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0177Y1 - 오락 기능을 갖춘 노래방기기장치 - Google Patents

오락 기능을 갖춘 노래방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0177Y1
KR200380177Y1 KR20-2004-0035948U KR20040035948U KR200380177Y1 KR 200380177 Y1 KR200380177 Y1 KR 200380177Y1 KR 20040035948 U KR20040035948 U KR 20040035948U KR 200380177 Y1 KR200380177 Y1 KR 2003801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tertainment
drive
props
rotor
s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59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인종
Original Assignee
안인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인종 filed Critical 안인종
Priority to KR20-2004-00359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01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01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01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락 기능을 갖춘 노래방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반주기 본체와; 상기 반주기 본체의 상단 전방부에 설치되어 노래 점수에 따라 수직 낙하하거나 공기를 분사하는 다수의 오락 소품들과; 상기 오락 소품들의 낙하 및 상승을 위해 복수의 구동 모터와, 상기 각 구동 모터와 연결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자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회전자로부터 풀리거나 또는 상기 회전자에 감기게 되는 와이어를 구비하는 오락물 구동부와; 상기 반주기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오락물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기능을 갖춘 노래방기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주기 본체는 상기 오락 소품을 선택하기 위한 소품 선택부와; 이용자가 직접 상기 오락 소품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 점수를 설정하기 위한 기준점수 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노래가 완료된 후, 점수를 계산한 결과 값과 이용자가 입력한 기준점수를 상호 비교하여 결과 값이 기준점수보다 낮으면 상기 오락물 구동부를 제어하여 선택된 오락 소품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기존의 노래방기기장치에 각종 오락 소품을 가미하여 노래를 부르는 사람이나 노래를 듣는 사람 모두 흥미를 느낄 수 있고, 노래방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재미있는 게임을 통해 흥겨운 시간을 보낼 수 있다.

Description

오락 기능을 갖춘 노래방기기장치{Device for performing role of singing shop with amusement function}
본 고안은 노래방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순히 노래만 부르는 기존의 노래방기기장치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오락 기능을 부여하여 흥미와 즐거움을 더할 수 있는 오락 기능을 갖춘 노래방기기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래방기기장치는 선곡자가 노래를 선곡하게 되면, 선곡된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음악이 스피커를 통해 흘러나오고, 가사가 자막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기기로서, 선곡자가 선곡한 노래의 반주음을 출력하기 위한 반주음 데이터와, 내부 또는 외부 영상신호와, 상기 영상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 되는 가사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노래 정보를 저장매체에 저장시켜 놓고, 키 입력부의 선곡키를 이용하여 소정의 노래를 선곡하여 스피커를 통해서는 반주음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서는 영상과 가사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노래방기기장치는 리모콘 또는 본체에 형성된 각종 기능키를 통해 선곡자가 선곡 명령을 내리면, 상기 선곡된 노래번호에 상응하는 노래정보를 저장매체에서 판독하여 이를 시스템 메모리에 저장하는데, 영상정보 및 자막정보는 배경영상영역 및 자막영역에 저장되고, 반주정보는 반주영역에 저장된다.
이후, 상기 시스템 메모리에 저장된 노래정보 중 반주정보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고, 배경영상 및 자막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되어 재생된다.
이용자의 노래가 끝나면 상기 노래방기기장치는 음원으로부터 박자를 검출하고, 음원에 따라 노래하는 목소리, 즉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목소리로부터 박자를 검출하여 이들을 상호 비교 분석하는 것에 의해 점수를 환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점수를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노래방기기장치는 단순히 노래만 부르는 것에 국한되어 있어 노래방 이용자들은 금방 싫증을 내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의 노래방기기장치는 단순히 노래 부르기 위주로 구성되어 있는바, 노래를 부르고 있지 않은 사람은 특별히 흥겹지가 않아서 옆 사람과 잡담을 하는 등 노래를 부르고 있는 사람에게 주위를 기울이지 못하게 되고, 이는 노래를 부르는 사람은 물론, 노래를 듣는 사람 모두에게 흥미를 떨어뜨리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기존의 노래방기기장치에 각종 오락 소품을 가미하여 노래를 부르는 사람이나 노래를 듣는 사람 모두 흥미를 느낄 수 있고, 노래방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재미있는 게임을 통해 흥겨운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하는데 적당한 오락 기능을 갖춘 노래방기기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오락 기능을 갖춘 노래방기기장치는, 반주기 본체와; 상기 반주기 본체의 상단 전방부에 설치되어 노래 점수에 따라 수직 낙하하거나 공기를 분사하는 다수의 오락 소품들과; 상기 오락 소품들의 낙하 및 상승을 위해 복수의 구동 모터와, 상기 각 구동 모터와 연결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자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회전자로부터 풀리거나 또는 상기 회전자에 감기게 되는 와이어를 구비하는 오락물 구동부와; 상기 반주기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오락물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기능을 갖춘 노래방기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주기 본체는 상기 오락 소품을 선택하기 위한 소품 선택부와; 이용자가 직접 상기 오락 소품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 점수를 설정하기 위한 기준점수 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노래가 완료된 후, 점수를 계산한 결과 값과 이용자가 입력한 기준점수를 상호 비교하여 결과 값이 기준점수보다 낮으면 상기 오락물 구동부를 제어하여 선택된 오락 소품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결과 값이 기준점수보다 낮으면 상기 오락물 구동부를 제어하여 선택된 오락 소품을 구동함과 동시에 야유 메시지 등의 야유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제어부는 결과 값이 기준점수보다 높으면, 상기 오락 소품중 축하를 알리는 오락 소품을 구동함과 동시에 팡파레 등의 축하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오락 기능을 갖춘 노래방기기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오락 기능을 갖춘 노래방기기장치의 전체 외관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오락물 수납함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오락 기능을 갖춘 노래방기기장치는 크게 본체(100)와, 다수의 오락 소품들을 수납하고 있는 오락물 수납함(200)과,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실장되며 상기 오락물 수납함(200)에 수납되어 있는 각각의 오락 소품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모터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오락 소품들은 노래방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흥미와 웃음을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오락 소품들로서, 쟁반, 뿅망치, 밀가루 및 공기 분사기, 각종 동물모형, 축하를 알리는 축포, 꽃가루, 플랜카드 등과 같은 축하물 그리고 여러 가지 형태의 야유 음(音)과, 축하 음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 등을 포함하는데, 상기 스피커는 본체(100)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스피커를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오락물 수납함을 아래에서 올려다 본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오락물 수납함(200)에는 쟁반(21a), 공기/밀가루 분사구(21b), 각종 동물 모형(21c) 및 권투 글러브(21d) 등과 같은 오락 소품들이 비치되며, 이외에도 도깨비 인형이나 물총 등 다양한 오락 소품이 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의 오락물 수납함(200)은 아래에서 볼 때, 오락 소품들만이 보이고, 상기 오락 소품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모터 등은 보이지 않도록 중간 칸막이(200a)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오락 소품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오락물 수납함(200)의 바닥면을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도어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렇게 할 경우 어떠한 오락 소품들이 준비되어 있는지 이용자가 알 수 없어 오락성을 더욱 배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오락물 수납함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쟁반(21a), 공기/밀가루 분사기(21b), 동물 모형(21c) 및 권투 글러브(21d)와 같은 각종 오락 소품들이 비치되고, 각각의 오락 소품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모터(23a, 23b, 23c)들이 설치되며, 상기 오락 소품들과 연결된 와이어(25a, 25b)가 감겨져 있는 회전자(27a, 27b)가 회전축(29a, 29b, 29c)에 의해 해당 구동 모터(23a, 23b, 23c)와 연결된다. 참고로, 도 3의 "23d"는 공기를 압축하여 분사하는 분사기를 지시한다.
따라서, 상기 어느 한 구동 모터에 구동신호가 인가되어 해당 구동 모터가 시계 방향(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해당 구동 모터와 연결되어 있는 회전축이 회전하게 되고, 그로 인해 회전자가 회전하여 상기 와이어는 풀리게 되고, 상기 와이어에 묶여 있는 오락 소품이 아래쪽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오락 소품의 낙하 속도는 이용자들에게 다소의 공포심을 유발할 수 있을 정도의 적당한 속도로 낙하되도록 구동 모터의 회전속도를 설정하는 것이 좋다.
상기 오락 소품이 낙하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구동 모터는 자동적으로 반시계방향(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낙하되었던 오락 소품들이 원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오락 기능을 갖춘 노래방기기장치는 이용자가 노래를 끝마치면, 음원으로부터 박자를 검출하고,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목소리로부터 박자를 검출하여 이들을 상호 비교 분석하는 것에 의해 점수를 환산한 후, 이를 디스플레이 함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된 점수가 기준점수에 미달할 경우, 그 벌칙으로 구동 모터를 제어하여 해당 구동 모터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와이어에 연결된 오락 소품이 낙하되거나 공기 또는 밀가루가 분사되도록 한다.
따라서 단순히 노래만 부르는 것에서 탈피하여 노래를 부르는 사람이나, 주위에 앉아 있는 사람들 모두에게 즐거움을 선사할 수 있어 기존의 노래방기기장치를 이용하는 것에 비해 한 층 재미있고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가 있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오락 기능을 갖춘 노래방기기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 4에 도시된 구성블록도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오락 기능을 갖춘 노래방기기장치는, 노래 선곡부(41), 소품 선택부(43), 기준점수 설정부(45), 템포 조정부(47), 음량 조정부(49), 마이크(51), 스피커(53), 디스플레이부(55), 점수계산부(57), 메모리부(59), 모터 구동부(61), 복수의 구동 모터(23a, 23b, 23c), 각 구동 모터(23a, 23b, 23c)에 연결된 오락 소품들 및 이와 같이 구성되는 노래방기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노래 선곡부(41)는 다수의 버튼으로 구성되어 노래마다 부여된 고유번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노래 예약, 취소, 시작, 종료 등의 기본적인 기능 버튼들을 포함한다.
상기 템포 조정부(47)는 스피커(53)를 통해 흘러나오는 반주음의 템포를 빠르게 혹은 느리게 조정하는 버튼으로 구성되며, 상기 음량 조정부(49)는 상기 템포 조정부(47)와 마찬가지로 스피커(53)를 통해서 흘러나오는 반주음의 음량을 고음 또는 저음으로 조정하기 위한 버튼으로 구성된다.
상기 소품 선택부(43)는 다수의 오락 소품 중에서 임의의 어느 하나를 이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상기 소품 선택부(43)에서 임의의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추후 결과 점수가 기준점수에 미달할 경우 상기 선택된 오락 소품이 오락물 수납함(200)으로부터 낙하된다. 이때, 상기 이용자가 공기/밀가루 분사기(21b)를 선택한 경우라면, 상기 공기/밀가루 분사구(21b)에서 공기나 밀가루가 분사될 것이다.
상기 모터 구동부(61)는 제어부(65)의 제어하에 복수의 구동 모터(23a, 23b, 23c) 중에서 임의의 어느 하나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며, 그에 따라 선택된 구동 모터가 회전하여 오락 소품이 낙하되거나 공기 등이 분사된다.
상기 각각의 구동 모터(23a,23b,23c)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구동부(61)로부터 구동신호가 입력되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회전축(29a, 29b ,29c)에 연결되어 있는 회전자(27a ,27b ,27c)를 회전시키고, 그 결과에 따라 와이어(25a ,25b, 25c)에 연결되어 있는 오락 소품이 수직 낙하 또는 상승하게 된다.
상기 기준점수 설정부(45)는 상기 오락 소품의 낙하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점수를 이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노래가 끝난 후 표시되는 결과 점수가 상기 이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준점수에 미치지 못하면, 상기 소품 선택부(43)에서 선택된 오락 소품이 낙하되거나 공기 또는 밀가루가 분사되고, 기준점수를 넘으면 축포가 터지거나 꽃가루가 날리도록 한다.
상기 메모리부(59)는 영상정보, 반주정보 및 자막 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노래 정보와 더불어 점수 계산을 위한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되며, 이용자가 상기 기준점수 설정부(45)를 통해 설정한 기준 점수에 상응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 점수 계산부(57)는 이용자가 노래를 끝마치면, 음원으로부터 박자를 검출하고, 상기 마이크(51)를 통해 입력된 이용자의 목소리로부터 박자를 검출하여 이들을 상호 비교 분석하는 것에 의해 결과 점수를 계산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5)는 메모리부(59)에 저장된 배경정보, 반주정보 및 자막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점수 계산부(57)에서 계산된 결과 점수를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제어부(65)는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노래방기기장치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점수 계산부(57)에서 계산된 점수와 상기 기준점수 설정부(45)를 통해 설정된 기준점수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계산된 점수가 기준점수에 미치지 못할 경우, 상기 소품 선택부(43)에서 선택된 오락 소품이 오락물 수납함(200)에서 낙하될 수 있도록 상기 해당 오락 소품을 낙하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23a, 23b, 23c)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모터 구동부(61)로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65)는 결과 값이 기준점수보다 높으면, 오락 소품중 축하를 알리는 오락 소품을 구동함과 동시에 팡파레 등의 축하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오락 기능을 갖춘 노래방기기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노래방 이용자는 자신이 부르고자 하는 노래번호를 선곡한다. 이때, 노래 선곡은 주지된 바와 같이, 본체(100)에 형성된 버튼을 이용하거나 리모콘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후, 노래방 이용자 또는 주변 사람 중 어느 한명이 소품 선택부(43)를 이용하여 오락 소품을 선택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오락 소품으로서 "쟁반"을 선택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어서 상기 노래방 이용자는 기준점수 설정부(45)를 이용하여 자신의 예상점수를 설정한다. 이때, 보다 즐거운 상황을 연출하기 위해서는 타인이 예상되는 기준점수를 설정하는 것도 좋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노래 선곡, 오락 소품 선택 및 기준점수를 설정한 후, 시작 버튼을 누르면, 상기 제어부(65)는 이용자가 입력한 노래번호에 상응하는 노래정보를 메모리부(59)로부터 독출한다.
즉, 상기 제어부(65)는 반주음 정보와 자막 정보 및 배경영상 정보를 메모리부(59)로부터 불러와서, 스피커(53) 및 디스플레이부(55)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배경영상 정보는 노래마다 다른 배경영상을 지정할 수도 있고, 노래에 관계없이 몇 개의 배경영상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지정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에, 상기 반주음 정보는 스피커(53)를 통해서 출력되고, 동시에 배경영상과 자막이 디스플레이부(55)에 출력되는바, 이용자는 디스플레이부(55)에 표시되는 자막을 보면서 스피커(53)를 통해 출력되는 반주음에 맞춰 노래를 부르게 된다. 이때, 마이크(51)를 통해 입력되는 이용자의 목소리는 상기 스피커(53)를 통해서 반주음과 함께 출력된다.
이후, 이용자의 노래가 끝나면, 상기 점수 계산부(57)는 점수를 계산하게 되는데, 본래 노래의 음원으로부터 검출된 박자 정보와 상기 마이크(51)를 통해 입력된 이용자의 목소리로부터 검출된 박자 정보를 상호 비교 분석하여 점수를 계산한다.
상기 점수 계산부(57)는 계산된 점수 정보를 제어부(65)로 출력하고, 이에 상기 제어부(65)는 이용자가 입력한 기준점수와 계산된 점수를 비교기 통해서 비교한다.
상기 비교 결과, 점수 계산부(65)에서 계산된 점수가 상기 노래 시작 전에 이용자가 입력한 기준점수보다 높을 경우, 상기 제어부(65)는 축하 소품이 구동되도록 하고, 메모리부(59)에 저장된 팡파레 등의 축하음 정보가 스피커(53)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그 반대로, 상기 계산된 점수가 기준점수에 못미칠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부(59)에 저장된 야유 메시지가 스피커(53)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오락 소품 즉, 쟁반이 낙하될 수 있도록 모터 구동부(61)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상기 모터 구동부(61)는 상기 오락 소품인 쟁반을 낙하 및 상승시키는 구동 모터(23a)를 확인하여 해당 구동 모터(23a)로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해당 구동 모터(23a)는 시계방향(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그에 따라 회전축(29a)을 통해 구동 모터와 연결되어 있는 회전자(29a)가 회전하게 된다.
그 결과, 회전자(27a)에 감겨져 있던 와이어(25a)가 풀리면서 와이어(25a)에 연결되어 있던 쟁반(21a)이 아래로 낙하하게 된다.
이후, 소정의 시간 대략, 3초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상기 모터 구동부(61)는 상기 해당 구동 모터(23a)를 제어하여 이전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 결과 와이어(25a)에 감기면서 상기 와이어(25a)에 연결되어 있던 쟁반(21a)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가 있고, 상기 실시예들을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가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오락 기능을 갖춘 노래방기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단순히 노래만 부르던 종래의 노래방기기장치에 비해 노래를 부르는 사람이나 주위의 사람 모두에게 흥미와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각종 오락 소품을 설치하여, 노래 점수가 기준 점수에 못 미칠 경우, 상기 각종 동물 모형이나 쟁반 등의 오락 소품을 낙하시키거나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보다 많은 재미와 흥미를 제공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오락 기능을 갖춘 노래방기기장치의 외관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오락물 수납함의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오락 기능을 갖춘 노래방기기장치의 세부 구성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 : 노래 선곡부 43 : 소품 선택부
45 : 기준점수 설정부 47 : 템포 조정부
49 : 음량 조정부 51 : 마이크
53 : 스피커 55 : 디스플레이부
57 : 점수 계산부 59 : 메모리부
61 : 모터 구동부 65 : 제어부
100 : 반주기 본체 200 : 오락물 수납함

Claims (3)

  1. 반주기 본체와; 상기 반주기 본체의 상단 전방부에 설치되어 노래 점수에 따라 수직 낙하하거나 공기를 분사하는 다수의 오락 소품들과; 상기 오락 소품들의 낙하 및 상승을 위해 복수의 구동 모터와, 상기 각 구동 모터와 연결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자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회전자로부터 풀리거나 또는 상기 회전자에 감기게 되는 와이어를 구비하는 오락물 구동부와; 상기 반주기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오락물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기능을 갖춘 노래방기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주기 본체는,
    상기 오락 소품을 선택하기 위한 소품 선택부와;
    이용자가 직접 상기 오락 소품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 점수를 설정하기 위한 기준점수 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노래가 완료된 후, 점수를 계산한 결과 값과 이용자가 입력한 기준점수를 상호 비교하여 결과 값이 기준점수보다 낮으면 상기 오락물 구동부를 제어하여 선택된 오락 소품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 기능을 갖춘 노래방기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결과 값이 기준점수보다 낮으면 상기 오락물 구동부를 제어하여 선택된 오락 소품을 구동함과 동시에 야유 메시지 등의 야유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 기능을 갖춘 노래방기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결과 값이 기준점수보다 높으면, 상기 오락 소품중 축하를 알리는 오락 소품을 구동함과 동시에 팡파레 등의 축하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 기능을 갖춘 노래방기기장치.
KR20-2004-0035948U 2004-12-17 2004-12-17 오락 기능을 갖춘 노래방기기장치 KR2003801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948U KR200380177Y1 (ko) 2004-12-17 2004-12-17 오락 기능을 갖춘 노래방기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948U KR200380177Y1 (ko) 2004-12-17 2004-12-17 오락 기능을 갖춘 노래방기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0177Y1 true KR200380177Y1 (ko) 2005-03-31

Family

ID=43681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948U KR200380177Y1 (ko) 2004-12-17 2004-12-17 오락 기능을 갖춘 노래방기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01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637A (ko) 2018-11-15 2020-05-25 주식회사 엔터미디어 노래반주 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637A (ko) 2018-11-15 2020-05-25 주식회사 엔터미디어 노래반주 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5562B2 (ja) ジャムセッションのシミュレーションを行い、ユーザにドラムの演奏方法を教える方法及び装置
US6252153B1 (en) Song accompaniment system
US683588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musical game
JPH10268876A (ja) カラオケ装置
JP5377878B2 (ja)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ゲームシステム
JPH09297594A (ja) 伴奏演奏装置および記憶媒体
JP2002239222A (ja) 音楽ゲーム装置及び音楽ゲーム進行制御プログラム
JP3750699B2 (ja) 楽音再生装置
KR200380177Y1 (ko) 오락 기능을 갖춘 노래방기기장치
KR200348827Y1 (ko) 오락 기능을 갖춘 노래방기기장치
JP2001232061A (ja) ゲーム装置および情報記憶媒体
JP2006162916A (ja) 音楽再生装置
JP5486941B2 (ja) 聴衆に唱和をうながす気分を楽しむカラオケ装置
JPH10328375A (ja) カラオケ付きパチンコ遊技機
JP3285827B2 (ja) ハウス玩具
KR20050081401A (ko) 오락 기능을 갖춘 노래방기기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9990068392A (ko) 댄스연습및게임이가능한노래반주시스템및그방법
JP2001276422A (ja) 音楽演奏ゲーム機
JP3962114B2 (ja) カラオケ装置
JP2509604Y2 (ja) スポ―ツゲ―ム装置
JP3573425B2 (ja) カラオケバトルゲームに特徴を有するカラオケ装置
JP2002346211A (ja) 遊戯情報、情報記憶媒体、及び遊戯装置
KR100432419B1 (ko) 전자악보를 이용한 전자악기용 음악연주게임장치 및 방법
JPH09265293A (ja) カラオケ装置
JP2002239219A (ja) 遊戯情報、情報記憶媒体、および遊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