내의 압력이 높아지면, 리저버(5)내의 공기가 팽창하게 되고 화살표 방향으로 공기 유동 개구(43)를 통해 공기 유동공(31)으로 빠져나가는 공기의 양이 증대된다. 그로 인해 탄성 개구 폐쇄 부재(60)의 아래쪽에는 상방력(上方力)이 작용하게 된다. 이 힘의 작용으로 인하여 탄성 개구 폐쇄 부재(60)는 도 3에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 찌그러지면서 윗방향을 향해 변형된다. 따라서, 공기 유동공(31)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다.
공기 유동공(31)이 개방되면 공기 유동 개구(43)를 통해 리저버 본체(5)로부터 빠져 나온 공기가 공기 유동공(31)을 통하여 빠져 나간다. 공기 유동공(31)을 빠져 나온 공기는 릿지의 절결부(35)와 공기 유동홈(33)을 통하여 외부로 유동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리저버 캡에 의하면 공기가 빠져나가는 공기 유동공(31)이 항상 열려 있는 것이 아니라 정상 상태에서는 탄성 개구 폐쇄 부재(60)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리저버내의 압력이 소정의 기준치와 차이가 생길 때가 되어야 개방되므로, 공기 유동공을 통한 파워 스티어링 오일의 누유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결정되며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고안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및 변경 내지 수정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에 의한 파워 스티어링 오일 리저버용 캡에 의하면, 내측 캡(3)의 상부에 제공되는 탄성 개구 폐쇄 부재(60)가 정상 상태에서는 내측 캡(3)의 공기 유동공(31)을 폐쇄하고 있고, 리저버(5)내의 압력이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상태에서는 공기 유동공(31)을 개방함으로써, 리저버(5)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즉 공기 유동공(31)이 항상 개방되어 있는 구조가 아니라 압력 조절을 위한 공기 유동이 필요할 때에만 개방되므로 공기 유동공을 통한 파워 스티어링 오일의 누유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작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Claims (3)

  1. 파워 스티어링 오일을 저장하는 리저버의 주유부에 장착되는 파워 스티어링 오일 리저버의 캡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동공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와, 공기 유동공과 연통하도록 되어 있는 공기 유동홈을 포함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내측 캡과,
    공기 유동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바닥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유부에 삽입되는 통상부(筒狀部)를 포함하는 외측 캡과,
    상기 내측 캡의 공기 유동공을 폐쇄하는 제1 상태와 상기 내측 캡의 공기 유동공을 개방하는 제2 상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한 탄성 개구 폐쇄 부재를 포함하는, 파워 스티어링 오일 리저버의 캡.
  2. 제1 항에 있어서, 제1 상태는 정상 상태(normal state)일 때이며, 제2 상태는 상기 리저버 내의 압력이 소정의 기준치보다 높아지거나 또는 낮아지는 상태인, 파워 스티어링 오일 리저버의 캡.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내측 캡의 공기 유동공은 몸체부의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공기 유동공을 동심으로 적어도 하나의 대략 원형인 릿지(ridge)가 제공되며, 릿지에는 공기 유동을 위한 절결부가 형성되는, 파워 스티어링 오일 리저버의 캡.
KR20-2003-0029027U 2003-09-09 2003-09-09 파워 스티어링 오일 리저버의 누유방지 캡 KR2003352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027U KR200335256Y1 (ko) 2003-09-09 2003-09-09 파워 스티어링 오일 리저버의 누유방지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027U KR200335256Y1 (ko) 2003-09-09 2003-09-09 파워 스티어링 오일 리저버의 누유방지 캡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3103A Division KR100545824B1 (ko) 2003-09-09 2003-09-09 파워 스티어링 오일 리저버의 누유방지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256Y1 true KR200335256Y1 (ko) 2003-12-03

Family

ID=49420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9027U KR200335256Y1 (ko) 2003-09-09 2003-09-09 파워 스티어링 오일 리저버의 누유방지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2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2025A (en) Magnetic control-type flow control valve
US6213881B1 (en) Damper device
US4440308A (en) Fuel cap valve structure
KR0141856B1 (ko) 에어댐퍼
US7575108B2 (en) Damper
KR200335256Y1 (ko) 파워 스티어링 오일 리저버의 누유방지 캡
KR100545824B1 (ko) 파워 스티어링 오일 리저버의 누유방지 캡
JP2003081080A (ja) リザーバ
KR200335229Y1 (ko) 파워 스티어링 오일 리저버의 누유방지 캡
JPH1113815A (ja) 油圧緩衝器
KR100550798B1 (ko) 파워 스티어링 오일 리저버의 누유방지 캡
JP2007107694A (ja) ブリーザ装置
KR20050022570A (ko) 파워 스티어링 오일 리저버의 누유방지 캡
KR100857063B1 (ko) 리어액슬 에어브리더
JP5164064B2 (ja) クラッチオイルリザーバーキャップ
KR100276819B1 (ko) 파워 스티어링 리저버의 누유방지 구조
KR200354890Y1 (ko) 차량용 리저버의 에어밴트구조
KR20060067532A (ko) 차량용 변속기의 에어 브리드
KR100798039B1 (ko) 변속기의 에어 브리더 장치
KR100508174B1 (ko) 연료탱크에 장착되는 리저버 컵의 체크밸브 장착구조
KR200281932Y1 (ko) 파워 스티어링의 리저버용 캡
KR20060074941A (ko) 파워 스티어링 오일 리저버의 누유 방지 캡
KR20040040859A (ko) 수동변속기의 에어브리더
WO2021251377A1 (ja) チェックバルブ、チェックバルブ付き分岐具およびクリーナ装置
KR100609312B1 (ko) 차량용 리저버의 에어밴트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