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8059Y1 - 사출 성형 장치 - Google Patents

사출 성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8059Y1
KR200328059Y1 KR20-2003-0020801U KR20030020801U KR200328059Y1 KR 200328059 Y1 KR200328059 Y1 KR 200328059Y1 KR 20030020801 U KR20030020801 U KR 20030020801U KR 200328059 Y1 KR200328059 Y1 KR 2003280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jector
lower mold
plate
injection molding
m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08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20-2003-00208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80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80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80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출 성형 장치의 하부 금형고정판의 관통공 안으로 사출기 이젝터의 선단이 위치할 수 없고 사출기 이젝터의 선단이 하부 금형고정판의 관통공과 일정한 간격을 가져야 하는 장치 구조를 가진 사출 성형 장치에 있어서, 성형사출물을 취출하기 위해 요구되는 밀핀의 돌출거리를 확보하기 위해서 사출기 이젝터가 밀판과 접촉하지 않고서 진행하는 공주거리(空走距離)를 최소화함으로써, 사출성형품의 취출에 필요한 밀핀의 돌출거리에 거의 실질적으로 근접하는 정도로만 사출기 이젝터가 이동하는 것으로도 충분할 수 있도록하는 수단을 제공하기 위하여, 밀판의 사출기 이젝터의 선단부를 향한 면에는 하부 금형고정판의 관통공 내부를 향하여 돌출하도록 취출 보조봉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출 성형 장치{APPARATUS FOR INJECTION MOUDING}
본 고안은 플라스틱 사출물을 성형하는 금형으로부터 사출성형품을 취출하기 위한 사출기 이젝터(Ejector)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출성형기의 사출성형품 취출용 밀핀의 작동거리의 확보에 필요한 사출기 이젝터의 작동거리를 종래 보다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사출물을 성형하는 금형으로부터 사출성형품을 취출하기 위한 사출기 이젝터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 장치의 일반적인 종래의 장치 구조는 첨부 도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및 상부 금형(1a, 2a)과 하부 및 상부 금형고정판(1, 2)을 포함하고, 금형(1a, 2a) 내의 사출성형품(5)의 성형이 완료된 후에 금형(1a, 2a)으로부터 사출성형품(5)을 취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하부 고정판(1)과 하부 금형(1a) 사이의 공간부에 설치되는 밀판(3)과 그리고 밀판(3)으로부터 하부 금형(1a)을 관통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밀판(3)에 고정 설치된밀핀(3a)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밀판(3)을 하부 금형(1a)을 향하여 밀어내어서 그 선단의 밀핀(3a)이 금형 내의 사출성형품(5)을 들어 올려 취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금형고정판(1)에는 관통공(1h)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1h)을 통하여 사출기 이젝터(4)가 삽입되고, 관통공(1h)을 통하여 삽입되는 사출기 이젝터(4)가 밀판(3)을 하부 금형(1) 방향으로 밀어내는 장치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사출성형품 취출구조를 가진 사출기 이젝터(4) 및 이를 포함한 사출 성형 장치를 사용하여, 사출성형품(5)을 취출하는 과정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성형기의 금형(1a, 2a) 내부에서 사출성형품(5)의 성형이 완료된 후에,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금형(2a) 및 이를 고정하고 있는 상부 금형고정판(2)을 사출성형품(5)이 안착되어 있는 하부 금형(1a)으로부터 분리시키고, 그런 다음에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기 이젝터(4)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 때, 사출기 이젝터(4)는 하부 금형고정판(1)의 관통공(1h)을 통과하고, 그리고는 하부 금형고정판(1)과 하부 금형(1a) 사이의 공간부를 가로질러서 계속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이동 과정 중에 밀판(3)과 부딛혀서 밀판(3)을 하부 금형(1a) 방향으로 밀어 내게 된다. 이와 같이 밀판(3)이 하부 금형(1a) 방향으로 밀려지면 하부 금형(1a)을 관통하도록 밀판(3)의 전면에 설치된 밀핀(3a)은 고정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하부 금형(1a)의 전면 위로 돌출하게 되고, 이와 같이 일정 거리를 돌출하게 된 밀핀(3a)은 하부 금형(1a)의 전면에 안착되어 있던 성형사출물(5)을 밀어내면서 외부로 취출되도록 한다.
한편, 하부 금형고정판(1)의 관통공(1h) 안으로 사출기 이젝터(4)의 선단이 위치할 수 없고 사출기 이젝터(4)의 선단이 하부 금형고정판(1)의 관통공(1h)과 일정한 간격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구조를 가진 종래 기술에 따른 사출기 이젝터 및 이를 포함한 사출성형기의 전체적인 구조 하에에서는, 첨부 도면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사출물(5)을 취출하기 위해 요구되는 밀핀(3a)의 돌출거리(A)를 확보하기 위해서 실제로 사출기 이젝터(4)는 밀핀(3a)의 돌출거리(A)에 사출기 이젝터(4)의 선단과 밀판(3) 사이의 간격에 해당하는 공주거리(B)를 더한 거리, 즉 도 1c에 도면부호 (C)로 도시된 거리 만큼을 이동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사출성형품의 취출구조에서는 사출기 이젝터(4)가 상당한 공주거리(B)를 반드시 진행하여야 하므로, 사출성형품(5)의 취출에 필요한 밀핀(3a)의 돌출거리(A)가 큰 경우에는 손실로 간주되는 공주거리(B)에 따른 손실 때문에 사출기 이젝터(4)의 작동 거리가 큰 사출성형기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일으키며, 또한 그 만큼 작동에 소비되는 시간이 늘어나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사출 성형 장치의 하부 금형고정판의 관통공 안으로 사출기 이젝터의 선단이 위치할 수 없고 사출기 이젝터의 선단이 하부 금형고정판의 관통공과 일정한 간격을 가져야 하는 장치 구조를 가진 사출 성형 장치에 있어서, 성형사출물을 취출하기 위해 요구되는 밀핀의 돌출거리를 확보하기 위해서 사출기 이젝터가밀판과 접촉하지 않고서 진행하는 공주거리(空走距離)를 최소화함으로써, 사출성형품의 취출에 필요한 밀핀의 돌출거리에 거의 실질적으로 근접하는 정도로만 사출기 이젝터가 이동하는 것으로도 충분할 수 있도록하는 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사출 성형 장치로서 사출기 이젝터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사출 성형 장치로서 사출기 이젝터를 사용하여 사출성형품을 취출하는 단계를 도시한 것으로 도 1a에 도시된 단계의 다음 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1c는 종래 기술에 따른 사출 성형 장치로서 사출기 이젝터를 사용하여 사출성형품을 취출하는 단계를 도시한 것으로 도 1b에 도시된 단계의 다음 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사출 성형 장치로서 사출기 이젝터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사출 성형 장치의 작동 상태도로서, 도 1a에 도시된 단계의 다음의 작동 단계(상부 금형 분리 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2c는 본 고안에 따른 사출 성형 장치로서 사출기 이젝터를 사용하여 사출성형품을 취출하는 단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b에 도시된 단계의 다음 단계(사출성형물 취출 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취출 보조봉의 상세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부 금형고정판 11: 하부 금형
20: 상부 금형고정판 21: 상부 금형
30: 밀판 31: 밀핀
40: 사출기 이젝터 50: 성형사출물
60: 취출 보조봉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사출물을 성형하는 금형으로부터 사출성형품을 취출하기 위한 사출기 이젝터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 장치로서, 하부 및 상부 금형과 하부 및 상부 금형고정판; 상기 하부 금형고정판과 하부 금형 사이의 공간부에 설치되는 밀판; 및 상기 밀판으로부터 상기 하부 금형을 관통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밀판에 고정 설치된 밀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그리고 상기 밀판을 상기 하부 금형을 향하여 밀어내어서 그 선단의 돌출된 밀핀이 상기 하부 금형 상에 안착되어 있는 사출성형품을 들어 올려 취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금형고정판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을 통하여 사출기 이젝터가 삽입되고,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삽입되는 상기 사출기 이젝터가 상기 밀판을 상기 하부 금형 방향으로 밀어내는 장치 구조를 가진 사출 성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출기 이젝터의 작동 거리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밀판의 상기 사출기 이젝터의 선단부를 향한 면에는 상기 하부 금형고정판의 상기 관통공 내부를 향하여 돌출하도록 취출 보조봉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사출 성형 장치 역시 하부 및 상부 금형(11, 21)과 하부 및 상부 금형고정판(10, 20); 상기 하부 금형고정판(10)과 하부 금형(11) 사이의 공간부에 설치되는 밀판(30); 및 상기 밀판(30)으로부터 상기 하부 금형(11)을 관통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밀판(30)에 고정 설치된 밀핀(3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아울러 상기 밀판(30)을 상기 하부 금형(11)을 향하여 밀어내어서 그 선단의 돌출된 밀핀(31)이 상기 하부 금형(11) 상에 안착되어 있는 사출성형품(50)을 들어 올려 취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금형고정판(10)에는 관통공(12)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12)을 통하여 사출기 이젝터(40)가 삽입되고, 상기 관통공(12)을 통하여 삽입되는 상기 사출기 이젝터(40)가 상기 밀판(30)을 상기 하부 금형(11) 방향으로 밀어내는 장치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사출기 이젝터(40)의 작동 거리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밀판(30)의 상기 사출기 이젝터(40)의 선단부를 향한 면에 상기 하부 금형고정판(10)의 상기 관통공(12) 내부를 향하여 돌출하도록 취출 보조봉(60)이 설치되며, 나아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취출 보조봉(60)은 상기 밀판(30)과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밀판(30)에 체결수단(62)에 의해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서출기 이젝터(40)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D)를 가지며, 그 길이(L)는 종래 기술과 관련하여 설명된 공주거리(B)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취출 보조봉(60)이 상기밀판(30)과 일체로 형성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된 사출 성형 장치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작동 과정을 첨부 도면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금형(21) 및 이를 고정하고 있는 상부 금형고정판(20)을 사출성형품(50)이 안착되어 있는 하부 금형(11)으로부터 분리시키고, 그런 다음에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기 이젝터(4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 때, 사출기 이젝터(40)는 하부 금형고정판(10)의 관통공(12)으로 삽입되면서 거의 공주거리 없이 보조 취출봉(60)과 조기에 접촉하게 되고, 결국 이러한 접촉 상태에서 보조 취출봉(60)을 밀어내면서 관통공(12) 및 하부 금형고정판(10)과 하부 금형(11) 사이의 공간부를 가로질러서 계속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이동 과정 중에 밀판(30)이 함께 이동하여 밀판(30)이 하부 금형(11) 방향으로 밀려지면 하부 금형(11)을 관통하도록 밀판(30)의 전면에 설치된 밀핀(31)은 고정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하부 금형(11)의 전면 위로 소정 거리(a)를 돌출하게 되고, 이와 같이 소정 거리(a)를 돌출하게 된 밀핀(31)은 하부 금형(11)의 전면에 안착되어 있던 성형사출물(50)을 밀어내면서 외부로 취출되도록 한다.
한편,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구조를 가진 사출 성형 장치의 경우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사출기 이젝터 및 이를 포함한 사출 성형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하에서 필요하였던 작동 거리 보다 짧은 작동 거리로서 사출성형품을 용이하게 취출하도록 작동하게 되는데, 사출기 이젝터(40)가 더 이상 도1 c의 공주거리(B)에 해당하는 거리 만큼 공주할 필요가 없게 되어서, 밀핀(31)의돌출거리(a)와 사출기 이젝터(40)의 작동거리(a')가 실질적으로 큰 차이가 나지 않게 되고 결과적으로 사출기 이젝터(40)의 작동거리를 상당히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상의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수정 또는 변경을 가능함을 인지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출성형품을 금형으로부터 아주 신속하게 취출하도록 작동하게 되는데, 즉 사출기 이젝터(40)의 공주거리가 최소회되고, 이에 따라서 밀핀(31)의 돌출거리(a)와 사출기 이젝터(40)의 작동거리(a')가 실질적으로 큰 차이가 나지 않게 되고, 결과적으로는 사출기 이젝터(40)의 작동거리를 상당히 감소시킴으로써 대형 사출기 이용의 필요성을 제거하면서도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플라스틱 사출물을 성형하는 금형으로부터 사출성형품을 취출하기 위한 사출기 이젝터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 장치로서,
    하부 및 상부 금형(11, 21)과 하부 및 상부 금형고정판(10, 20);
    상기 하부 금형고정판(10)과 하부 금형(11) 사이의 공간부에 설치되는 밀판(30); 및
    상기 밀판(30)으로부터 상기 하부 금형(11)을 관통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밀판(30)에 고정 설치된 밀핀(3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그리고
    상기 밀판(30)을 상기 하부 금형(11)을 향하여 밀어내어서 그 선단의 돌출된 밀핀(31)이 상기 하부 금형(11) 상에 안착되어 있는 사출성형품(50)을 들어 올려 취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금형고정판(10)에는 관통공(12)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12)을 통하여 사출기 이젝터(40)가 삽입되고, 상기 관통공(12)을 통하여 삽입되는 상기 사출기 이젝터(40)가 상기 밀판(30)을 상기 하부 금형(11) 방향으로 밀어내는 장치 구조를 가진 사출 성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출기 이젝터(40)의 작동 거리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밀판(30)의 상기 사출기 이젝터(40)의 선단부를 향한 면에는 상기 하부 금형고정판(10)의 상기 관통공(12) 내부를 향하여 돌출하도록 취출 보조봉(6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 보조봉(50)이 상기 밀판(30)과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밀판(30)에 체결수단(52)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 보조봉(50)이 상기 밀판(3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장치.
KR20-2003-0020801U 2003-06-30 2003-06-30 사출 성형 장치 KR2003280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801U KR200328059Y1 (ko) 2003-06-30 2003-06-30 사출 성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801U KR200328059Y1 (ko) 2003-06-30 2003-06-30 사출 성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8059Y1 true KR200328059Y1 (ko) 2003-09-26

Family

ID=49338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801U KR200328059Y1 (ko) 2003-06-30 2003-06-30 사출 성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80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959B1 (ko) 2020-01-17 2021-06-17 (주)진명단조 가이드 밀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959B1 (ko) 2020-01-17 2021-06-17 (주)진명단조 가이드 밀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1843B2 (en) Plastic injection mold
KR100725789B1 (ko) 금형장치
US20120213883A1 (en) Injection mold
US20120100244A1 (en) Plastic injection mold
CN109624220B (zh) 前模先抽注塑模具
KR200328059Y1 (ko) 사출 성형 장치
JPH0732428A (ja) 成形金型の二段突出し装置
JP2000033636A (ja) 熱硬化性材料の射出成形用金型
KR20080004359U (ko) 금형 조립체
KR200384159Y1 (ko) 사출물의 취출불량 방지기능이 구비된 금형장치
KR20050017224A (ko) 플라스틱 사출 금형 장치의 제품 취출 구조
JP3949412B2 (ja) 成形金型の成形品離型装置
JPH04251724A (ja) 金型装置
JPH08258092A (ja) 射出成形装置
KR19990015157U (ko) 사출 성형용 이동금형의 제품취출장치
CN210679448U (zh) 一种具有二次顶出机构的双色模具
KR19990027271U (ko) 사출 금형의 이젝팅 구조
JP2001162658A (ja) 成形金型
KR100201658B1 (ko) 사출금형의 리턴장치
KR950000084Y1 (ko) 사출금형의 제품 취출장치
KR860002407Y1 (ko) 사출금형의 2단 취출장치
JPH0553920U (ja) 射出成形用金型
KR920004580Y1 (ko) 사출금형의 런너 2단 취출장치
KR100402078B1 (ko) 히든파팅식 사출 금형장치
JPH0736730Y2 (ja) 射出成形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