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8967Y1 - 플렉시블 배선판용 전원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배선판용 전원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8967Y1
KR200328967Y1 KR20-2003-0019881U KR20030019881U KR200328967Y1 KR 200328967 Y1 KR200328967 Y1 KR 200328967Y1 KR 20030019881 U KR20030019881 U KR 20030019881U KR 200328967 Y1 KR200328967 Y1 KR 2003289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wiring board
movable cover
base
flexible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98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우흐시엔-유
Original Assignee
피-투 인더스트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TW92203974U external-priority patent/TW572427U/zh
Application filed by 피-투 인더스트리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피-투 인더스트리스 인코포레이티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89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89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렉시블 배선판용 전원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커넥터의 피봇축이 파괴되더라도 상기 커넥터의 이동식 커버와 베이스의 자유로운 회전이 유지될 수 있도록 보장할 수 있는 동시에, 플렉시블 배선판에 압착과 연결효과를 제공하며, 포지셔닝 축의 일 측면은 플렉시블 배선판을 압착하여 상기 단자의 콘택트 아암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가압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이동식 커버의 닫힘위치를 규정하며, 개방위치로부터 닫힘위치로의 상기 가압부의 변위점은 전기적으로 상기 플렉시블 배선판을 연결하기 위해서 서포트 아암의 서포트부의 중심으로부터 콘택트 아암의 콘택트 핀까지의 선을 초과하지 않는 것이다.

Description

플렉시블 배선판용 전원 커넥터{ELECTRICAL POWER CONNECTOR FOR FLEXIBLE CIRCUIT BOARD}
본 고안은 플렉시블 배선판용 전원 커넥터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플렉시블 배선판에 삽입, 적용하여 하방 압력을 가하는 이동식 커버를 사용하여 단자에 전기적 연결을 가져오는 전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중화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233382호("플렉시블 머더보드를 위한 전원 커넥터")에 개시된 종래 기술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은 주로 전기부품의 소형화를 수용하도록 적응된 커넥터를 제공한다. 이 종래 기술은 어떤 클러치 팔레트 부와 클러치 블록부, 또는 어떤 다른 고정장치 없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종래 기술은 그 내부의 접점에 접근하는 안정된 위치(닫힘위치)와 상기 안정된 위치로부터 떨어지는 개방위치 사이에 장치된 커버모양의 압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커버모양의 압착부재는 자유로운 회전을 위해서 하우징에 장치된 회전지지부에 의해서 지지된다. 상기 압축부재에는 전술한 안정된 위치에서 회전할 때 접점에 놓인 플렉시블 기판을 아래로 누르는 압착 볼록부가 추가로 제공된다. 첨부된 도면 1 내지 7을 참조하면, 상기 압착부재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압부는 상기 회전/지지 부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상기 접점의 접점 부까지 형성된 라인의 외부에 있다. 상기 압착부재가 상기 안정된 위치에 대해서 회전될 때, 상기 가압부는 상기 라인을 벗어난다.
그러므로, 상기 종래 기술의 기술적 특징은 여전히 다음과 같은 해결되어야 할 이슈를 가지고 있다.
첫째, 종래 기술에서 회전모드는 상기 압착부재를 상기 접점의 연결된 회전/지지 부를 따라서 아래로 누름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지지 및 연결은 단지 상기 압착부재의 축부에 의존하기 때문에, 상기 압착부재는 떨어지지 쉽다. 특히 상기 압착부재의 축부에 크래킹이 발생하면, 그 안의 회전그루브는 지지를 상실하게 되고 상기 접점으로부터 분리된다. 커넥터 기판을 삽입하여 대체한 커넥터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는 것은 오히려 적절하지 않다. 또한, 상기 축부는 상대적으로 작은 부피를 갖는 압착요소의 오목부에 플렉시블 아암부(arm portion)를 형성하므로, 상기 플렉시블 아암부는 조립과정에서 파손을 방지하기에 적절하지 않다. 그러므로, 조립과정에서 유연성을 어떻게 개선하고, 전기적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서 보다 효과적인 회전모드를 어떻게 제공할 것인가 하는 것이 주요 과제이다.
둘째, 상기 접점이 하우징에 조립될 때, 그 단자는 작은 정확도의 오차에 의해서 수평으로 배열될 수 없는 경우가 흔하다. 이 때문에 상기 접점의 접점부가 상기 회전그루브와 평평하게 그리고 전체적으로 결합시키는 것에 대한 절대적인 보장은 할 수 없다. 오차가 더 큰 경우에는, 상기 지지 부와 상기 회전그루브의 접촉 중에 간섭이 상기 압착부재의 축부에 더욱 영향을 주어 축 지지 부에 적당히 들어가서 위치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사실상의 회전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술한 이슈는 해결되어야 할 두 번째 과제로 남는다.
본 고안의 주요한 목적은 상술한 단점을 극복하는 전원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원 커넥터의 피봇축(pivotal axes)이 부서지더라도 전원 커넥터의 이동식 커버와 베이스의 자유로운 회전이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는 동시에, 플렉시블 배선판에 압착 및 연결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전원 커넥터의 개방위치로부터 닫힘위치로 이동을 위해 활동개구(activity opening)가 이동식 커버에서 그리고 베이스 내에 위치한 단자의 서포트 아암(support arm)에 대응하여 제공된다. 상기 활동개구는 또한 상기 서포트 아암을 받는 위치에서 포지셔닝 축(positioning axes)에 의해서 배열된다. 상술한 포지셔닝 축의 한쪽은 플렉시블 배선판을 눌러 연결하기 위한 이동식 커버의 닫힘위치를 정의하고 상기 단자의 콘택트 아암(contact arm)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가압부를 형성하며, 상기 단자의 콘택트 아암은 상기 플렉시블 배선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콘택트 핀(contact pin)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해결책을 제공한다.
1. 조립 : 상기 활동개구는 약간의 여유가 남겨지므로, 상기 콘택트 단자의 조립 중에 오차가 일어나더라도 간섭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베이스의 양 측벽은 수평 그루브 갭(groove gap)과 수직 그루브 갭이 제공되기 때문에 유연한 조립성을 갖는 측벽으로서 정의된다. 또한 상기 측벽은 입구에 경사 안내판과 쐐기채널이 배치되며, 상기 이동식 커버는 상술한 쐐기채널에 대응하는 블록부재가 배치되어, 상기 이동식 커버가 상기 애퍼처 안으로 밀릴 때 상기 피봇축이 부드럽게 상기 피봇그루브(pivotal groove)로 들어가서, 그에 의해서 상기 단자를 제어하는데 있어서의 어려움을 효과적으로 줄이고, 뿐만 아니라 상기 이동식 커버를 조립함에 있어서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2. 동작: 본 고안은 상기 서포트 아암(support arm)의 서포트부(support portion)를 압착하기 위해서 포지셔닝 축을 이용하며, 상기 단자의 개방위치로부터 닫힘위치로의 동작은 상기 활동개구를 사용하여 제한된다. 상기 포지셔닝 축과 서포트부는 또한 서로 구속하는 볼록부(protrusion)와 오목부(indenture)를 각각 가지고 있으며, 상술한 이동식 커버의 구속은 사용자나 다른 이유로 가해진 부적절한 힘에 의해서 파열될 때 여전히 유지되며, 그에 의해서, 상기 커넥터를 교체할 필요 없이 상기 닫힘위치에서 상기 커넥터의 압착효과를 보장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개략 분해 구조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커버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커버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커버의 개방위치(open position)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닫힘위치(close position)에서 아래로 누르는 이동식 커버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5c는 본 고안에 따른 닫힘위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 123 : 경사 안내판
11 : 배치구획 124 : 수직 그루브 갭
12 : 측벽 125 : 수평 그루브 갭
121 : 피봇그루브 13 : 애퍼처
122 : 쐐기채널 20 : 단자
21 : 콘택트 아암 32 : 활동개구
211 : 콘택트 핀 33 : 포지셔닝 축
22 : 서포트 아암 331 : 볼록부
221 : 서포트부 222 : 오목부
23 : 연결아암 34 : 가압부
30 : 이동식 커버 36 : 블록부재
31 : 피봇축 40 : 플렉시블 배선판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기술적인 내용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개략적인 사시도와 분해 구조도를 도시하는 도 1 및 도 2를각각 참조하면, 본 고안은:
애퍼처(13)를 갖는 베이스(10), 및 배열된 단자(20)에 의해서 식별된 복수의 배치구획(11);
각각이 상기 베이스(10)의 상부면에 노출되고 조립된 서포트 아암(22)을 갖는 상술한 단자(20), 상기 배치구획(11)에 위치되고 상기 애퍼처(13)로 연장된 콘택트 아암(21), 및 상기 서포트 아암(22)과 상기 콘택트 아암(21)을 연결하는 연결아암(connection arm)(23);
그리고
상기 베이스(10)의 애퍼처(13)에 장착되고 상기 애퍼처(13)의 피봇그루브(121)에 대응하는 피봇축(31)을 갖는 이동식 커버(30), 상기 단자(20)의 서포트 아암(22)에 대응하고 상기 이동식 커버(30)의 개방위치로부터 닫힘위치로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활동개구(32), 상기 활동개구(32)가 상기 서포트 아암(22)(도 4 참조)을 받는 위치에 있는 포지셔닝 축(33)을 구비하고;
상기 포시셔닝 축(33)과 상기 단자(20)의 서포트 아암(22)의 종단에 형성된 서포트부(221)는 서로 구속하는 볼록부(331)와 오목부(222)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술한 포지셔닝 축(33)의 한쪽 측면은 플렉시블 배선판(40)(도 5a 참조)을 압착하여 연결하는 상기 이동식 커버(30)의 닫힘위치를 정의하고 상기 단자(20)의 콘택트 아암(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가압부(34)를 형성하며, 상기 단자(20)의 콘택트 아암(21)은 상기 플렉시블 배선판(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콘택트 핀(211)이 장착된다.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커버(30)의 조립을 도시하는 개략도를 보여주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피봇 그루브(121)을 갖는 상기 베이스(10)의 양 측벽(12)은 예비의 수평 그루브 갭(125)과 수직 그루브 갭(124) 때문에 조립이 유연한 것으로서 정의된다. 또한, 상기 측벽(12)의 입구에 배치된 경사 안내판(123)과 쐐기채널 (122) 덕분에, 상기 이동식 커버(30)가 상기 베이스(10)의 애퍼처(13) 안으로 수평하게 밀릴 때, 상기 양 측면의 쐐기채널(122) 사이의 거리는 상기 이동식 커버(30)의 양 측면의 피봇축(32) 사이의 거리보다 조금 더 크다. 그 다음 상기 이동식 커버(30)는 상기 쐐기채널(123)로 부드럽게 들어가서 상기 경사 안내판(123)을 따라서 상기 베이스(10)로 더 들어간다. 상기 측벽(12)은 수평 그루브 갭(125)과 수직 그루브 갭(124) 때문에 유연성이 제공되므로, 밀려들어 온 이동식 커버(30)에 의해서 비틀릴 때 적절한 변형이 일어난다. 그러나, 상기 이동식 커버(30)의 피봇축(31)이 상기 피봇 그루브(121)에 확실히 놓일 때, 상기 측벽(12)은 상기 제공된 유연성 때문에 본래의 형태로 다시 돌아온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식 커버(30)의 피봇축(31)이 상기 피봇 그루브(121) 내에 놓일 때, 상기 단자(20)의 서포트 아암(22)은 상기 이동식 커버(30)의 활동개구(32)로 들어간다.
그리하여, 상기 단자(20)의 서포트 아암(22)의 조립 동안에 에러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피봇축(31)의 조립은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이 때, 상기 포지셔닝 축(33)은 상기 서포트부(221)의 바닥끝으로 들어가고, 볼록부(331)가 오목부(222)와 결합된다. 즉, 상기 피봇 그루브(121)에서 피봇축(31)에 의해서 주어진 포지셔닝 효과와는 별도로 상기 서포트부(221)와 포지셔닝 축(33)에서 형성된 에워싸는관계가 단자(20) 각각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제공된다. 그 결과, 본 고안은 사용자 또는 다른 원인에 의해서 가해진 부적절한 힘에 의해서 파열이 일어나는 경우라도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고 활동대구(32)와 단자 각각의 봉쇄를 여전히 보장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커버(30)의 개방위치를 도시하는 개략도를 보여주는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플렉시블 배선판(40)에 전기적인 연결을 수행할 때, 상기 이동식 커버(30)는 지렛대로서 상기 피봇축(31)을 사요하여 상기 개방위치로 들어 올려진다. 활동개구(32)는 마진을 갖는 개방공간이므로, 에워싸는 관계가 상기 포지셔닝 축(33)의 볼록부(331)와 서포트부(221)의 오목부(222)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222)는 평판 세그먼트에 의해서 더 연장되고, 상기 포지셔닝 축(33)의 조립을 위한 마진이 증가된다. 또한, 포지셔닝 축(33)은 상기 이동식 커버(30)의 개방으로 이동되지 않고 오목부(222)의 평판 세그먼트에서 회전된다. 또한, 사용자가 이동식 커버(3)를 열기 위해 힘을 가하는데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힘 작용점(35)이 이동식 커버(30)의 중간부분에 있는 오목부에 형성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플렉시블 배선판(40)이 애퍼처(13)로 들어갈 때와 상기 이동식 커버(30)가 아래로 눌려질 때, 상기 포지셔닝 축(33)은 이동되지 않고 여전히 고정 축으로 회전하며, 활동개구(32)에 예비된 마진 때문에 서포트 아암(22)의 전단에 있는 서포트부(221)에 의해서 회전시 간섭이 생기지 않는다.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식 커버(30)의 가압부(34)는 반 개방위치에서 플렉시블 배선판(40)과 접촉하게 되며, 이동식 커버(30)는 상기 닫힘위치에 이를 때까지 아래로 계속해서 압착한다. 그 결과, 본래 수평한 가압부(34)는 플렉시블 배선판(40)에 수직으로 되어서, 상기 플렉시블 배선판(40)은 플렉시블 배선판(40)이 단자(20)의 콘택트 아암(21)에 있는 콘택트 핀(211)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 하향 압력이 가해진다. 또한, 상술한 쐐기채널(122)은 이동식 커버(30)가 상기 닫힘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추가적인 포지셔닝 효과를 제공하는 블록부재(36)와 함께 배치된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본 고안과 타이완 특허 공개번호 제233382호에 개시된 종래 고안 사이의 차이점은, 본 고안에서는 상기 개방위치로부터 상기 닫힘위치로의 가압부(34)의 변위점은 서포트 아암(22)의 서포트부(221)의 중심으로부터 전기적으로 플렉시블 배선판(40)을 연결하기 위한 콘택트 아암(21)의 콘택트 핀(211)까지의 선(L)을 초과하지 않는다.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는 단지 본 고안의 원리를 실례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서 다음의 청구항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그것에 다양한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은 당연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커넥터의 피봇축이 부서지더라도 전원 커넥터와 상기 베이스의 자유로운 회전이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는 동시에 플렉시블 배선판에 압착 연결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전기적인 연결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6)

  1. 애퍼처 및 배열된 단자에 의해서 한정된 복수의 배치구획을 갖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노출되고 조립된 서포트 아암,
    상기 배치구획에 위치되고 상기 애퍼처에 연장된 콘택트 아암, 그리고
    상기 서포트 아암과 상기 콘택트 아암을 연결하는 연결아암을 갖는 상기 단자; 및
    상기 베이스의 애퍼처에 있고, 상기 베이스에 배치된 피봇 그루브에 대응하고 이 피봇 그루브와 자유회전 관계를 갖는 피봇축을 구비하는 이동식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의 서포트 아암에 대응하는 활동개구는 상기 이동식 커버의 개방위치로부터 닫힘위치로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서 설치되고,
    포지셔닝 축은 상기 활동개구가 상기 서포트 아암을 수용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포지셔닝 축의 일 측면은 플렉시블 배선판을 압착하여 연결하는 상기 이동식 커버의 닫힘위치를 한정하고 상기 단자의 콘택트 아암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가압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배선판용 전원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서포트부는 상기 서포트 아암의 종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플렉시블 배선판용 전원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축과 상기 서포트부는 서로 대응하고 구속하는 볼록부와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배선판용 전원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아암은 플렉시블 배선판과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콘택트 핀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배선판용 전원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측벽으로 정의된 양 측벽을 갖는 상기 베이스의 양 측벽은 수평 그루브 갭과 수직 그루브 갭을 구비하고,
    상기 측벽에는 입구에 경사 안내판과 쐐기채널이 추가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이동식 커버는 상기 쐐기채널에 대응하는 블록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배선판용 전원 커넥터.
  6. 애퍼처 및 배열된 단자에 의해서 한정된 복수의 배치구획을 갖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노출되고 조립된 서포트 아암,
    상기 배치구획에 위치되고 상기 애퍼처로 연장된 콘택트 아암, 그리고
    상기 서포트 아암과 상기 콘택트 아암을 연결하는 연결아암을 갖는 상기 단자; 및
    상기 베이스의 애퍼처에 있고, 상기 베이스에 배치된 피봇 그루브에 대응하고 피봇 그루브와 자유회전 관계를 갖는 피봇축과, 상기 단자의 서포트 아암에 대응하고 상기 이동식 커버의 개방위치로부터 닫힘위치로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활동개구를 구비하는 이동식 커버를 포함하고,
    포지셔닝 축은 상기 활동개구가 상기 서포트 아암을 수용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포지셔닝 축의 일 측면은 플렉시블 배선판을 압착하여 연결하는 상기 이동식 커버의 닫힘위치를 한정하고, 상기 단자의 콘택트 아암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가압부를 형성하고,
    개방위치로부터 닫힘위치로의 상기 가압부의 변위점은 전기적으로 플렉시블 배선판을 연결하기 위해서 서포트 아암의 서포트부의 중심으로부터 콘택트 아암의 콘택트 핀까지 형성된 선을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배선판용 전원 커넥터.
KR20-2003-0019881U 2003-03-14 2003-06-24 플렉시블 배선판용 전원 커넥터 KR20032896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92203974U TW572427U (en) 2002-08-01 2003-03-14 Electrical connector for flexible circuit board
TW092203974 2003-03-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8967Y1 true KR200328967Y1 (ko) 2003-10-04

Family

ID=32924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9881U KR200328967Y1 (ko) 2003-03-14 2003-06-24 플렉시블 배선판용 전원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790074B1 (ko)
JP (1) JP3099102U (ko)
KR (1) KR20032896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2980B2 (ja) * 1992-03-16 1998-03-30 株式会社巴コーポレーション 立体トラスの球継手と杆材との継手部構造
TW582631U (en) * 2003-06-27 2004-04-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KR100514596B1 (ko) * 2003-08-27 2005-09-14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
JP4098287B2 (ja) * 2003-10-03 2008-06-11 山一電機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
TWM272265U (en) * 2005-01-28 2005-08-01 Cheng Uei Prec Ind Co Ltd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JP4498948B2 (ja) * 2005-02-24 2010-07-07 ホシデン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4542525B2 (ja) * 2005-07-07 2010-09-15 山一電機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20070021677A (ko) * 2005-08-19 2007-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 그 연결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JP4783096B2 (ja) * 2005-09-08 2011-09-28 山一電機株式会社 可撓性導体用コネクタ
US7168976B1 (en) * 2005-10-25 2007-01-30 Cvilux Corporation Soft PC board connector
JP4223525B2 (ja) * 2005-10-27 2009-02-12 山一電機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
KR100712204B1 (ko) 2005-12-14 2007-04-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케이블을 인쇄 회로 기판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US7214081B1 (en) * 2006-03-24 2007-05-08 Lotes Co., Ltd. Socket for resilient electrical circuit board
CN2891343Y (zh) * 2006-04-27 2007-04-1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1467309B (zh) * 2006-05-31 2013-11-06 创新塑科技有限公司 用于存储装置的压缩式连接器模块和包括其的测试载具
TWM316553U (en) * 2006-10-23 2007-08-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8414961B1 (en) 2006-12-13 2013-04-09 Nanosolar, Inc. Solution deposited transparent conductors
US7625231B2 (en) * 2007-06-29 2009-12-01 Yamaichi Electronics Co., Ltd. Adaptor for cable connector
JP4390821B2 (ja) * 2007-07-06 2009-12-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2009193786A (ja) * 2008-02-13 2009-08-27 Yamaichi Electronics Co Ltd Hdmi規格ケーブル用コネクタ
WO2009104170A2 (en) * 2008-02-18 2009-08-27 Fci Floating electrical connector
US8530262B2 (en) * 2008-02-28 2013-09-10 Nanosolar, Inc. Roll-to-roll non-vacuum deposition of transparent conductive electrodes
JP2010056066A (ja) * 2008-07-29 2010-03-11 Yamaichi Electronics Co Ltd 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7914312B1 (en) * 2010-06-08 2011-03-29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nnector having a support board moving upward to ensure contact between a flexible circuit board contacts and electrical terminals
KR101786074B1 (ko) * 2010-12-02 2017-1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8177564B1 (en) 2010-12-03 2012-05-15 Yamaichi Electronics Co., Ltd. Receptacle connector and an electrical connector using the same
JP5905776B2 (ja) * 2012-05-18 2016-04-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D734271S1 (en) * 2014-03-06 2015-07-14 General Electric Company Modular probe
US9810422B2 (en) * 2016-02-04 2017-11-07 Dell Products L.P. Floating apparatus for fixing membrane cable for fan module lighting
CN107799956B (zh) * 2016-08-29 2020-03-3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CN108306130B (zh) * 2018-01-29 2019-09-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前锁式fpc连接器及具有该连接器的fpc连接结构
JP6552659B1 (ja) * 2018-02-26 2019-07-31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
TWM588894U (zh) * 2019-04-10 2020-01-0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連接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2945B2 (ja) * 1994-08-05 1999-05-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3005497B2 (ja) * 1997-05-29 2000-01-31 東北日本電気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3356265B2 (ja) * 1997-07-29 2002-12-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3430398B2 (ja) * 1998-07-31 2003-07-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159178B2 (ja) * 1999-04-30 2008-10-0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3786400B2 (ja) * 2001-03-23 2006-06-1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6619979B1 (en) * 2002-06-01 2003-09-16 Yen Yu-Feng Top-contacting insertion socket for flat c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90074B1 (en) 2004-09-14
JP3099102U (ja) 2004-03-25
US20040180572A1 (en) 2004-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28967Y1 (ko) 플렉시블 배선판용 전원 커넥터
JP3118226U (ja) Icパッケージ用ソケット
JP4484218B2 (ja) コネクタ
JP3127798U (ja) カードコネクタのロック装置
US5569045A (en) Electrical connector
US781545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stiffener
KR960019860A (ko) 전기코넥터 및 그 전기코넥터를 이용한 전자기기
JPH1154218A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3109662U (ja) Lgaパッケージ用ソケット
JP2004063081A (ja) 半導体パッケージ用ソケット
US7214081B1 (en) Socket for resilient electrical circuit board
JP2004178959A (ja) コネクタ
TW200308128A (en) Production method of flat cable connector
US7390213B2 (en) Connector with improved electrical contacts
US6224403B1 (en) Lever-fitting type connector
US20070035319A1 (en) Electrical connector
JP3072424U (ja) コネクタ
JP2580074Y2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H033991Y2 (ko)
CN110797690A (zh) 柔性线路板电连接器
JPH09283237A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CN220510324U (zh) 电连接器
US6200154B1 (en) Electrical socket
JP4632604B2 (ja) Fpc用コネクタ
JP2004022535A (ja) ソ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