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9458B1 - 댄스게임장치 및 댄스게임방법 - Google Patents

댄스게임장치 및 댄스게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9458B1
KR100389458B1 KR10-2000-0025415A KR20000025415A KR100389458B1 KR 100389458 B1 KR100389458 B1 KR 100389458B1 KR 20000025415 A KR20000025415 A KR 20000025415A KR 100389458 B1 KR100389458 B1 KR 100389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main body
game
light
d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5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3945A (ko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어뮤즈월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뮤즈월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어뮤즈월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25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9458B1/ko
Publication of KR20000053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3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4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14Musical performances, e.g. by evaluating the player's ability to follow a n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comprising photodetecting means, e.g. cameras, photodiodes or infrare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4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63F13/46Computing the game sco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87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comprising photodetecting means, e.g. a camer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1Score compu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47Music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임자의 발은 물론 손을 포함하는 신체 전체를 이용하여 댄스게임을 행할 수 있으며, 게임자의 손동작에 반응하여 레이저빔이 소산함으로써 부가적인 발광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어 운동성 및 흥미성이 향상되는 댄스게임장치를 제공한다. 댄스게임장치는 지면에 설치되는 본체; 본체에 설치되는 리듬음 출력부; 본체에 설치되고, 중앙처리장치에 설치되며, 댄스게임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 본체에 설치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및 본체의 적정위치에 설치되어 광을 발광시키기 위한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 대응하게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광되는 광선을 수광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연결되는 수광부를 구비하며, 게임자가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광되는 광이 상기 수광부에 수광되지 못하도록 차단하여 손동작 댄스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손동작 안내/게임장치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댄스게임장치 및 댄스게임방법{DANCE SIMULATION GAME MACHINE AND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댄스게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게임자 또는 플레이어의 손의 동작을 가이드하여 댄스를 행하도록 하고, 또한 스텝을 가이드하는 종래의 게임장치에 부가하여 게임자가 신체 전체를 이용하여 게임을 행하게 할 수 있어 흥미감 및 운동감을 고취시킬 수 있는 댄스게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게임기에 기억된 음악의 진행에 따라 또는 모니터에 표시되는 표시에 따라 해당 음악을 연주하거나, 이 연주에 맞추어 조작패널상에 설치된 건반또는 다수개의 키를 타격하거나, 슬라이드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디스크자키를 모방하는 등의 다양한 게임기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게임기는 연주되는 음악과 게임자에 의한 실제 연출조작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게임자의 조작결과를 점수와 같은 방식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연주되는 음악에 따라 주로 발을 이용하여 리듬감을 표현할 수 있는 발판을 구비하고, 모니터에 순서적으로 표시되는 내용에 따라 스텝을 실행하여 게임성과 운동성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댄스게임장치가 공지되어 있어 많은 사람들이 널리 이용하고 있다.
이 같은 댄스게임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거나 입설될 수 있는 본체(1)를 구비한다. 그 본체(1)에는 리듬음을 출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리듬음 출력부(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에는 게임자의 눈높이에 상응하는 위치에 모니터(3)가 설치되며, 그 모니터(3)에는 물론 게임자가 곡명선택, 게임자의 수, 빠르기 등 게임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게임자가 선택하여 결정할 수 잇도록, 조이스틱, 태블릿, 버튼, 등과 같은 다양한 선택수단이 설치된 제어반(4)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체(1)에는 선택된 음악의 전주 또는 음악을 출력하거나 또는 게임에 필요한 사항 또는 선택사항을 음성으로 출력시키기 위한 스피커(5)가 설치되어 있다. 물론, 본체(1)에는 주화투입구(6)가 설치되어 잇다. 한편, 본체(1)의 전방에는 게임자가 올라가 모니터(3)의 화면에서 출력되는 표시에 따라 스텝을 밟을 수 있도록 발판(7)이 설치되어 있다. 그 발판(7)은 물론 전,후,좌,우 방향으로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구획된 스텝부(8)를 구비한다. 또한,발판(7)의 전방에는 게임자가 기대거나 게임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9)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댄스게임장치에서의 댄스게임의 실행방식에 의하면, 게임자는 먼저 주화를 주화투입구(6)에 주입한 후, 제어반(4)에 설치된 다양한 조절 수단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연주곡명, 게임인원 등을 설정한 후 게임을 시작한다. 게임이 시작되면, 예컨대 모니터(3)에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화살표와 같은 표시들이 안내되며, 게임자는 이 같은 표시에 해당하는 발판(7)의 스텝부(8)를 밟음으로써 댄스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댄스게임에 대한 평가는 기본적으로 모니터(3)의 화면에 출력되는 표시에 따라 발판(7)에 구획된 스텝부(8)를 얼마나 정확하게 밟거나 터치하였느냐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댄스게임장치는 주로 게임자의 발을 이용하여 댄스를 행하는 것으로서, 손을 이용하여 댄스를 행하거나 또는 게임을 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프로게이머와 같이 숙달된 플레이어들을 제외하고는 발동작 이외에 손동작 또는 신체 전체를 이용하여 댄스를 즐기거나 게임을 행할 수 없으므로 선택의 폭이 제한적이며 흥미감이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발광수단, 점등수단 또는 점멸수단을 제외하고는 게임의 진행에 대응하게 출력되는 별도의 발광수단이 없으므로 사실감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게임자의 손을 이용하여 댄스게임을 행할 수 있는 댄스게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게임자의 발은 물론 손을 포함하는 신체 전체를 이용하여 댄스게임을 행할 수 있는 댄스게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게임자의 손동작에 반응하여 부가적인 발광을 제공할 수 있는 댄스게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댄스게임장치에서 손을 이용한 댄스게임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댄스게임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댄스게임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댄스게임장치의 본체를 상세히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댄스게임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댄스게임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댄스게임장치의 손동작 안내/게임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플로우챠트.
전술된 목적들은 지면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리듬음 출력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중앙처리정치에 설치되며, 댄스게임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광을 발광시키기 위한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 대응하게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광되는 광선을 수광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연결되는 수광부를 구비하며, 게임자가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광되는 광이 상기 수광부에 수광되지 못하도록 차단하여 손동작 댄스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손동작 안내/게임장치;를 포함하는 댄스게임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댄스게임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댄스게임장치의 사시도를 보여주는 도 2 및 그 댄스게임장치의 본체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댄스게임장치는 기본적으로 게임장과 같은 적정위치에 배치되거나 입설될 수 있는 본체(10)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10)는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프레임 또는 하부프레임(12)을 구비한다. 베이스프레임(12)의 양측 후방에는 커넥터(14)에 의해 2개의 포스트프레임(16)이 수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포스트프레임(14)의 중앙부에는 커넥터(18)에 의해 하나의 중앙프레임(20)이 일체로 설치된다. 또한, 각각의 포스트프레임(14)의 상단에는 역시 커넥터(22)에 의해 상부프레임(24)이 일체로 설치된다.
또한, 본체(10)를 형성하는 하부프레임(12)과 중앙프레임(20)사이에는 리듬음을 출력하기 위한 리듬음 출력부(26)가 설치되며, 중앙프레임(20)과 상부프레임(24) 사이에는 전술된 바와 같이 게임자에게 게임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모니터(28)가 설치된다. 물론, 모니터(28)의 양측 또는 중앙프레임(20)과 상부프레임(24) 사이의 포스트프레임(14)에는 음악을 출력시키기 위한 스피커(30)가 설치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리듬음 출력부, 모니터, 스피커 등이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지만,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댄스게임장치의 전체적인 설계구상에 따라 각각 다른 위치 또는 다양한 위치에 적합하게 설치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본체(10) 또는 모니터(28)에는 게임에 대한 모든 상황 또는 게임기의 모든 동작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 또는 콘트롤러가 설치되거나 내장되며, 또한 모니터의 하부 또는 본체의 제위치에는 게임자가 게임의 전반적인 모든 상태를 임의로 설정하거나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조절수단이 설치될 수 있으며, 적정위치에 주화투입구가 설치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댄스게임장치는 게임자가 손으로 댄스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손동작 안내/게임장치를 포함한다. 손동작 안내/게임장치는 발광부(32)를 구비한다. 그 발광부(32)는 예컨대,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즉, 제 1발광다이오드(34), 제 2발광다이오드(36), 제 3발광다이오드(38) 및 제 4발광다이오드(40)를 포함한다. 각각의 발광다이오드(34,36,38,40)는 레이저빔을 발광하는 레이저 다이오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발광다이오드(34,36,38,40)는 본체(10)의 상부프레임(24)에 설치되며, 게임자의 댄스동작 범위에 위치하도록 각각 지지바(42)에 의해 그 돌출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발광다이오드 및 광센서를 각각 4개를 구비하며 또한 본체의 상부 및 중앙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발광다이오드 및 광센서의 설치개수 및 그 설치위치를 다양하게 할 수 있음을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손동작 안내/게임장치는 발광부(32)에 대응하는 수광부(42)를 구비한다. 그수광부(42)는 발광부(32)의 각각의 발광다이오드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광량센서, 광량계, 또는 광센서 즉, 제 1발광다이오드(34)로부터 발광되는 레이저빔을 수광하는 제 1광센서(44), 제 2발광다이오드(36)로부터 발광되는 레이저빔을 수광하는 제 2광센서(46), 제 3발광다이오드(38)로부터 발광되는 레이저빔을 수광하는 제 3광센서(48) 및 제 4발광다이오드(40)로부터 발광되는 레이저빔을 수광하는 제 4광센서(50)를 포함한다. 각각의 광센서(44,46,48,50)는 상부프레임(24)에 설치되는 각각의 발광다이오드(34,36,38,40)에 대응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본체(10)의 중앙프레임(20)에 설치되며, 역시 게임자의 댄스동작 범위에 위치하도록 각각 지지바(51)에 의해 그 돌출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각각의 광센서(44,46,48,50)는 도시되지 않은 중앙처리장치에 연결되며, 이에 따라 후술되는 바와 같이 중앙처리장치는 발광부의 각각의 발광다이오드에서 발광되는 레이저빔이 광센서에 수신되었는지를 판정하여 채점하거나 경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댄스게임장치는 손동작 댄스게임에 일반적인 발동작 댄스게임을 부가하여 게임자의 전신을 이용하여 댄스게임을 행하게 할 수 있도록 발판(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발판(52)은, 일반적인 댄스게임장치와 같이 십자방향, 대각선 방향, 방사방향, 오각형, 육각형 등 다양한 방향으로 구획된 다수의 스텝부(54)를 포함한다. 각각의 스텝부(54)는 본체(10) 또는 모니터에 설치되거나 내장될 수 있는 중앙처리장치에 연결되며, 이에 따라 게임자는 전술된 바와 같이 게임자가 스텝을 밟음에 따라 나타나는 모든 상황을 모니터를 통해 또는 음성으로 이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발판(52)의 모서리부분에는 2개의 포스트(56)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각각의 포스트(56)에는 손잡이(58)가 설치되어 있어 게임자가 이를 파지하거나 기댈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된 실시예의 수광부(42)에는 별도의 발광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발광부(60)는, 예컨대 상기 수광부(42)를 구성하는 각각의 광센서(44,46,48,50)의 설치위치에 함께 설치되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즉, 제 1발광다이오드(62), 제 2발광다이오드(64), 제 3발광다이오드(66) 및 제 4발광다이오드(68)를 포함한다. 또한, 이 발광부(64)에 대응하게 별도의 수광부(70)가, 예컨대 각각의 리듬음 출력부(26)에 설치된다. 수광부(70)는 발광부(60)의 각각의 발광다이오드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광량센서, 광량계, 또는 광센서 즉, 제 1발광다이오드(62)로부터 발광되는 레이저빔을 수광하는 제 1광센서(72), 제 2발광다이오드(64)로부터 발광되는 레이저빔을 수광하는 제 2광센서(74), 제 3발광다이오드(66)로부터 발광되는 레이저빔을 수광하는 제 3광센서(76) 및 제 4발광다이오드(68)로부터 발광되는 레이저빔을 수광하는 제 4광센서(70)를 포함한다. 물론, 별도의 발광부(60) 및 수광부(70)는 전술된 발광부(32) 및 수광부(42)와 동일하게 구성되거나 작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수광부에 별도의 발광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며, 또한 별도의 수광부가 리듬음 출력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예시되어 있으나,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별도의 발광부의 개수 및 설치위치 또는 별도의 수광부의 개수 및 설치위치는 설계자 또는 제조업자에 의해 임의로 적합하게 설정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댄스게임장치의 작동 및 그 사용모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도 2 및 도 6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손동작을 이용한 댄스게임에 대해 설명하면, 게임자는 기본적이고 우선적으로 주화를 투입한 후 제어반의 다양한 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댄스게임모드를 설정한 후 게임을 시작한다(S101).
댄스게임이 시작되면 본체(10) 또는 모니터(28)에 설치되거나 내장된 중앙처리장치에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리듬출력부(26)로부터 리듬이 출력되고, 스피커(30)로부터 음악이 출력되며, 또한 모니터(28)의 화면에는 바탕화면 및 게임자의 손동작을 안내하는 화살표와 같은 안내표시가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 된다. 이와 동시에, 손동작 안내/게임장치의 발광부(32)의 각각의 발광다이오드(34,36,38,40)로부터 레이저빔이 발광된다(S102). 물론, 각각의 발광다이오드(34,36,38,40)로부터 발광되는 레이저빔은 수광부(42)의 각각의 광센서(44,46,48,50)로 수신되며, 이와 같은 수신여부가 중앙처리장치로 송신되는 것이다.
이후, 해당되는 손동작 댄스게임이 계속적으로 진행한다(S103). 이와 같은 게임의 진행중에, 보다 상세하게는, 최초로 모니터의 안내표시가 디스플레이되어설정된 경계영역을 지나기 전에 또는 점멸되어 소멸되기전에 수광부(42)의 각각의 광센서(44,46,48,50)로 하여금 레이저빔을 수광하게 하여 그 수광여부 신호를 중앙처리장치에 송신한다(S104).
한편, 해당되는 각각의 광센서(44,46,48,50)에 레이저빔이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5). 그 판단결과, 해당되는 광센서에 레이저빔이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게임자가 오동작한 것으로 판단하여 모니터(28)에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를 소멸시키거나 손동작이 정확했음을 나타내는 문구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처리신호의 입력을 생성시키거나 입력하지 않는다(S106). 이와 같이, 처리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이를 경고하는 문구를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거나 또는 점수를 감점하는 방식으로 게임자의 춤동작의 수준을 판정한다(S107). 이후, 게임이 계속되는 경우에는 물론, 다른 해당되는 발광다이오드와 광센서들간의 레이저빔의 발광 및 수광을 검출하여 전술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손동작 안내/게임을 실행할 수 있도록 게임진행 단계(S103)로 복귀되며, 이는 댄스게임이 종료될 때까지 연속반복적으로 실행된다.
역으로, 각각의 광센서(42,44,46,48)들 중 해당되는 하나의 광센서에서의 레이저빔 수광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5)에서의 판단결과, 해당되는 광센서에 레이저빔이 수광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게임자가 모니터(28)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안내표시에 따라 손동작을 정확히 실행한 것으로 판단하여 모니터(28)에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를 소멸시키거나 손동작이 정확했음을 나타내는 문구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처리신호를 생성시켜 그 처리신호를 입력한다(S108). 이와 같이 처리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알려주는 문구를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거나 또는 점수를 가산하는 방식으로 게임자의 춤동작의 수준을 판정한다(S109). 이후, 게임이 계속되면, 전술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다른 해당되는 발광다이오드와 광센서들간의 레이저빔의 발광 및 수광을 검출하여 전술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손동작 안내/게임을 실행할 수 있도록 게임진행 단계(S103)로 복귀되며, 이는 물론 댄스게임이 종료될 때까지 연속반복적으로 실행된다.
한편, 게임자가 발광부(32)의 각각의 발광다이오드(34,36,38,40)중 해당되는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발광되는 레이저빔을 손 또는 다른 부분으로 차단할 때, 그 레이저빔이 그 곳에 비춰지면서 시각적인 효과를 상승시키며, 또한 이와 같은 빛의 발산 또는 반사에 의해 게임자는 자신의 동작이 정확했음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된 실시예에서는, 수광부의 각각의 발광다이오드 중 하나의 발광다이오드와 이에 대응하는 수광부의 광센서들 중 하나의 광센서에 대한 레이저빔의 수광여부를 판단하여 작동을 실행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이는 단지 하나의 실시예에 관한 것이며, 다른 모든 발광다이오드 및 광센서들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실행됨을 일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는 물론, 각각의 광센서들이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안내표시에 해당되는 광센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가 추가되며, 이 판단단계 이후에는 물론 전술된 모든 단계들이 실행되는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52)이 부가적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는,전술된 바와 같이 손동작을 이용한 댄스게임을 실행하는 것이 부가하여 발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구획될 수 있는 다수의 스텝부(54)를 밟아 발을 이용해서도 댄스게임을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손 과 발을 동시에 동작해야 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게임자의 신체를 전체적으로 이용하여 댄스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 경우 게임에 대한 평가는, 손동작과 발동작을 각각 분리하여 판정하거나 또는 이를 전체적으로 합산하여 판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또는 보조의 발광부(60) 및 수광부(70)가 설치된 경우에도 물론, 전술된 발광부(32) 및 수광부(42)와 동일방식으로 작용 및 작동되며, 이에 따라 전술된 바와 같은 손동작에 별도의 손동작 또는 발동작을 부가할 수 있으므로 더욱 실감나고 흥미있는 댄스게임을 즐길 수 있는 것이다.
결국, 게임자가 손이나 발 또는 다른 물체를 이용하여 발광부의 각각의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발광되는 레이저빔이 수광부의 해당 광센서에 수광되는 것을 차단하면, 그 차단부에 레이저빔이 소산되어 게임자에게는 정확한 동작의 처리신호가 입력되었음을 인식하게 하며, 댄스게임장치에서는 이를 온/오프방식으로 인식하여 그 결과를 모니터 또는 스피커를 통해 게임자에게 경고함은 물론 게임의 결과를 판정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댄스게임장치에 의하면, 발광부의 각각의 발광다이오드에서 발광되는 레이저빔을 손동작으로 수광부의 각각의 광센서에 수광되는것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댄스게임을 함으로써, 게임자의 발은 물론 손을 포함하는 신체 전체를 이용하여 댄스게임을 행할 수 있으며, 게임자의 손동작에 반응하여 레이저빔이 소산함으로써 부가적인 발광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어 운동성 및 흥미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지면에 고정되며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리듬음 출력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중앙처리정치에 연설되며, 댄스게임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광을 발광시키기 위한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 대응하게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광되는 광선을 수광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연결되는 수광부와, 상기 수광부에 함께 형성되는 별도의 발광부와, 상기 별도의 발광부로부터 발광되는 광을 수광하기 위한 별도의 수광부를 구비하며, 게임자가 상기 각각의 발광부로부터 발광되는 광이 상기 각각의 수광부에 수광되지 못하도록 차단하여 손동작 댄스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손동작 안내/게임장치; 및 상기 본체에 연설되며 게임자가 밟을 수 있는 구획된 다수의 스텝부를 구비하는 발판을 포함하는 댄스게임장치에 있어서,
    상기 손동작 안내/게임장치의 각각의 발광부는 상기 본체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다수의 레이저다이오드이고; 상기 각각의 수광부는 상기 발광부의 각각의 레이저다이오드에 대응하며 상기 각각의 레이저다이오드로부터 발광되는 레이저빔을 수광하기 위한 다수의 레이저빔 수광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발판에는 각각 손잡이가 구비된 2개의 포스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댄스게임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4항의 댄스게임장치를 이용한 댄스게임방법에 있어서,
    게임자가 주화를 투입하고 댄스게임모드를 설정한 후 게임을 시작하는 단계;
    댄스게임이 시작되면 중앙처리장치에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리듬출력부에서 리듬을 출력하고, 스피커를 통해 음악을 출력하고, 모니터에 게임자의 손동작을 안내하는 안내표시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디스플레이 하고, 손동작 안내/게임장치의 발광부의 각각의 레이저다이오드에서 레이저빔을 발광하고, 각각의 레이저다이오드로부터 발광되는 레이저빔을 수광부의 각각의 레이저빔수광센서로 수신하여 수신여부를 중앙처리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게임자가 손동작 댄스게임을 계속적으로 진행하는 동안 최초로 모니터의 안내표시가 디스플레이되어 설정된 경계영역을 지나기 전에 또는 점멸되어 소멸되기전에 수광부의 각각의 광센서로 하여금 레이저빔을 수광하게 하여 수광여부 신호를 중앙처리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광센서에 레이저빔이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광센서에 레이저빔이 입력되면, 게임자가 오동작한 것으로 판단하여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를 소멸시키거나 손동작이 부정확했음을 나타내는 문구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레이저빔 수광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레이저빔이 수광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게임자가 모니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안내표시에 따라 손동작을 정확히 실행한 것으로 판단하여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를 소멸시키거나 손동작이 정확했음을 나타내는 문구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처리신호를 생성시켜 그 처리신호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 및 처리신호 입력단계 루 그 결과를 알려주는 문구를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여 게임자의 춤동작의 수준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댄스게임방법.
KR10-2000-0025415A 2000-05-12 2000-05-12 댄스게임장치 및 댄스게임방법 KR100389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415A KR100389458B1 (ko) 2000-05-12 2000-05-12 댄스게임장치 및 댄스게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415A KR100389458B1 (ko) 2000-05-12 2000-05-12 댄스게임장치 및 댄스게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3945A KR20000053945A (ko) 2000-09-05
KR100389458B1 true KR100389458B1 (ko) 2003-06-25

Family

ID=19668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5415A KR100389458B1 (ko) 2000-05-12 2000-05-12 댄스게임장치 및 댄스게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94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5279A (ja) * 2001-12-07 2003-06-24 Konami Co Ltd ビデオゲーム装置及び動きセンサ構造体
KR101493149B1 (ko) * 2013-04-17 2015-02-16 하동원 댄스 배틀 게임 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770A (en) * 1931-06-17 1935-10-15 Citizens Trust Company Floor tool for air-method cleaning systems
KR20000063780A (ko) * 2000-02-23 2000-11-06 고즈끼 가게히꼬 댄스 게임 장치
KR20010085665A (ko) * 2000-02-29 2001-09-07 고즈끼 가게히꼬 댄스 게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770A (en) * 1931-06-17 1935-10-15 Citizens Trust Company Floor tool for air-method cleaning systems
KR20000063780A (ko) * 2000-02-23 2000-11-06 고즈끼 가게히꼬 댄스 게임 장치
KR200235940Y1 (ko) * 2000-02-23 2001-09-25 고나미 가부시끼가이샤 댄스 게임 장치
KR20010085665A (ko) * 2000-02-29 2001-09-07 고즈끼 가게히꼬 댄스 게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3945A (ko) 2000-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5067B1 (en) Music staging device apparatus, music staging game method, and readable storage medium
JP3088409B2 (ja) 音楽ゲームシステム、該システムにおける演出指示連動制御方法及び該システムにおける演出指示連動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可読記録媒体
KR200299229Y1 (ko) 비디오 게임 장치 및 동작 센서 구조체
JP2922509B2 (ja) 音楽演出ゲーム機、音楽演出ゲーム用の演出操作指示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用の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US6964610B2 (en) Video game device, technique setting method in video gam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technique setting program
JP2001096061A (ja) リズムゲーム装置、リズムゲーム方法および可読記録媒体並びに操作装置
JP2001321564A (ja) ゲーム装置、これに使用する入力手段、及び記憶媒体
JP2006145851A (ja) 息吹きかけ判別プログラム、息吹きかけ判別装置、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装置
JP2000317144A (ja) 音楽ゲームシステム、該システムにおける演出指示連動制御方法及び該システムにおける演出指示連動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可読記録媒体
JP2017158903A (ja) 遊技機
JP2001293246A (ja) リズムゲーム装置、リズムゲーム方法および可読記録媒体並びに操作装置
KR100437979B1 (ko) 댄스 게임 장치
KR100332167B1 (ko) 댄스 게임 장치
KR100389458B1 (ko) 댄스게임장치 및 댄스게임방법
JP5798833B2 (ja) 遊技機
JPH11313979A (ja) 音楽演出ゲ―ム機、音楽演出ゲ―ム用の演出操作指示システムおよびゲ―ム用の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コンピュ―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2001232061A (ja) ゲーム装置および情報記憶媒体
JP2002166046A (ja) 音楽演出ゲーム装置、音楽演出ゲー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KR200201767Y1 (ko) 댄싱게임기
KR20020055554A (ko) 댄스시뮬레이션 게임 두드락
JP2003180951A (ja) 遊技機、遊技機の演出表現方法、記憶媒体及びサーバ
JP3110828B2 (ja) 走行式ゲーム装置
JP2002253800A (ja) 遊技機、遊技機における大入賞口入球数表示方法、記憶媒体、及びサーバ
JP2002355415A (ja) 遊技機、遊技機の演出表現方法、記憶媒体及びサーバ
KR20010085457A (ko) 비디오 게임 장치 및 비디오 게임에 있어서의 게임 선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