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6253Y1 - 중량판정장치 - Google Patents

중량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6253Y1
KR200326253Y1 KR20-2003-0020196U KR20030020196U KR200326253Y1 KR 200326253 Y1 KR200326253 Y1 KR 200326253Y1 KR 20030020196 U KR20030020196 U KR 20030020196U KR 200326253 Y1 KR200326253 Y1 KR 2003262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roduct
unit
sorting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01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농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농심 filed Critical 주식회사농심
Priority to KR20-2003-00201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62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62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62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G01G3/14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measuring variations of electrical resista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품의 중량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중량판정장치는 용기에 공급되는 제품의 중량을 로드셀에 의하여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 상기 측정부로부터 전달되는 제품의 중량을 PLC에서 기준값과 비교 및 연산하여, 제품의 정,부를 판정하기 위한 연산부; 상기 연산부의 계량(計量) 완료 신호에 대하여 에어를 분사시켜 제품을 선별부까지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 상기 연산부의 정,부 판정 신호에 대하여 선별용 판막을 작동시켜 제품을 선별하기 위한 선별부; 및 상기 연산부로부터 전달되는 제품의 중량 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해주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특히 대량으로 공급되는 제품의 중량을 직접 측정 및 조절하여 제조하기 어려운 경우 제품의 중량을 검사하여 상기 제품의 중량이 기설정된 기준치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 그에 따른 제품의 정,부 발생비율, 제품의 평균중량 및 그 추이 등을 신속 정확하게 자동으로 검사 및 분석하고, 그 결과를 공정상에 적용함으로써 검사 작업을 간편하게 하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량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중량판정장치{WEIGHT DECISION APPARATUS}
본 고안은 제품의 중량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량으로 공급되는 제품의 중량을 직접 측정 및 조절하여 제조하기 어려운 경우, 상기 각종 제품의 중량을 검사하여 상기 제품의 중량이 기설정된 기준치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 그에 따른 제품의 정,부 발생비율, 제품의 평균중량 및 그 추이 등을 신속 정확하게 자동으로 검사 및 분석하고, 그 결과를 공정상에 적용함으로써 검사 작업을 간편하게 하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량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의 중량 검사는 각종 제품의 최종적인 제조 공정에서 계량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의 중량을 측정하고, 상기 제품의 중량이 기설정된 기준치의 중량 범위 내에 속하는지를 검사하여, 상기 측정된 중량을 기반으로 중량의 평균값을 연산하거나 중량의 돗수분포 등을 산출 및 분석하여 제조 공정에 반영하는 것으로, 현재 각종 산업분야에서 품질관리 항목의 하나로 널리 행해지고 있다.
라면과 함께 소포장되어 첨가되는 스프의 경우, 관리자가 직접 생산된 제품 중 일부를 샘플링하여 일반 저울로 제품의 중량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값을 수기로 기록 및 계산하여 평균 중량이 기준 중량에서 얼마나 벗어나는지와 소정의 상하한 중량 범위 내에 실제 생산된 제품들이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지를 측정하여 상기 측정값을 생산공정에 반영하여 제품의 중량을 조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별도의 관리자를 배치하여야 하고, 수작업으로 직접 이루어지므로 측정 또는 검사 시간도 많이 소비되며, 제조 공정 중 발생하는 제품의 중량 편차를 빠르고 정확하게 산출해 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관리자의 오산으로 제품의 정,부를 정확하게 판정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낮아질 수 있었다.
또한, 상기 방법은 관리자에 대한 인건비가 소요되고, 생산된 제품의 중량에 대한 분석치를 빠르게 관리자에게 전달할 수 없어 불량품이 계속 생산되어도 이를 인지하고 조치를 취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조가 완료된 후 중량을 검사할 필요가 있는 물품에 대하여 계량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한 물품의 연속 계량방법 및 장치가 특허공개공보 제 2002-0061131호에 게재되어 있으며, 상기 물품의 연속 계량장치의 계략도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물품의 연속 계량방법 및 장치(6)는, 검사할 물품에 대한 기초사항과 중량의 허용기준값 등이 저장되며, 물품 중량의 실제 측정값에 따라 적,부의 판정 등 소정의 정보처리를 수행하는 제어수단(60); 검사할 물품을 탑재하여 소정타임으로 스텝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수단(61); 상기 컨베이어수단(61)의 검사포지션에 정지한 상기 물품의 중량을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상기 제어수단(60)으로 송출하는 계량수단(62); 상기 계량수단(62)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제어수단(60)의 처리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계량완료된 상기 물품에 적 또는 부의 판정결과를 표시하는 스템핑수단(63); 상기 컨베이어수단(61)의 후미에 연이어 설치되며, 상기 제어수단(60)의 처리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적,부 판정된 상기 물품을 판정결과에 맞춰 선별 수집하는 선별수단(6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물품의 연속 계량방법 및 장치(6)는 단순히 계량된 제품의 적,부 판정 결과, 계량된 제품의 전체 수량 및 합격 또는 불합격 판정된 제품의 수량을 체크하여 그 결과만을 보여주는 장치에 불과하여 생산되는 각각의 제품이 기설정된 기준치에 비해 어느 정도의 편차를 갖는지에 대한 결과의 추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대량으로 공급되는 제품에 대하여 자동으로 중량 검사 및 분석을 신속 정확하게 수행하고, 상기 중량 검사 및 상기 분석 결과를 데이터화하여 생산 공정에 반영함으로써 신뢰성 높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량판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품의 중량값 및 상기 중량값의 분석 정보를 제공하고, 작업자가 상기 분석 정보를 쉽게 이용 또는 이해할 수 있도록 도해하여 표시해주기 위한 중량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중량판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표시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물품의 연속 계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 : 중량판정장치 2 : 제품
10 : 측정부 11 : 원반형의 용기
12 : 로드셀 20 : 연산부
30 : 이송부 31 : 분사 노즐
32 : 정압계 33 : 솔레노이드 밸브
40 : 선별부 41 : 선별용 판막
42 : 배출용 슈트 43 : 솔레노이드 밸브
44 : 공압 실린더 50 : 표시부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에 공급되는 제품의 중량을 로드셀에 의하여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 상기 측정부로부터 전달되는 제품의 중량을 PLC에서 기준값과 비교 및 연산하여, 제품의 정,부를 판정하기 위한 연산부; 상기 연산부의 계량(計量) 완료 신호에 대하여 에어를 분사시켜 제품을 선별부까지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 상기 연산부의 정,부 판정 신호에 대하여 선별용 판막을 작동시켜 제품을 선별하기 위한 선별부; 및 상기 연산부로부터 전달되는 제품의 중량 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해주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판정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부는, 에어를 정압으로 유지 및 공급하기 위한 정압계; 상기 정압계의 출구측에 연결되어 에어를 제품에 분사하기 위한 분사 노즐; 및 상기 분사 노즐에 에어를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판정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사 노즐은 에어의 분사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단면적이 확대 또는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판정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선별부는, 상기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된 제품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용 슈트; 상기 배출용 슈트의 중단부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제품을 선별하기 위한 선별용 판막; 상기 선별용 판막에 연결되어 상기 선별용 판막을 좌우로 동작시켜주기 위한 공압 실린더; 및 상기 공압 실린더에 에어를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판정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중량 정보는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한 제품의 중량값 및 편차; 상기 중량값에 따른 정,부의 판정결과; 측정한 전체 제품의 누적분포; 제품의 미달, 정상, 초과의 구성비; 제품의 평균 중량 및 편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판정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기준값은 제품의 기준 중량값, 허용 상한 중량값, 허용 하한 중량값 및 각 계열의 구간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판정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중량판정장치는 각종 제품의 중량을 검사하여 상기 제품의 중량이 기설정된 기준치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 그에 따른 제품의 정,부 발생비율, 제품의 평균중량 및 그 추이 등을 신속 정확하게 자동으로 검사 및 분석하고, 그 결과를 공정상에 적용함으로써 검사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었고, 작업 효율이 향상되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중량판정장치는 제품의 중량값 및 상기 중량값의 분석 정보, 즉 정,부의 판정결과 및 상기 결과를 누적한 구성비, 제품의 평균 중량 및 편차 등을 제시하여 제품의 중량이 기설정된 기준치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하였고, 작업자가 분석 정보를 쉽게 이용 또는 이해할 수 있도록 도해하여 표시하였으며, 특히 기후 등의 주위 환경에 따라 중량의 변화가 큰 제품의 제조 공정에 적용하는 경우 상기 평균 편차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제품의 중량값에 대한 기준치를 보정 또는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불량률 감소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참고로 각 도면에 표시된 동일한 도면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중량판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본 고안에 따른 중량판정장치(1)는 측정부(10), 연산부(20), 이송부(30), 선별부(40) 및 표시부(50)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측정부(10)는 원반형의 용기(11)에 공급되는 제품(2)의 중량을 측정 또는 계량하는 구성요소로, 상기 제품(2)을 위치시킬 수 있는 평평한 원반형의 용기(11)와 측정 정밀도가 높은 로드셀(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측정부(10)에 의해 측정 또는 계량되는 제품(2)의 중량 정보는 신호 변환된 후 상기 연산부(20)로 전달되는데, 상기 연산부(20)는 먼저 상기 측정부(10)의 원반형의 용기(11)에 측정 또는 계량할 제품(2)이 공급되어 있는지, 즉 제품(2)의 최소무게, 예를 들어 제품(2) 포장제의 무게 이상이 인가되는지 또는 로드셀(12)의 상한 정밀도 이상의 무게가 인가되는지를 판정한다.
상기 연산부(20)는 중량판정장치(1)의 제어 및 연산을 담당하는 구성요소로,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를 포함하고 있는데, 상기 연산부(20)에는 상기 표시부(50)에 형성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검사할 제품(2)의 기준 중량값과 허용 상하한 중량값, 그리고 중량 분포의 분석을 위한 각 계열값의 구간과 범위 등을 포함하는 기준치가 저장되어 있어서, 상기 측정부(10)로부터 전달되는 제품(2)의 중량값을 기저장되어 있는 상기 기준치와 비교 및 연산하여 상기 제품(2) 중량의 정,부를 판정하고, 상기 제품(2) 중량의 정,부를 판정한 신호를 이송부(30)와 선별부(40)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연산부(20)는 상기 측정부(10)에서 중량 측정되는 제품(2)의 중량 분포 상황, 즉 제조되는 제품(2)의 중량 분포도, 평균 중량 현황, 평균 편차 등을 산출하여 표시부(50)로 전달하고, 상기 중량 분포 상황을 상기 표시부(50)에 형성된 저장부에 측정 차수별로 누적 저장하여 생산 관리용으로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송부(30)는 중량판정장치(1)의 상단에 노출 설치되어 검사된 제품(2)을 에어 분사하여 이동시키는 구성요소로, 에어를 정압으로 유지 및 공급하기 위한정압계(32); 상기 정압계(32)의 출구측에 연결되어 에어를 제품(2)에 분사하기 위한 분사 노즐(31); 및 상기 분사 노즐(31)에 에어를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3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측정부(10)에서 상기 제품(2)의 중량을 측정 또는 계량한 후, 연산부(20)로부터 상기 제품(2)의 계량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이송부(30)의 솔레노이드 밸브(33)가 개방되면서 상기 정압계(32)에 의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유지된 에어를 상기 분사 노즐(31)의 단면적을 확장 또는 수축시켜 분사되도록 하여 상기 선별부(40)까지 상기 제품(2)을 이동시킨다.
상기 선별부(40)는 상기 연산부(20)로부터 출력되는 제품(2)의 중량 판정 결과, 즉 정,부 판정 신호에 따라 제품 배출용 슈트(42) 중단부에 설치되는 선별용 판막(41)을 좌우로 동작시켜 제품(2)이 선별되어 정상 제품은 정품 적재함, 불량 제품은 불량품 적재함으로 나뉘어져 낙하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선별부(40)는 상기 이송부(30)에 의하여 이송된 제품(2)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용 슈트(42); 상기 배출용 슈트(42)의 중단부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제품(2)을 선별하기 위한 선별용 판막(41); 상기 선별용 판막(41)에 연결되어, 상기 선별용 판막(41)을 좌우로 동작시켜주기 위한 공압 실린더(44); 및 상기 공압 실린더(44)에 에어를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4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산부(20)로부터 전달되는 제품(2)의 중량 판정 결과, 즉 정,부 판정 신호에 따라 상기 이송부(30)에 의해 이동된 제품(2)이 상기 배출용 슈트(42)로 보내지고, 상기 공압 실린더(44)의 왕복 작동으로 상기 선별용 판막(41)이 좌우로 구동되어 상기 제품(2)이 상기 배출용 슈트(42)에 의하여 낙하되면서 선별된다.
상기 선별부(40)를 통한 제품(2)의 선별은 정(정상 중량 범위 내 제품), 부(정상 중량 범위 외 제품)의 두가지로 나뉘며, 배출용 슈트(42) 외부에 정품 및 불량품 적재함(60)이 놓여져 상기 선별부(40)를 통해 선별된 제품(2)은 상기 적재함(60)에 구분되어 적재된다.
상기 표시부(50)는 연산부(20)로부터 전달되는 제품(2)의 중량 분포 상황, 즉 제조되는 제품(2)의 중량 분포도, 평균 중량 현황, 평균 편차 등의 정보를 작업자가 쉽게 인지 또는 이해하고,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화면을 통해 문자와 도형, 그래프 등으로 나타내는 구성요소로, 검사할 제품(2)의 기준 중량값, 허용 상하한 중량값 및 중량 분포의 분석을 위한 각 계열값의 구간과 범위를 입력하는 입력부(미도시됨)와 상기 연산부(20)로부터 전달되는 제품(2)의 중량 분포 상황을 누적 저장하여 작업자에 의해 호출될 때 상기 누적 저장된 중량 분포 상황을 화면에 출력하여 생산 관리용으로 조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저장부(미도시됨)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중량판정장치(1)로 대량으로 공급되는 제품(2)의 중량을 직접 측정 및 조절하여 제조하기 어려운 제품(2), 예를 들어 라면에 첨가되는 스프의 중량을 검사하여 상기 라면 스프의 중량이 기설정된 기준치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 그에 따른 라면 스프의 정,부 발생비율, 라면 스프의 평균 중량 및 그 추이 등을 검사 및 판정해주는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표시부(50)에 형성된 입력부의 기준정보 입력화면(54)을 통해 측정 또는 계량할 제품(2)의 기준 중량값, 허용되는 상하한 중량값 및 중량 분포의 분석을 위한 각 계열값의 구간과 범위를 입력한 후, 기준정보 입력화면(54)을 정량검사 표시화면(52, 52')으로 이동한다.
측정 또는 계량할 제품(2)을 측정부(10)의 원반형의 용기(11) 상단에 위치시킨 후, 연산부(20)에서 상기 제품(2)이 측정부(10)에 공급되어 있는지, 즉 제품(2) 포장제의 무게 이상이 인가되는지 또는 로드셀(12)의 상한 정밀도 이상의 무게가 인가되는지가 판정되면, 측정부(10)는 상기 측정부(10)의 원반형의 용기(11) 상단에 위치된 제품(2)의 중량을 측정하여 상기 측정된 중량값을 연산부(20)로 전달한다.
상기 연산부(20)는 상기 측정부(10)로부터 전달되는 제품(2)의 중량값을 상기 연산부(20)에 기저장되어 있는 기준치, 즉 검사할 제품(2)의 기준 중량값과 허용 상하한 중량값, 그리고 중량 분포의 분석을 위한 각 계열값의 구간과 범위와 비교 및 연산하여 상기 제품(2) 중량의 정,부를 판정하고, 상기 제품(2) 중량의 정,부를 판정한 신호를 이송부(30)와 선별부(40)로 전달하며, 상기 제품(2)의 중량 분포 상황, 즉 제조되는 제품(2)의 중량 분포도, 평균 중량 현황, 평균 편차 등을 산출하여 표시부(50)로 전달한다.
이후, 상기 표시부(50)는 상기 연산부(20)로부터 전달된 제품(2)의 중량 분포 상황, 즉 제조되는 제품(2)의 중량 분포도, 평균 중량 현황, 평균 편차 등의 정보를 문자와 도형, 그래프 등으로 나타내고, 상기 측정부(10)의 계량완료 신호를 수신한 이송부(30)는 검사할 제품(2)에 에어를 분사하여 선별부(40)까지 상기제품(2)을 이동시키며, 선별부(40)는 상기 연산부(20)로부터 전달되는 제품(2)의 중량 판정 결과, 즉 정,부 판정 신호에 따라 제품 배출용 슈트(42) 중단부에 설치된 선별용 판막(41)을 좌우로 동작시켜 제품(2)을 선별하여 정상 제품은 정품 적재함, 불량 제품은 불량품 적재함으로 나뉘어져 낙하되도록 한다.
상기 측정부(10)에 공급된 제품(2)이 배출용 슈트(42)를 통하여 배출되면, 자동으로 다음 제품(2)이 측정부(10)의 원반형의 용기(11)에 공급되고,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중량판정장치(1)는 자동으로 신속 정확하게 중량 검사를 실시된다.
또한, 상기 표시부(50)는 상기 제품(2)의 중량 분포 상황을 저장부에 누적 저장하여 작업자에 의해 호출될 때 상기 저장부에 누적 저장된 중량 분포 상황을 화면에 출력하여 생산 관리용으로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표시부의 초기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기 표시부(50)를 통해 검사할 제품(2)의 기준 중량값, 허용 상하한 중량값 및 중량 분포의 분석을 위한 각 계열값의 구간과 범위를 입력할 것인지 또는 연산부(20)로부터 전달되는 제품(2)의 중량 분포 상황을 출력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초기 화면(51)이다.
정량검사(막대 그래프) 선택키(510)는 제품(2)의 중량 분포 현황을 막대 그래프, 문자 및 도형으로 표시하여, 중량 구간별로 검사한 제품(2)의 중량 분포 정보를 제공하는 도 3에 도시된 정량검사(막대 그래프) 표시화면(52)으로 이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정량검사(꺾은선 그래프) 선택키(511)는 제품(2)의 중량 분포 현황을 꺾은선그래프, 문자 및 도형으로 표시하여, 중량 구간별로 검사한 제품(2)의 중량 분포 정보를 제공하는 도 4에 도시된 정량검사(꺾은선 그래프) 표시화면(52')으로 이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검사 기준값입력 선택키(512)는 제품(2)의 검사에 필요한 중량 정보, 즉 기준 중량값, 허용 상하한 중량값 및 중량 분포의 분석을 위한 각 계열값의 구간과 범위 등을 입력하고, 검사할 제품(2)을 선택하는 기준정보 입력화면(54)으로 이동한다.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표시부의 정량검사(막대 그래프)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제품(2)의 중량 분포 현황, 즉 현재 측정부(10)에서 측정 또는 계량한 제품(2)의 중량값 및 편차, 상기 중량값에 따른 정,부의 판정결과, 전체 측정 또는 계량한 제품(2)의 누적분포, 제품(2)의 미달, 정상, 초과의 구성비, 평균 중량 및 편차 등을 나타내고, 상기 정량검사(막대 그래프) 표시화면(52)에 나타나는 각 부분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화면이동키(EXIT)(520)는 제품(2)의 정량검사(막대그래프) 화면(52)에서 초기 화면(51)으로 이동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소거키(CLEAR)(521)는 연산부(20)에 저장되어 있는 측정 또는 계량된 제품(2)의 중량값들을 소거, 즉 모두 지우는 기능을 구현한다.
누적분포 또는 중량추이 표시 선택키(522)는 측정 또는 계량된 제품(2)의 중량값들을 분류하여 계열별 및 구간별로 존재하는 제품(2)의 수량을 나타내는 누적분포 그래프 또는 측정 회수별 평균 중량을 나타내는 평균 추이 그래프로 변환하여표시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영점조정키(523)는 계량 용기의 교체 등의 환경 변화에 따라 빈 용기 중량에 오차가 발생하였을 때 계량 영점으로 초기화하는데 사용한다.
누적분포 그래프(524)는 기준정보 입력화면(54)에서 입력된 중량의 각 계열별 구간에 검사한 제품(2)의 수량이 얼마씩 분포하는가의 비율을 막대 그래프로 나타내고, 제품(2)의 중량이 기준 범위 내에 있는가의 여부는 상기 막대 그래프의 색으로 구분 표시된다.
현재중량 표시부(525)는 현재 측정 또는 계량되고 있는 제품(2)의 중량을 숫자로 표시한다.
현재편차 표시부(526)는 현재 측정 또는 계량되고 있는 제품(2)의 중량이 기준정보 입력화면(54)에서 입력된 중량의 기준치와 비교하여 얼마의 편차를 나타내고 있는가를 (+), (-) 부호와 숫자로 표시한다.
정,부 판정 표시부(527)는 현재 측정 또는 계량되고 있는 제품(2)의 중량이 기준정보 입력화면(54)에서 입력된 중량의 기준치와 비교하여 정상중량의 범위 내에 있는가를 기호로 구분 표시한다.
측정횟수 표시부(528)는 측정 단위별로 측정한 횟수와 측정 또는 계량되는 제품(2)의 중량값이 몇 회차인가를 표시하는데, 예를 들어 라면에 첨가되는 분말 스프의 경우, 제조 공정의 특정상 원반 위에 설치되어 있는 10개의 계량 용기에 의해 1회전당 10개씩 충진, 포장되고, 작업자는 생산되고 있는 제품(2)의 각 용기의 상태 및 공정 상태 파악을 위하여 1회당 10 단위로 라면 스프를 낱개로 나누어 중량을 검사하게 되므로, 상기 측정횟수 표시부(528)는 전체 제품(2)의 중량 상태 외에 10개 단위 제품(2)의 검사 차수를 표시하고, 한 화면에 6개 차수의 제품(2)의 중량 분포가 나타나며, 6개 차수 이상의 제품(2)이 검사될 경우에는 화면은 자동으로 하향 스크롤 된다.
계열별 중량구간 표시부(529)는 제품(2) 중량의 분포도를 나타내기 위한 구간별 중량 범위로, 상기 구간값들은 기준정보 입력화면(54)에서 정의된 계열별 구간값에 나타난다.
검사 차수별 평균중량 표시부(530)는 각 검사 차수별 단위 평균 중량을 나타낸다.
검사 차수별 평균편차 표시부(531)는 각 검사 차수별 단위 중량 편차를 나타낸다.
분포비율 표시부(532)는 중량판정장치(1)에서 검사하여 누적된 전체 제품(2)이 기준 중량 범위, 초과 중량 범위 및 미달 중량 범위에 각각 얼마의 비율로 구성되어 있는가를 나타낸다.
전체 평균중량 표시부(533)는 중량판정장치(1)에서 검사하여 누적된 전체 제품(2)의 평균 중량이 얼마인가를 나타낸다.
전체 평균편차 표시부(534)는 중량판정장치(1)에서 검사하여 누적된 전체 제품(2)의 중량 편차가 얼마인가를 나타낸다.
차수이동키(535)는 외부 요인으로 인해 제품(2)을 10개 단위로 검사하지 못하였을 때 다음 검사 차수로 이동하기 위한 메뉴이다.
차수조회키(536)는 상기 표시부(50)에 형성된 저장부에 누적 저장되어 있는 검사 정보 중 원하는 차수를 호출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처음조회키는 1회 차수부터의 중량 정보를 호출, 최근조회키는 가장 최근에 검사한 차수를 호출하고, 그밖에 현재 표시된 최저 차수 바로 전 또는 현재 표시된 최대 차수 바로 후에 검사된 차수를 호출하여 상기 차수의 중량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표시부의 정량검사(꺾은선 그래프)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기 정량검사(꺾은선 그래프) 표시화면(52')은 도 3에 도시된 정량검사(막대 그래프) 표시화면(52)에 나타나는 각 부분의 기능과 동일하고, 누적분포 그래프(524')는 기준정보 입력화면(54)에서 입력된 중량의 각 계열별 구간에 검사한 제품(2)의 수량이 얼마씩 분포하는가의 비율을 꺾은선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표시부의 기준정보 입력화면으로, 상기 기준정보 입력화면(54)은 제품(2)의 검사에 필요한 중량 정보, 즉 기준 중량값, 허용 상하한 중량값 및 중량 분포의 분석을 위한 각 계열값의 구간과 범위 등을 입력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검사품목 또는 입력품목 선택키(540)는 중량을 검사하거나 기준값을 입력할 제품(2)을 선택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수치입력키(541)는 제품(2)의 검사에 필요한 각 수치들을 입력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기준값 표시부(542)는 검사에 필요한 각 기준값, 즉 현재 기준값을 입력하거나 검사하기 위해 선택된 품목, 정상 또는 초과 또는 미달 중량으로 판정할 중량의 기준값, 검사 결과에 따른 중량 분포를 나타내는데 필요한 구간의 개수정보 및 상기 구간의 범위를 표시한다.
입력확정키(543)는 상기 수치입력키(541)에 의해 기준값을 입력한 후 해당하는 항목으로 최종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검사 또는 입력하고자 하는 품목을 검사품목 또는 입력품목 선택키(540)에서 선택하고, 수치입력키(541)를 이용하여 제품(2)의 검사에 필요한 중량 정보, 즉 기준 중량값, 허용 상하한 중량값 및 중량 분포의 분석을 위한 각 계열값의 구간과 범위 등을 입력하거나 또는 변경하며, 입력확정키(543)를 눌러 상기 입력된 기준값을 최종 확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중량판정장치는 각종 제품의 중량을 검사하여 상기 제품의 중량이 기설정된 기준치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 그에 따른 제품의 정,부 발생비율, 제품의 평균중량 및 그 추이 등을 신속 정확하게 자동으로 검사 및 분석하고, 그 결과를 공정상에 적용함으로써 검사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었고, 작업 효율이 향상되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중량판정장치는 제품의 중량값 및 상기 중량값의 분석 정보, 즉 정,부의 판정결과 및 상기 결과를 누적한 구성비, 제품의 평균 중량 및 편차 등을 제시하여 제품의 중량이 기설정된 기준치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하였고, 작업자가 분석 정보를 쉽게 이용 또는 이해할 수 있도록 도해하여 표시하였으며, 특히 기후 등의 주위 환경에 따라 중량의 변화가 큰 제품의 제조 공정에 적용하는 경우 상기 평균 편차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제품의 중량값에 대한 기준치를 보정 또는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불량률 감소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었다.

Claims (7)

  1. 용기(11)에 공급되는 제품(2)의 중량을 로드셀(12)에 의하여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10);
    상기 측정부(10)로부터 전달되는 제품(2)의 중량을 PLC에서 기준값과 비교 및 연산하여, 제품(2)의 정,부를 판정하기 위한 연산부(20);
    상기 연산부(20)의 계량(計量) 완료 신호에 대하여 에어를 분사시켜 제품(2)을 선별부(40)까지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30);
    상기 연산부(20)의 정,부 판정 신호에 대하여 선별용 판막(41)을 작동시켜 제품(2)을 선별하기 위한 선별부(40); 및
    상기 연산부(20)로부터 전달되는 제품(2)의 중량 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해주기 위한 표시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판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30)는,
    에어를 정압으로 유지 및 공급하기 위한 정압계(32);
    상기 정압계(32)의 출구측에 연결되어 에어를 제품(2)에 분사하기 위한 분사 노즐(31); 및
    상기 분사 노즐(31)에 에어를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판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31)은 에어의 분사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단면적이 확대 또는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판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40)는,
    상기 이송부(30)에 의하여 이송된 제품(2)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용 슈트(42);
    상기 배출용 슈트(42)의 중단부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제품(2)을 선별하기 위한 선별용 판막(41);
    상기 선별용 판막(41)에 연결되어 상기 선별용 판막(41)을 좌우로 동작시켜주기 위한 공압 실린더(44); 및
    상기 공압 실린더(44)에 에어를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4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판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정보는 상기 측정부(10)에서 측정한 제품(2)의 중량값 및 편차; 상기 중량값에 따른 정,부의 판정결과; 측정한 전체 제품(2)의 누적분포; 제품(2)의 미달, 정상, 초과의 구성비; 제품(2)의 평균 중량 및 편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판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은 제품(2)의 기준 중량값, 허용 상한 중량값, 허용 하한 중량값 및 각 계열의 구간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판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50)는 상기 기준값 및 제품(2)의 중량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판정장치.
KR20-2003-0020196U 2003-06-26 2003-06-26 중량판정장치 KR2003262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196U KR200326253Y1 (ko) 2003-06-26 2003-06-26 중량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196U KR200326253Y1 (ko) 2003-06-26 2003-06-26 중량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6253Y1 true KR200326253Y1 (ko) 2003-09-13

Family

ID=49338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196U KR200326253Y1 (ko) 2003-06-26 2003-06-26 중량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62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851B1 (ko) * 2015-06-04 2017-09-11 여계성 단중 자동 검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851B1 (ko) * 2015-06-04 2017-09-11 여계성 단중 자동 검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66012B2 (ja) 重量選別機
DE69933001T2 (de) Kombinatorisches Wägesystem
CN106919127B (zh) 一种基于软件虚拟技术的物料料位检测方法
US20020099463A1 (en) Device for calculating overall equipment efficiency in machining factory
US4632254A (en) Method for adjusting weight breaks reactive to changes in distribution of object weight
US4580226A (en) Random sampling system
KR200326253Y1 (ko) 중량판정장치
US3474874A (en) Weighing system
CN105547447B (zh) 一种基于物料试验的科里奥利秤准确度检测方法及装置
JP4977496B2 (ja) 計量装置および計量システムおよびこれらにかかる設定項目の出力方法
JP2007316029A (ja) 多連式重量選別機
JPS5841325A (ja) 計量方法
JP2000193515A (ja) 組合せ計量装置
KR101801897B1 (ko) 제품 품질 관리를 위한 공정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JP6449116B2 (ja) 重量選別機
JP4926443B2 (ja) 重量検査装置
JP4126263B2 (ja) 組合せ計量装置
JPH091086A (ja) 選別装置及び選別組合せ装置
CN107176335A (zh) 用于肉制品包装产品的自动在线称重筛选设备
JP2011196762A (ja) 組合せ計量装置
JP5679859B2 (ja) 計量装置
JP3494181B2 (ja) 製造システム
CN208960407U (zh) 一种用于片状产品流水线上的自动称重剔除装置
JPH11333384A (ja) 重量選別方法及び重量選別機
JP5123075B2 (ja) 計量機器用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