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5791Y1 - 건설장비의 아우트 리거장치 - Google Patents

건설장비의 아우트 리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5791Y1
KR200325791Y1 KR20-2003-0018825U KR20030018825U KR200325791Y1 KR 200325791 Y1 KR200325791 Y1 KR 200325791Y1 KR 20030018825 U KR20030018825 U KR 20030018825U KR 200325791 Y1 KR200325791 Y1 KR 2003257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horizontal
fixed
horizontal slide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88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석
Original Assignee
동양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188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57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57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57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 B66C2700/0378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avelling, to the supporting of the crane or to the blocking of the axles; Outriggers; Coupling of the travelling mechamism to the crane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하나의 실린더와 와이어로서 보다 넓은 폭으로 건설장비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건설장비의 아우트리거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이 아우트리거장치는 차체의 좌우양측에 각각 수평으로 고정되는 수평고정통(100)과, 각 수평고정통(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슬라이드통(110)(120)과, 수평슬라이드통(120)의 단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수직잭(200)을 구비한다. 수평슬라이드통은 수평고정통(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수평슬라이드통(110)과, 제1수평슬라이드통(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수평슬라이드통(120)을 구비하며, 제1,2수평슬라이드통(110)(120)은 상호 슬라이딩 이동되어서 수평고정통(100)에 출입가능하게 되어 있다. 수평고정통(100)의 내측 선단에는 수평실린더(130)의 몸체가 고정되어 있고 실린더로드(131)가 출몰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실린더로드(131)의 단부측에는 제1풀리(151)가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일단이 제1수평슬라이드통(110)의 선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실린더로드(131) 단부에 고정되는 연동바아(141)(142)가 마련되어 있다. 이 연동바아(141)(142)는 실린더(130)의 좌우측에 대칭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일단이 실린더몸체(130)에 고정되고 제1풀리(151)를 경유하여 타단이 제2수평슬라이드통(120)의 선단에 고정되는 제1와이어(17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건설장비의 아우트리거장치는 하나의 수평실린더와 와이어를 채용함으로써 제1,2수평슬라이드통을 출입가능하게 하여 저렴하고 경량으로서 넓은 폭거리로 건설장비를 지지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건설장비의 아우트 리거장치{A outrigger}
본 고안은 크레인(crane)이나 고소 콘크리트 펌핑장치와 같은 중기 등에 장착하여 작업시의 안정화를 도모하기 위해 사용하는 건설장비의 아우트리거(outrigger ; 현외 장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실린더로서 보다 넓은 폭으로 건설장비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건설장비의 아우트리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럭크레인에는 차체(40)에 좌우 아우트리거(30)를 장착시키고, 작업시에는 아우트리거(30)를 좌우로 연장시키고 또한 받침대(22)를 하강시켜서 차체(40)를 지지한 상태로 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아우트리거(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40)측에 고정설치되는 수평고정통(10)과, 수평고정통(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수평실린더에 의해 신축가능하게 되는 수평슬라이드통(11)과, 수평슬라이드통(11)의 단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수직고정통(20)과, 수직고정통(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수직실린더에 의해서 신축작동되며 단부에 상기 받침대(22)가 고정되는 수직슬라이드통(21)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아우트리거장치는 수평실린더(미도시)를 작동하여수평고정통(10)에 대하여 수평슬라이드통(11)을 돌출시키고, 수직실린더(미도시)를 작동하여 수평슬라이드통(11)의 단부에 고정된 수직고정통(20)에 대하여 수직슬라이드통(21)을 돌출시켜서 차체(40)를 지면에 대해 부상시켜서 안정하게 유지시킨다.
또한, 주행중에는 수직고정통(20)에 수직슬라이드통(21)을 수용시키고, 수평고정통(10)에 대해 수평슬라이드통(11)을 진입시켜서 주행을 원활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통상의 아우트리거장치는, 하나의 수평실린더를 채용하여서 수평슬라이드통(11)을 수평고정통(10)에 출입하여 건설장비를 지지시킴으로써 돌출되는 수평슬라이드통(11)의 길이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건설장비의 중량이 커지는 경우 수평슬라이드통(11)의 길이도 길어져서 좌우 폭거리를 넓은 폭으로 지지되어야 하는 바, 이 경우 수평실린더 및 수평슬라이드통의 길이도 길어지게 되므로 차체의 부피를 증대시키고 중량을 증대시켜서 장비의 고가화를 초래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하나의 수평실린더로서 2단의 수평슬라이드통의 출입을 가능하게 하여 건설장비를 좌우폭으로 넓게 지지할 수 있으며 차체의 부피 및 경제적인 면에서도 유리하도록 개선된 건설장비의 아우트리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통상의 아우트리거장치가 채용된 건설장비를 나타낸 개략측면도,
도 2는 종래 아우트리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 아우트리거장치의 수축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측면도 및 평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 아우트리거장치의 신장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측면도 및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 아우트리거장치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
도 6a 및 도6b는 본 고안 아우트리거장치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수평고정통 110...제1수평슬라이드통
120...제2수평슬라이드통 130...실린더
131...실린더로드 141,142...연동바아
150...슬라이더 151...제1풀리
152...가이드롤러 161,162...제2풀리
170...제1와이어 180,181...제2와이어
200...수직잭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체의 좌우양측에 각각 수평으로 고정되는 수평고정통과, 상기 각 수평고정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슬라이드통과, 상기 수평슬라이드통의 단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수직잭을 구비하는 건설장비의 아우트리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슬라이드통은 상기 수평고정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수평슬라이드통과, 상기 제1수평슬라이드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수평슬라이드통을 구비하며, 몸체가 상기 수평고정통의 선단에 고정되고 출몰되는 로드를 가지는 수평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로드의 단부측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풀리와, 일단이 상기 제1수평슬라이드통의 선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실린더로드 단부에 고정되는 연동바아와, 일단이 상기 실린더몸체에 고정되고 상기 제1풀리를 경유하여 타단이 상기 제2수평슬라이드통의 선단에 고정되는 제1와이어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 아우트리거장치는 상기 제1수평슬라이드통 선단의 양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한쌍의 제2풀리와, 각 일단이 상기 실린더몸체에 고정되고 각각 상기 한쌍의 제2풀리를 경유하여 각 타단이 상기 제2수평슬라이드통의 선단에 고정되는 한쌍의 제2와이어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수평실린더 로드의 단부에 상기 제1풀리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더가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더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2수평슬라이드통에 안내되는 가이드롤러를 구비한다.
상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 아우트리거장치는 하나의 수평실린더와 와이어를 채용함으로써 제1,2수평슬라이드통을 출입가능하게 하여 저렴하고경량으로서 넓은 폭거리로 건설장비를 지지할 수 있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건설장비에 채용되는 아우트리거를 발췌하여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아우트리거장치는 차체의 좌우양측에 각각 수평으로 고정되는 수평고정통(100)과, 상기 각 수평고정통(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슬라이드통(110)(120)과, 상기 수평슬라이드통(120)의 단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수직잭(200)을 구비한다.
상기 수평슬라이드통은 상기 수평고정통(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수평슬라이드통(110)과, 상기 제1수평슬라이드통(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수평슬라이드통(120)을 구비하며, 상기 제1,2수평슬라이드통(110)(120)은 상호 슬라이딩 이동되어서 수평고정통(100)에 출입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수평고정통(100)의 내측 선단에는 수평실린더(130)의 몸체가 고정되어 있고 실린더로드(131)가 출몰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실린더로드(131)의 단부측에는 제1풀리(151)가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일단이 상기 제1수평슬라이드통(110)의 선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실린더로드(131) 단부에 고정되는 연동바아(141)(142)가 마련되어 있다. 이 연동바아(141)(142)는 실린더(130)의 좌우측에 대칭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일단이 상기 실린더몸체(130)에 고정되고 상기 제1풀리(151)를 경유하여 타단이 상기 제2수평슬라이드통(120)의 선단에 고정되는 제1와이어(170)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아우트리거장치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로드(131)가 신장되는 작동을 할때, 연동바아(141)(142)가 함께 이동되면서 제1수평슬라이드통(110)이 수평고정통(10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고 동시에 제1와이어(170)에 의해서 제2수평슬라이드통(120)이 제1수평슬라이드통(11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 아우트리거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수평슬라이드통(110)(120)의 안정된 신축작동을 위하여 한쌍의 제2풀리((161)(162)와 한쌍의 제2와이어(180)(181)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2풀리(161)(162)는 상기 제1수평슬라이드통(110) 선단의 양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2와이어(180)(181)는 각 일단이 상기 실린더몸체(130)에 고정되고 각각 상기 한쌍의 제2풀리((161)(162)를 경유하여 각 타단이 상기 제2수평슬라이드통(120)의 선단에 고정된다.
또한, 본 고안 아우트리거장치에는 상기 실린더로드(131)의 안정된 신축작동을 위하여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실린더(130) 로드(131)의 단부에 상기 제1풀리(151)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더(150)가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더(15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2수평슬라이드통(120)에 안내되는 가이드롤러(152)를 구비한다. 즉, 가이드롤러(152)가 상기 제2수평슬라이드통(120)에 안내되면서 실린더(130)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미설명부호 122 및 132는 와이어(170)(180)(181)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부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 실시예의 아우트리거장치는 건설장비의 작업시에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수평슬라이드통(110)(120)이 수평고정통(100)내에 진입된 상태에서 실린더(130)가 작동되면 도 4a 및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고정통(100)에 대하여 제1,2수평슬라이드통(110)(120)이 동시에 돌출된다.
즉, 도 5,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실린더로드(131)가 신장되는 작동을 할때 연동바아(141)(142)가 함께 이동되면서 제1수평슬라이드통(110)이 수평고정통(10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고 동시에 제1와이어(170)에 의해서 제2수평슬라이드통(120)이 제1수평슬라이드통(11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150)에 지지된 가이드롤러(152)는 실린더(130)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제2슬라이드통(120)의 내면에 안내되어 실린더로드(131)의 신축작동을 안정하게 한다.
또한, 한쌍의 제2와이어(180)(181)는 제1,2수평슬라이드통(110)(120)이 실린더(130)와 연동바아(141)(142) 및 제1와이어(170)에 의해서 신축될때 좌우 균형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제1,2수평슬라이드통(110)(120)의 신축작동에 있어서, 예컨대 상기 실린더로드(131)가 10㎝ 돌출할때 연동바아(141)(142)에 의해서 제1수평슬라이드통(110)이 수평고정통(100)으로부터 10㎝ 돌출되고, 동시에 제1와이어(170)의 인장에 의해서 제2수평슬라이드통(120)이 제1수평슬라이드통(110)으로부터 10㎝ 돌출된다. 결과적으로 아우트리거장치는 실린더로드(131)가 10㎝ 신장될때 수평고정통(100)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20㎝ 돌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실린더(130)의 작동으로 제1,2수평슬라이드통(110)(120)을 수평고정통(100)으로부터 좌우로 돌출시킨 다음 수직잭(200)을 작동하여 건설장비를 지상으로부터 부상시켜 지지시킨 후 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작업완료 후 아우트리거의 수축동작은 상기 동작의 역동작으로 이루어지게되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원 고안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많은 변형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 건설장비의 아우트리거장치는 하나의 수평실린더와 와이어를 채용함으로써 제1,2수평슬라이드통을 출입가능하게 하여 저렴하고 경량으로서 넓은 폭거리로 건설장비를 지지할 수 있게 한다.

Claims (3)

  1. 차체의 좌우양측에 각각 수평으로 고정되는 수평고정통과, 상기 각 수평고정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슬라이드통과, 상기 수평슬라이드통의 단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수직잭을 구비하는 건설장비의 아우트리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슬라이드통은 상기 수평고정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수평슬라이드통과, 상기 제1수평슬라이드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수평슬라이드통을 구비하며,
    몸체가 상기 수평고정통의 선단에 고정되고 출몰되는 로드를 가지는 수평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로드의 단부측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풀리와,
    일단이 상기 제1수평슬라이드통의 선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실린더로드 단부에 고정되는 연동바아와,
    일단이 상기 실린더몸체에 고정되고 상기 제1풀리를 경유하여 타단이 상기 제2수평슬라이드통의 선단에 고정되는 제1와이어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의 아우트리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슬라이드통 선단의 양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한쌍의 제2풀리와, 각 일단이 상기 실린더몸체에 고정되고 각각 상기 한쌍의 제2풀리를 경유하여 각 타단이 상기 제2수평슬라이드통의 선단에 고정되는 한쌍의 제2와이어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의 아우트리거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실린더 로드의 단부에 상기 제1풀리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더가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더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2수평슬라이드통에 안내되는가이드롤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의 아우트리거장치.
KR20-2003-0018825U 2003-06-16 2003-06-16 건설장비의 아우트 리거장치 KR2003257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825U KR200325791Y1 (ko) 2003-06-16 2003-06-16 건설장비의 아우트 리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825U KR200325791Y1 (ko) 2003-06-16 2003-06-16 건설장비의 아우트 리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5791Y1 true KR200325791Y1 (ko) 2003-09-06

Family

ID=49337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8825U KR200325791Y1 (ko) 2003-06-16 2003-06-16 건설장비의 아우트 리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579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682B1 (ko) * 2008-10-14 2012-02-29 전진씨에스엠 주식회사 중장비용 아웃트리거 구조
KR101822618B1 (ko) 2016-11-02 2018-01-26 (주)에버다임 아웃트리거의 신축구조
KR101831315B1 (ko) 2016-11-07 2018-02-22 주식회사 에버다임 아웃트리거의 신축구조
KR102048972B1 (ko) * 2018-10-17 2019-11-27 이준호 케이블 베이어가 없는 소방차용 아우트리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682B1 (ko) * 2008-10-14 2012-02-29 전진씨에스엠 주식회사 중장비용 아웃트리거 구조
KR101822618B1 (ko) 2016-11-02 2018-01-26 (주)에버다임 아웃트리거의 신축구조
KR101831315B1 (ko) 2016-11-07 2018-02-22 주식회사 에버다임 아웃트리거의 신축구조
KR102048972B1 (ko) * 2018-10-17 2019-11-27 이준호 케이블 베이어가 없는 소방차용 아우트리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1604B1 (ko) 고소 작업용 작업대
CA2440788A1 (en) Motorized scaffold with displaceable worker support platform
KR200325791Y1 (ko) 건설장비의 아우트 리거장치
JP2007112526A (ja) 自走式小型クレーン
US3931698A (en) Center guided crane boom
JP5372457B2 (ja) クレーン装置
KR200227769Y1 (ko) 이동식 호이스트 장치
US5450918A (en) Laterally movable mechanism of a vehicle
KR102368663B1 (ko) 크레인용 와이어 가이딩 장치
US3941267A (en) Mobil load raising structure
KR200266423Y1 (ko) 고소(高所) 작업대
JP7205184B2 (ja) アウトリガ装置
CN109153553A (zh) 可伸展的承载结构以及用于使可伸展的承载结构竖立的方法
CN219041239U (zh) 电缆敷设装置及电缆敷设系统
KR101850144B1 (ko) 독립형 신축 붐대를 갖는 고가 사다리 장치
KR101017526B1 (ko) 자주식 강재거푸집의 방향전환장치 구조
KR102230539B1 (ko) 상하이동부재를 갖는 고가 사다리차
KR102419449B1 (ko) 리더 신축형 파일 항타기
JP3678513B2 (ja) 杭打機
CN217996609U (zh) 起重机支腿调节装置
CN113682980A (zh) 一种折臂汽车起重机用六节伸缩臂装置
JP3356397B2 (ja) 高所作業機
JP2721495B2 (ja) 屈伸型伸縮ブームの自動格納装置および作動制御装置
JP2580596Y2 (ja) 多角形断面を有する多段式伸縮ブーム
JPS62214013A (ja) 建設機械車両の運転室前方窓開閉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