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971Y1 - 오락물이 구동장치에 의해 연결된 노래방기기 - Google Patents

오락물이 구동장치에 의해 연결된 노래방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971Y1
KR200333971Y1 KR20-2003-0027843U KR20030027843U KR200333971Y1 KR 200333971 Y1 KR200333971 Y1 KR 200333971Y1 KR 20030027843 U KR20030027843 U KR 20030027843U KR 200333971 Y1 KR200333971 Y1 KR 2003339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araoke
song
entertainment
beat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78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극
Original Assignee
이용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극 filed Critical 이용극
Priority to KR20-2003-00278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9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9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9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9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performance evaluation, i.e. judging, grading or scoring the musical qualities or faithfulness of a performance, e.g. with respect to pitch, tempo or other timings of a reference performan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35Musical aspects of games or videogames; Musical instrument-shaped game input interfa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락물이 구동장치에 의해 연결된 노래방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래방기기의 마이크를 통해 스피커로 전달되는 노래의 음정이나 박자 등이 맞지 않거나 점수가 정한 기준에 미달될때 반주기가 이를 감지하여 노래방기기와 연결된 구동장치를 작동하게 함으로써, 구동장치의 단부에 장착된 쟁반 또는 물풍선이나 도깨비방망이가 하강하면서 노래부르는 사람을 충돌 또는 가격하도록 하게 하여 주변사람들의 분위기를 한층 고져시켜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 구성은 반주기(1)에 의해 선곡한 노래가 디스플레이(2)에 표시됨 동시에 선곡된 노래에 맞추어 마이크(3)를 통해 스피커(4)로 전달되도록 구성한 노래방기기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3)를 통해 선곡한 노래의 음정과 박자가 틀리거나 점수가 정한 기준에 미달일때 반주기(1)가 이를 감지하여 구동시키는 구동장치(5)와, 상기 구동장치(5)에 연결된 와이어(6)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승 및 하강하는 오락물(7)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물이 구동장치에 의해 연결된 노래방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은 노래방기기를 통해 선곡된 노래를 부를때 선곡된 노래의 음정과 박자가 맞지 않게 되면, 노래방기기와 연결된 구동장치가 가동되면서 하강하는 와이어의 단부에 장착된 오락물이 선곡자의 머리나 몸에 부딪치게 하여 시각적이나 청각적으로 분위기를 한층 고조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쌓인 스트레스도 순식간에 녹여 버릴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오락물이 구동장치에 의해 연결된 노래방기기{A singing machine connected to playthings by a driving apparatus}
본 고안은 오락물이 구동장치에 의해 연결된 노래방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래방기기의 마이크를 통해 스피커로 전달되는 노래의 음정이나 박자 등이 맞지 않거나 점수가 정한 기준에 미달될 때 반주기가 이를 감지하여 노래방기기와 연결된 구동장치를 작동하게 함으로써, 구동장치의 단부에 장착된 쟁반 또는 물풍선이나 도깨비방망이가 하강하면서 노래부르는 사람을 충격 또는 가격하도록 하게 하여 주변사람들의 분위기를 한층 고져시켜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노래방기기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같이, 선곡자가 원하는 노래를 선택하게 되면 선택된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음악이 스피커를 통해 흘러나오고 가사가 자막으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기기로서, 선곡자가 노래를 선택하게 되면 선택된 곡의 반주에 맞추어 마이크를 잡고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 노래가 끝나면 음정 박자등에 잘 맞추어서 불렀는지를 디스플레이에 점수로 표시함은 물론, 일정점수 이상이면 분위기를 고조시키기 위해 팡파르를 발생해 주었던 것이었다. 그리고, 유희자는 이들 노래점수를 가지고 여러가지의 게임을 진행하는게 전부였던 것이다.
이와 같이 이미 알려진 노래방기기는 단지 노래의 점수를 표시하는 기능밖에 없기때문에 다른 흥미를 유발시킬 수는 없었던 것이다.
그래서 노래방기기를 이용하여 선곡자가 노래를 부를때 시각적인 흥미를 유발 시키기 위하여 노래방기기의 일측에 물방울 발생기를 장착하여 노래가 끝난후 점수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될때 일정점수 이상이면 물방울 발생기에서 물방울이 발생하도록 한 것이 알려졌지만, 이는 단지 실내의 분위기를 고조시키기 위한 보조 장치에 불과한 것으로 선곡자를 통해 직접 흥미를 느낄 수는 없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유희자들이 노래방기기에 모여선곡자가 노래를 부를때, 선택된 곡에 대하여 음정과 박자가 틀리거나 점수가 정한 기준에 미달이 되면, 반주기가 이를 감지하여 노래방기기와 연결된 구동장치를 작동시켜서 구동장치의 단부에 장착된 쟁반이나 물풍선 또는 도깨비방망이와 같은 각종 오락물을 하강하게 하여 선곡자를 충격 또는 가격해줌으로써, 유희자들은 선곡자의 모습을 통해 유희를 한층 고조시키면서 시각적이나 청각적으로도 즐길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노래방기기의 구동장치에 연결된 오락물은 선곡자가 노래를 부르는 도중은 물론 노래가 끝난후에도 작동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노래방기기와 연결된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노래방기기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반주기 2. 디스플레이
3. 마이크 4. 스피커
5. 구동장치 6. 와이어
7. 오락물 8. 리모콘
9. 버튼 10. 노래방기기
11. 의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것이다.
본 고안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반주기(1)에 의해 선곡한 노래가 디스플레이(2)에 표시됨 동시에 선곡된 노래에 맞추어 마이크(3)를 통해 스피커(4)로 전달되도록 구성한 노래방기기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3)를 통해 선곡한 노래의 음정과 박자가 틀리거나 점수가 정한 기준에 미달일때 반주기(1)가 이를 감지하여 구동시키는 구동장치(5)와, 상기 구동장치(5)에 연결된 와이어(6)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승 및 하강하는 오락물(7)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물이 구동장치에 의해 연결된 노래방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반주기(1)에는 구동장치(5)를 구동시키기 위한 게임프로그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물이 구동장치에 의해 연결된 노래방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오락물(7)은 쟁반이나 물풍선 및 소리나는 방망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물이 구동장치에 의해 연결된 노래방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것이다.
본 고안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기존에 이미 공지된 노래방기기(10)의 일측에 구동장치(5)를 장착하는 것이다. 그리고 구동장치(5)에는 와이어(6)를 연결하여 구동장치(5)의 작동에 의해 상승 및 하강 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와이어(6)의 단부에는 소리나는 쟁반이나, 터지면 물세례를 받을 수 있는 물풍선이나, 소리나는 도깨비방망이 등 각종 오락성이 있는 오락물(7)을 장착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장치(5)는 노래방기기(10)에 장착되는 반주기(1)의 신호를 받아서 정역으로 구동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또 상기 반주기(1)는 이미 알려진 바와같이, 리모콘(8)이나 버튼(9)조작에 의해 선곡된 노래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2)를 통해 노래자막이나 영상등을 표시하도록 하는 중앙처리장치가 내장되어 있는데다가 구동장치(5)를 구동시키기 위한 오락물 낙하 게임프로그램을 더 내장하여 선곡자가 마이크(3)를 통해 부르는 노래의 음정과 박자가 틀렸거나 점수가 정한 기준에 미달될때 이를 감지하여 게임프로그램의 신호에 의해 구동장치(5)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오락물 낙하 게임프로그램에는 노래중간이나 노래를 마친후에 구동장치(5)가 구동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구동장치(5)의 강약등이 내장되어 있는 것이다.
그 뿐만아니라 흥미를 보다 더 즐겁게 할 수 있도록 오락물(7)이 낙하하는 지점에 의자(11)등을 설치하여 선곡자가 노래를 부르는 도중에 음정이나 박자가 틀린 것을 알고 도망가지 못하도록 선곡자를 벨트로 고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노래방기기(10)에 대하여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먼저 선곡자는 기존의 노래방기기의 작동순서와 같이, 부르고자 하는 노래를 리모콘(8)의 작동이나 또는 노래방기기(10)의 전면에 형성된 버튼(9)조작에 의해 선택한 후, 시작버튼을 누르게 되면 선택된 노래에 대하여 음악은 스피커(4)를 통해 흐르고, 노래자막과 영상은 디스플레이(2)를 통해 표시되므로 이때 선곡자는 음악에 맞추어 마이크(3)를 통해 노래를 부르면 되는 것이다.(S1)
상기와 같이 노래를 부르는 도중에 박자나 음정이 틀렸다는 것을 반주기(1)가 감지하게 되면(S2) 감지기는 이를 연산하여(S3) 즉시 반주기(1)의 프로그램에 내장된 게임프로그램으로 보내게 되는데(S4), 이때 상기 게임프로그램은 입력된 게임에 의해 구동장치(5)를 구동시키게 되는 것이다.(S5) 상기 구동장치(5)가 가동하게 되면 구동장치(5)와 연결된 와이어(6)가 하강하면서 와이어(6)의 단부에 장착된 각종 오락물(7)이 선곡자의 머리나 몸을 충돌 또는 가격하게 되는 것이다.(S6)
이때 쟁반은 선곡자의 머리나 몸에 부딪치게 되면 쨍하는 소리를 내게 하고,또 물풍선은 선곡자와 접촉과 동시에 터지면서 선곡자에게 물세례를 하게 하고, 또 도깨비 방망이는 몸을 충돌 또는 가격하면서 소리를 내게 하는 것이다. 즉, 오락물(7)이 낙하하면서 선곡자에게 충돌 또는 가격하게 되면 시각적임은 물론 청각적으로 즐거운 분위기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일정시간이 지나게 되면 게임프로그램에 의해 신호를 받은 구동장치(5)는 역구동하여 와이어(6)를 상승시키게 되면 와이어(6)의 단부에 장착된 오락물(7) 또한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S7)
이와같이 선곡자가 노래를 계속해서 부르는 동안 음정이나 박자가 맞지 않을때 이와 같은 작용을 반복할 수 있음은 물론, 노래가 다 끝난후에 이를 결산하여 구동장치(5)를 구동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동장치(5)의 작동 조정은 반주기(1)의 내부에 포함된 게임프로그램에 의해 다양하게 작동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장치(5)는 유희자들이 보다 더 흥미를 유발시키기 위해 리모콘(8)이나 빛 또는 무선신호에 의해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노래방기기를 통해 선곡된 노래를 부를때 선곡된 노래의 음정과 박자가 맞지 않게 되면, 노래방기기와 연결된 구동장치가 가동되면서 하강하는 와이어의 단부에 장착된 오락물이 선곡자의 머리나 몸에 부딪치게 하여 시각적이나 청각적으로 분위기를 한층 고조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쌓인 스트레스도 순식간에 녹여 버릴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반주기(1)에 의해 선곡한 노래가 디스플레이(2)에 표시됨 동시에 선곡된 노래에 맞추어 마이크(3)를 통해 스피커(4)로 전달되도록 구성한 노래방기기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3)를 통해 선곡한 노래의 음정과 박자가 틀리거나 점수가 정한 기준에 미달일때 반주기(1)가 이를 감지하여 구동시키는 구동장치(5)와,
    상기 구동장치(5)에 연결된 와이어(6)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승 및 하강하는 오락물(7)을 포함하여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물이 구동장치에 의해 연결된 노래방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주기(1)에는 구동장치(5)를 구동시키기 위한 게임프로그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물이 구동장치에 의해 연결된 노래방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락물(7)은 쟁반이나 물풍선 및 소리나는 방망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물이 구동장치에 의해 연결된 노래방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5)는 리모콘(8)이나 빛 또는 무선신호에 의해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물이 구동장치에 의해 연결된 노래방기기.
KR20-2003-0027843U 2003-08-29 2003-08-29 오락물이 구동장치에 의해 연결된 노래방기기 KR2003339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843U KR200333971Y1 (ko) 2003-08-29 2003-08-29 오락물이 구동장치에 의해 연결된 노래방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843U KR200333971Y1 (ko) 2003-08-29 2003-08-29 오락물이 구동장치에 의해 연결된 노래방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3971Y1 true KR200333971Y1 (ko) 2003-11-19

Family

ID=49340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843U KR200333971Y1 (ko) 2003-08-29 2003-08-29 오락물이 구동장치에 의해 연결된 노래방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397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5067B1 (en) Music staging device apparatus, music staging game method, and readable storage medium
JP4691754B2 (ja) ゲーム装置
KR200299229Y1 (ko) 비디오 게임 장치 및 동작 센서 구조체
KR100457200B1 (ko) 게임 시스템
JP2009025823A (ja) ジャムセッションのシミュレーションを行い、ユーザにドラムの演奏方法を教える方法及び装置
JP3634273B2 (ja) 音楽ゲーム装置及び音楽ゲーム進行制御プログラム
US20080032863A1 (en) Climbing Wall System
JP2002239222A (ja) 音楽ゲーム装置及び音楽ゲーム進行制御プログラム
JP3363121B2 (ja) ダンスゲーム装置
US20070026919A1 (en) Electronic tag game and instruction unit
KR200333971Y1 (ko) 오락물이 구동장치에 의해 연결된 노래방기기
WO2001024897A1 (fr) Appareil de jeu de balles et palettes
JP2001232061A (ja) ゲーム装置および情報記憶媒体
KR101572784B1 (ko) 노래 및 경품 자판기의 제어방법
JP2001009075A (ja) ボールゲーム装置
JP2509604Y2 (ja) スポ―ツゲ―ム装置
JP2002219241A (ja) 遊技機、遊技機の画面画像表示方法、記憶媒体、サーバ及び娯楽提供方法
JP4692691B2 (ja) ゲーム装置、これに使用する入力手段、及び記憶媒体
JP3496686B2 (ja) ゲーム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H11104358A (ja) ゴルフ体験遊戯玩具
JP3573425B2 (ja) カラオケバトルゲームに特徴を有するカラオケ装置
KR100389458B1 (ko) 댄스게임장치 및 댄스게임방법
KR200348827Y1 (ko) 오락 기능을 갖춘 노래방기기장치
KR200380177Y1 (ko) 오락 기능을 갖춘 노래방기기장치
KR200201767Y1 (ko) 댄싱게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