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959Y1 - 수저포장을 위한 투명케이스 - Google Patents

수저포장을 위한 투명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959Y1
KR200331959Y1 KR20-2003-0017501U KR20030017501U KR200331959Y1 KR 200331959 Y1 KR200331959 Y1 KR 200331959Y1 KR 20030017501 U KR20030017501 U KR 20030017501U KR 200331959 Y1 KR200331959 Y1 KR 2003319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lery
case
plate
intermediate plate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75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희준
Original Assignee
최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희준 filed Critical 최희준
Priority to KR20-2003-00175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9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9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9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3/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the same material, other than metal, plastics,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수저의 포장을 위한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장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수저의 전체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 수저의 포장을 위한 케이스는 목재나 합성수지로 제작되어진 불투명의 케이스에 후로킹처리하여 외관을 장식함으로 수저의 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는 케이스를 일일이 열어야 하는 불편함과 이와 같이 열려진 상태에서 장시간 보관토록 할 경우에는 수저의 표면에 산화가 발생되어 수저의 손상이 발생되었던 것이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투명의 케이스에 수저를 고정토록 할 수 있는 중간판을 구비함으로서 중간판에 장착된 수저의 전후면을 모두 관찰할 수 있고 포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 산화 등에 의한 수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수저포장을 위한 케이스.

Description

수저포장을 위한 투명케이스{Transparent case for spoon wrapping}
본 고안은 수저의 포장을 위한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전면판과 후면판으로 이루어진 투명의 케이스에 수저가 고정될 수 있는 중간판을 형성하여 수저의 전시진열시 내부가 투시되어지도록 함으로 수저의 구매효과를 증진토록 함은 물론 이러한 수저포장용 케이스를 버리지 않고 수저의 보관을 위한 한 케이스로 사용토록 한 것이다.
통상 수저의 포장을 위한 케이스는 플라스틱이나 목재 또는 후지로 제작되어진 전면판과 후면판에 직물지를 결합하거나 또는 후로킹 처리함으로서 고급스런 이미지를 갖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은 모두 불투명이기 때문에 내부의 내용물을 확인할 수 없고 확인을 위하여는 구매자 등이 일일이 케이스를 열어보아야 함으로 통상 매장에서는 하나의 케이스를 개봉한 상태에서 공중의 열람을 위하여 전시하게 되는 것이나 이러한 것도 결국에는 구매자 등이 구매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열어보고 결정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당히 비 경제적인 것이다.
또한 이러한 수저케이스에 수저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 케이스의 내측면에 탄성끈을 이용하여 수저 등을 끼워고정하게 됨으로 판매된 이후에는 이러한 포장케이스는 버려진다는 경제적인 손실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전면판과 후면판을 투명의 케이스로 제작하고 그 사이에 수저를 탈착시킬 수 있는 수단이 강구되어진 중간판을 형성하여 중간판에 고정되어진 수저를 투명한 전면판과 후면판을 통하여 투시가 가능토록 함으로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케이스가 열린상태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닫힌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또 다른 케이스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3의 닫힌상태의 사시도.
도 5는 힌지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수저가 결합된 상태의 상태도.
도 7은 도1의 힌지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전면판 20: 후면판
30: 중간판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토록 한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전면판(10)과 후면판(20)이 투명재질로 형성되고 전면판(10)과 후면판(20)의 중앙에는 수저의 탈착수단(31)이 구현된 중간판(30)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때 중간판(30)은 수저의 탈착수단(31)에 대응되게 전면판(10)과 후면판(20)에 수저의 고정수단(11,21)을 형성함으로서 중간판(30)의 탈착수단(31)에 각각으로 수납되어진 수저가 전면판(10)과 후면판(20)을 덮게 됨으로서 고정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중간판(30)에 형성되는 탈착수단(31)은 각각의 격벽(32)에 의하여 수저의 탈착을 위한 공간이 구현토록 하는 것이고, 상기 탈착수단(31)은 중간판의 상하에 구비토록 하고 하부의 탈착수단(31a)에는 걸림수단(33)이 형성토록 하여 수저의 고정이나 탈착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또한 중간판과 전면판 및 후면탄의 개폐를 위한 것으로는 중간판의 하단에는 양측으로 돌출되어지게 돌출부(34)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에는 회동돌기(35)를 형성하여 상기 회동돌기에 맞물리게 회동홀(12,22)이 형성된 돌기축(13,23)을 형성하여 절첩되어지면서 중간판의 좌우로 개폐토록 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의 중간판은 상하로 분리되어진 상태로 탈착수단(31,31a)이 형성되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탈착수단이 상하로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탈착수단을 형성토록 하여도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고, 이때에는 가능하면 투명의 재질로 성형되어져야 하는 것이나 불투명으로 할 경우에도 전면판(10)과 후면판(20)의 투명에 의하여 내용물의 확인이 가능한 것이다.또한 걸림수단(33)은 수저의 몸체의 굵기에 따라 사용이 가능하도록 전방으로 좁고 후방으로는 넓게 형성토록 하고, 이러한 것은 연질의 재질을 사용함으로서 탈착에 의한 고정력을 증대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의 탈착수단(31a)은 중간판(30)의 지지벽(36)의 내측에 밀착되어지도록 걸림수단을 갖는 스폰지체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고, 이러한 스폰지체는 접착의 수단에 의하여 중간판의 지지벽(36)에 고정토록 함으로서 사용이 용이한 것이고 반드시 접착에 의한 고정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한 중간판(30)에 전면판(20)과 후면판(20)을 결합함에 있어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판(30)의 좌우로 전면판(10)과 후면판(20)이 각각 절첩되면서 결합고정토록 하는 것이고, 이때에는 고정수단이 중간판(30)에는 걸림내향턱(37)을 형성하고, 이와 맞물리는 위치의 전면판(10)과 후면판(20)에는 걸림외향턱(14,24)이 형성되어 각각 맞물림토록 되는 것이다.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판(10)과 후면판(20)의 절첩을 위하여는 중간판(30)과 후면판(20)에 각각으로 맞물리게 힌지수단(15,38)을 구비하여 별도의 힌지핀(39)으로 결합토록 한 것으로 이러한 수단은 공지의 다양한 방식이 사용되어지는 것이다.또한 전면판(10)과 후면판(20)에 형성되는 고정수단(11,21)은 수저가 중간판(30)의 탈착수단(31,31a)에 장착된 상태에서 수저의 이탈방지를 위한 직접적인 가압고정을 위한 방법과 이탈방지를 위한 포획되어지는 형태의 방법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를 위한 손잡이(40)의 구성은 중간판(30)에만 손잡이를 형성토록 한 후 휴대토록 하는 방식과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판(10)과 후면판(20)의 모두에 손잡이(16,26)를 형성하여 휴대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면판(10)과 후면판(20)에 형성된 고정수단(11,21)은 탈착의 방법으로 형성토록 할 수 있는 것이고 탈착을 위하여는 전면판(10)과 후면판(20)에는 고정돌기(도시안됨)를 형성하고 고정수단(11,21)에는 고정돌기에 맞물리도록 고정홈(도시안됨)을 형성토록 하여 수저의 형상에 따른 고정수단(11,21)의 교환으로 다양한 수저의 형태에 대응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중간판(30)에 형성되는 탈착수단(31,31a)을 탄성력을 갖는 스폰지 등의 재질을 이용하여 탈착토록 함으로서 수저의 고정이 용이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수저가 중간판(30)의 탈착수단(31,31a)에 고정된 상태에서 투명한 전면판(10)과 후면판(20)을 덮어줌으로서 내용물의 확인이 용이하여 일일이 열어봄으로서 내용물을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 이러한 수저케이스를 버리지 않고 장시간 수저의 보관을 위한 케이스를 사용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수저 포장용 케이스는 투명체이기 때문에 외부에서 포장된 상태에서 투시가 가능함으로 수저의 손상이 없이 수저의 구매가 가능하게 된 것이고, 이러한 포장용 수저케이스는 구매자가 수저의 보관용으로 사용토록 됨으로 재사용되어지게 됨으로 자원의 낭비를 방지토록 한 것이다.

Claims (7)

  1. (정정)수저의 탈착수단(31,31a)이 형성된 중간판(30)의 좌우로 힌지수단에 의하여 절첩되어지는 전면판(10)과 후면판(20)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포장을 위한 케이스.
  2. (정정)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10)과 후면판(20)에는 중간판(30)의 탈착수단(31,31a)에 끼워진 수저의 고정을 위한 고정수단(11,2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포장을 위한 케이스.
  3. (정정)제1항에 있어서, 중간판(30)의 탈착수단(31,31a)은 상하2단으로 형성되어 상단은 수저의 간격을 유지하고 하단은 수저의 이탈방지를 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포장을 위한 케이스.
  4. (삭제)
  5. (삭제)
  6. (정정)제 1항에 있어서, 중간판(30)의 걸림내향턱(37)과 맞물리게 전면판(10)과 후면판(20)에는 걸림외향턱(14,24)이 형성되어 개폐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포장을 위한 케이스.
  7. (삭제)
KR20-2003-0017501U 2003-06-04 2003-06-04 수저포장을 위한 투명케이스 KR2003319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501U KR200331959Y1 (ko) 2003-06-04 2003-06-04 수저포장을 위한 투명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501U KR200331959Y1 (ko) 2003-06-04 2003-06-04 수저포장을 위한 투명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959Y1 true KR200331959Y1 (ko) 2003-11-07

Family

ID=49339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501U KR200331959Y1 (ko) 2003-06-04 2003-06-04 수저포장을 위한 투명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95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6188B1 (ko) 접이식 상자
US20080230157A1 (en) Purse with Interchangeable Decorative Liners
KR101937371B1 (ko) 화장품 용기
KR200331959Y1 (ko) 수저포장을 위한 투명케이스
FR2758312A1 (fr) Boite d&#39;emballage pour produits alimentaires
US20020092588A1 (en) Watch box shaped handbag with display window
CN207653933U (zh) 一种珠宝首饰陈列展示托盘
KR200301159Y1 (ko) 담배갑 보호케이스
KR200310016Y1 (ko) 물티슈 케이스
JP2003180433A (ja) 眼鏡ケース
USD967713S1 (en) Packaging container
JP4291672B2 (ja) 釣り用びく
JP5270624B2 (ja) バッグ
KR200373533Y1 (ko) 포장용기 및 액자 겸용 케이스
JP3050655U (ja) ゴルフボール用箱
JP3464393B2 (ja) かばん
KR200393821Y1 (ko) 살균 기능이 있는 수저포장용 케이스
KR200237960Y1 (ko) 화장품케이스_
JPH0421292Y2 (ko)
JP3082675U (ja) 玩具・小物雑貨用収納ケース
KR200301427Y1 (ko) 낚시대 포장용 케이스
KR200442176Y1 (ko) 수저 포장케이스
JPS6129648Y2 (ko)
JP2912288B2 (ja) キーホルダー
KR200316544Y1 (ko) 잠금구 및 손잡이를 갖춘 포장용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