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2413Y1 - 운전사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운전사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2413Y1
KR200332413Y1 KR20-2003-0025973U KR20030025973U KR200332413Y1 KR 200332413 Y1 KR200332413 Y1 KR 200332413Y1 KR 20030025973 U KR20030025973 U KR 20030025973U KR 200332413 Y1 KR200332413 Y1 KR 2003324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transparent plate
transparent
seat
prot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59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숭우
Original Assignee
이숭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숭우 filed Critical 이숭우
Priority to KR20-2003-00259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24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24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24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which protect the occupants against personal attack from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운전사 이외의 승객으로부터 운전사를 보호하기 위한 운전사 보호장치가 개시된다. 운전사 보호장치는 제1 내지 제3 투명판 및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제1, 제3 및 제2 투명판이 차례로 연결되어 운전석의 배면부터 측면까지 안전하게 차단하고, 고정부재에 의해서 투명판들을 운전석에 인접하게 고정시킨다. 또한, 제3 투명판이 제1 및 제2 투명판 사이에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후시경을 통해 후방 시야가 가려지거나 겹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운전사는 상기 운전사 보호장치를 통해서 승객으로부터의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으며, 안전 운행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운전사 보호장치{PROTECTING DEVICE FOR A DRIVER}
본 고안은 운전사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보조석 및 뒷좌석의 승객으로부터 운전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안전운행을 수행할 수 있는 운전사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택시와 같은 영업용 차량은 승객의 수요가 많은 심야 시간대에 영업을 하거나 인적인 드문 장소까지 운행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매우 잦다. 이러한 경우들이 영업의 하나이기는 하지만 이러한 운행은 대체로 위험성을 함께 포함한다는 것이 문제이다. 예를 들어, 택시 운전기사가 심야 시간대나 인적이 드문 장소에서 강도를 당해 금액을 강탈 당하거나 신체적 상해를 입는 경우가 자주 보도되고 있으며, 심지어 생명의 위협을 받는 경우도 종종 기사화되고 있다.
택시 운전사에 대한 위험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대체로 황금시간대인 심야에는 대체로 취객들이 택시를 이용하는데, 취객들이 취중에 보조석이나 뒷좌석에서 운전사의 운전을 직접적으로 방해하여 사고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으며, 운전사에게 몸을 기대어 안전운행을 위협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운전자의 위험들은 운전석이 보조석이나 뒷좌석으로부터 완전히 개방되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러한 위험성은 여성 택시 운전사가 늘어나면서 더욱 중요하게 거론되고 있다.
운전사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장치 및 보호방법이 몇몇 개시되어 있으며, 개시되어 있는 것들 중 대중적으로 거론되고 있는 것이 운전석을 차단하는 보호창을 사용하는 것이다. 즉, 투명한 보호창을 운전석에 설치함으로써 승객으로부터의 위협이나 운전 방해를 사전에 차단하는 장치들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에 투명 보호창을 이용하여 운전사를 보호하는 보호장치들은 1면 차단형과 2면 차단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운전사 보호장치들 중 1면형(1면 차단형) 보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운전석(10) 및 보조석(30)을 중심으로 헤드레스트(headrest;15), 핸들(40) 및 후시경(rearview mirror;45)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1면형 보호장치는 운전석(10)의 배면을 차단하여 운전사(D)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에는 운전석(10) 뒤에만 보호창(1)이 설치되어 있지만, 1면형 보호장치의 다른 유형에 따르면 보호창(1)이 보조석(30)의 배면까지 연장되어 운전석(10)과 보조석(30)을 뒷좌석과 완전히 차단할 수도 있다.
1면형 보호장치는 1차적으로 뒷좌석의 승객으로부터 위험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기는 하지만 보조석(30)의 승객(G)으로부터 완전히 무방비이다. 또한, 도 1의 1면형 보호장치는 운전석(10) 배면만 차단하는 보호창(1)은 화살표로 도시된 것과 같이 여러 방향에서 운전사(D)를 위협할 수 있기 때문에 뒷좌석의 승객으로부터 결코 안전하다고 할 수 없다.
도 2는 종래의 운전자 보호장치들 중 2면형(2면 차단형) 보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2면형 보호장치는 운전석(10)의 배면 및 우측면을 차단함으로써 운전사(D)를 2면에서 보호한다. 도1에 도시된 1면형 보호장치와는 달리 배면 및 측면에서 운전사(D)를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보조석(30) 및 뒷좌석의 승객이 어떠한 방향으로 위협하거나 방해하여도 안전하게 차단할 수가 있다.
하지만, 종래의 2면형 보호장치는 승객으로부터 운전사를 보호할 수는 있어도 완전히 안전하다고 할 수 없다. 왜냐하면, 도 2의 보호장치는 운전사의 후방 시야를 가리거나 물체가 겹쳐 보이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투명재질의 아크릴이라도 빛의 전반사는 막을 수가 없으며, 전반사에 의해서 운전사의 후방 시야가 방해 받을 수 있다. 실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방에 있는 A 및 B에 위치한 물체는 후시경(45)을 통해서 운전사(D)가 할 수 있어야 하지만, 2면형 보호장치에 의하면 A 및 B의 물체 확인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그 이유는, 측면의 보호창(2)에서 전반사가 일어나서 A 및 B의 물체 확인이 불가능 할 수 있으며, A' 및 B'에 위치한 물체가 후시경(45)을 통해 보일 수 있기 때문에 물체가 서로 겹쳐 보임으로써 운전사의 후방 시야 확보를 방해할 수 있는 데에 있다. 결과적으로, 2면형 보호장치는 운전사(D)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이지만 오히려 운전사의 안전운행을 방해할 수가 있다.
또한, 배면 및 측면을 차단하는 보호창들(1, 2)로 이루어진 구조는 차량 실내의 공기 흐름을 방해한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송풍기는 운전석 및 보조석 전방에 위치하는데, 운전석(10)의 배면 및 측면을 차단한다면 송풍기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실내에 효율적으로 전달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생긴다. 특히, 무더운 여름철에 시원한 냉기를 차단하거나 추운 겨울에 따뜻한 온풍을 차단한다면, 무고한 승객들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일 목적은 운전석의 배면 및 측면을 차단하면서, 운전사에게 안전한 후방 시야를 제공할 수 있는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운전사의 안전을 유지하면서 차량 실내의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순환시킬 수 있는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차종에 장착될 수 있는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운전사 보호장치들 중 1면 차단형 보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운전자 보호장치들 중 2면 차단형 보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보호장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1의 지지 프레임 및 고정 브래킷 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투명 보호창의 전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운전석 15:헤드레스트
20:헤드레스트 프레임 30:보조석
40:핸들 45:후시경
100, 200:보호장치 110, 210:투명 보호창
111, 211:제1 투명창 113, 213:제2 투명창
112, 212:제3 투명창 120, 220:지지 프레임
122, 222:고정 브랫킷 232, 233:통풍구
240:금전 수납홀 245:소리홀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사 보호장치는 차례로 연결된 3개의 투명판들 및 투명판들을 운전석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투명판이 운전석의 배면을 차단하고, 제2 투명판이 운전석의 측면을 차단하며, 제3 투명판이 제1 및 제2 투명판 사이에 배치되어 양 투명판들의 경사지게 연결한다. 수직이라면 전반사가 일어날 수 있는 부분에 경사지게 배치된 제3 투명판을 사용함으로써, 후시경을 통해 보이는후방 시야가 전반사로 인해 가려지거나 겹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3 투명판을 더 포함함으로써 외관상으로는 승객에게 제공되는 공간을 넓힐 수 있으며, 차례로 절곡된 면을 이용하여 승객에게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줄 수 있다.
투명판으로 일반적으로 투명 아크릴 판이 사용되며, 그 외에도 기타 투명 합성수지 판 또는 안전한 특성을 가진 투명 판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투명판들은 서로 분리되어 연결될 수 있지만, 간단하게는 일체로 제조 및 재단되고 부분적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부재로는 제1 내지 제3 투명판을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 및 지지 프레임을 헤드레스트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브래킷이 사용될 수 있다. 고정 브래킷은 지지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면서 적절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차종 및 좌석의 종류에 관계 없이 헤드레스트 프레임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투명판들에 통풍구를 형성함으로써 실내의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조절 할 수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장치(100)는 차량의 운전석(10)에 설치되어 운전석(10)의 배면 및 측면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보호장치(100)는 투명 보호창(110) 및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투명 보호창(110)은 제1 투명판(111), 제2 투명판(113) 및 제3 투명판(112)을 포함하며, 제1 내지 제3 투명판(111~113)은 투명 아크릴로 구성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고정부재는 지지 프레임(120) 및 고정 브래킷(122)을 포함하며, 지지 프레임(120)이 제1 내지 제3 투명판(111~113)을 고정 및 지지하고, 고정 브래킷(122)이 헤드레스트 프레임(20)을 수용하면서 지지 프레임(120)에 고정된다.
지지 프레임(120)은 투명판들(111~113)의 절곡 부분에 대응하여 2곳에서 절곡된다. 여기에 일체를 이루는 제1, 제3 및 제2 투명판(111, 112, 113)이 차례로 지지 프레임(120)에 밀착되면서 절곡된 지지 프레임(120)을 따라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제1 투명판(111)은 운전석(10)의 배면을 차단하고, 제2 투명판(113)은 운전석(10)의 우측면을 차단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투명판(111, 113)을 잇는 제3 투명판(112)은 경사지게 배치되어 운전석(10)의 우측 배면을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장치(100)는 3개의 투명판들(111~113)이 차례로 절곡되어 3면의 차단면을 형성한다. 특히, 제3 투명판(112)이 서로 수직한 제1 및 제2 투명판(111, 113)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3 투명판(112)을 포함함으로써 운전사(D)는 넓은 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외관상으로는 승객에게 심리적으로 안정적인 인상을 줄 수 있으며, 승객에게 더 넓은 공간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의 보호장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 후방의 A 및 B부분은 후시경(45) 및 제3 투명판(112)을 통해서 관찰될 수 있다. 종래의 2면형 보호장치(도 2참고)와는 다르게 투명판(112, 113)에서 전반사가 발생하지 않으며, 전반사에 의해서 운전사의 후방 시야가 방해 받는 일이 없다. 물론, 보호장치(100)는 승객이 운전석 배면 및 측면을 통해 강도, 위협 및 기타 사고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지지 프레임 및 고정 브래킷 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 브래킷(122)은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 2개의 고리부 및 2개의 고리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플랜지부를 포함한다. 플랜지부에는 지지 프레임과 체결되기 위한 홀이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지지 프레임(120)은 고정 브래킷(122)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슬릿홀(124a, 128a)을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120)이 헤드레스트(15) 프레임(20)의 후면에 위치하고, 고정 브래킷(122)이 헤드레스트(15)의 정면으로부터 접근하여 프레임(20)을 덮는다. 헤드레스트 프레임(20)의 간격에 따라 고정 브래킷(122)이 좌우로 이동하고, 고정 브래킷(122)을 좌우로 이동하면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최적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나사(124, 128)를 헐겁게 고정하고, 고정 브래킷(122)를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최적의 위치를 결정한다. 그 다음, 나사(124, 128)를 더욱 죄어 헤드레스트 프레임(20)에 지지 프레임(120)을 고정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투명 보호창의 전개도이다. 도 6의 보호장치(200)의 기본적인 구조는 도 3의 보호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투명 보호창(210) 및 고정부재에 관한 설명은 이전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장치(200)도 차량의 운전석(10)에 설치되어 운전석(10)의 배면 및 측면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보호장치(200)는 투명 보호창(210) 및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투명 보호창(210)은 제1 투명판(211), 제2 투명판(213) 및 제3 투명판(212)을 포함한다. 투명판들은 제1, 제3 및 제2 투명판(211, 212, 213)의 순으로 차례로 연결되며, 투명 아크릴로 구성되어 일체를 형성한다.
한편, 고정부재는 지지 프레임(220) 및 고정 브래킷(222)을 포함하며, 지지 프레임(220)이 제1 내지 제3 투명판(211~213)을 고정 및 지지하고, 고정 브래킷(222)이 헤드레스트 프레임(20)을 수용하면서 지지 프레임(220)에 고정된다. 고정 브래킷(222)이 위치를 조정하면서 지지 프레임(220)에 체결될 수 있기 때문에, 지지 프레임(220)은 안정적으로 헤드레스트 프레임(20)에 결속된다.
지지 프레임(220)은 투명판들(211~213)의 절곡 부분에 대응하여 2곳에서 절곡된다. 여기에 일체를 이루는 제1, 제3 및 제2 투명판(211, 212, 213)이 차례로 지지 프레임(220)에 밀착되면서 절곡된 지지 프레임(220)을 따라 고정된다. 제1 투명판(211) 및 제2 투명판(213)에는 각각 2개의 나사홀(234, 23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들(234, 236)을 통해 나사가 체결됨으로써 투명 보호창(110)이 지지 프레임(120)에 고정된다.
또한, 제2 투명판(213)과 밀착된 지지 프레임(220)의 단부는 L-자형으로 절곡되어 제2 투명판(213)을 수직하게 절곡한다. L-자형으로 절곡된 지지 프레임(220)은 제2 투명창(213) 및 투명 보호창(210)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투명판(211)은 운전석(10)의 배면을 차단하고, 제2 투명판(213)은 운전석(10)의 우측면을 차단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투명판(211, 213)을 잇는 제3 투명판(212)은 경사지게 배치되어 운전석(10)의 우측 배면을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장치(200)는 3개의 투명판들(211~213)이 차례로 절곡되어 3면의 차단면을 형성한다. 특히, 제3 투명판(212)이 서로 수직한 제1 및 제2 투명판(211, 213)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3 투명판(212)을 포함함으로써 운전사(D)는 넓은 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도 4 참고). 또한, 외관상으로는 승객에게 심리적으로 안정적인 인상을 줄 수 있으며, 승객에게 더 넓은 공간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전체적으로 제1, 제3 및 제2 투명판(211~213)의 상단은 보호장치(200)가 설치되는 차량의 천장 형상을 따라 형성된다. 이로써, 최소한의 틈새를 제공할 수 있으며, 운전사(D)를 더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품적 가치를 개선할 수 있으며, 차량 실내를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어 외관상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3 및 제2 투명판(211~213)의 하단은 운전석(10)의 형상을 따라 재단된다. 제1 투명판(211)의 하단은 헤드레스트(15) 후면의 운전석(10) 상면을 따라 형성되며, 제3 투명판(212)의 하단은 제1 투명판(211)의 하단과 단을 형성하며차량의 콘솔박스 상면 높이에 위치한다. 제2 투명판(213)의 하단 역시 제3 투명판(212)의 하단과 단을 형성하며, 제2 투명판(213)의 하단부는 보조석(30) 및 콘솔박스 사이에 삽입되어 투명 보호창(11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투명판(213)의 하단부에는 나사홀(238)이 형성될 수 있으며, 설치자의 선택에 따라 제2 투명판(213)을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제3 투명판(212) 및 제2 투명판(213) 사이에 절곡되는 부분(F)이 형성되며, 절곡되는 부분의 하부에 홈(214)이 형성된다. 상기 홈(214)에 의해서 제3 및 제2 투명판(212, 213)이 용이하게 절곡될 수 있으며, 제3 투명판(212)의 하단부는 운전석(10)을 향하거나 반대로 부분적으로 절곡될 수 있다.
제2 및 제3 투명판(212, 213)에는 통풍구(232, 233)가 형성된다. 제1 내지 제3 투명판(211~213)에 의해서 운전석과 그 외 좌석이 물리적으로 분리되지만, 차량 실내의 통풍을 방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차량 실내에서 대부분의 송풍구가 운전석(10) 및 보조석(30) 전면에 위치한다는 것을 감안할 때, 투명 보호창(110)은 차량 실내를 답답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더운 여름철에 에어컨의 시원한 바람을 차단하거나 추운 겨울철에 따뜻한 바람을 차단한다면, 오히려 많은 승객들을 불편하게 할 수 있으며 불쾌감을 줄 수가 있다. 이를 위해서 운전사(D)를 보호를 유지하면서 통풍구(232, 233)를 되도록 많이 형성하는 것이 좋다. 제2 투명판(213)에는 2개의 통풍구(233)가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3 투명판(212)에도 5개의 통풍구(232)가 2군으로 나뉘어 형성되어 있다.
제3 투명판(212)에서 통풍구(232)의 상부에 금전 수납홀(240)이 형성된다.금전 수납홀(240)을 통해 운전사(D)는 운행 요금 및 잔금을 주고 받을 수 있다. 다만, 악의의 승객이 금전 수납홀(240)을 통해 위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금전 수납홀(240)의 크기 및 형상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금전 수납홀(240)의 하반부 곡률을 상반부 곡률보다 크게 함으로써 홀의 중심으로부터 하반부까지의 폭을 좁게 형성하고 있다.
제2 투명판(213)에서 통풍구(233)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소리홀(245)이 형성되어 운전사(D) 및 승객 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운전사 보호장치는 운전석의 배면 및 측면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 운전사에게 안전한 후방 시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풍구를 이용함으로써 차량 실내의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순환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차종 및 좌석 종류에 관계 없이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운전석의 배면을 차단하기 위한 제1 투명판;
    상기 제1 투명판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운전석의 측면을 차단하기 위한 제2 투명판;
    운전사의 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투명판 사이를 경사지게 차단하는 제3 투명판; 및
    상기 제1 내지 제3 투명판을 운전석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운전사 보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투명판은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구성되어 일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사 보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투명판은 안전한 후방 시야를 제공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사 보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 내지 제3 투명판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 및상기 지지 프레임을 상기 운전석의 헤드레스트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제1, 제2 및 제3 투명판의 연결 부분에 대응하여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사 보호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래킷은 상기 헤드레스트 프레임을 수용하기 위한 고리부 및 상기 고리부를 일체로 연결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과 체결되기 위한 홀이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고정 브래킷의 상기 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슬릿 형상으로 형성된 슬릿홀을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홀을 통과하는 나사가 상기 슬릿홀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헤드레스트 프레임에 상기 지지 프레임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사 보호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투명판 중 적어도 하나에는 금전 수납홀이 형성되며, 상기 금전 수납홀의 하반부 곡률은 상반부의 곡률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사 보호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투명판 중 적어도 하나에는 통풍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사 보호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3 및 제2 투명판의 상단은 상기 보호장치가 설치되는 차량의 천장을 따라 유연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제3 및 제2 투명판의 하단은 상기 운전석 주변의 형상을 따라 단을 형성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사 보호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3 및 제2 투명판 사이의 절곡되는 부분의 단부에는, 상기 투명판들의 절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절곡되는 부분을 따라 부분적으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사 보호장치.
KR20-2003-0025973U 2003-08-12 2003-08-12 운전사 보호장치 KR2003324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973U KR200332413Y1 (ko) 2003-08-12 2003-08-12 운전사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973U KR200332413Y1 (ko) 2003-08-12 2003-08-12 운전사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2413Y1 true KR200332413Y1 (ko) 2003-11-07

Family

ID=49418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5973U KR200332413Y1 (ko) 2003-08-12 2003-08-12 운전사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241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2638A (ko) * 2019-01-25 2020-08-04 최중용 자동차 운전석 보호격벽
KR102344315B1 (ko) * 2021-08-06 2021-12-29 주식회사 흥진캐노피 차량용 방범 겸용 비말 차단 패널
KR20220010271A (ko) * 2020-07-17 2022-01-25 권오정 자동차용 윈드 디플렉터
RU212888U1 (ru) * 2022-04-13 2022-08-11 Дмитр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Шмерко Защитная перегородка водителя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2638A (ko) * 2019-01-25 2020-08-04 최중용 자동차 운전석 보호격벽
KR102244441B1 (ko) * 2019-01-25 2021-04-23 최중용 자동차 운전석 보호격벽
KR20220010271A (ko) * 2020-07-17 2022-01-25 권오정 자동차용 윈드 디플렉터
KR102481429B1 (ko) * 2020-07-17 2022-12-23 권오정 자동차용 윈드 디플렉터
KR102344315B1 (ko) * 2021-08-06 2021-12-29 주식회사 흥진캐노피 차량용 방범 겸용 비말 차단 패널
RU212888U1 (ru) * 2022-04-13 2022-08-11 Дмитр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Шмерко Защитная перегородка водител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05633A1 (en) Roof system with integrated hvac ducting
US7344176B2 (en) Sun visor for vehicles
KR200332413Y1 (ko) 운전사 보호장치
US5655810A (en) Combination automobile sunshield and interior protective cover
US6352300B1 (en) Rear windscreen for convertibles
EP1743803B1 (en) Mirror
JPH1134652A (ja) 自動車用空調装置の吹き出し口グリル
US7001029B1 (en) Rearview mirror assembly
KR200347815Y1 (ko) 영업용 자동차의 운전자 보호장치
KR20200128489A (ko) 타공판이 부착된 택시 격벽
JP2000211457A (ja) タクシ―用防犯スクリ―ン
KR100433800B1 (ko) 자동차용 전면 윈도우의 햇빛 차단 장치
JPH0542854A (ja) 自動車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KR20160066404A (ko) 제 3 차량의 서치라이트에 의한 운전 방해를 방지하는 택시 운전석 보호장치
US5914461A (en) Child proof guard for a personal computer
JPH09240371A (ja) 車両の後方監視カメラ装置
US4918750A (en) Motor vehicle radio-cassette unit camouflage system
KR102520053B1 (ko) 작업차용 캐빈
KR19990040704U (ko) 대쉬보드 커버
US6064300A (en) Strobe light warning system for school busses
KR200283500Y1 (ko) 차량용 운전자 보호장치
KR100462456B1 (ko) 차량의 윈도우 자동 커버링장치
KR20220099774A (ko) 차량 도어용 보호 가드
US5577789A (en) Interior light deflector
KR0138191B1 (ko) 동물 보관함이 부설된 자동차용 트렁크(tru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609

Effective date: 20051229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