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5496Y1 - 급수기 - Google Patents

급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5496Y1
KR200325496Y1 KR20-2003-0018998U KR20030018998U KR200325496Y1 KR 200325496 Y1 KR200325496 Y1 KR 200325496Y1 KR 20030018998 U KR20030018998 U KR 20030018998U KR 200325496 Y1 KR200325496 Y1 KR 2003254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receiver
wall
capill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89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상균
Original Assignee
조상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상균 filed Critical 조상균
Priority to KR20-2003-00189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54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54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54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3/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be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급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하단부가 개방되고 하단 외주부 일측에 유수구(20a)가 형성된 수통(20)과, 이 수통(20)의 개방된 하단부가 삽착되게 상방이 개방되고 테두리를 따라 벽체(22a)가 형성되며 상기 유수구(20a)와 대응되는 부위가 개방된 개방부(22b)를 갖는 수통받이(22)와, 이 수통받이(22)의 개방부(22b)에서 바닥면과 평행하게 일정거리 연장되며 그 테두리를 따라 울타리(24a)가 형성되고 그 내부 바닥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모세관칸막이(24b)가 마련된 급수부(24)를 포함하는 급수기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24)는 수통받이(22)의 벽체(22a)에 대해 일정각도 비틀어져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벌통(16)으로 삽입된 급수부(24)를 통해 물의 공급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급수기{Water supplier}
본 고안은 급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벌통으로 삽입된 급수부를 통해 물(설탕물)의 공급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고, 수통의 외측면과 수통받이의 벽체 사이로 물이 스며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급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급수기는 봄철 등 기온이 낮을 때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벌들이 물을 가지러 외부로 나갔다가 죽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벌통의 출입문에 급수기를 설치하여 벌들에게 물을 공급하여 주는 것이다.
이러한 급수기의 종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종래 기술의 급수기는 하단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유수구(10a)가 형성된 수통(10)과, 이 수통(10)의 하단부가 삽착되도록 벽체(12a)가 형성된 수통받이(12)와, 이 수통받이(12)의 일측 벽체(12a)가 개방된 개방부(12b)에서 직각방향으로 연장되고 테두리를 따라 울타리(14a)가 형성되며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모세관칸막이(14b)가 형성된 급수부(1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부(14)가 일체로 형성된 수통받이(12)는 유통시 또는 미사용시 수통(10)의 내부에 넣어 보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급수기는 급수부(14)가 수통받이(12)의 벽체(12a)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수통받이(12)를 수통(10) 내부에 집어넣을 경우를 고려할 때[급수부(14)의 길이가 길면 수통(10) 내부로의 삽입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 연장길이에 제한이 있어 자연히 길이가 짧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벌통(16)의 내부로 삽입되는 길이가 짧아져 물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수통(10)의 외측면과 수통받이(12)의 벽체(12a) 내측면이 거의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기 때문에 이들의 밀착틈새를 통해 모세관 현상에 의해 물이 스며나오는 것은 문제가 없지만 설탕물을 주었을 때 모세관 현상이 일어나게 되면 도봉발생의 원인이 되고, 또한, 급수부(14)의 이웃하는 모세관칸막이(14b)끼리 서로 통하는 다른 방향으로의 통로가 없기 때문에 모세관칸막이(14b)와 모세관칸막이(14b) 사이에 형성된 급수로(14c)가 막히게 되면 나머지 급수로(14c)를 통해서만 물이 공급되어 결과적으로 물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 수통받이(12)의 저면이 편평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벌통 설치시 출입구로 빗물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전면이 전방으로 약간 기울어지게 되는데 벌통(16)의 출입구에 급수부(14)를 삽입시켰을 때 상기벌통(16)이 기울기에 따라 급수부(14)도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되어 이 역시 물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상기 수통받이를 수통 내부에 집어넣을 수 있는 한도에서 급수부의 길이를 길게 하여 벌통 내부로의 물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한, 수통의 외측면과 수통받이의 벽체 내측면을 통해 설탕물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스며나오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급수부의 이웃하는 모세관칸막이끼리 서로 통하는 다른 방향 통로를 형성하여 물공급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벌통이 기울기에 관계없이 급수부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바닥면 후단부에 돌기를 형성시킴으로써 물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급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모세관칸막이의 간격이 기존의 것은 좁은 곳이 1.2mm 정도이다 보니 경사가 약간 심한 곳에서는 급수부 끝까지 모세관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데 간격을 1mm 이하로 좁혀서 모세관 현상이 보다 잘 일어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급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급수기가 벌통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의 수통받이가 수통에 내장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급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급수기가 벌통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5의 급수기 중 수통받이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의 수통받이가 수통에 내장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과 종래 기술의 급수부 길이를 비교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통 10a : 유수구
12 : 수통받이 12a : 벽체
12b : 개방부 14 : 급수부
14a : 울타리 14b : 모세관칸막이
14c : 급수로 16 : 벌통
20 : 수통 20a : 유수구
22 : 수통받이 22a : 벽체
22b : 개방부 22c : 밀착돌부
22d : 이격돌부 22e : 받침돌부
24 : 급수부 24a : 울타리
24b : 모세관칸막이 24c : 급수로
24d : 통로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급수기는 하단부가 개방되고 하단 외주부 일측에 유수구가 형성된 수통과, 이 수통의 개방된 하단부가 삽착되게 상방이 개방되고 테두리를 따라 벽체가 형성되며 상기 유수구와 대응되는 부위가 개방된 개방부를 갖는 수통받이와, 이 수통받이의 개방부에서 바닥면과 평행하게 일정거리 연장되며 그 테두리를 따라 울타리가 형성되고 그 내부 바닥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모세관칸막이가 마련된 급수부를 포함하는 급수기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수통받이의 벽체에 대해 일정각도 비틀어져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급수기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와 벽체가 이루는 각도는 대략 100°~ 120°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급수기에 있어서, 상기 수통받이의 벽체 내면 하단부에는 수통의 외측면과 밀착되는 밀착돌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급수기에 있어서, 상기 수통받이의 밀착돌부 상단부에는 상방향으로 수통받이의 밀착돌부와 동일한 돌출길이를 갖는 이격돌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급수기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의 모세관칸막이 중 일부 모세관칸막이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절단되어 폭방향으로 통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급수기에 있어서, 상기 수통받이의 저면 양측에는 이 수통받이의 저면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커지는 받침돌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급수기에 대해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내지 도 9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급수기는 유수구(20a)가 형성된 수통(20)과, 테두리를 따라 벽체(22a)가 형성되며개방부(22b)를 갖는 수통받이(22)와, 테두리를 따라 울타리(24a)가 형성되고 그 내부 바닥면에 다수개의 모세관칸막이(24b)가 마련된 급수부(2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수통(20)은 하단부가 개방되고 내부 공간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개방된 하단부의 일측에는 수통(20)의 물이 급수부(24)로 급수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소정길이 절개된 유수구(20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유수구(20a)의 높이는 급수부(24)의 모세관칸막이(24b) 높이와 거의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하여 수통(20)의 물이 모세관칸막이(24b)들 사이에 형성된 급수로(24c)를 통해 공급되게 하되 물이 이 모세관칸막이(24b)를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통받이(22)는 수통의 하단부가 삽착될 수 있게 상방이 개방되고 테두리를 따라 벽체(22a)가 형성되는 형상으로, 상기 수통(20)의 유수구(20a)와 대응되는 부분이 개방된 개방부(22b)가 형성되고, 상기 수통받이(22)의 전후 벽체(22a) 내면 하단부에는 이 벽체(22a) 내면이 수통받이(22)로 삽착되는 수통(20)의 전후 외측면 하단부와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돌부(22c)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수통받이(22)의 밀착돌부(22c) 상단에는 상방향으로 수통받이(22)의 밀착돌부(22c)와 같은 돌출길이를 가지고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기 수통받이(22)의 전후 내측면이 수통(20)의 전후 외측면과 이격되도록 하는 이격돌부(22d)가 형성되고, 상기 수통받이(22)의 저면 양측에는 이 수통받이(22)의 저면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커지는 받침돌부(22e)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밀착돌부(22c)는 수통받이(22)의 내부 바닥면에서 일정높이를 가지며 전후 내측면에 대해 횡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미세 두께만큼 돌출된 형상으로, 수통(20)의 외측 하단면과 수통받이(22)의 벽체(22a) 내면 하단부가 서로 밀착되어 수통(20)과 수통받이(22)의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이격돌부(22d)는 밀착돌부(22c)와 동일한 돌출길이를 가지며 수통(20)이 수통받이(22)로 삽착시 이 수통(20)과 수통받이(22)의 사이가 벌어지도록 하여 이들 사이에서 모세관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통받이(22)의 받침돌부(22e)는 수통받이(22)의 저면 양측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커지는 돌출길이를 갖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통받이(22)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하고 이에 따라 급수부(24)도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전방으로 기울어진 벌통(16)의 출입구에 삽입되는 급수부(24)는 평행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급수부(24)는 수통받이(22)의 개방부(22b)에서 지면을 따라 일정길이 연장되는 형상으로, 그 테두리에 울타리(24a)가 형성되고 내부 바닥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개의 모세관칸막이(24b)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급수부(24)는 수통받이(22)의 벽체(22a)에 대해 일정각도 비틀어져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급수부(24)와 벽체(22a)가 이루는 각도는 대략 100°~ 120°임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급수부(24)가 벽체(22a)에 대해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시킴으로써 급수부(24)의 길이가 다소 길어지게 되어(수통의 내부에 보관이 가능한 상태)벌통(16)으로 삽입되는 길이도 따라서 길어지게 된다.
상기 급수부(24)의 모세관칸막이(24b)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되고 이 모세관칸막이(24b) 중 일부 모세관칸막이(24b)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절단되어 폭 방향으로 물이 흘러갈 수 있도록 하는 통로(24d)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모세관칸막이(24b)들 사이에 형성되는 급수로(24c)에 벌집 부스러기나 찌꺼기 등이 퇴적되어 막힐 경우에 이웃하는 급수로(24c)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급수기는 수통(20)에 물을 집어넣고 수통받이(22)를 수통(20)의 개방부로 덮어씌운 후 이들을 꺼꾸로 뒤집으면 급수기가 되며, 이 급수기의 급수부(24)를 벌통(16)의 출입구로 삽입시켜서 물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통(20)은 수통받이(22)의 밀착돌기(22c)와 이격돌기(22d)에 의해 이 수통받이(22)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통(20)의 유수구(20a)는 수통받이(22)의 모세관칸막이(22b)와 거의 동일한 높이를 가지므로 수통(20)의 물은 모세관칸막이(22b)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모세관칸막이(22b) 사이의 급수로(24c)를 통해 선단부로 공급되고 이 급수로(24c)가 벌집부스러기나 찌꺼기 등에 의해 막히게 되면 모세관칸막이(22b)의 폭방향으로 형성된 통로(24d)를 통해 이웃하는 급수로(24c)로 물이 우회하여 급수부(24)의 선단부로 공급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급수부(24)는 수통받이(22)의 받침돌기(22e)에 의해 평행인 상태를 유지하면 수통(20)의 물을 계속적으로 공급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0은 본 고안과 종래 기술의 수통받이(12)(22) 중 급수부(14)(24)의 길이와 절곡된 정도를 비교한 도면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급수기는 상기 수통받이를 수통 내부에 집어넣을 수 있는 한도에서 급수부의 길이를 길게 하여 벌통 내부로의 물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한, 수통의 외측면과 수통받이의 벽체 내측면을 통해 물이 스며나오지 못하게 하며, 또한, 급수부의 이웃하는 모세관칸막이끼리 서로 통하는 폭 방향 통로를 형성하여 물공급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벌통이 기울기에 관계없이 급수부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함으로써 물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Claims (6)

  1. 하단부가 개방되고 하단 외주부 일측에 유수구가 형성된 수통과, 이 수통의 개방된 하단부가 삽착되게 상방이 개방되고 테두리를 따라 벽체가 형성되며 상기 유수구와 대응되는 부위가 개방된 개방부를 갖는 수통받이와, 이 수통받이의 개방부에서 바닥면과 평행하게 일정거리 연장되며 그 테두리를 따라 울타리가 형성되고 그 내부 바닥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모세관칸막이가 마련된 급수부를 포함하는 급수기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수통받이의 벽체에 대해 일정각도 비틀어져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와 벽체가 이루는 각도는 대략 100°~ 120°임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통받이의 벽체 내면 하단부에는 수통받이로 삽착되는 수통의 외측면 하단부와 밀착되는 밀착돌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통받이의 밀착돌부 상단부에는 상방향으로 수통받이의 밀착돌부와 동일한 돌출길이를 갖는 이격돌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의 모세관칸막이 중 일부 모세관칸막이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절단되어 폭방향으로 통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통받이의 저면 양측에는 이 수통받이의 저면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커지는 받침돌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기.
KR20-2003-0018998U 2003-06-17 2003-06-17 급수기 KR2003254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998U KR200325496Y1 (ko) 2003-06-17 2003-06-17 급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998U KR200325496Y1 (ko) 2003-06-17 2003-06-17 급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5496Y1 true KR200325496Y1 (ko) 2003-09-02

Family

ID=49337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8998U KR200325496Y1 (ko) 2003-06-17 2003-06-17 급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549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018B1 (ko) 2005-05-13 2008-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물통지지장치
KR20170003652U (ko) * 2017-10-12 2017-10-23 조상균 소문 사양기
KR200486339Y1 (ko) 2017-02-27 2018-05-04 이남주 벌통용 급수기
KR101971708B1 (ko) 2018-07-13 2019-04-25 윤준민 벌통용 꿀벌 급수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018B1 (ko) 2005-05-13 2008-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물통지지장치
KR200486339Y1 (ko) 2017-02-27 2018-05-04 이남주 벌통용 급수기
KR20170003652U (ko) * 2017-10-12 2017-10-23 조상균 소문 사양기
KR200487042Y1 (ko) * 2017-10-12 2018-07-30 조상균 소문 사양기
KR101971708B1 (ko) 2018-07-13 2019-04-25 윤준민 벌통용 꿀벌 급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25496Y1 (ko) 급수기
US5960995A (en) Adjustable and collapsible drip collection device
US20070089452A1 (en) Water reservoir for a refrigerator
WO2019083571A1 (en) LIQUID DISPENSER
JP6736294B2 (ja) 薬液供給装置
CN103485398B (zh) 快速排水安全地漏
US20070072496A1 (en) Liquid Dispensing System
KR200331657Y1 (ko) 최신 꿀벌먹이통
US5682932A (en) Humidifier water bottle
JP2747284B1 (ja) 水洗トイレ用洗浄芳香剤容器
EP2816303B1 (en) Refrigerator
JP7197691B2 (ja) ペット給水器
KR200487042Y1 (ko) 소문 사양기
KR200486339Y1 (ko) 벌통용 급수기
JP2003341756A (ja) 液体収納容器
KR20170095084A (ko) 소문 사양기
ES2279918T3 (es) Acumulador, en particular acumulador de plomo.
JP4788169B2 (ja) 錠剤、錠菓等の包装容器
CN211796324U (zh) 洗碗机以及用于洗碗机的投放器和门组件
KR100725497B1 (ko) 김치냉장고
JP5367329B2 (ja) 貯氷庫
KR20120031648A (ko) 펌핑 용기
JP4418218B2 (ja) シュート
JPH0346068Y2 (ko)
KR0137184B1 (ko) 액체수납용기의 배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