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4278Y1 - 자장을 이용한 거스러미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자장을 이용한 거스러미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4278Y1
KR200334278Y1 KR20-2003-0026972U KR20030026972U KR200334278Y1 KR 200334278 Y1 KR200334278 Y1 KR 200334278Y1 KR 20030026972 U KR20030026972 U KR 20030026972U KR 200334278 Y1 KR200334278 Y1 KR 2003342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eld
field generating
generating panel
pol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69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욱
Original Assignee
임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상욱 filed Critical 임상욱
Priority to KR20-2003-00269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42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42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42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1/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 B24B31/1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other means for tumbling of work
    • B24B31/1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other means for tumbling of work using an alternating magnetic fie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1/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 B24B31/12Accessories; Protective equipment or safety devices; Installations for exhaustion of dust or for sound absorption specially adapted for machines covered by group B24B31/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N극 자장과 S극 자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이 설치된 자력발생패널을 회전시킴으로써 자장이 반복적으로 빠르게 위치전환되도록 하되 자력발생패널을 좌, 우로 이동시켜 회전중심이 변화되도록 함으로써 연마재 및 공작물이 자력발생패널의 회전중심부로 몰리지 않도록 된 자장을 이용한 거스러미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자장을 이용한 거스러미를 제거장치는, N극 자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과 S극 자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이 설치된 자장발생패널과; 자장발생패널을 회전시켜 N극 자장과 S극 자장의 위치전환이 반복적으로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위치전환수단과; 자장발생패널을 좌, 우로 반복하여 이동시키는 제2위치전환수단과; 자력에 반응하는 연마재와 공작물이 투입되고 상기 자장발생패널에서 발생된 자장이 미치는 수납부를 갖는 합성수지재의 공작물투입용기와; 자장발생패널의 상부에 위치되며, 연마용기가 안착되는 용기안착부;를 갖는다.

Description

자장을 이용한 거스러미 제거장치{THE MEMOVAL APPARATUS OF BURR WITH MAGNETISM}
본 고안은 자장을 이용한 거스러미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력에 반응하는 연마재와 공작물이 보다 격렬하게 움직여 거스러미 제거효율이 향상되도록 한 자장을 이용한 거스러미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밀링가공 및 선반가공 등 절삭공구에 의한 가공이나 프레스 가공 등의 기계적 가공에 의해 생산된 공작물은 대부분 표면이 매끄럽지 않으며, 모서리 부분에는 모두 거스러미가 발생된다.
이러한 거스러미는 큰 공작물의 경우 수작업 등을 통해 제거할 수 있지만 작은 공작물의 경우는 거스러미의 제거가 어려워 한국 실용신안출원 제20-1998-0016096호(자기 연마기, 1998. 08. 27.출원)와 같이 N극 자장과 S극 자장을 반복적으로 빠르게 전환시켜 연마용기 내부에 저장된 연마재와 연마물이 격렬하게 움직이므로 써 서로 마모가 되면서 거스러미가 제거되도록 한 장치가 안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기 연마기는 N극과 S극의 자장을 전환시켜 주기 위한 방법으로, N극 자장과 S극 자장을 각각 발생시키는 영구자석이 설치된 패널을 회전시키는 방식이어서 위치전환이 빠른 반면 그 회전중심부로 공작물과 연마재가 모여드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거스러미 제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마재와 공작물이 어느 한 곳에 머물지 못하고 보다 격렬하게 움직이도록 하여 거스러미 제거효율을 높이려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자장을 이용한 거스러미 제거장치의 단면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자장발생패널의 개략도
A : 평면도
B :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자장발생회전체의 개략적 사시도
도 4는 링크장치 형태로 구현된 제2위치전환수단과 제1자장발생패널 및 제2자장발생패널의 구동력 전달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제1자장발생패널과 제2자장발생패널과 연결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연마재 2. 공작물
10. 자장발생패널 10a. 제1자장발생패널
10b. 제2자장발생패널 11,12. 영구자석
20. 제1위치전환수단 21, 22. 모터
23. 연결판 24. 제1회전기어
25. 제2회전기어 26. 고정기어
30. 공작물투입용기 31. 수납부
40. 제2위치전환수단 41. 감속기
42. 설치판 42a. 너트부
43. 볼트 44. 센서
45. 제1링크 46. 감속기
47. 제2링크 50. 용기안착부
60. 자장발생회전체 61, 62. 영구자석
70. 회전체회전수단 71. 감속기
본 고안에서는 N극 자장과 S극 자장을 각각 발생시키는 영구자석이 설치된 자력발생패널을 회전시킴으로써 극성이 다른 자장이 반복적으로 빠르게 위치전환되도록 하되 자력발생패널을 좌, 우로 이동시켜 회전중심이 변화되도록 함으로써 연마재 및 공작물이 자력발생패널의 회전중심으로 몰리는 현상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자장을 이용한 거스러미 제거장치는,
N극 자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과 S극 자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이 설치된 자장발생패널과;
상기 자장발생패널을 회전시켜 N극 자장과 S극 자장의 위치전환이 반복적으로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위치전환수단;을 갖는다.
또, 자장발생패널을 좌, 우로 반복하여 이동시키는 제2위치전환수단;을 갖는다.
또, 자력에 반응하는 연마재와 공작물이 투입되고 자장발생패널에서 발생된 자장이 미치는 수납부를 갖는 합성수지재의 공작물투입용기와;
자장발생패널의 상부에 위치되며, 연마용기가 안착되는 용기안착부;를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자장의 극성을 변화시켜 자력에 반응하는 연마재(1)가 격렬하게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공작물(2)의 거스러미를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거스러미 제거장치는 N극 자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11)과 S극 자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12)이 설치된 자장발생패널(10)을 갖는다.
또, 영구자석(11, 12)에 의하여 발생되는 N극 자장 및 S극 자장이 소정의 위치에서 빠르게 전환되도록 하는 제1위치전환수단(20)을 갖는데 이러한 제1위치전환수단(20)은 종래와 같이 자장발생패널(10)을 모터(21)나 감속기 등으로 회전시켜 N극 자장과 S극 자장의 위치전환이 반복적으로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또, 자력에 반응하는 연마재(1)와 공작물(2)이 투입되고 자장발생패널(10)에서 발생된 N극 자장 및 S극 자장이 전달되는 수납부(31)를 갖는 합성수지재의 공작물투입용기(30)를 갖는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자장발생패널(10)을 회전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여 소정의 위치에 놓이는 자장의 극성을 변화시키면 자장발생패널(10)의 회전중심부로 연마재(1) 및 공작물(2)이 모여드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는 연마재(1)의 움직임이 둔해져 거스러미 제거효율이 저하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자장발생패널(10)을 좌, 우로 반복하여 이동시키는 제2위치전환수단(40)을 구비한다.
즉, 회전되는 자장발생패널(10)을 좌, 우로 반복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자장발생패널(10)의 회전중심이 한 곳에만 머물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회전되는 자장발생패널(10)을 좌, 우로 이동시키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과 같이 자장발생패널(10)이 모터나 감속기(41) 등에 직접 연결되어 자장발생패널(10)을 회전시키는 구조에 있어서 모터 및 감속기(41)를 좌, 우로 반복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자장발생패널(10)도 함께 이동되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모터나 감속기(41) 등이 좌, 우로 반복하여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구체적인방법으로는 도 1과 같은 구성이 있다.
도 1에서는, 모터나 감속기(41) 등이 안착된 설치판(42)에 너트부(42a)가 형성되어 있고, 너트부(42a)에는 소정의 위치에서만 회전되는 볼트(43)가 체결되어 있고, 이 볼트는 감속기(41)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되어 있어 감속기(41)의 회전으로 볼트(43)가 회전하고 이로 인하여 설치판(42)이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설치판(42)의 좌, 우 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센서(44)가 설치되어 설치판(42)이 소정의 위치까지 전진 또는 후진되면 센서(44)의 작동으로 감속기(41)가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함으로써 설치판(42)의 반복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선 센서를 대신하여 리밋스위치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 다른 형태의 제2위치전환수단(40)으로는, 도 4와 같이 일측이 제1위치전환수단(20)에 연결된 제1링크(45)와 감속기(46)에 연결된 제2링크(47)의 조합에 의한 링크장치의 형태가 있다.
즉, 통상의 링크장치가 그러하듯이 제2링크(47)가 감속기(46)에 의하여 회전함에 따라 제1링크(45)가 반복된 직선운동을 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자장발생패널(10)의 빠른 이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용기안착부(50)는 연마재(1) 및 공작물(2)이 투입되는 공작물투입용기(30)가 자장발생패널(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공작물투입용기(30)를 안착시켜 놓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용기안착부(50)는 자장발생패널(10)의 상부에 위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력에 반응하는 연마재(1)와 공작물(2)을 공작물투입용기(30)에 넣고 제1위치전환수단(20)의 모터(21)에 전원을 공급하면 자장발생패널(10)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자장발생패널(10)에 위치하는 N극의 영구자석(11) 및 S극의 영구자석(12)의 위치가 변화함에 따라 공작물투입용기(30)의 수납부(31)에 전달되는 자장도 N극 자장과 S극 자장의 전환을 반복하게 되는데 자장발생패널(10)이 회전되는 방식이어서 자장의 전환은 매우 빠르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자장의 빠른 전환에 따라 연마재(1)는 격렬하게 움직여 공작물(2)과 부딪히고 이로 인하여 연마재(1)와 공작물(2)이 상호 마모됨으로써 공작물(2)의 거스러미가 제거된다.
물론, 공작물(2)이 자력에 반응하는 재질인 경우에는 공작물(2)도 격렬하게 움직이므로 거스러미 제거효과가 더욱 커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장발생패널(10)이 회전하는 경우 회전중심부는 그 외측에 비하여 자장의 변화가 약하여 공작물(2)이 자장발생패널(10)의 회전중심부로 몰리려는 현상이 발생되는데 본 고안에서는 제2위치전환수단(40)에 의하여 자장발생패널(10)의 회전중심이 변화하므로 연마재(1) 및 공작물(2)이 어느 한 곳으로 몰리지 못한다.
따라서, 거스러미 제거효과가 향상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바와 같이 자장발생패널(10)이 공작물투입용기(30)의 하부에 위치하여 자장이 공작물투입용기(30)의 하부에서만 발생되는 경우공작물투입용기(30)의 상부에는 비교적 약한 자장만이 미치게 된다.
이는 연마재(1)와 공작물(2)의 투입량이 비교적 많은 경우 공작물투입용기(30)의 위쪽에 놓이는 공작물(2)일 수록 거스러미 제거효율이 저하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공작물투입용기(30)의 수납부(31) 측면에 자장을 발생시키는 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그런데, 공작물투입용기(30)의 측면에서 발생되는 자장의 극성이 변화하지 않으면 오히려 거스러미 제거효율이 저하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공작물투입용기(30)의 수납부(31) 측면에 자장을 발생시키는 수단은 N극 자장과 S극 자장을 발생시키면서 회전되는 자장발생회전체(60)이어야 한다.
따라서, 자장발생회전체(60)는 N극 자장과 S극 자장을 발생시키는 각각의 영구자석(61, 62)을 가지며, 회전체회전수단(70)에 의하여 회전된다.
상기와 같은 회전체회전수단(70)의 구체적인 예로는 도 1과 같이 자장발생회전체(60)에 벨트를 연결하고 이 벨트를 모터나 감속기(71) 등의 전동기로 회전시킴으로써 자장발생회전체(60)가 회전되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또, 자장발생회전체(60)에 기어를 형성하고, 이 기어가 모터나 감속기와 연결된 기어와 맞물려 회전됨으로써 자장발생회전체가 회전되도록 하는 방법도 있다.(도시하지 않음)
본 고안은 제1위치전환수단(20)을 좌, 우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제1위치전환수단(20)이 좌, 우로 이동되더라도 공작물투입용기(30)의 수납부(31) 바닥면은 모든 부분이 항상 자장발생패널(10)의 자장발생범위에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는 자장발생패널(10)의 자장발생범위를 공작물투입용기(30)의 수납부(31) 폭보다 크게 하되 그 크기를 자장발생패널의 이동시에도 공작물투입용기(30)의 수납부(31) 바닥면은 모든 부분이 항상 자장발생패널(10)의 자장발생범위에 있도록 하는 크기로 구성하는 방법이 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자장발생패널(10)은 제1위치전환수단(20)의 회전중심 좌, 우측에 각각 위치된 제1자장발생패널(10a) 및 제2자장발생패널(10b)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1자장발생패널(10a)과 제2자장발생패널(10b)은 각각 그 중심부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는 동시에 제1위치전환수단(20)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도 회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자장의 변화가 크고 자장의 변화가 다른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약해지는 부분이 발생되지 않아 거스러미 제거효율이 좋아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제1자장발생패널(10a) 및 제2자장발생패널(10)이 제1위치전환수단(20)의 회전중심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하는 동력전달방식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와 같이 제1위치전환수단(20)의 구성요소인 모터(22)나 감속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연결판(23)에 제1자장발생패널(10a)과 제2자장발생패널(10b)이 연결되어 있어 연결판(23)과 함께 제1자장발생패널(10a)과 제2자장발생패널(10b)이 회전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1자장발생패널(10a)과 제2자장발생패널(10b)이 각각 그 중심부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하는 동력전달방식도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자장발생패널(10a) 및 제2자장발생패널(10b)의 중심부에 연결되어 제1자장발생패널(10a) 및 제2자장발생패널(10b)을 회전시켜 주는 감속기나 모터를 구비하고, 이 감속기나 모터는 제1위치전환수단(20)에 의하여 제1자장발생패널(10a) 및 제2자장발생패널(10b)과 함께 회전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음)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은 감속기나 모터 자체가 제1위치전환수단(20)에 의하여 고속회전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전원공급의 어려움과 고장이 자주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별도의 전원 공급이 필요 없고, 고장이 발생되지 않는 기어 연결방식 등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어를 사용한 방식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와 같이 제1자장발생패널(10a)과 제2자장발생패널(10b)의 중심부에 각각 연결되어 각각 제1자장발생패널(10a) 및 제2자장발생패널(10b)과 함께 회전되는 제1회전기어(24) 및 제2회전기어(25)가 고정되어 있는 고정기어(26)와 맞물려 있도록 하는 방식이 있다.
즉, 제1자장발생패널(10a)과 제2자장발생패널(10b)이 제1위치전환수단(20)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1자장발생패널(10a)과 제2자장발생패널(10b)을연결하는 연결판(23)의 회전시 제1회전기어(24) 및 제2회전기어(25)가 고정기어(26)와 맞물려 있어 회전됨으로써 제1자장발생패널(10a) 및 제2자장발생패널(10b)이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거스러미 제거장치는, N극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과 S극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이 설치된 자장발생패널을 회전시켜 자장의 변화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자장발생패널의 회전중심이 좌, 우로 이동됨으로써 연마재 공작물이 어느 한 곳에 머물지 못하고 보다 격렬하게 움직여 거스러미 제거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공작물투입용기의 수납부 측면에도 N극 자장과 S극 자장을 발생시키는 자장발생회전체를 구비되고, 회전체회전수단에 의해 자장이 변화되어 연마재와 공작물의 보다 격렬한 움직임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많은 양의 연마재와 공작물을 투입하더라도 거스러미 제거효율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Claims (5)

  1. 자장을 이용하여 공작물의 거스러미를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N극 자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과 S극 자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이 설치된 자장발생패널과;
    상기 자장발생패널을 회전시켜 N극 자장과 S극 자장의 위치전환이 반복적으로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위치전환수단과;
    상기 자장발생패널을 좌, 우로 반복하여 이동시키는 제2위치전환수단과;
    자력에 반응하는 연마재와 공작물이 투입되고 상기 자장발생패널에서 발생된 자장이 미치는 수납부를 갖는 합성수지재의 공작물투입용기와;
    상기 자장발생패널의 상부에 위치되며, 연마용기가 안착되는 용기안착부;를 갖는 자장을 이용한 거스러미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투입용기의 수납부 측면에 N극 자장과 S극 자장을 발생시키는 자장발생회전체와;
    상기 자장발생회전체가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체회전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장을 이용한 거스러미 제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위치전환수단은 일측이 제1위치전환수단에 연결된 제1링크와 감속기에 연결된 제2링크의 조합에 의한 링크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장을 이용한 거스러미 제거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장발생패널은 제1위치전환수단의 회전중심 좌, 우측에 각각 위치된 제1자장발생패널 및 제2자장발생패널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자장발생패널과 제2자장발생패널은 각각 그 중심부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는 동시에 제1위치 전환수단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장을 이용한 거스러미 제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장발생패널 및 제2자장발생패널이 제1위치전환수단의 중심부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하는 동력전달방식은 제1위치전환수단의 구성요소인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연결판에 제1자장발생패널과 제2자장발생패널이 연결되어 있어 연결판과 함께 제1자장발생패널과 제2자장발생패널이 회전되도록 한 것이고,
    제1자장발생패널과 제2자장발생패널이 각각 그 중심부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하는 동력전달방식은 제1자장발생패널과 제2자장발생패널의 중심부에 각각 연결되어 각각 제1자장발생패널 및 제2자장발생패널과 함께 회전되는 제1회전기어 및 제2회전기어가 고정된 고정기어와 맞물려 있어 상기 연결판의 회전시 제1회전기어 및 제2회전기어가 회전되도록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장을 이용한 거스러미 제거장치.
KR20-2003-0026972U 2003-08-19 2003-08-19 자장을 이용한 거스러미 제거장치 KR2003342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972U KR200334278Y1 (ko) 2003-08-19 2003-08-19 자장을 이용한 거스러미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972U KR200334278Y1 (ko) 2003-08-19 2003-08-19 자장을 이용한 거스러미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4278Y1 true KR200334278Y1 (ko) 2003-11-22

Family

ID=49340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6972U KR200334278Y1 (ko) 2003-08-19 2003-08-19 자장을 이용한 거스러미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427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687B1 (ko) * 2011-11-29 2013-10-30 (주)에이멕 거스러미 제거장치
KR20150134510A (ko) * 2014-05-21 2015-12-02 주식회사 혼텍 슬라이더장치가 구비된 디버링장치 및 그 운용방법
CN107971832A (zh) * 2017-08-04 2018-05-01 北京交通大学 一种用于磁流变抛光的机械旋转式脉冲磁场发生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687B1 (ko) * 2011-11-29 2013-10-30 (주)에이멕 거스러미 제거장치
KR20150134510A (ko) * 2014-05-21 2015-12-02 주식회사 혼텍 슬라이더장치가 구비된 디버링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1597340B1 (ko) 2014-05-21 2016-02-25 주식회사 혼텍 슬라이더장치가 구비된 디버링장치 및 그 운용방법
CN107971832A (zh) * 2017-08-04 2018-05-01 北京交通大学 一种用于磁流变抛光的机械旋转式脉冲磁场发生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09844B (zh) 砂磨或抛光工件并实现两种作业运动的手持式机械工具
US5067860A (en) Apparatus for removing burrs from workpieces
CN107081670B (zh) 3d曲面的抛光机
KR200334278Y1 (ko) 자장을 이용한 거스러미 제거장치
CN110883365A (zh) 一种可连续铣削装置
GB2224679A (en) Machine tool table incorporating a work holder
CA2146955A1 (en) Mechanical Drive for Dual Motion Motor Used in Oscillating Spindle Sander
KR20100042871A (ko) 아이솔레이터의 버 제거 장치
CN216178973U (zh) 一种行星轮系磁力研磨机
CN210360875U (zh) 工件加工机构、打磨装置及打磨机
CN113696080A (zh) 一种电子元器件加工用抛光装置
KR950002923A (ko) 석재 자동 연마기
CN113894622A (zh) 一种行星轮系磁力研磨机及其研磨方法
CN210189470U (zh) 一种轮毂抛光打磨一体机
CN209970415U (zh) 一种抛光机
KR101597340B1 (ko) 슬라이더장치가 구비된 디버링장치 및 그 운용방법
CN219359136U (zh) 磨床的主轴机构及磨床
CN110722445A (zh) 自动化流体抛光机
CN217702827U (zh) 一种具有防尘结构的五金件加工用打磨装置
JP2005007532A (ja) 回転テーブル装置
KR100606260B1 (ko) 자화현상을 이용한 소형 칩 수거기
GB2408224B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grinding machines
KR100222056B1 (ko) 디스크 그라인더의 분진유입 방지장치
CN211916489U (zh) 一种流体自动打磨机的打磨驱动装置
CN220296810U (zh) 磁力抛光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